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孟子』 解釋의 拮抗的 側面에 대한 一考

        함영대(Ham, Young-dae)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9 동양한문학연구 Vol.29 No.-

        『孟子』의 해석에서 程朱가 불씨를 지핀 ‘孟子不尊周說’은 그 역사적 현실에 기초한 경전 이해의 관점으로 대체로 타당하고 수용할 만한 것이다. 그러나 이에 대해서 조선학자들은 다양한 논증을 통해 각각 ‘맹자불존주설’과 ‘孟子尊周說’을 입증하면서 치열한 논리적 대결을 펼쳤다. 아울러 이러한 길항적 이해의 관점을 견지하면서도 맹자가 周를 업신여기거나 王統을 부정하지는 않았으며, 맹자는 엄격한 군신관계에 대한 관점을 가지고 있었음을 논증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이는 조선 학자들이 天命의 변화와 백성을 위한 保民의 관점은 수용하면서도 당대 군왕에 대한 충성은 여전히 거역할 수 없는 가치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새삼 확인시켜 주는 것이다. 조선의 학자 가운데 程朱의 견해에 호응하여 ‘맹자불존주설’을 긍정한 학자들은 대체로 정자와 주자의 견해를 받아들이면서 전면적으로 수용하기 어려운 주장은 보완하려고 했다. 반면, ‘맹자존주설’을 주장한 학자들은 周室이 쇠약해졌다는 정주의 최초 설정을 거부하거나, 또는 맹자가 권한 王政이 일상생활에서의 왕정이라고 이해하는 등 그 논점을 반박하거나 전환하는 등의 방식을 통해 최대한 尊周의 명분과 의리를 지키려는 태도를 보여주었다. 한편 尊周와 行王의 다른 관점에서 절충하려는 시도도 제시되었다. 이러한 경전해석의 뚜렷한 분기는 다시 경전주석의 외부, 즉 주석자의 현실인식 내지 정치인식을 재검토할 필요를 제기한다. 정주의 견해를 수용하여 맹자불존주설을 지지했지만 그들의 다양한 논증에서 발견할 수 있듯이 이는 일방적인 수용의 방식이라기보다는 당대 정치인식에 대한 학문적 대응이며, 그것이 경전의 주석을 통해 표현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정주의견해를 조술하기보다는 자신의 입론을 통해 그 견해를 수용했던 만회 권득기나 한주 이진상의 경우, 그 점은 더욱 두드러진다. 時勢에 따른 역사 변화를 민감하게 포착했던 성호 이익이나 철저한 사실고증을 통해 역사를 파악하려고 한 순암 안정복은 尊周의 문제에 대해서 현실적 이해보다 이념적 경사를 보여준다. 그들은 적지 않은 논증을 통해 자신의 견해를 정당화하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그 저류에는 결국 존주의 입장을 관철시키려는 의도가 논증의 목표로 상정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그들이 처한 당파적 입장과 정치적 현실에 기초하여 새롭게 검토해 보아야 할 과제로 판단된다. 경전에 기초하여 논증하고 있지만 강한 의미론적 해석을 관철시키고 있는 성호나 격한 반응으로 집요한 존주의 관점을 견지한 순암의 태도는 경전해석의 외부적 측면에서 충분히 재음미할 만하다. 한편 行王과 尊周의 관점에서 비슷한 논증의 방식을 취하면서도 결국은 다른 결론에 도달한 성호와 다산의 分岐 역시 경전 해석의 외부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영향에 주목해야할 이유를 제공한다. The interpretation of 『Mengzi』, ‘Mengzi Buljonjuseol(孟子不尊周說) -the assertion that Mengzi not raised the Zhou Dynasty’, which kindled a debate by Jeongju(程朱), was valid and acceptable to some extent from the aspect of its historical situation or an understanding of the scriptures. However, regarding this issue, Joseon scholars unfolded keen logical confrontations while proving ‘Mengzi Buljonjuseol’ and ‘Mengzi Jonjuseol(孟子尊周說)’, respectively, through various demonstrations. Also, leaving the view of the antagonistic understanding of whether Mengzi raised Zhou or not, Mengzi did not look down on Zhou or negate the Royal line. Rather, he strongly insisted that it had a strict ideology of a sovereign-subject relationship. This confirms that Joseon scholars accepted royalty for the then Imperial family and valued it still as being one that couldn't be disobeyed while accepting the view of the change in Providence or protection of the people. In the meantime, Joseon scholars, who advocated 'Mengzi Buljonseol' in favor of the view of Jeongju, presented the following complementary view once after accepting the views of Jeongja(程子) and Zhuzi(朱子), whereas scholars who insisted on ‘Mengzi Jonjuseol’ assumed an attitude toward keeping the justification and loyalty of Jonju at the maximum by refuting or shifting its disputed point by either refusing to agreesing to reetial assumption of the understanding of Jeongju, in other words that the Zhou dynasty had become weakened, or by understanding that the monarchy recommended by Mengzi was the monarchy in ordinary life. This was a view that established a strict sovereign-subject relationship, and at the same time, fully approved the Royal line in the authority of a king. This proposes a need to review the recognition of reality or the recognition of politics of the outside of the scriptural annotations, namely, annotators, again. Although they supported Mengzi Buljonseol by accepting the view of Jeongju, as seen in their various demonstrations, it is rather their academic response to the recognition of the then politics and their expression through annotations, rather than a sort of unilateral acceptance. As regards Manheui or Hanju, who accepted the view of Jeongju through their establishment of the view rather than their propagating the view, either of them makes such an understanding convincing. Also, it is interesting that Seongho, who grasped historical changes according to historical facts and the trends of the times sensitively, or Sunam, who tried to identify historical reality through complete historical research of facts, demonstrated an ideological thought rather than reality toward the issue of jonju. Through not a few demonstrations, they tried to justify their views,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ir intention to accomplish the view of jonju on that basis was eventually higher. Meanwhile, the divergence of Seongho and Dasan, who reached different conclusions after all while taking the same type in terms of the view of Haengwang and jonju, also offers a reason to pay attention to diverse effects occurring outside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scriptures.

