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사회 노인들의 치매와 우울장애의 유병율, 발병율 및 위험인자 분석

        함봉진(Bong-Jin Hahm),김장규(Jang-Kyu Kim),조맹제(Maeng-Je Cho) 대한노인정신의학회 1999 노인정신의학 Vol.3 No.2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들의 인지장애와 우울증의 유병율, 발병율 및 위험인자를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방 법 : 경기도 연천군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일년 추적조사를 실시하였다. 일차 역학조사를 완료한 790명의 노인들을 일년 뒤 추적하여 한국어판 Psychogeriatric Assessment Scale(K-PAS)를 이용하여 면담하였다. 결 과 : 전체 790명중 631명이 일년 추적조사를 완료하였다. 인지장애와 우울증의 유병율은 각각 21.4%(남자 11.9%, 여자 28.3%)와 8.4%(남자 6.3%, 여자 10.0%)였다. 인지장애와 우울증의 일년 발병율은 각각 11.4%(남자 5.7%, 여자 16.2%)와 5.1%(남자 3.1%, 여자 6.6%)였다. 인지장애 유병율의 위험인자는 교육, 연령, 성별, 뇌졸중의 병력, 경제적 상태였고, 우울증 유병율의 위험인자는 우울증의 가족력, 뇌졸중의 병력, 결혼상태, 경제적 상태였다. 인지장애 발병율의 위험인자는 성별, 교육, 연령, 알코올 사용장애, 결혼상태, 경제적 상태였고, 우울증 발병율의 위험인자는 교육, 결혼상태, 경제적 상태였다. 결 론 : 지역사회 노인들에서 인지장애와 우울증은 흔하고 발병율도 높았다. 인지장애와 우울증의 몇 가지 위험인자들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사회 노인들에게 포괄적인 보건 및 복지 서비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revalence, incidence, and risk factors of cognitive impairment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in community. Methods : This study was a one-year follow-up of Yonchon cohort aged 65 years and over, selected initially in a prevalence study of dementia and depression. A sample of 790 elderly persons who completely interviewed in a prevalence study was re-interviewed with one year interval using the Korean version of Psychogeriatric Assessment Scale (K-PAS). Results : A total of 631 elderly persons was completely interviewed in this follow-up study. The prevalence of cognitive impairment and depression were 21.4% (11.9% in males and 28.3% in females) and 8.4% (6.3% in males and 10.0% in females), respectively. The one-year incidence of cognitive impairment and depression were 11.4% (5.7% in males and 16.2% in females) and 5.1% (3.1% in males and 6.6% in females), respectively. The risk factors of the prevalence of cognitive impairment were education, age, sex, history of stroke, and economic status. The risk factors of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were family history of depression, history of stroke, marital status, and economic status. The risk factors of the incidence of cognitive impairment were female gander, education, age, alcohol use disorder, marital status, and economic status. The risk factors of the incidence of depression were low education, disrupted marital status, and poor economic status. Conclusion : Cognitive impairment and depression were frequent in the elderly. Several risk factors for cognitive impairment and depression were identifi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mprehensive health and social services were needed for the elderl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강박장애 및 아임상형 강박장애의 평생 유병률과 병발성

        홍진표,이동은,함봉진,이준영,서동우,조성진,박종익,이동우,배재남,박수빈,조맹제,Hong, Jin-Pyo,Lee, Dong-Eun,Hahm, Bong-Jin,Lee, Jun-Young,Suh, Tong-Woo,Cho, Seong-Jin,Park, Jong-Ik,Lee, Dong-Woo,Bae, Jae-Nam,Park, Su-Bin,Cho, Maeng-Je 대한불안의학회 2009 대한불안의학회지 Vol.5 No.1

