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음악교육에서 제7차 음악교육과정 목표의 적용 가능성 연구

        함희주 서울대학교 서양음악연구소 2001 음악이론연구 Vol.6 No.-

        This study is the survey of how musicality, creativity and musical sense, which are the purpose of the 7th music curriculum, are realized in the elementary music class. The purpose of the curriculum must be achieved in school education. Our music curriculum has been changed to the 7th by now. But, we can't recognize that curriculum has been performed in the actuality of the school. It means, we have much difficulties to perform this curriculum because school surroundings are not good enough to do in the music class. As indicated by teachers in the survey of this study, the most important issue of the curriculum management is the adaptability to the actual situa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 of the music curriculum. First, various materials mentioned in the music curriculum should be prepared sufficiently in order to do service to all students. Second, the class should be reformed to lots of small study groups by reducing the fixed number of students in the class so that it is possible to instruct students reflecting the different musical ability of individuals. Third, the music textbook should be composed variously in order to develop the musical talent of students. Fourth, it should be made more various musical materials to incite the creative activities. Fifth, the music program should be developed for the student's interest in the music class. Sixth, the musical ability of the teacher should be progressed. In conclusion, music curriculum should be composed considering the reality of the school. That is to say, the curriculum should be assisted to adapt the music class and the desirable class surrounding should be assisted to realize the objects of the 7th music curriculum - musicality, creativity and musical sense.

      • KCI등재

        통번역사를 위한 직업윤리 교육의 현황 및 인식 : 국내 통번역대학원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 예비적 고찰

        함희주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연구소 2016 통번역학연구 Vol.20 No.1

        This paper examines the need for teaching professional ethics in translator and interpreter training. This study looks into the availability and overall status of ethical training offered from the current curriculum of major graduate schools for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in Korea. Then, a group of interpreters/translators who also work as instructors at training institutions participated in a focus group interview. Participants discussed: first, the type of ethics training they had received before and after joining the practice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second, ethical dilemmas,and third, the need for teaching ethical issues to future professionals. The findings of curriculum re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 suggest that both the quantity and quality of professional ethics training should be improved so that translators and interpreters in the field make a decision with confidence when faced with an ethical issue.

      • KCI등재
      • KCI등재

        창의성 계발을 위한 음악 교수 - 학습 지도 모형 연구 사례

        함희주 한국음악교육학회 1997 음악교육연구 Vol.16 No.-

        Die Kreativita¨t ist eine Grundtendenz zur Entwicklung fu¨r die wachsende Kinder und bei Jugendlichen. Aber begriffsher kann das Wort `Kreativita¨t` wissenschaftlich in heutigen Tag nicht klar stabilisieren. Um man das Wort besser verstehen zu nehmen, kann die Bedeutung von einigen Wissenschaftlern, von denen wir pa¨dagogisch oder psychologisch einbeziehen du¨rfen, einstellen. Die Musik hat viele Mo¨glichkeiten, um diese Grundtendenz zu fo¨rdern. Die Musikunterricht in unserer Grundschule ist bisher die wenige Mo¨glichkeit gegeben, dem Kind seine potenzial zu kreativieren. Die hier gestellte Unterrichtsbeispiele werden als das Modell nehmen, um die schu¨ler durch die Arbeit im Musikunterricht eine kreative Erfahrung einzustellen und weit entwicklen.

      • KCI등재

        독일 초등학교 교육특성에 따른 교육역량 및 음악교육역량 관련연구

        함희주 한국음악교육학회 2014 음악교육연구 Vol.43 No.1

        본 연구는 독일 초등학교교육에서의 교육역량과 그에 따른 음악교육역량에의 적용에 관한 것이다. 논문의 목적은 오늘날 교육의 핵심과제로 다루고 있는 역량 문제를 독일 교육역량을 통해서 탐색함으로서 국제적 시각에서 교육역량을 어떻게 적용하는지 이해도를 높이는데 있다. 연구내용은 독일 초등학교 교육역량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형식적 자료로서 초등교육의 성격, 교육역량부분은 독일에서 적용하는 보편적 교육역량개념과 베를린,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의 학교교육 역량, 모델 등을 제시하였다. 음악교육역량부분은 Klippert(1996)의 확장된 역량 개념을 적용한 음악교육역량, 교사의 역량 구조에 따른 음악 교육적 적용범위를 제시하였다. 음악교육에의 적용 본 연구에 적용한 자료는 G. Lehmann & W. Nieke(2013)의 선행연구와 주정부간행물 등을 참조 하였다.