      • KCI등재

        麗末鮮初 『맹자』이해의 주제와 관심사

        함영대(Ham Young dae) 대동한문학회 2016 大東漢文學 Vol.48 No.-

        There is a need to describe the history of Confucianism no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cept of neo-Confucianism but based on the awareness of issues, that is, from the viewpoint of the matters of interest that invoke subjects and the subject consciousness. It is all the more so in that the subject of analysis will be able to be materialized along with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ontext of interpretation in a more broadened manner. In addition, the thoughts at the end of the Koryo Dynasty and early Joseon Dynasty period should be understood based on the point of concrete text rather than the perspective of typicality of being an intermediate or transitional period. Against this backdrop, this article has sought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Confucianism from the perspective of subject consciousness and matters of interest based on several key points of Mencius. To the scholars at the end of the Koryo Dynasty and early Joseon Dynasty, Mencius served as a useful scriptural authority in effectively presenting their ideas and thoughts. Mencius became the base of debate on land issues and was also utilized in political issues of implementing compassionate politics and the rule of right. They often used the Mencius’ claims as a vehicle to criticize the absolute power of the Crown. It faithfully quoted the original nature of the Mencius texts with its assertiveness and frequency overwhelming the circumstances in late Joseon dynasty. Unlike this, the subject of cultivating mind and character had already actively utilized the logic of neo-Confucianism. However, its approach was not intended toward further advancing the understanding of the mind in an analytical and detailed manner as demonstrated in the theory of four beginnings or the theory that human being and an animal have the same or different nature in late Joseon Dynasty period. Mostly, the approach was taken to be faithful to the claims of the scripture and to emphasize the practical aspects to some extent. When it comes to the perspectives of the anti-heresy theory, the scholars at the end of the Koryo Dynasty and early Joseon Dynasty period showed more interest in the anti-heresy nature of Mencius himself. Understanding the preciseness and consistency of the logic requires more examination but considering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 when the Buddhism exerted its social and ideological influence, the logic of revolution as a social thought held by the anti-heresy theory is still worth attention. It is not aligned with the circumstances in late Joseon Dynasty period challenged by the anti-heresy nature within Confucianism. In conclusion, the analysis on subjects and matters of interest with Mencius serving as a controversial point is effective in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Confucianism at the end of the Koryo Dynasty and early Joseon Dynasty period and is identified to well serves as a strategic base. The subject awareness and matters of interest in the Mencius’ points were converted to other points as interest in neo-Confucianism deepened and the ideological weight of Confucianism expanded. This will be meaningful as a methodological attempt to capture ideological changes through studies on Confucian Classics. 유학사를 성리학의 개념이 아닌 경전 해석의 대상에 대한 문제의식, 곧 주제와 그러한 주제의식을 견인하는 관심사의 시야에서 서술할 필요가 있다. 분석대상을 구체화 할 수 있으며, 해석의 맥락을 좀 더 폭넓게 비교하고 검토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 아울러 여말선초의 사상은 중간기나 과도기라는 전형성의 입장에서 파악될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텍스트의 논점을 바탕으로 그 실제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 글은 맹자 의 몇 가지 핵심논점을 기초로 주제의식과 관심사의 입장에서 여말선초의 유학사를 파악하려 했다. 여말선초의 학자들에게 맹자 는 자신의 생각을 효과적으로 제시하는데 유용한 경전적 전거가 되었다. 맹자 는 토지문제에 대한 중요한 논의의 거점이 되었고, 仁政과 王道의 구현이라는 정치적인 이슈에서도 활용되었다. 그들은 맹자의 주장을 근거로 때로 왕실권력이라는 절대 권력에 대한 비판으로도 적극 활용했다. 그 방식은 대체로 맹자 텍스트의 원천적 성격을 충실하게 원용하는 것으로 그 적극성과 빈도는 조선 후기적 상황을 압도하는 것이다. 심성수양론적인 주제는 이와 달리 성리학의 논리가 이미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다. 다만 그 층차는 조선 후기의 四端七情論이나 人物性同異論과 같이 마음에 대한 이해를 분석적으로 더 한층 진전시킨 분석적이고 세밀한 방식은 아니었다. 대체로 경전의 주장에 충실하고 어느 정도의 실천적 측면을 강조하는 방식이었다. 벽이단의 관점에 있어서 여말 선초의 학자들은 맹자 자체의 벽이단적 성격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접근했다. 그 논리의 정밀함과 정합성 여부는 좀 더 고찰할 필요가 있으나 불교가 여전히 사회적으로 사상적으로 영향력을 지니고 있던 당대 상황을 고려하면 벽이단론이 지니는 사회사상으로 서의 변혁논리는 여전히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 이것은 유학 내부의 벽이단론으로 치열하게 전개된 조선 후기적 상황과는 결을 달리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맹자 를 논점으로 하는 주제와 관심사에 대한 분석은 여말선초의 유학사의 단면을 파악하는데 유효하고 전략적인 거점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맹자 의 논점에 대한 주제인식과 관심사는 이후 조선에서 주자학에 대한 관심이 깊어지고, 유학의 사상적 비중이 확장되면서 점차 다른 논점으로 전환된다. 이는 경학 연구를 통해 사상적 변화를 포착하는 방법적 시도로서의 유의미성이 될 터이다.