        Background : In spite of the worldwide relevance of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Ed-highlight : Unclear. Perhaps consider changing word choice. (OCD), there ar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prevalence, sex ratio, comorbidity patterns, and sociodemographic correlates. Data on subclinical OCD have been sparse to date. Methods : Data stemmed from the Korea Epidemiologic Catchment Area (KECA) study which had been carried out from April to December 2001. Korean versions of DSM-IV adapted Composite International Diagnostic Interview were administered to a representative sample of 6275 persons aged 18-64 living in the community. DSM-IV based criteria for subclinical OCD were applied. Results : The lifetime prevalence rates for OCD and subclinical OCD were 0.8% and 6.6%, respectively. In both OCD and subclinical OCD, the rates for males and female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OCD was demonstrated to be associated with depressive disorder, bipolar disorder, social phobia,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nd alcohol and nicotine dependence. Additionally, subclinical OCD was associated with posttraumatic stress and somatoform disorders. Comorbidity rates in subclinical OCD were lower than those in OCD. Conclusions : The lifetime prevalence rate for OCD was less than 1% in the Korean general population. Age distribution and comorbidity patterns suggest that subclinical OCD represents a broad and heterogeneous syndrome and not simply a milder form of OCD.

      • KCI등재후보

        유방암 환자에서 심리사회적 요인과 암 진단 후 건강행동 변화의 관계

        정두영,심은정,황준원,함봉진,Jung, Dooyoung,Shim, Eun-Jung,Hwang, Jun-Won,Hahm, Bong-Jin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12 정신신체의학 Vol.20 No.2

        Objectives : With the increase in cancer prevalence, the health behavior of cancer survivors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sychosocial correlates of behavior changes after cancer diagnosis. Methods : 95 patients completed questionnaires assessing depression, anxiety, insomnia,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social constraints, personal beliefs about cancer cause and health-related behavior changes after cancer diagnosis. Results : In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somnia was the only significant predictor of positive change in physical behavior : normal sleep group(Odds ratio=9.462, 95% CI 1.738-51.509) and subthreshold insomnia group(Odds ratio=10.529, 95% CI 1.701-65.161) showed a larger increase compared to the insomnia group. In psychosocial behavior, low age, religion and causal belief in hormonal factors were independent factors that predicted increase in positive change. Conclusions : This study showed a difference between predictors of physical and psychosocial health behavior change after breast cancer diagnosis. Multi-faceted approaches are required to promote positive change in health behavior in cancer patients. 목 적 : 암의 유병율 증가와 함께 암 생존자의 건강 행동에 대한 이해가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암 진단 후 신체 및 심리사회적 건강 행동의 변화와 관련된 여러 심리사회적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방 법 : 유방암 환자 95명을 대상으로 우울, 불안, 불면,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 사회적 제약, 자신의 암의 원인에 대한 생각 및 건강 행동에 대해 자가보고식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결 과 : 신체적 행동 변화에 대한 다중 회귀분석에서 불면만이 유의한 연관성을 보여 정상수면군(Odds ratio=9.462, 95% CI 1.738-51.509)과 역치하 불면증군(Odds ratio=10.529, 95% CI 1.701-65.161)에서 불면증을 겪는 군보다 더 높은 증가를 보였다. 심리사회적 건강 행동 변화에서는 낮은 연령, 종교를 가진 경우, 호르몬 요인과 암과 관련이 있다고 믿을수록 증가하였다. 결 론 : 유방암 환자의 건강 행동 변화에 기여하는 요인들은 건강 행동 영역별로 차이를 보인다. 긍정적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영역별로 다른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유방암 환자에서의 디스트레스의 유병률 및 디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전수연,심은정,황준원,함봉진,Chun, Soo-Yeon,Shim, Eun-Jung,Hwang, Jun-Won,Hahm, Bong-Jin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10 정신신체의학 Vol.18 No.2

