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맹자의 ‘以意逆志’論에 대한 조선학자들의 인식논리

        함영대 근역한문학회 2023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65 No.-

        Mencius was well versed in poetry writing to widely facilitate the same in his argument. In addition, as in ‘understanding the sentiment of poet with the mindset of a reader 〔以意逆志: A reading method with the basic elements of meaning of reader and writer, as well as its language〕’ or ‘know the man to discuss the era of his time’, he proposed the methodology of interpreting his own independent poetry. This is an aspect of interpreting the scriptures that had developed during the warring states period by the methods of ‘displaying one’s intent by writing a poem’ or ‘a poetry is quoted to discuss the reason’, mainly focusing on interpretation of the scriptures, such as, 『Sigyeong (the Book of Odes)』. However, what may be of an issue is that such a perspective would understand the purpose for a poet to write his own poetry with the mindset of a reader was the opinion of Jo Gi (108~201), a scholar of the Han Dynasty, who submitted the initial note of Mencius as well as the opinion of Joo Hee (1130~1200) of the Song Dynasty who succeeded the foregoing opinion. For the case of the Joseon Era that accommodated the doctrines of Chu-tzu of the Won Dynasty during the end of Goryeo and early Joseon, such a unique perspective in extremely broad domain was accepted, and it was not restricted only for the scriptures reading method to read Sigyeong but also went through overall activities to read the classic writings. As a result, throughout the entire Joseon Era, this perspective of ‘deducting the mindset of the author with the mindset of reader’ was facilitated as an important mean of critics for academic activities and reading classic writings beyond the reading skill of the scriptures. Here, it is intended to contemplate on understanding the situation of such Joseon scholars with the expansion of the scriptures interpretation method to have the conversion of the perspective that emphasizes the understanding of reading method of scriptures, or more precisely, overall insight for the classic writings for accommodating people that had been converted on certain issue to be facilitated in classic writing and academic studies. The theory of Yiuiyeokji that was initially originated from the interpretation of the Sigyeong of Mencius was accepted by the Joseon’s scholars as an extremely serious and important implication. However, the purpose of its scheme is to be demonstrated under the position of people of respective era for the intrinsic nature of the scriptures with significant critique insight, not a simple acceptance. The Chinese scholars during the Han Dynasty and Song Dynasty, Jo Gi and Joo Hee, respectively, considered ‘Ui (意)’ as the ‘mindset of interpreter’ as it has the effect of emerging the presence of interpreter and its positive participation. On the other hand, O Gi deemed ‘Ui (意)’ as the ideology or emotion materialized within the literature text that it has brought the effect of emphasizing understanding on analysis on the text itself as well as its author. The intellectuals of Joseon that had the strong self-ego and personality and profound view toward the scriptures and historic truth accepted the theories of Chu-tzu while pursuing the more intimate implication beyond simple silent acceptance and their method was a very serious one. This is to depict on how the interpretation methodology of the scriptures shifted to diverse classic reading methods, and 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show that the acceptance of Joseon on the doctrines of Chu-tzu was established much more multi-level strata. Mokeun Yi Sak emphasized one’s own subjective perspective as a new writer with the focus on the mindset as the writer. Seongho Yi Ik said that the mindset of the writers millennium ago could be found as well through the method of Yiuiyeokji, but he clearly pointed out that if one intends to search for truth with the erroneous evidence or simply seeking for implication only by f... 맹자는 詩書에 정통하여 자신이 어떠한 것을 주장할 때에 효과적으로 활용했다. 아울러 ‘독자의 마음으로 시인의 정취를 이해한다〔以意逆志〕’라거나 ‘그 사람을 알고 그의 시대를 논의한다〔知人論世〕’와 같이 자신만의 독자적인 시 해석의 방법론을 제기하기도 했다. 맹자의 이러한 시도는 춘추전국 시대에 시경 등 경전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시를 지어 자신의 의중을 드러낸다〔賦詩言志〕’거나 ‘시를 인용해 이치를 논의한다〔引詩說理〕’의 방식으로 발전하기 시작한 경전 해석학의 한 측면으로 볼 수 있겠다. 다만 해석상의 이견이 있을 수 있다. 독자의 의중으로 시인이 시를 지은 취지를 이해해야 한다는 관점은 맹자 의 초기 주석을 제출한 漢代 趙岐(108~201)의 견해로 宋代 朱熹(1130~1200) 역시 이를 계승했다. 여말선초에 원대 주자학을 수용한 조선의 경우, 매우 광범위하게 이러한 관점은 수용되어 시경을 읽는 경전 독서법에만 한정되지 않고 고전을 읽는 전반적인 행위로까지 두루 관철되었다. 그 결과 조선시대에는 전시대에 걸쳐 이 ‘독자의 마음으로 저자의 의중을 추리하는〔以意逆志〕’의 관점이 경전의 독법을 넘어서서 고전을 독서하고 학문 활동을 하는데 하나의 비평안으로 중시되었다. 여기에서는 이러한 조선학자들의 고전독법의 정황을 경학해석방법의 확산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경전의 독법, 좀 더 명확하게는 수용자의 전체적인 시야에서의 이해를 강조하는 고전에 대한 관점이 어떠한 논점의 전환을 거쳐 고전과 학문 연구상에 활용되는가를 고찰해 보려는 것이다. 맹자의 시경 해석에서 비롯된 以意逆志論는 조선학자들에게 매우 심각하고 중요한 의미로 받아들여졌다. 하지만 그 방향은 단순한 수용이 아니라 상당히 비판적인 안목이었으며 본질은 경전의 본의를 좀 더 당대 독자의 입장에서 정당하게 바라보자는 취지였다. 중국의 한대와 송대학자 곧, 조기와 주희가 ‘意’를 ‘해석자의 마음’이라고 본 것은 해석자의 존재와 그 능동적 참여를 부각시키는 효과가 있다. 반면 청대학자 吳淇는 ‘意’를 문헌 텍스트 내에서 구현된 사상이나 감정으로 보았기 때문에, 텍스트 자체에 대한 분석과 저자에 대한 이해를 강조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자아와 개성이 강하고, 경전과 역사적 진실에 정직하고자 한 비판적인 조선의 지성들은 주자의 논리를 수용하면서도 묵수가 아닌 좀 더 긴밀한 의미를 추구하였고 그 방법은 매우 진지한 것이었다. 이는 경전의 해석방법론이 다양한 고전독법에 어떻게 전환되어 가는가 하는 것과 아울러 조선의 주자학 수용이 좀 더 다층적인 층차에서 이루어졌다는 것을 새삼 알려준다. 목은 이색은 이를 작자로서의 의중에 방점을 두어 새로운 작가로서의 자기 주관을 강조했다. 성호 이익은 이의역지의 방법을 통해 천년 이전의 작자의 마음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하였지만 잘못된 증거로 진실을 찾으려 하거나 구절만의 의미를 찾으려〔斷章取義〕한다면 신뢰를 얻기 어려울 것이라고 분명히 지적했다. 순암 안정복은 분명 以意逆志의 방법을 활용하고 있지만 그 방향은 작품의 역사적 정황과 작품 내적 논리에 따른 신중한 것이지 개인의 심미안을 강하게 적용한 것은 아니었다. 홍대용은 ‘以意逆志’의 방법론을 좀 더 독자의 정서와 품격으로 유도하여 그 온전한 옛 사람의 정신을 지금의 내가 접수하 ...