      • KCI등재

        유교경전 교육의 미래전략 -『만화 논어』의 경우-

        함영대 ( Ham Young-dae ),장현곤 ( Jang Hyun-gon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9 한문교육논집 Vol.53 No.-

        이 글은 유교경전 교육의 미래전략에 대한 시론적 논고이다. 특히 그 방법론적 문제에 집중하여 주요한 콘텐츠인 경전의 내용을 ‘만화’라고 하는 학습자의 흥미를 높일 수 있는 전달법을 활용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테면 가장 대표적인 유교경전인 『논어』를 만화로 제작하여 전달하면서 그 교육적인 효과를 기대하고자 할 때 우리는 무엇을 고려해야 하는가? 또 그 만화의 표현방식 가운데 어떠한 전달 방식을 선택해야 하는가? 이 글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기존 ‘만화 논어’를 살펴보고, 유교경전 교육의 미래전략으로서 어떠한 ‘만화 『논어』’를 택해야 할 것인지를 고민해 보고자 한다. 그런데 새삼 유교경전 교육의 미래적 전략에 대해 논하기 위해서는 먼저 유교경전의 교육이 과연 미래에도 필요한 것인가에 대해서는 유가교육 자체에 대한 내부적 성찰이 요청된다. 이 점에 대한 논의를 한 번 더 환기하는 것은 경전 교육의 방향성에 대한 각성이 여전히 필요하기 때문이다. 방향성에 대한 설정이 확고하다면 그 방법론의 하나로 콘텐츠의 개발과 활용을 응당 논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는 기본적으로 ‘만화’라는 기법을 통해 『논어』에 담긴 의미를 전달할 수 있으며, ‘만화’가 고전에 입문하고자 하는 학습자들에게 충분히 학습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기제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또한 『논어』라는 고전을 전달함에 있어 그 방법론과 문제의식은 매우 다양하게 접근할 수 있다는 점도 제시하고자 한다. 그러나 고전의 교육적 측면에서 그러한 접근이 온전히 의미있고 유효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좀 더 유보적이다. 이 만화 논어는 성균관대학교의 홈페이지를 통해 웹툰형식으로 먼저 개시되고 이를 만화책의 형식으로 보일 예정이다. 그 대상을 대학생으로 둔 것이다. 아직 길은 멀고 할 일은 적지 않다. This article is the overview essay on the futuristic strategy of Confucian scriptures education. In particular, it is intended to facilitate the delivery method to enhance the interests of learners in 'comics' for the important contents of scriptures by focusing on its methodological method. For example, when the most representative Confucian scriptures of 『Analects』 is produced in comics to deliver, what in a way of expecting educational effect, what shall we consider? And, what delivery method shall we select from the expression method of such comics? This article takes a look at the existing ‘Comic Analects’ n the basis of such an issue, and contemplate what kind of ‘Comic 『Analects』’ must be selected as the futuristic strategy of Confucian scriptures education. Nonetheless, In order to discuss the futuristic strategy of Confucian scriptures education, there is a need for internal contemplation on the Confucius education first regarding if the Confucian scriptures education is really needed in the future. Reminding once again for the discussion on this point is that there still is a need for the enlightening on the scheme of the scriptures education. If the establishment of the scheme is solid, development and facilitation of the contents may be discussed as a methodology. In this aspect, through the technique in 'comics' basically, the implication contained in 『Analects』 can be delivered and it is pointed out that the ‘comics’ may be facilitated as the foundation to stimulate the motivation to study the classics for those beginning learners. Furthermore, in delivering a classic in 『Analects』, it points out the point that the methodology and recognition of issues may be approached in extremely diverse ways. However, in the educational aspect of classics, it is still remained to be seen for such an approach to be fully meaningful and effective. This Comic Analects will be commenced in the Web-tune style through the homepage of Sunggyungwan University first and it will be displayed in the comic book style. University students will be the subjects. There is a long way to go and so many things to do.