        연구목적 디스트레스를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는 것이 효율적인 암 환자의 관리에 필수적이라는 인식이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방암 환자들의 디스트레스의 유병률을 조사하고, 그 디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방 법 서울의 한 대학병원 유방암 환우회 환자 95명을 대상으로 병원우울불안척도, 불면증심각도척도, 사건충격척도 개정판,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Breast(FACT-B)를 시행하였다. 결 과 디스트레스의 유병률은 우울 26.3%, 불안 26.3%, 불면 13.7%,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증상 24.3%였다. 한가지 이상의 디스트레스를 겪고 있는 환자는 전체의 47.4%였으며, 이들은 정상군에 비해 FACT-B 총점으로 측정한 삶의 질 평균점수가 유의하게 낮았다(82.91 vs. 107.20, p<0.001). 정상범위의 환자들에서도 디스트레스와 삶의 질은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결 론 유방암 환자의 디스트레스를 조기에 발견하기 위한 주기적인 선별검사와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Objectives : Early detection and proper management of distress are known to be important for efficient care in cancer patien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distress and to evaluate its influence on quality of life in subjects with breast cancer. Methods : A total of 95 patients were recruited from a breast cancer patient community of a general hospital in Seoul.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HADS), the Insomnia Severity Index(ISI), th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IES-R) and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Breast(FACT-B) were measured. Results : The prevalence of anxiety, depression, insomnia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 among breast cancer patients was 26.3%, 26.3%, 13.7%, 24.3%, respectively. Nearly half(47.4%) of total subjects were under one or more significant distress, and they showed significantly lower mean FACT-B total score than patients without distress(82.91 vs. 107.20, p<0.001). Distr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quality of life to a significant level even in patients who were in normal range of distress scale scores. Conclusion : These results support the importance of regular screening and proper management of distress for breast cancer patients.

      • KCI등재

        불안 장애와 주요우울장애에서 나타나는 신체 증상과 증상군에 따른 자살 사고, 계획, 행동과의 관계 고찰

        안준석,김은영,조맹제,홍진표,함봉진,정인원,안준호,전홍진,성수정,이동우,Ahn, Jun Seok,Kim, Eun young,Cho, Maeng Je,Hong, Jin Pyo,Hahm, Bong-Jin,Chung, In-Won,Ahn, Joon-Ho,Jeon, Hong Jin,Seong, Su Jeong,Lee, Dong-Woo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16 정신신체의학 Vol.24 No.2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불안장애와 주요우울장애 및 불안장애와 우울장애가 동반된 중복 진단군의 신체 증상의 빈도와 특성의 차이를 알아보고 여러 신체 증상군과 자살 사고, 자살 계획, 자살 시도와의 관련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방 법 본 연구는 국가적 역학조사연구인 2011년 정신질환 실태 역학 조사 연구(Korean Epidemiologic Catchment Area Study-2011, KECA-2011)에 참여한 만 18세 이상에서 74세 이하의 참여자 6027명 중 지난 1 년 동안 주요우울장애 또는 불안장애의 진단 기준을 만족 하면서, 같은 시기에 최소 1가지 이상의 신체증상을 호소한 37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후 조사된 신체 증상을 통증 증상군, 소화기 증상군, 가성신경학적 증상군의 세군으로 분류하여, 각 증상군에 따른 자살 사고, 자살 계획 및 자살 시도의 정도를 비교하였다. 면담 도구로는 한국어판 CIDI를 사용하였으며, 이 중 신체 증상에 대한 항목이 포함된 C장과 자살관련 항목이 포함된 S장의 일부 질문을 연구에 사용하였다. 결 과 진단별로 신체 증상의 차이를 비교하였을 때, 주요우울장애에서는 흉통(p=0.016, 95%CI)이, 불안장애에서는 두통(p=0.004, 95%CI)과 묽은 변이나 설사를 나타내는 증상(p=0.018, 95%CI)이, 주요우울장애와 불안 장애의 중복진단군에서는 균형을 잡기 힘든 것(p=0.006), 기절할 것 같은 느낌(p=0.020, 95%CI), 기억을 잃음(p=0.034, 95%CI)의 증상이 유의하게 많았다. 자살 계획의 경우 통증 증상군에서 자살 계획이 있었던 군의 증상의 평균 개수가 계획이 없는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26, 95%CI). 자살 시도의 경우 소화기 증상군(p=0.004, 95%CI) 및 가성신경학적 증상군(p=0.013, 95%CI) 에서 자살 시도가 있었던 군의 증상의 개수가 시도가 없었던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자살 사고, 자살 계획, 자살 시도로 갈수록 각 증상군의 신체 증상의 평균의 개수는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결 론 본 연구는 불안장애와 주요우울장애의 신체증상의 특성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증상의 개수가 자살 사고에서 자살 계획, 자살 시도로 진행되는 단계로 갈수록 증가하며 일부 증상군에서는 자살 계획과 자살 시도의 유무의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비 정신과적 임상 현장에서 다양하고 많은 숫자의 신체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의 경우 정신과적인 적극적인 평가 및 자살 위험도에 대한 적극적인 평가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difference of somatic symptoms of anxiety disorder and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domainal association with suicidal idealization, plan, and attempts. Methods : A total of 359 adults diagnosed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anxiety disorder of last one year participated. Participants interviewed with certain sections of Korean version of Composite International Diagnostic interview of CIDI. Sections of interests includes questionnaires regarding somatic symptoms and suicidal idea, plan and attempts of last one year. Results : Chest pain shows more prevalence in major depressive disorder. Symptoms of Headache and loose stool are more prevalent in anxiety disorder. Difficulty in equilibrium and fainting spells are more common somatic complaints of co-diagnosis states of anxiety disorder and major depressive disorder. Comparing 3 domains of pain symptoms, gastrointestinal symptoms and pseudo-neurological symptoms, pain symptom domains, gastrointestinal symptoms domain shows significant statistic difference between diagnosis. Average somatic symptom numbers of each symptom domains increase through suicidal idealization, plan and attempt, accordingly. Conclusions : Our finding shows some of somatic symptoms are more prevalent at certain diagnosis. Since increasing numbers of somatic complaints of each symptom domains goes with the suicidal idealization to suicidal attempts, proper psychiatric evaluation and consultations are crucial for patients with numerous somatic complaints in non-psychiatric clinical settings.