      • KCI등재

        『해사록』에 나타난 학봉 김성일의 시중(時中)인식 - 1590년 조일외교의 한 시각 -

        함영대 열상고전연구회 2019 열상고전연구 Vol.67 No.-

        『Haesarok』 is an extremely valuable record of envoy for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as it contains the record of Hakbong Kim Seong-il served as the Busa(副使) of Special Envoy to Japan from his resignation on March 5, 1590 to his reinstatement of March 1, 1591. Even now, the diplomacy in international relations aims at acquiring interests of its state while presenting a variety of justification. However, getting through with various justifications requires consideration on its counterpart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diplomacy and such consideration on its counterpart also has to be based on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counterpart. On this point, it is a prudent point to know how well Hakbong had known the other party of persuasion. Hakbong focused on the implication of visiting of envoy under the firm perception that it represents the government and cabinet in a way to set the dignity and establish a precedent in the aspect of methodology to acquire concrete practical interest on diplomatic objectives, it has a room for re-review in the aspect of reiterating the scheme for diplomatic objective. With the history turning event in the East Asian history by Imjinoiran(壬辰倭亂, Japanese Invasion of the Year of Imjin) just 2 years away, Hakbong Kim Seong-il who just visited Japan wrote his record of formal visit, 『Haesarok』, and it is considered to have its implication of reading the work in the aspect of establishing the reasonable diplomatic view point in international relations in this aspect. Under the diplomatic relation with Japan, the timeliness perception demonstrated by Hakbong under a variety of situations could still have current implication as well as finding out the historic implication at that time. Hakbong considered Japan as a smart presence but he did not consider it as a partner of the justifiable dialogue. Since Japan was considered as a subject to teach, he had the dominating perception to convey virtuous stories and enlighten it that it causes substantial friction for each phase of diplomatic visit even at the expense of basic position of Japan as it understood as the friendly visit of envoys. Hakbong had his own preconception to look down on Japan. He did not change his thought on Japan even after looking at the advanced civilization. It may have significant problem that it makes justifiable understanding on the other party or reasonable understanding on the other party to be more difficult. Notwithstanding such a fact, there is certain value to contemplate that fact that Hakbong had held his head high with his justifiable understanding on diplomatic protocol during the visit, enthusiastic interpretation on provisions and his prudent posture to keep its dignity. Diplomatic issues could not abandon the practical points of views, but it could not also neglect the consideration on justification and precedent, and in this point, Hakbong should be highly praised for his effort to establish the formal diplomatic protocol as the common practice between states in Seonwisa(宣慰使), Youngoibae(楹外拜), issues in responding writing and so forth. The persistent issue being raised by Hakbong could be assumed to work as significant rules in the visit of envoys processed thereafter. In the diplomatic visit that was revived in 100 years, Hakbong had established a precedent of extremely important protocols. In this point of view, it is understood that his timeliness perception would have been significant implication thereafter. The high assessment on Hakbong in Joseon is assumed to come from such a point of his view. 학봉 김성일이 일본사행단의 부사로서 1590년 3월 5일 폐사(陛辭)하여 1591년 3월 1일 복명(復命)하기까지의 정황을 기록한 『해사록(海槎錄)』은 조선 전기에는 그것 자체로 매우 귀중한 일본 사행록이다. 국제관계에서 외교는 지금도 여전히 다양한 명분을 내세우면서도 그 실상은 자국의 실리를 획득하는 것이다. 하지만 그 다양한 명분 역시 대상이 있는 외교의 특성상 상대에 대한 고려를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런데 상대에 대한 고려는 결국 상대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다. 그 점에 있어서 학봉은 과연 얼마나 정확하게 설득의 상대를 파악하고 있는가는 간과할 수 없다. 학봉은 사신의 행차는 나라와 조정을 대표한다고 생각하여 체모(體貌)를 세우고 전례(前例)를 확립하는데 치중했다. 그것은 외교적 목표에 대한 구체적인 실리획득이라는 측면에서, 다른 한편으로는 외교적 목표에 대한 방향성을 되짚어 본다는 측면에서 재검토의 여지가 있다. 2년 뒤 닥쳐올 임진왜란이라는 동아시아 역사 전환의 사건을 바로 코 앞에 두고 일본을 다녀온 학봉 김성일의 사행기록, 『해사록』은 국제관계에 대한 합당한 시각의 정립이라는 논점에서 재독의 의미가 충분한 것이다. 일본과의 외교적 의례에 대해 학봉이 보여준 시중(時中)인식은 당대적 의미 뿐 아니라 현재적 의미도 적지 않다. 학봉은 일본에 대해 영활한 존재로 파악하고도 정당한 대화의 파트너로는 생각하지 않았다. 가르쳐야할 대상으로 보고, 덕화를 전하고 감화시키겠다는 인식이 지배적이었기 때문이다. 조선 사신을 내조사(來朝使)로 이해한 일본에서 학봉의 그러한 태도를 불편하게 여긴 것은 당연한 귀결이다. 학봉은 자신만의 선입견으로 일본을 한 수 아래로 여겼으며 일본의 발전된 문명을 보고나서도 태도를 바꾸지 않았다. 이는 상대에 대한 정당한 파악이나 온당한 이해를 어렵게 한다는 점에서 적지 않은 문제가 있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학봉이 일본 사행에서 외교적 의례에 정당함을 요구하고, 새롭게 파악한 상황에 맞추어 적극적인 조문을 해석하며 외교사절로서의 체통을 지키려한 당당한 자세만큼은 여전히 음미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한다. 외교의 문제는 실리의 관점을 포기할 수 없지만 상대를 설득하기 위해 명분을 들고 전례(前例)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그 점에 있어서 학봉은 선위사, 영외배, 답서의 문제 등의 외교 의례에서 국가간 항례로서의 정식을 수립하려 했는데 이는 높게 평가할 만 하다. 학봉의 깐깐한 문제제기는 이후 진행된 통신사 행차에서 간과할 수 없는 전례가 되었다. 100년 만에 부활된 외교 행차에서 학봉은 매우 중요한 의전들의 선례를 만들어 두었던 것이다. 그런 점에서 그의 시중의식은 이후 적지 않은 시사점을 준다. 이후 조선에서의 학봉에 대한 고평은 바로 이런 점에서도 비롯된 것이 아닐까 한다.