      • KCI등재

        창계 임영의 내면적 성찰과 경학 - 『일록』과 『독서차록-맹자』를 중심으로-

        함영대 ( Ham Young-dae ) 한국실학학회 2019 한국실학연구 Vol.0 No.37

        17세기로 접어들면 주자학의 텍스트들이 발간되고, 語錄에 대한 이해도 심화되었으며, 사서삼경에 대한 조선의 표준해석인 언해도 완성되어 유교경전, 특히 주자학적 유학에 대한 조선학자들의 이해가 깊어졌다. 조선 맹자학의 시야에서 보면 창계 임영의 경전 주석서인 『독서차록-맹자』는 그 가운데서도 조선 성리학에서 내면적 성찰을 보여주는 빼어난 저작이다. 그것이 마침 자신의 수행기록인 『일록』 과 함께 남겨져 있어 17세기 조선 맹자학사 연구에서 학자의 내면세계를 고찰하는데 효과적이다. 창계는 『일록』에서 책과 견문을 통해 알게 된 의리를 일상에서 견실하게 실천하는데 유의했다. 곧 眞心과 實情이 마음에 간절하고 일상에 밝게 드러나는 것을 가치있는 공부라고 여겼다. 그는 『주자대전』과 『주자어류』, 『성리대전』과 『이정전서』 및 우리나라 퇴계와 율곡의 글, 『근사록』과 『소학』을 읽고 모두 암송한 다음 이를 독실히 실천하려 했다. 자기 학문의 목표를 敬의 실현에 두고, 사사로움을 부정하고, 지극히 공정한 상태를 일상에서 끊어짐 없이 유지하려고 부단히 노력했다. 敬을 실천하는 공부법으로 靜坐法을 택한 것은 그의 구도적 학문자세에서는 온당히 이해할 만한 것이다. 『독서차록-맹자』는 『사서대전』을 통한 경전학습을 단순히 지적인 탐색 과정으로 여기지 않고, 자신의 삶을 응시하고 성찰하는 기제로 활용하는 구체적인 국면을 보여준다. 不動心章을 四端七情의 이론적인 성리논쟁이 아닌 『대학』의 원리를 구현하는 경전의 내적 논리로 이해하고, 理가 준칙이 된다는 고려가 있다고 하더라도 세상의 유행과 변화는 氣의 산물이라는 점을 지적한 理氣論은 실질과 실천에 대한 지향을 보여준다. 또한 개별 논점에서 제기한 군신관계의 의리에 대한 날카로운 인식, 당대의 필요에 부응하는 인간존재로서의 자의식에 대한 주제선정, 부귀의 추구와 인의 예지의 실천에 대한 반성적 시각은 17세 이래 더욱 성숙하게 주자학을 내면적으로 발전시키고 있는 조선 유학자의 초상이다. 17세기 조선 학계의 주자학에 대한 심화된 이해와 비평은 사계 김장생 이래포저 조익, 만회 권득기, 서계 박세당에서도 일부 나타나는 것이다. 창계에 이르러 그 방향이 더욱 내면이면서도 실천적인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는데 이는 학술사에 있어서 조선 경학의 내면적 성숙이라는 측면에서 주목할 만하다. During the 17th century, the texts of the doctrines of Chu-tzu were published with the understanding on the quotations deepened while the standard interpretative annotation of Joseon regarding the Four Books and Three Scriptures completed to have broader understanding by the Joseon scholars regarding the Confucius scripture, especially on the doctrines of Chu-tzu. Looking from the view of Joseon Mencius Studies, 『Dokseocharok (讀書箚錄) -Mencius』 of Notes on scripture for Changgye(滄溪) Im Young(林泳) is an extremely splendid masterpiece that demonstrates the inner insight in the doctrines of Chu-tzu of Joseon. That is still left out along with his own record of performance in 『Ilrok(日錄)』 that it is effective to contemplate the inner world of scholars in the 17th century study on the history of Joseon's Mencius Studies. In 『I lrok』, Changgye noted that the righteousness learned through books and experiences is to soundly practice in daily affairs. He considered that the valuable study is to display the genuine mind and practical matter to be dire to the mind and bright in the ordinary affairs. He read and memorized 『Juja-daejeon(朱子大全)』, 『Juja-eoryu(朱子語類)』, 『Seongri-daejeon(性理大全)』 and 『Yijeong-jeonseo(二程全書)』 along with the writings of Joseon's Toegye(退溪) and Yulgok(栗谷), 『Geunsarok(近思錄)』 and 『Sohak(小學)』, and then he intended to duly practice them. He made unyielding endeavor to place his academic objective in realizing the respect, deny any personal matter, and maintain the extremely fair condition in the ordinary life without disconnection. He opted for the meditation approach as the method to study in practicing respect and it is completely comprehensive in his truth-seeking attitude. 『Dokseocharok-Mencius』 displayed the detailed phase to facilitate the scripture learning through 『Saseo-daejeon(四書大全)』 as the record and insight with the view of one's own life, without considering it as a simple intellectual search process. The Li(理)-Qi(氣) ontology -Theory of Principle and Psycho-physical Eenergy- that pointed out the fact that trend and change of the world are the byproduct of energy with the understanding of chapter of unchanging mind(不動心章) as the internal theory of scripture that realized the principle of 『Daehak(大學)』, not as the Confucius discourse of four clues and seven emotions along with the consideration for the reasoning to be the rule and it displays the topography on substance and practice. In addition, the acute perception on righteousness of the relationship of the ruler and the ruled raised under the individual point of view, selection of theme on self-awareness as a human being to respond to the need of the time, and the reflective view on all ranks and classes have been the portrait of Confucius scholars that advanced the doctrines of Chu-tzu in more mature aspects since the 17th century. Understanding and critiques deepened on doctrines of Chu-tzu of the 17th century Joseon academic sector have partially appeared in Poseo(浦渚) Cho Ik (趙翼), Manhoe(晩悔) Kwon Deuk-gi(權得己), Seogye(西溪) Park Se-dang(朴世 堂) after Sagye(沙溪) Kim Jang-saeng(金長生). At the time of Changgye(滄溪), the direction was deployed in more internal and practical scheme and this is attributable to the innate maturity of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in Joseon in the academic history of the time.

      • KCI등재
      • KCI등재

        [특집: 동아시아 예교(禮敎)의 논리와 예제(禮制)의 교류] : 시례(時禮)와 권도(權道)에 대한 시각-『맹자』의 「남여수수불친예여장(男女授受不親禮與章)」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함영대 ( Young Dae Ham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5 民族文化硏究 Vol.69 No.-