      • 고오든의 AMMA에 의한 음악심화과정

        함희주 公州敎育大學 敎育硏究所 1996 公州敎大論叢 Vol.33 No.1

        초등교사의 음악적성은 음악학습을 이끄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본연구의 목적에서 제 시한것과 같이 현재 초둥 교육제도에 의하면 한 교사가 거의 모든 교과를 담당하도록 하 고있다. 음악교과는 일반 교과와 다르기 때문에 음악에 대한 일정한 소질과 능력이 갖추 어져야 한다. 현재 초등교사 교육과정에 있는 각 교육대학교의 학생들의 음악적성이 어느 정도인지는 정확하게 알 수없다. 본 연구 및 각 교육대학에서 사용한 연구도구인 AMMA 검사결과에 의하면 전체 평균 이 중하위로 나타났다. 즉 AMMA검사에 의하면 현재 각 교육대학교의 학생들의 음악적 성이 부족하다는 결과이다. 물론 음악적성은 한 검사에 의한 결과에 의해서만 판단할 수 는 없지만 어느정도의 평가에 대한 가능성을 읽을 수 있다. 능력있는 초등교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교육대학의 예비교사들의 음악적성 및 소잘에 대한 비교연구를 하므로서 음악을 전담할수 있는 능력있는 교사로 양성하도록 해야한다. 효율적인 교사를 양성하기위해서는 먼저 초등교육에서 각 교과의 특성에 맞는 자기전공 영역이 구체화되어야 한다고 보며, 이것은 또한 실제적으로 교육대학 입학제도에서 특정 한 기초능력을 필요로하는 교과에 대한 전공별 지원이 실시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공주교육대학교 음악 심화과정 학생들의 음악적성을 AMMA검사에 의해서 실시한 것이다. 결과에서 나타난것과 같이 전체적으로 중간정도의 능력을 보이고 있다. 요 소별 능력은 각 학년에 따라서 약간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것은 심화교과의 학습체 계와도 관계가 있을것으로 생각한다. 이 결과를 실례로 해서 앞으로는 음악심화과정 학생 들의 음악적성과 학년별 심화교과 학습과의 상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3, 4학년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창작활동 유형 분석

        함희주 미래음악교육학회 2018 미래음악교육연구 Vol.3 No.2

        This study explores how creative learning activities are organized in third and fourth grade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published in 2018 based on the fact that creative learning contributes to children 's musical creativity and musical thinking ability.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studies as follows: first, to explore the types of creative activities presented in the third and fourth grade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published by a total of eight textbook publishing companies; second, to examine the frequency of each type of the creative activities; and third, to provide interpretation of the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e frequency analysis reveal, that the making of song lyrics is accounted for the highest portion of the types of creative activities. Next, creation of rhythms, making of Jangdan, sound expression and scene/story music making follow in the order of high frequency of the types of creative activities. Textbooks with the most diversified types of creative activities and the largest portion of creative learning activities are those published by Dong-A Publishing Company. This study recommends that the more diversified types of creative learning activities are needed in order to contribute to children's creative thinking. 본 논문은 창작학습이 아동의 음악 창의성, 음악적 사고력의 향상 등에 기여한다는 점에 근거하여 2018년에 발행된 초등학교 음악 3∼4학년군 교과서에 창작 활동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탐색한 것이다. 연구과제는 첫째, 초등 음악 3∼4학년군 교과서 중 총 8종을 대상으로 교과서별로 제시한 창작의 유형의 종류를 탐색하고 둘째, 활동유형별 빈도수를 종합하고, 셋째, 분석결과에 따른 해석이다. 분석결과 빈도수에서 볼 때 노랫말, 리듬, 장단, 소리표현, 말붙임새, 장면 및 이야기 음악 만들기 순으로 나타났으며, 창작활동 유형을 가장 다양하게 수록한 교과서는 동아출판이고 가장 많이 수록한 교과서는 비상교육 교과서이다. 연구결과 창작활동이 아동의 창의적 사고력 향상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좀 더 다양한 활동유형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 초등교사 교육과정에서 클래스 피아노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함희주 한국음악학회 1995 한국음악학회논문집 음악연구 Vol.12 No.1