      • KCI등재

        면우문고의 연구 -면우 곽종석의 지적 관심과 그 자원-

        함영대 한국한문학회 2023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9

        면우 곽종석에 대한 연구는 문학과 경학사상, 사학분야에서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는 19~20세기 영남에서 활동한 우리 근대 유학의 저명한 인물로 관료생활을 하지는 않았지만 경륜을 갖춘 通儒였으며, 직접 의병활동에 종사하지는 않았지만 우환의식을 갖춘 지사였고, 세도를 부지하고 인재를 양성하는데 전념한 교육자였다. 면우의 저술 가운데 가장 방대한 그의 문집인 면우집 은 원집이 165권, 속집이 12권으로 도합 177권 63책의 거편이다. 워낙 문집의 분량이 방대하여 그 전체상이 아직 온전히 파악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파리장서운동의 유림대표로 활동한 것이 가장 강렬하게 부각되어 그 독립운동사의 지사로 평가되었지만 그의 진정한 면모는 한주 이진상을 잇는 영남의 유학자로, 회봉 하겸진에 의해 결산되는 동유학안 을 이르게 하는 근현대의 가장 주목할 만한 학자로 평가하는 것이 온당할 것이다. 이 글에서는 그의 학적 성과에 대한 평가에 앞서 학문적 여정과 지적 관심, 나아가 그 자원에 대한 성찰을 위한 탐색의 시도로 <면우문고>를 검토한 것이다. 문고 가운데 참고서류에 해당하는 中國史류와 國故典章류는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는 것이다. 이는 면우가 한양을 출입하는 시기에 구득한 것으로 보이는데 주로 광서28년(1902년)을 전후하여 출간된 중국본이다. 중국 정사류는 주로 史學會社간본이고 국고전장류는 1900년대를 전후하여 중국의 다양한 출판사에서 출간된 것이다. 전통적인 주자학 문헌은 전래되어 내려왔던 것으로 보이는데 주자학의 핵심 저작인 주자대전 과 주자어류 , 성리대전 등의 장편을 완질로 다 가지고 있는 점이 눈길을 끈다. 문학으로는 한유를 비롯한 팔대가선집 이 보이고 익재집 , 삼봉집 등 조선의 주요한 문인들의 저작도 보인다. 그리고 상당 부분의 저작은 1900년대 이후 출간된 경남지역의 문인들의 문집이다. 이 중에는 면우가 직접 서문을 작성한 사례도 있지만 꼭 자신이 서문을 작성하지 않았더라도 교유했던 인물의 경우가 적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면우의 서재, <면우문고>에 대한 연구는 면우의 지적 원천과 저변을 이해하는데 하나의 새로운 경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19~20세기 전통시대와 근대기에 독창적인 성리학을 구가했던 한주 이진상의 학문을 계승하면서도 외세의 침략에도 견결하게 대응했던 그의 치열한 삶의 여정은 방대한 그의 문집인 면우집 에 잘 나타나 있을 것이지만 그의 문고 역시 그 학문적 배경으로서 그의 학적 관심사와 지적원천 및 교유관계의 흔적을 보여주는 중요한 문헌의 보고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면우문고」에 대한 탐색은 응당 일차적으로는 면우의 삶과 사상을 이해하는 원천적 근거가 되는 것이지만 「면우문고」를 통해 우리의 근현대 유학자들이 어떠한 지적 자원을 통해 자신의 학문과 사상을 구축하였는가를 살펴보는 하나의 중요한 사례연구로서도 적지 않은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Research on Kwak Jong-seok is very active in the fields of literature, Confucian philosophy, and historical studies. He was a prominent figure in our modern Confucianism who was active in Yeongnam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Although he did not serve as a government official, he was an experienced Confucian scholar. Although he did not directly engage in volunteer military activities, he was a governor with a sense of well-being, and devoted himself to maintaining power and nurturing talented people. He was an educator. Myeonwoojip , the most extensive collection of works among Myeonwoo's writings, consists of 165 original volumes and 12 supplementary volumes, making up a total of 177 volumes and 63 books. Because the volume of the collection is so vast, its overall picture is not yet fully understood. His activity as a Confucian representative of the Paris Book Collection Movement was highlighted most strongly and he was evaluated as a leader in the history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but his true character is that of a Confucian scholar from Yeongnam who succeeded Hanju Lee Jin-sang. It would be appropriate to evaluate him as the most notable scholar of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who led to the Dongyuhakan concluded by Hoebong and Ha Gyeom-jin. This time, prior to evaluating his academic achievements, we reviewed his archives as an attempt to explore his academic journey, intellectual interests, and further reflect on his intellectual resources. Chinese history and national history sections occupy the largest volume. This is a Chinese version that was mainly published around the 28th year of Guangxi(1902). The Chinese history books are mainly copies of historical studies, and the national records books were published by various Chinese publishers around the 1900s. It appears that the traditional Confucianism literature has been passed down, and it is noteworthy that it contains all the major works of Confucianism, such as Daejeon of Zhuzi , Juzieoryu , and Daejeon of Shengli , in complete form. In terms of literature, we can see the Selected Works of Paldaega , including Han Yu, and the works of major writers of Joseon, such as Ikjaejip and Sambongjip . And most of the works are collections of works by writers from the Gyeongnam region published after the 1900s. Of these, there are quite a few cases where Myeonwoo wrote the preface himself, but it is understood that even if he did not write the preface himself, there were quite a few cases of people he interacted with. Studying Myeonwoo's library, <Myeonwoo Library>, could be a new path to understanding the foundation of Myeonwoo's intellectual source. His intense life journey, in which he steadfastly responded to foreign invasions while inheriting the scholarship of Hanju Lee Jin-sang, who practiced original Neo-Confucianism in the traditional and modern eras of the 19th and 20th centuries, is well revealed in his extensive collection of works, Myeonwoojip . His archives can also be said to be a treasure trove of important documents that show traces of his scholarly interests, intellectual sources, and social relationships as part of his academic background. In addition, the search for 「Myeonwoo Library」 is primarily a fundamental basis for understanding Myeonwoo's life and thoughts, but through 「Myeonwoo Library」, what kind of intellectual resources did our modern and contemporary Confucian scholars use to build their studies and thoughts? It could also have considerable meaning as an important case study examining .