        이 글은 유교경전에 대한 동아시아 학자들의 주석을 검토하여 보편원리로서의 예(禮)와 특수한 정황에서의 예의 변통적 적용인 권(權)을 두고 전개되는 다양한 예와 관련한 이해의 시각을 동아시아적 차원에서 검토한 것이다. 상례(常禮)와 권도(權道)에 대한 입장의 차이를 선명하게 드러내 놓고대담하는 전국시대의 두 재변가 순우곤(淳于곤)과 맹자의 대화가 수록된 『맹자·이루상』 17장 [남여수수불친예여장(男女授受不親禮與章)]이 그 검토대상이다. 순우곤은 남녀가 직접 물건을 주고받는 것이 상례가 아니지만 형수가물에 빠진 것과 같은 위급상황에는 직접 손을 잡고 구할 수밖에 없듯 천하가 물에 빠진 듯한 난세에는 원칙만을 고수할 것이 아니라 변통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맹자는 천하를 구제하는 것은 물에 빠진 형수를 구하기 위해 손을 잡는 것과 같은 권도로 할 것이 아니라 원칙적인 정도(正道)를 통해서만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견지한다. 이 대화는 전국시대(戰國時代)라는 난세를 안정시킬 방법과 출사에 대한 두 유세객의 입장차이를 보여주는 것에 불과하다. 하지만 예화(例話)로 활용된 내용이 예의 근본과 상황에 따른 예의 변통, 그리고 더 큰 문제해결의 원칙으로서의 도라는 예학의 핵심논리를 담고 있어 대화의 긴장감이 높고 문제의식 역시 치열하다. 그 결과 적지 않은 동아시아의 학자들이 이 문제에 대해 다양한 해석을 제시하면서 상도로서의 예와 변통으로서의 권에 대해 고민했고, 나아가 권을 보편원리인 예와 도의 관계 속에서 어떻게 위치시킬 것인가에 깊은 관심을 가졌다. 아울러 정당한 방법으로서의 권도와 권도를 수용하는 예제(禮制)의 운용에 관심을 가졌다. 고례(古禮)에 대비되는 이른 바 금례(今禮)로서의 시례(時禮)의 적용이다. 이 논문에서는 동아시아 학자들의 이 논점에 대한 입장을 검토하면서 시대와 조응하는 예제로서의 시례와 그 방법론의 하나인 권도가 어떠한 인식논리로 정당화되는가를 짚어보았다. 동아시아에서 정치의 근본원리로서의 예와 그 구체적 실천으로서의 의절(儀節)에 대한 이해가 상황과 시대정신에 따라 어떻게 그 시야를 수정하는지에 대한 실제적 국면을 이 논점에 대한 해석상의 변화를 통해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reviewed the annotations of East Asian scholars about a Confucian scripture and examined, from the Eastern Asian point of view, the various understandings regarding courtesy(禮), the universal principle, and Gwon Do(權道), the temporary and modified application of courtesy fit for specific situation. The text to be analyzed is Mencius`s ``The man and the woman does not take a direct hand(男女授受不親章)`` which is a dialogue between two eloquent speakers of the Age of Civil Wars, Sunwoogon and Mencius, with their conflicting views about customary courtesy(常禮) and modified application of courtesy(權道). Sunwoogon took the example that in an emergency situation like one`s sister-in-law is drowning, a man cannot help catching her though a man and a woman are not supposed to touch each other. He claimed that in a turbulent era, one cannot strictly stick to principles and has to have flexibility. Mencius, however, holds the view that the matter of saving the world cannot be achieved through Gwon Do, which is used to save one`s drowning sister-in-law, but through the right way(正道). This dialogue only reveals the different views of two stump orators on the ways to stabilize the troublesome era and on going into government service during the Age of Civil Wars. However, the allegory used in the talk contains important issues such as the foundation of Ye(禮), temporary modification of Ye appropriate for the situation, and Do(道),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solving questions and the core theory of the study of courtesy(禮學). So the conversation unfolds in heightened tension and reveals acute awareness of the problems. Afterwards, not a few East Asian scholars posed various interpretations about this issue, and investigated the concepts of Ye(禮) as customary courtesy and Gwon as modified application of courtesy. They pondered about where to position Gwon in relation to the universal principle of Ye and Do. They were also interested in Gwon Do as a proper way and the operation of Ye Je that accepts Gwon-do, which means contemporary custom(時禮) in contrast to old custom(古禮). This paper reviewed East Asian scholars` positions on this issue and examined by which epistemic logic contemporary custom, which is Ye-je(禮制) that agrees with the era, and Gwon-do, one of the methodologies of contemporary custom are justified. We will be able to find out the actual aspects of how Ye,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politics, and the understanding of Yui Jeol (all the procedures and orders of courtesy), its specific practice, change the view according to the situations and spirit of the times through the changing interpretation of this issue.