        1. Einleitung 2. Die Einwirkung des Klassenspiels an der Klavierbegleitung zur die Lehrerausbildung 3. Das Unterrichtsmateral und die Unterrichtsmethode des Klassenspiels an der Klavierbegleitung bie der Lehrerausbildung 4. Das Curriculum des Klassespiels an der Klavierbegleitung zu der Lehrerausbildung Die Klavierbegleitung ist ein wichtiges Programm zur Lehreraushildung. Die dient nicht nur zu der Fa¨higkeit und der Fertigkeit bei der Lehrerausbildung sondern auch ihre Musikalita¨tsentwicklung. Als Musikpa¨dagogisehe Methode an der Klavierbegleitung nimmt man die zwei Methde. Die sind die einzelunterricht und das Spiel mit Klasse. Es gibt die Vor- und Nachteil fu¨er die beide Methode. Im Gegenwart, besondes in U.S.A., Korea und in der Nachbarlaendern mit erziehungssystem Amerikas empfhlt man das Methode mit Klassenspiel. Die Terminologie "Class piano" stammt nicht aus dem Material, sondern aus der Unterrichtsmethode. Das Ziel des Klassenspiels an der Klavierbegleitung zur Lehrerausbildung wird die Folgende sein: 1. Durch die Methode mit dem Klassenspiel wird man die gesamte Musikalita¨t mit singen, instrumentsspielen, komponieren and musikh ren entwickeln. 2. Beim Klassenspiel kann man den eignen Musikcharakter bilden: z.B, die sozialbewu t, sthetisch, harmonisch gesamtmusikalisch sein zu werden. 3. Beim Klassenspiel findet man sich die Harmonie in der Musik, die man als die a¨sthetische Erziehung bezeichnet. 4. Durch Improvisation an der Klavierbegleitung kann man die Kreativit t in Musik ausdr cken.

      • KCI등재

        독일 음악교과서의 음악과생활 영역 수업제재 분석

        함희주 한국음악교육학회 2016 음악교육연구 Vol.45 No.3

        본 연구는 독일 초등학교 음악수업에서 음악과생활 영역의 제재와 수업활동을 탐색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독일 초등음악교과서를 분석 한 것이다. 분석 대상 교과서는 「Rondo 1/2」(2015), 「Musikkus 3|4」(2009), 「Der neue Musikus 3」(2010), 「TÖNE 1 5/6」(2011) 이다. 분석내용은 각 교과서에 제시된 음악과생활 영역 학습제재 및 학습활동의 주제와 활동내용이다. 연구 결과 첫째, 독일 초등 음악수업에서 다루어지는 음악생활 영역 내용은 주변 환경의 음악, TV 속의 음악, 음악녹음 및 녹화, 음악 듣기 매체 관련으로 모두 4개의 공통주제와 인터넷과 음악, 집에서의 음악, 듣기 산책, 광고음악, 영화음악 등의 개별 주제로 이루어진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독일 초등학교에서 음악과생활 영역은 아동이 음악을 생활화 할 수 있는 요인들로서 흥미, 사회와의 소통, 음악장르, 음악매체 등과 연관된 내용으로 구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학습 주제 및 활동, 적용 방법에 대한 구성 체계를 볼 때 음악과생활 학습이 오늘날 우리 교육에서도 강조하는 프로젝트, 융합, 토의·토론, 창의성 등과 관련된 학습방법이 적용된다는 점이 파악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