      • KCI등재

        星湖學派의 王覇論 — 星湖와 茶山을 중심으로 —

        함영대 동양고전학회 2011 東洋古典硏究 Vol.44 No.-

        본 논문은 왕도와 패도에 대한 政論으로서 특히 맹자에 의해 부각된 王覇論에 대하여 성호학파의 견해를 비교론적 입장에서 검토한 것이다. 왕패론을 의미있게 거론한 맹자와 송대의 왕패론을 우선 검토하고, 성호학파의 비견될만한 동아시아의 학자인 황종희, 이토 진사이의 왕패론과 비교하여 성호학파의 왕패론이 가지는 의미를 규명해 보았다. 황종희와 이토 진사이의 왕패론과 비교해보면 성호의 왕패론은 功業과 현실적인 상황을 설정하여 왕패에 대한 진취적인 관점을 유지한 것으로 파악된다. 다산 역시 관중의 처세와 실질적인 업적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평가했는데 이는 事功을 물리치고 心術로 왕패의 구분을 강조한 황종희의 견해보다 현실에 한발 더 다가선 것이다. 물론 이토 진사이가 보여주는 왕패의 명칭에 대한 견해나 왕패의 혼용에 대한 시각을 뚜렷하게 견지하는 것은 아니지만 대체로 왕도를 온전히 구현할 수 없을 때에 패도를 활용하는 문제에 대해서 매우 개방적이고 유연한 관점을 견지하고 있다는 점은 뚜렷하게 나타난다. 특히 성호가 진시황과 제환공·진문공의 행사를 비교하며 제시한 논리는 송대 학자 張栻이 보여준 패도가 왕도로 전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둔 것만큼이나 융통성있고 현실주의적인 시야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성찰은 왕패론에 내재하고 있는 완고한 대립적 인식을 극복하여 왕패론 내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긍정적인 요소를 발전적으로 파악하는데 유용하다는 점에서 음미해 볼 만하다. This study examines Seongho School’s view on Wangpae Theory(王覇論) highlighted especially by Mencius as a political theory on the rule of right and the rule of might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This article studies the Wangpae Theory of Mencius who discussed it meaningfully and in Sung Dynasty beforehand and compares the Wangpae Theory of Hwang Jong Hui(黃宗羲) and Ito Jinsai, the scholars of East Asia comparable with Seongho School to examine the meaning of Seongho School’s Wangpae Theory. In comparison of the Wangpae Theory of Hwang Jong Hui and Ito Jinsai, it can be seen that Seongho’s Wangpae Theory establishes a great contribution and a realistic situation to maintain a progressive view to Wangpae. Dasan also appreciated Gwanjung’s worldly wisdom and practical achievements positively. This is closer to reality one step further than Hwang Jong Hui’s view which defeats achievements and emphasizes the division of Wangpae with character. Of course, it does not distinctively stick to the view on the name of Wangpae which Ito Jinsai exhibits or the sight on the mixed use of Wangpae; however, it is noticeable that it generally holds fast to an open and flexible view on the matter of using the rule of might when the rule of right is not soundly manifested. Especially the logic suggested by Seongho as comparing the acts of Qin Shi Huang and Je Hwan Gong(齊桓公)⋅Jin Mun Gong(晉文公) is a view as flexible and realistic as that the rule of might shown by Jang Sik (張栻), a scholar of Sung Dynasty, opens its possibility to convert to the rule of right. This kind of introspection is good enough to be appreciated in that it overcomes the stubborn contrastive consciousness internalized in Wangpae Theory and is useful to figure out positive, feasible elements in Wangpae Theory developmentally.