      • KCI등재
      • 다산의 저술과 학술교유 - 대산 김매순의 경우

        함영대(Ham, Young-dae)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20 다산과현대 Vol.13 No.-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 1762~1836)은 해배 후에 여러 학자들과의 교유를 통해 자신의 저작을 가다듬었다. 그 결과 더욱 정채로운 논의로 발전시켜갔다, 이는 학술사적 의미에서 매우 다행한 일이다. 다산은 해배 후 고향집인 남양주의 마재(현재 남양주 와부면 능내리)로 돌아와 당대의 학자들에게 자신의 유배기 때의 저작을 보여주면서 의견을 구했고, 그 의견을 적극 반영하여 자신의 저술을 완성시켰는데 그 과정에서 보여주는 학자들간의 교유는 학술적 결과물만큼이나 매우 의미심장환 것이다. 대산 김매순은 유배지에서 많은 저작을 이룩한 다산에게 적지 않은 위로와 격려를 해 준 학자 가운데 한 사람이다. 그는 문벌(門閥)을 뛰어넘어 진정한 학문을 추구하며 학자간의 교유를 가지려 했다. 훌륭한 성과를 낸 학인(學人)의 의미있는 저작이 가지는 가치를 인정하여 더욱 분발시켰으며, 후학을 길러내도록 권장했다. 대산의 권유는 다산의 유배지에서의 삶을 더욱 가치있게 인식하는데 적지 않게 기여하였다. 다산은 유배지에서 완성된 자신의 저술 가운데 『매씨서평』을 비롯하여 『상기별』, 『상복상』등의 예학 저작에 대해 의견을 구했고, 대산은 그 하나하나의 저작에 첨지를 붙여가며 곡진하게 그 의미를 변별하여 자문에 응답했다. 보이지 않는 도리를 입술이 타도록 설명하고자 하는 대산의 고뇌와 그와의 교유를 통해 학술저작의 가치를 진작하고자 한 다산의 진지한 노력은 170여년 전 이 땅의 학자로 살아간 학자들만의 가치는 아닐 것이다. 통행하는 지식의 옳고 그름에 대한 명확한 분변과 그 사회적 적용에 대해서 고민하는 것은 지식인의 임무이자 오늘날의 학자들에게도 여전히 살아있는 문제의식이다. 더구나 인간의 마음과 삶의 의미, 나아가 바른 가치에 대해 연구하는 인문학에 있어서는 더욱 그러하다. 유배지에서의 저작 그대로에서 만족하지 않고 끊임없이 의견을 청해 더욱 수준높은 저작으로 완성시켜나간 다산의 노력은 물론 간과할 수 없는 것이다. 적지 않은 나이 차이가 나는 대산에게 이렇게 곡진하게 하문(下問)했기 때문에 정밀한 토론문을 구할 수 있었던 것이며, 그 결과 자기 저작의 지평을 더 한층 고양시켰던 것이다. 인생에 있어서 교유는 늘 의미심장한 것이지만 학술에서의 교유는 이렇게 더욱 특별한 바가 있다. 고독한 환경에서 저작을 이룩한 다산의 경우, 대산 등과의 교유서간은 그런 점에서 더욱 주목할 필요가 있다. Dasan Jeong Yak Yong (1762~1836) composed his writings through associations made with various scholars after his release from exile. As a result, his writings developed into more lively discussions and this is a fortunate thing of academic significance. Dasan returned to his home in Majae (currently Neungnae-ri, Wabu-myeon, Namyangju) in his hometown of Namyangju after being released from exile and he showed his writings from his exile period to scholars of the day to seek their advice and he completed his writings by actively applying their opinions. Daesan Kim Maesun is a scholar who provided a lot of comfort and encouragement to Dasan, who accomplished a lot of writing during his exile. He transcended his lineage and tried to have scholarly associations with true affection towards literature. In addition, he recognized the value of the meaningful writings of a scholar with creditable achievements and pushed Dasan further and encouraged him to foster younger students. Such encouragements of Daesan would have definitely made Dasan recognize his life in exile as a time of value. Of the writings he wrote in exile, Dasan sought advice on 『Meshiseopyeong』, 『Sangibyeul』, and『Sangboksang』 and Daesan attached tags to each, curiously distinguishing meanings and providing suggestions. As a result, Dasan’s writings certainly gained higher levels of completion. The anguish of Daesan who tried to exhaustively explain about unseen duties and the efforts of Dasan to boost the value of academic writings through associations with him are not simply values that belong to scholars who lived 170 or so years ago. Giving deep thought to the clear discernment of right and wrong in transmitted knowledge and to its social applications is a duty of intellectuals and an issue of problem awareness that vividly applies to the scholars of today. Moreover, it certainly applies to humanities scholars who study the human mind, the abundant meaning of life, and proper values. The efforts of Dasan to complete writings of higher quality by continuously seeking opinions instead of remaining satisfied with his writings as they were written during his exile cannot be overlooked. The curious inquiries he made to Daesan, who was considerably older, allowed for the acquirement of Daesan’s discussion papers and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is enhanced the prospects of his writing. Associations are meaningful in life but they are particularly special in academia. With Dasan, who accomplished his writing in a solitary environment, associations made with Daesan are worth even more attention upon this point.