      • KCI등재

        『반계수록』의 전승과 『잡동산이』

        함영대 한국실학학회 2018 한국실학연구 Vol.0 No.35

        『Bangyesurok』 is a book written by Bangye Yu Hyeong-won (1622∼1673) who tri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reconstructing the state by realizing godo (古道) in the transitional period of civilization called the Ming-Qing Transition that actually shocked the intellects in Chosun with the fact that ijeok (夷狄) collapsed the Middle Kingdom (中華).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rough what routes Yu Hyeong-won’s 『Bangyesurok』 was reported, transmitted, evaluated, and published. In addition, by considering 『Bangyesurok』 (hereinafter referred to as Sunam-bon 『Bangyesurok』) contained in Sunam An Jeong-bok’s 『Japdongsani』 as it was transcribed while 『Bangyesurok』 was being transmitted comparatively, this author traced the system of the original. This is the examination of mentality to understand how 『Bangyesurok』, the innovative conception of the time, was transmitted and accepted by the contemporary and future intellects and also philological exploration over the process of 『Bangyesurok』, a monumental work, becoming published as one of the publications. 『Surok』 completed in 1670 with Bangye Yu Hyeong-won’s almost 20 years of endeavoring came to be published in 1770 that was about 100 years later from its completion. In the process, Bangye’s disciples and descendants tried to reveal the fruition showing Bangye’s work to the scholars of the time. In fact, high-minded scholars in office including Hong Gye-hui reacted favorably to the publication of this book empathizing with its detailed sections. The fact that Bangye’s plan of reformation to preserve the commonsensical principles of Gyeongjayujeon (耕者有田) and guarantee the least conditions of life failed to be realized concretely due to the resistance of those equipped with power was not solely attributed to Gyeongsechaek in the past. As you can see from Jeongjo’s case to rebuke to avert their eyes to more realistic reformation, the indifference of those equipped with power grasping public posts while securing the lineage possessing and handing down their vast land about ultimate reformation allows us again to realize that the actualization of policy is not just about planning but the product of acquisition grounded on restless struggles. 『반계수록』은 조선의 지식인들에게 夷狄이 中華를 침몰시키는 충격을 주었던 명청 교체기라는 문명의 전환기에 古道의 실현을 통해 국가 재건의 가능성을모색하고자 했던 반계 유형원(1622∼1673)의 저작이다이 글에서는 유형원의 『반계수록』이 어떠한 경로로 보고되고 전파되고 평가받으며, 출간에 이르게 되는지를 규명한다. 아울러 『반계수록』이 전파되는 과정에서 필사되어 순암 안정복의 『잡동산이』에 수록된 『반계수록』 (이하 순암본』반계수록』)을 비교 고찰하여 그 원본의 체제를 추적했다. 이것은 『반계수록』이라는 당대의 혁신적인 구상이 당대와 후대의 지식인들에게 어떻게 전파되고 수용되는지를 검토하는 지성사의 검토이자 동시에 『반계수록』이라는 기념비적 저작이 하나의 출간물로 완성되는 문헌학적 탐색이다. 반계 유형원이 거의 20년의 공력을 들여 1670에 완성한 『수록』은 100여년이지난 1770년에 발간되었다. 그 과정에서 반계의 후학들과 후손들은 당대의 학자들에게 반계의 저작을 보이며 그 성과를 드러내고자 했고, 홍계희를 비롯한 재조의 의식있는 학자들도 그 절목의 상세함에 공감하면서 이 책의 발간에 호응했다. 耕者有田의 상식적인 원칙이 지켜지고 최소한의 삶의 여건을 보장하자는 반계의 개혁안이 기득권의 저항에 의해 구체적인 실현을 보지 못한 것은 온전히과거의 일로만 돌릴 수 없다. 더 현실적인 개혁안에 눈을 돌리라고 질타한 정조의 사례에서 보듯 거대한 토지를 가지고 세습되는 문벌을 확보한 채 관직을 독점하던 기득권의 근본적인 개혁에 대한 무관심은 정책의 구현이 기획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부단한 투쟁을 통해 획득되는 산물임을 다시 한 번 각성케 하는것이다.

      • KCI등재

        맹자 번역의 몇 가지 문제제기-번역의 목적과 논리, 체재의 맥락에서-

        함영대 한국고전번역학회 2019 고전번역연구 Vol.10 No.-

        The translation of the Confucian scriptures has different pattern and implication from other general publications. The translation of the Confucian scriptures has accompanied the critical mind of substantial period without stationing only in translation of classics only. This is the reason to review the purpose and reasoning of diverse translation works. Looking more in details for the translation of 『Mencius』, it demonstrates that a significant number of translation works is based on the Collected Annotation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and it is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there is a tendency of interpreting Neo-Confucianism as its foundation. In the academic aspect, it may be caused by the completeness contained in the annotation of Zhu Xi, but even more important cause is that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historic deployment of Neo-Confucianism that retained its academic focus persisting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refore, in order to read the literature collection by the literary men of Joseon, one must understand the basic literature in Confucian scriptures, and it is reasonable to facilitate the Confucius insight that is the basis to read and record Confucian scriptures and this logic has substantial power of persuasion to share the same in the coriander class of the contemporary Confucian scriptures. However, looking into the process of translation of scriptures deployed after Annotation of Scripture that had been the critical turning point to translate Chinese writings in Korean, there is a need to review the purpose and reasoning of translation along with the system of realistic translation as much as the contents of translation and selection of translated version. As a result of inspecting the main translation outcome around the purpose and reasoning for translation of Confucian scriptures and Mencius. The focus and insight of the translation of the scripture is confirmed to gradually take the routes of bold changes. The best and most recently assessed translated publication of Mencius included Mencius Jipju of Sung Baek-hyo, Hangul-version Mencius of Cha Ju-hwan, Mencius Gangseol of Lee Ki-dong, Mencius of Park Kyung-hwan, and Hangul Mencius of Lee Gil-ho, and for a rare case of translation by a foreign scholar, 『Mencius Annotation』 of Yang Baek-chun were assessed. The issue of erroneous translation, full translation of substantial data, translation in an aspect other than interpretation of Zhu Xi, reflection of Dasan's annotations and so forth are offers as the basis. If this trend is continued, the translated Jiao Xun(焦循)'s Definition of Mencius, Genuine Copy of Mencius of Japan's An Jung-hyung(안정형) and others will soon be assessed, and in addition, the translated publications that reflected on the annocation outcome of Joseon's scholars, including Dasan and Sungho along with various scholars would soon be assessed. What is clear is that the direction has been processed gradually toward the academic aspect, and the view to the interpretation has been gradually expanding. However, the outcome of Mencius Annotation that is intended to display the contents of the Confucian scriptures to children and women brings up the critical mind on the translation of scriptures that cannot be overlooked. 유교 경전의 번역은 일반적인 도서와는 그 결을 달리한다. 유교 경전의 번역은 단순히 고전의 번역에만 머무르지 않는 상당한 시대의 문제의식을 동반했다. 다양한 번역의 목적과 논리를 검토해 보아야 하는 이유이다. 논의를 『맹자』의 번역으로 구체화 시켜보면 우리는 현존하는 번역본의 상당수는 주자의 집주에 근거한 것이라는 사실에서도 알 수 있듯이 여전히 주자학을 근간에 두고 해석하려는 경향이 없지 않다. 그것은 학술성의 측면에서 주희의 주석이 지닌 완전성에 기인하는 점도 없지 않지만 더욱 중요한 원인은 조선시대 내내 그 학술적 중심성을 잃지 않았던 주자학의 사적 전개와도 무관하지 않다. 그러므로 조선 문인들의 문집을 읽어 내기 위해서는 그 기초문헌인 유가 경전에 대한 이해를 하지 않을 수 없고, 그 유가경전을 읽고 기록한 토대가 된 주자학적 시야를 활용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논리가 상당한 설득력을 가지고 현대 유교경전의 향유층에 공유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한문을 한글로 번역하는데 가장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던 경서언해 이후 전개된 경전번역의 과정을 살펴보면 번역의 내용과 번역어의 선정만큼이나 그 번역의 목적과 논리, 그리고 그것을 현실화한 번역의 체계를 한번 검토할 필요가 있다. 유교경전, 『맹자』 번역의 목적과 논리를 중심으로 주요한 번역성과를 점검 본 결과 경전 번역의 중점과 시야는 점차 과감한 변화의 경로를 걷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근자에 평가된『맹자』의 가장 좋은 번역서는 성백효의 『맹자집주』와 차주환의 『한글판맹자』, 이기동의 『맹자강설』과 박경환의 『맹자』, 이을호의 『한글맹자』이 올랐으며, 외국학자의 번역으로는 드물게 양백준의 『맹자역주』가 평가받았다. 오역의 문제, 충실한 자료의 전역, 주희의 해석이 아닌 다른 측면에서의 번역, 다산의 주석 반영 등이 그 이유로 제시되었다. 이런 추세로 간다면 번역된 焦循의 『孟子正義』, 일본 安正衡의 『孟子定本』 등이 평가받을 날이 멀지 않으며, 또한 다산 뿐 아니라 성호 이익을 비롯한 다양한 조선 학자들의 주석 성과를 반영한 번역서가 평가받을 날도 멀지 않았다. 분명한 것은 그 방향은 점차 학술적인 국면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그 해석의 시야는 점차 확장되고 있다는 것이다. 다만 여전히 초동급부에게도 유교 경전의 내용을 보이고자 한 『언해맹자』의 성과는 여전히 간과할 수 없는 경전번역의 문제의식을 상기시킨다.

      • KCI등재

        현암 이을호의 『맹자』 번역학과 해석학― 현암 다산학의 일 국면

        함영대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20 다산학 Vol.- No.3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Hyeonam Lee Eul-ho’s basic perspective on Mencius mainly with Hangeul Mencius, one of the early research results out of Tasanhak, and also Hyeonam Gyeonghak’s characteristic aspects found in Hangeul Mencius. The perspective over Lee Eul-ho(1910~1998)’s studies, particularly the thoughts of Dasan Gyeonghak that forms the core, is so-called ‘rhetorical(洙泗學的) Gyeonghak’ which is regarded to break through Chu-tzu Gyeonghak and restore the world of Confucius and Mencius. His Dasan Gyeonghak Research is a masterpiece that reflects on the trends of Dasanhak research centered around Gyeongsehak then and has a firm position about studying Gyeonghak preferentially to Gyeongsehak. Yet, one more thing that is noteworthy here is that Hyeonam has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he paid attention to Gyeonghak earlier than any other initial Silhak researcher and pioneered the field of Dasan Gyeonghak and also had interest in translating Confucian scriptures before anyone else and reflected the contents of Dasan Gyeonghak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This reveals his advanced viewpoint in his time both in specialized research and in the popularization of Gyeonghak research, too. Hangeul Mencius that has the primary form is what translates Confucian scriptures into Korean grounded on his firm awareness over the text of Mencius pointing out the fact that translation is what matters when people try to understand Oriental classics, and the outcome of it can be rated highly even now. The vivid translation that is based on easy Korean and bold enough to be like colloquial language but never damages the meaning of original text gives considerable implications in terms of ‘the popularization of scriptures’. Also, in the situation that Chu-tzu’s analysis was prevalent then, he reflected Tasan’s analytical viewpoint quite much and allowed us to understand Confucian scriptures familiarly in our own ways, and this is what reflects the result of Tasan’s research and also reveals the original contents of Confucius and Mencius Confucianism pursued by Tasan. It is also not irrelevant to the aspects of practical ethics which Hyeonam intended to adhere to about Confucianism. In this sense, Hyeonam Lee Eul-ho’s Hangeul Mencius can be evaluated as a work where his communion with the subjects of research, Confucianism and Dasan, is naturally melted in the translation of Confucian scriptures. 이 논문은 현암 이을호의 다산학 가운데 초기 연구성과인 『한글 맹자』를 중심으로 그의 맹자학에 대한 기본적인 시각과 『한글 맹자』에서 보여준 현암 경학의 특징적 국면을 제시한 것이다. 이을호(1910~1998)의 학문, 특히 그 중추를 이루는 다산경학사상에 대한 관점은 주자 경학을 돌파하여 공맹의 세계를 복원해내었다는 이른바 ‘수사학적 경학洙泗學的 經學’이다. 그의 『다산경학연구』는 당시 경세학 위주로 진행되던 다산학 연구의 방향을 반성하며 경세학에 앞서 경학이 연구되어야 한다는 확고한 시각을 반영한 수작이다. 그런데 한 가지 더 주목할 것은 현암이 초기 실학의 연구자 가운데 선구적으로 경학에 주의하여 다산경학의 방면을 개척한 측면과 아울러 유교 경전의 번역에 진작 관심을 가지면서 그 번역과정에서 다산 경학의 내용을 반영했다는 것은 간과할 수 없는 학술사적 의미가 있다는 점이다. 이는 전문연구와 경학연구의 대중화 방면에서 모두 시대를 앞선 시야를 보여주는 것이다. 그 초기적 형태를 보여주는 『한글 맹자』는 『맹자』라는 텍스트에 대한 확고한 인식을 바탕으로 동양고전에 대한 대중적 이해의 관건이 번역에 있음을 지적하며 우리말로 유교경전을 번역한 것인데 지금까지도 그 성과는 높게 평가할 만하다. 쉬운 우리말로 과감할 정도로 구어에 가깝게 번역하면서도 원문이 지닌 의미는 손상하지 않는 생생한 번역은 ‘경전의 대중화’라는 측면에서 상당한 시사점을 준다. 또한 주자의 해석이 주류적인 상황에서 다산의 해석적 시야를 적지 않게 반영하여 유교 졍전의 이해를 우리식으로 좀 더 가깝게 실감하도록 한 것은 다산의 연구 성과를 반영한 것임과 동시에 다산이 지향했던 공맹 유교 본래의 내용을 드러나게 한 것이다. 그것은 동시에 현암이 유학에 대해 취하고자 한 실천윤리적 측면과도 무관하지 않다. 그런 점에서 현암 이을호의 『한글 맹자』는 유학과 다산이라는 연구 대상에 대한 교감이 유교 경전의 번역에 자연스럽게 녹아있는 저작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레귀돈의 『성모현범록聖模賢範錄』에 나타난 맹자 해석