      • KCI등재

        〈宇宙問答〉과 柳麟錫의 文明意識

        함영대(Ham, Young-dae)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1 泰東古典硏究 Vol.27 No.-

        이 글은 유인석의 만년사상이 집약되어 있는 〈우주문답〉을 문명의식을 중심으로 검토한 것이다. 검토결과 〈우주문답〉은 ‘있는 세계’에 대한 성찰과 미래에 대한 전망이라기보다는 ‘있어야 하는 세계’에 대한 이상과 동경이 짙게 드리워진 것으로 파악된다. 〈우주문답〉은 조선에서 전근대와 근대가 교차하는 1913년에 저술되었음 에도 불구하고 유교적 상고주의가 짙게 배어 있다. 이는 유인석이 견지한 기본 적인 역사인식과 미래에 대한 전망의 결과이다.우주문답〉의 한 축을 이루고 있는 가상의 질문들은 구체적 현실인식을 반영하고 있다. 그에 반하여 그 답변은 보편적인 이상세계를 지향하고 있다. 〈우주문답〉의 문명의식은 당대 현실에 대한 냉철한 분석을 바탕으로 변화를 주도하는 미래지향적인 것이 되지 못하고 유교 경전의 이상으로 회귀한 것이 다. 이것은 유인석이 시대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현실적인 국면에서 그대응책을 마련하기 보다는 자신이 최상의 가치라고 믿는 이념과 질서에 대한 온전한 구축과 실천을 더욱 가치있는 유자의 삶이라고 믿었기 때문이다. 그는 중화를 중심으로 문명을 재구축하고 유교적 이상인 ‘도’를 실천하려 했다. 문명에 대한 주체의식과 평화적인 방법에 의한 세계문명의 건설, 제국주의가 전파한 자본주의 폐해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의식, 동서양 문명의 조화로운 추구 등은 〈우주문답〉의 문명의식 가운데 주목할 만한 것이다. 분명 유인석은 이전의 화서학파의 인물들에 비해 적극적으로 서양의 발전된 문명을 배우 려고 했다. 그러나 결론적으로 본말론적 문명관을 벗어나지 못했다. 화이관과 신분관, 남녀차별에 대한 의식은 그 가운데서도 특히 강고한 것이다. 유인석의 문명의식은 과연 시의(時宜)를 냉정하고 현실적으로 꿰뚫어 본 것인가? 아쉽게도 유인석의 뇌리 속에는 철저한 유교적 상고주의, 봉건적인 질서의식과 화이관적 세계인식이 여전히 부정할 수 없는 진리로 굳건히 자리잡고 있었다. This article examines Ujumundap densely containing the idea of Yu Inseok’s perpetual theory focusing on the consciousness of civiliz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examination, Ujumundap is not the meditation on ‘the existing world’ and prospect to the future but rather the deep ideal and longing for ‘the must-be-world’. Ujumundap was written in 1913 when both premodern and modern ages existed in Joseon, but it profoundly deals with Confucian Sanggojuui (尙古主義). This is the result of foundational historic consciousness held fast by Yu In Seok and prospect to the future. Virtual questions consisting of the axis of Ujumundap reflect concrete realistic consciousness. In contrast to it, the answers pursue the general ideal world. Ujumundap’s consciousness of civilization could not be a future-oriented thing initiating changes based on reasonable analysis on those times’ reality but returned to the ideal of Confucian scriptures. This could not build measures in realistic aspects with Yuin Seok’s flexible responses to changes of that time, but he believed sound establishment and practice for ideology and order he thinks to be his best value is an even more valuable life of a Confucian scholar. He tried to reestablish civilization based on neutralization and practice ‘Tao (道)’, the Confucian ideal. What are noticeable in Ujumundap’s consciousness of civilization include a sense of sovereignty to civiliz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world civilization by peaceful methods, sharp critical consciousness on the harmful effects of capitalism transmitted by imperialism, and harmonious pursuit of Oriental and Western civilization. Yu In Seok surely wanted to learn the West’s advanced civilization actively compared with previous figures of Hwaseo School (華西學派). However, he could not escape from Bonmal theory (本末論的)’s view of civilization after all. Among them, particularly stable parts are Hwa-eui theory (華 夷論) and the view of the status system, and consciousness of sexual discrimination. Could Yu In Seok’s consciousness of civilization penetrate periodic significance (時宜) rationally and realistically? Regretfully, in Yuin seok’s mind, thorough Confucian Sanggojuui, a sense of feudal public order, and Hwa-eui theory’s world consciousness were still firmly fixed as undeniable truth.