        함영대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17 다산학 Vol.- No.30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dentify the Le Quy Don’s point of view on Mencius based on his writing Seongmoyeonbeomnok. Le Quy Don(1726~1784) a prominent politician, literary writer and philosopher from Vietnam in in the 18th century. Studies on Le Quy Don have been carried out in many different fields but further studies will be required in consideration of his academic accomplishments and status in Vietnam. This article has reviewed his perspective on Mencius based on his collective writings, including Gunseogobyeon(群書考辨) on the basis of the intention of editing the body of Mencius excerpted from the scripture(經傳) and historical book(史書) according to the 12 themes. In addition, in a bid to accurately grasp the overall picture of the edited interests, Dasan Jeong Yak-yong has been put forth as a comparison on an individual point of issue basis. Le Quy Don did not pay too much attention to revealing the inherent nature of Mencius itself in his record on Mencius, and sorted out what were deemed useful upon completion of theme-based classification. The overall structure ranging from the logic of filial piety to ascetic practice(修道) and the theory of self-cultivating and people-governing(修己治人) reflected the general Confucian logic but taking a close look at selective phrases strongly leads to a clear understanding of his stance as a prominent ruling scholar with no title of government official. Le Quy Don did not show much interest in the issues of political power that reflects the legitimacy of power, constituting principle, and resistance of power among political and economic logics that serve as major issues of Mencius such as punishment(放伐), respect for people(民爲貴), and the theory of dethrone theory(逆位論) nor paid too much attention to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economy, including constant production and constant mind(恒産恒心) or well-field system(井田制). He did not present his clear interest or stance on key theoretical basics of Mencius arguments, including distinction(義利之辨) between yi(義) and li(利), distinction(王覇之辨) between wang(王) and ba(覇), distinction(禽獸之辨) between flying animals(禽) and land animals(覇), and distinction between the Han nationality and the Yi nationality(華夷之辨). Unlike Joseon, he did not even present such theories as 四端七情(four clues and seven emotions) or 人物性同異論(theory that human being and an animal have same or different nature) on the basis of 心性修養(moral self cultivation of mind). That is, the overall environment was not mature enough to promote understanding to the point of having in-depth academic debates or arguments equivalent to this stage. In this respect, it is understood that he paid more attention to selectively accepting the imported trend of scholarship and its effective utilization. He re-contextualized the content of Mencius based on the interest of consumers rather than its inherent key issues. What has become clearer through the comparison with Jeong Yak-yong is that Le Quy Don’s Mencius focused on accepting and absorbing the meaningful content in Mencius in a selective manner. On the other hand, Jeong Yak-yong not only engaged in interpretation of the mainstream scriptures in China while securing a certain level of critical distance but also went as far as presenting his own opinions beyond the realm or stance of Confucianism. This indicates the cultural basis for a dissipating speed of Confucianism and acceptance, which requires more multilateral reviews and further studies. 이 글은 레귀돈의 『성모현범록』을 중심으로 그의 맹자학에 대한 관점을 파악해 보려는 것이다. 레귀돈(1726~1784)은 18세기 베트남의 저명한 정치가, 문학가, 사상가로 그에 대한 연구는 다방면에서 진행되었으나 베트남에서 그가 차지하는 학술적 위상을 고려할 때 좀 더 진전된 연구가 요망된다. 이 글에서는 경전經傳과 사서史書에서 격언을 발췌한 『성모현범록』에서 12개의 주제에 따라 정리한 맹자본문의 편집의도를 중심에 놓고, 『군서고변群書考辨』 등의 방계자료를 활용하여 그 맹자학의 일단을 검토했다. 아울러 편집된 관심사의 일단을 예리하게 파악하기 위해 주요 논점에 대해 다산 정약용의 경우와 비교했다. 레귀돈은 『맹자』에 대한 채록에서 『맹자』 그 자체의 본질적인 성격을 드러내는 데 그다지 주의하지 않고, 자신의 안목에서 요긴하다고 판단되는 것을 주제별로 분류하여 선별했다. 충효의 논리에서 수도修道와 수기치인修己治人에 이르는 전체적인 구조는 일반적인 유학의 논리를 반영하는 것이지만, 선별된 구절의 내용을 통해 본다면 역시 치자治者로서의 사인士人의 입장이 강하게 반영된 것이다. 레귀돈은 맹자의 주요한 쟁점이 되는 정치·경제의 논리 가운데 방벌放伐이나, 민위귀民爲貴, 역위逆位 등 권력의 정당성이나 구성 원리, 저항권 등을 반영한 정치권력의 문제에 있어서는 그다지 큰 관심을 보이지 않고, 항산항심恒産恒心이나 정전제井田制 등 경제의 근본원리에 대해서도 크게 주목하지 않았다. 의리지변義利之辨이나 왕패지변王覇之辨, 금수지변禽獸之辨, 화이지변華夷之辨 등 『맹자』의 핵심 논변에 대해서도 뚜렷한 관심이나 입장을 제기하지 않았다. 조선의 경우처럼 심성수양心性修養의 논점에 관심을 가지고 사단칠정四端七情이나 인물성동이론人物性同異論 등을 제시한 것도 아니었다. 그러니까 아직 이 단계의 심층적인 학술논의가 전개될 정도의 이해나 학술논변이 제기될 전반적인 여건이 성숙되지 않았던 것이다. 이러한 측면보다는 수입된 학술사조에 대한 선별적 수용과 효과적 활용에 좀 더 깊은 관심을 보였다. 『맹자』 본연의 핵심쟁점 보다는 수용자의 관심에 따라 그 내용을 재맥락화 했던 것이다. 정약용과의 비교를 통해 더욱 뚜렷해지는 것은 레귀돈의 맹자학은 아직 『맹자』의 원 텍스트에서 의미 있는 내용을 선별적으로 수용, 흡수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는 점이다. 정약용은 이미 어느 정도의 비평적 거리를 확보하고 중국의 주류적인 경전 해석에 동참하였을 뿐만 아니라 좀 더 나아가 유학의 입장을 벗어나는 견해까지도 제시한 바 있다. 이것은 유학의 전파 속도와 수용이라는 문화적 저변이 반영된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좀 더 다각적인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여행문학으로 읽는 김정중의 『연행록』 -정가현(程嘉賢)과의 교유를 중심으로

        함영대 한민족어문학회 2011 韓民族語文學 Vol.0 No.59

        This study examines Kim Jeong Jung’s 『Yeonhaengrok』from the aspect of travel literature. It carefully observes Kim Jeong Jung’s self-consciousness and aspiration for Yeonhaeng, the episodes and recognition of objects Kim Jeong Jung experienced, and his exchange with people as well. These are the core elements consisting of the travel and enriching his experience of Yeonhaeng. And it changed Kim Jeong Jung’s life profoundly. Exchange with Jeong Ga Hyeon is the most significant thing among Kim Jeong Jung’s experiences in Yeonhaeng. Encountering each other accidently in Yurichang, Peking, Kim Jeong Jung and Jeong Ga Hyeon started exchange and accepted each other as a truthful friend calling their meeting as spiritual exchange (Shingyo: 神交). Both had neo-Confucian refinement and were literary men not in a government position. This commonness aroused them to feel a sense of kinship. Kim Jeong Jung met him in an accidental travel of Yeonhaeng and accepted the total stranger as a friend for life. This met as if it had been fate and had favorable impression toward each other, and they communicated by writing. They talked about many things including Jeongjeon (井田), Bokje (服制), Gwageo System, or Munbeol and also shared deep empathy reciting poems. They felt deeply sad when they had to part as if they had been old lovers. And after the parting, they exchanged letters to maintain friendship. In the point that Kim Jeong Jung and Jeong Ga Hyeon communicated about serious topics and showed serious attitudes toward that exchange, it should be remembered as meaningful empathetic memory between intellectuals of Joseon and Qing not in a government position. Joseon’s literary man, Kim Jeong Jung, could find himself as an intellectual not in a government position through the travel of Yeonhaeng (燕行) and built his identity. It was accomplished through seeing and hearing in the travel and also meeting Jeong Ga Hyeon, an intellectual not in a government position in Qing. When we read it as travel literature, Kim Jeong Jung’s 『Yeonhaengrok』 exhibits its true nature even more brightly. 이 글은 김정중의 『연행록』 을 여행문학이라는 측면에서 검토한 것이다. 연행에 임하는 김정중의 포부와 자아, 김정중이 경험하는 사건과 사물인식을 살피고, 만나는 사람과의 교유 역시 주의깊게 관찰했다. 이들은 여행을 구성하는 핵심적인 요소들로 연행의 경험을 풍부하게 하는 것이며, 김정중의 삶을 깊이 전환시킨 것이기도 하다. 정가현과의 교유는 김정중의 연행 체험 가운데서도 가장 의미심장한 것이다. 북경 유리창에서 우연히 만나 교유를 맺는 김정중과 정가현은 스스로의 만남을 神交라 일컬으면서 상대를 마음을 알아주는 벗으로 받아들였다. 주자학적 교양을 가지고 있으며, 관직을 하지 않은 재야 문사라는 공통점은 두 사람에게 동질감을 불러 일으켰다. 김정중은 연행이라는 우연한 여행을 통해 生面不知의 사람을 평생의 벗으로 만든 것이다. 그들은 운명처럼 만나 상호지간에 호의를 느끼며 필담을 나누었다. 井田, 服制, 과거제도, 문벌의 문제까지 다양한 주제로 대화를 주고받으며, 시를 수창하면서 서로에 대한 깊은 교감을 나누었다. 헤어질 때에는 오래된 연인처럼 아쉬워했으며 惜別 후에도 서신을 교환하며 교우를 이어갔다. 김정중과 정가현의 교유는 대화한 내용이 그 주제가 진중하고, 교유의 자세 역시 진지했다는 점에서 조‧청 양국의 재야 지식인 사이에 이루어진 의미있는 공감의 기억으로 기억될 필요가 있다. 조선의 문인 김정중은 燕行이라는 여행을 통해 재야 지식인으로서의 자아를 확인하며 정체성을 구축했다. 그것은 여행을 통해 보고 듣고, 또 정가현이라는 청조의 재야 지식인을 만남으로서 성취된 것이다. 여행문학으로서 읽을 때 김정중의『연행록』은 더욱 精彩를 발휘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