      • KCI등재

        오학론(五學論)으로 읽는 경전학의 이면 -경학과 과거 문장학의 조응-

        함영대 ( Ham¸ Young-dae ) 한국한문학회 2021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3

        다산 정약용은 五學論을 통해 18세기 조선 학술의 풍토에 대해 매우 통렬하게 비판한 바 있다. 다산은 성리학과 훈고학에 대한 비판을 통해 기존의 성리학 이해에 대한 전환적 인식을 요구했다. 이를테면 성리학의 대사회적 역할에 대한 인식 제고를 요청하여 기존의 理氣와 理發氣發 중심의 인식론적 이해에서 수기치인의 事功的 효용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이해의 시각을 조정하려 했다. 제한적인 훈고학의 효용을 인정하면서도 경전 이해의 최종적인 목표는 의리의 확인과 그 실천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기타 문장학과 과거학, 술수학에 대해서는 그 폐단을 강조하면서 그것이 온전한 학문으로 이해될 수 없다고 비판했다. 다산의 당대 학술에 대한 관점을 집약한 五學論을 검토해보면 다산의 주관적인 관점이 강하게 반영된 학문관으로 이해된다. 그는 理氣의 발함이나 本然과 氣質의 분기를 투철하게 인식하여, 심성수양을 중시하는 宋學의 논리로 성리학을 바라보기보다는 誠意와 正心의 실천적 요소를 중심으로 수기치인의 사공적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洙泗學의 시야로 성리학을 파악하고자 했다. 이는 종래의 성리학 인식과는 판이한 것으로 그 결과 孝弟忠信과 禮樂刑政이 중시되었으며, 성리학자의 官人적 면모가 부각되었다. 이러한 관점의 전환은 경전의 본지에 대한 이해에서 훈고학의 역할을 한정적으로 이해한 것과도 무관하지 않다. 다산은 훈고가 경전의 의미파악에 도움이 된다는 점을 분명히 인식하고 있지만 그 역할은 어디까지나 문구의 정확한 이해에 불과한 것으로 그 오묘한 본지의 추구에 있어서는 의리적인 접근이 없을 수 없다고 보았다. 그러므로 조선의 현실에서는 한대의 훈고와 송대의 의리를 절충하여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데 그 중점은 훈고가 아닌 의리가 중점이 되어야 함을 강조했다. 이 외에 문장학과 과거지학에 대한 비판은 다산의 경학 우위의 학문관에 기인하는 것으로 다산 자신의 학문에 대한 이해가 과도하게 적용된 면이 없지 않다. 아울러 술수학에 대한 무시에 가까운 비판은 기존 技藝論을 중심으로 다산의 합리적인 과학사상을 높게 평가해온 것에 비추어 좀 더 그 인식에 대한 이해의 조정을 요청하는 측면이 있다. 다산의 오학론에 등장하는 학문인식의 정당함에 대한 이해를 위해 전통적인 이해의 측면을 살펴보았다. 사공적 효용을 강조하는 다산의 시야에 인간과 우주의 근원이나 인간의 의지를 중시하는 퇴계와 우암의 문제의식은 그 접점을 찾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 훈고학에 대한 이해는 다산의 관점이 지닌 학술사적 시효성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을 것이다. 경전학과 과거 문장학의 문제를 검토한 위백규와 성해응 등의 언급은 경전공부를 두고 가급적 聖賢之學과 科擧之學, 그 둘의 간극을 좁혀 긍정적인 방향에서 그 효용을 획득하고자 하는 시도가 사회의 저변에서 매우 진중하게 이루어졌다는 것을 확인시켜 준다. 특히 향촌과 서얼이라는 사회적 발신이 과거제도 외에 딱히 찾기 어려웠던 지역과 계급의 경우, 과거 문장학을 置之度外하기 어려웠고, 그 경전에 대한 학자로서의 기본 태도도 저버릴 수 없었기 때문에 그 둘의 관계를 조화롭게 이해하고자 노력한 정황은 어느 정도 이해되는 측면이 있다. 올바른 경전독서를 통한 과거 문장학의 도야를 은근히 권한 향촌 지식인 존재 위백규의 경전 주석과 ‘仁義의 功令文字’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과거를 위한 詩會를 지속적으로 개최했던 명문 서얼가 창녕성씨 상곡공파의 경우는 그 실제의 한 단면이다. 명분은 삶을 통과하여 드러날 수 없고, 학문이 수양의 도구일 뿐 아니라 사회적 성취를 위한 중요한 매개로 작동해야 함은 18~19세기 조선에서도 예외일 수 없다. 특히 삶의 기반이 취약한 계층의 경우, 그 문제는 더욱 절실하다. 그런 관점에서 본다면 다산의 오학론은 재독되어야 할 이유가 있다. Dasan Jeong Yak-yong once had an extremely keen criticism on the practice of the 18C Joseon academic circle through his Ohakron (Dasan’s criticism on the theory for five studies). Through the criticism on the Neo-Confucianism and exegetical studies, Dasan demanded the shifting perception on the existing understanding of the Neo-Confucianism. For example, he had requested the enhancement of perception on the grand social role of the Neo-Confucianism in a way of attempting to shift the view of understanding from the existing egi (a Confucian doctrine to explain the universe and human in reasoning and spirit) and ebalgibal (A theory of Toegye that reasoning has to be available to have the ethical emotion to have the relevance with good and evil) perceptive understanding to the direction to emphasize the work accomplishment efficacy of the Sigichiin (self-discipline and self-control). While acknowledging the efficacy of restricted exegetical studies, he clarified that the ultimate goal of the Scripture understanding is to confirm righteousness and its practice. With respect to other heraldry, gwageo (national examination) studies and Shu Shu, he emphasized the negative effect with the criticism that it would not be understood as a complete academic field. Ohakron is the outline of Dasan’s scholastic point of view of the time, as reviewed earlier, it is understood as the scholastic view with the strong reflection of the Dasan’s subjective point of view. He thoroughly recognized the manifestation of Egi or stirring up of intrinsic nature in a way of finding out the Neo-Confucianism with the view of Susahak (Confucian studies) that may assert the work accomplishment competency of Sigocjoom (self-discipline, self-control) for the focusing on the practical factors of good faith and righteous mind rather than the Neo-Confucianism with the theorem of Song Studies that placed importance on Simseongsuyang (discipline of mindset). It would be radically different perception from the conventional Neo-Confucianism, and as a result, Hyojechungsin (filial duty toward family and loyalty to king and state) and Yeakhyeongjeong (Ye-conservation of social order, ak-music to harmonize social mind, Hyeong-penal code to prevent evil, and jeong-all administrative agencies) had the importance and the government official appearance of Neo-Confucianism scholars were emerged. Such a shift for the point of view is not distanced from restricted understanding of the role for exegetical studies from understanding on the main part of the Scripture. Dasan clearly acknowledged that annotations would be of help in finding out the implication of the Scripture, but the role was the clear understanding of the phrases only that there has to be righteous approach in terms of pursuit for the exquisite main section. Therefore. under the reality of Joseon,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ing the annotations of the Han Dynasty and righteousness of the Song Dynasty with the compromise to each other and the emphasize is made to have the focus on righteousness, not on the annotations. In addition, the criticism on heraldry and studies for gwageo comes from the Confucian Classics-intensified academic point of view of Dasan that it has certain aspect of excessive application on understanding on Dasan’s own scholarship. Furthermore, any criticism almost like the neglect on Shu Shu has certain aspect of requesting for adjusting the understanding a little bit more on its perception rather the evaluation highly evaluated for the existing artistic and skill theory-oriented reasonable scientific ideology of Dasan. For the understanding on appropriateness of academic perception as appearing on the Ohakron of Dasan, the aspect of traditional understanding has been sought. For the view of Data who emphasized time and spatial efficacy, the critical mind of Toegye and Wooam who placed importance on the origin of human and unive3rse or willingness of human seem not to be so easy to find the connecting point. Understanding on the exegetical studies may need to consider the scholastic efficacy for the Dasan’s point of view. Mentioning of Wi Baek-gyu and Sung Hae-eung revising the issues of Scripture studies and Gwageo heraldry confirmed that the attempt to acquire the efficacy in the positive scheme by narrowing the gap between studies of sacred wisemen and the studies for gwageo as much as possible with respect to the Scripture studies has been made extremely seriously on the social foundation level. In particular, for the case of regions and classes where there would not easily found other than the gwageo system for any social manifestation in local community, clan hierarchical order and so forth, the Gwageo heraldry would be difficult to Chijidooihagi (leave the matter alone without having an issue out of it), and the basic attitude as a scholar on the Scripture would not be deserted that it has the aspect to understand to make harmonious relationship of the two. With respect to the Scripture annotations of Wi Baek-gyu, a local community intellectual who subtle recommended for Doya of the Gwageo heraldry through the correct Scripture reading and Changnyeong Sung Clan Sanggokgongpa, a seoeol (out-of-wed off-spring) clan of reputable family that continuously held the poetry society for the Gwageo with the slogan in ‘Gongryeongmunja (characters of meritorious orders) of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 it has an aspect of the presence. The justification could not be appeared by pass through the life and the academics is not only a tool of such discipline but also an important medium for social accomplishment, which should not be an exception even during the 18C-19C joseon. In particular, for the case of classes with vulnerable foundation of lives, this issue would be even more desper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