      • KCI등재

        한국판 질병 관련 사회적 지지 척도의 타당화 연구

        정동희(Dong Hee Jeong),함봉진(Bong-Jin Hahm),송영욱(Yeong Wook Song),심은정(Eun-Jung Shim) 대한스트레스학회 2020 스트레스硏究 Vol.28 No.4

        사회적 지지는 스트레스의 악영향을 완화하지만 부적절히 제공될 경우 오히려 스트레스원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판 질병 관련 사회적 지지 척도의 심리측정 속성을 류마티스 질환자를 대상으로 확인하였다. 구성개념 타당도 검증 결과, 원척도와 동일한 긍정적 및 문제적 지지의 2요인 구조를 확인하였고, 두 요인과 우울, 불안 및 삶의 질의 유의한 상관으로 구성개념 타당도가 지지되었다. 공인 타당도 검증 결과, DUKE-UNC 사회적 지지 설문지로 측정한 사회적 지지와 긍정적 지지의 유의한 정적 상관으로 공인 타당도가 지지되었다. 내적 합치도는 .96과 .72로 양호하였다. 이는 한국판 질병 관련 사회적 지지 척도가 사회적 지지의 두 차원을 측정하는 신뢰도구로 타당한 도구임을 시사한다. Background: Although social support for patients with chronic illnesses buffers the detrimental impacts of stress, if it is not provided appropriately, it can be a source of stress. This study examined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ntextual Illness Support Scale (K-CISS) for patients with rheumatoid disease.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containing measures on social support, depression, anxiety, and quality of life was conducted with patients with rheumatoid disease (N=323). Results: The construct validity was supported by the results of the explorator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firming the original two-factor model (positive and problematic support) and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se two factors and health-related variables (i.e., depression, anxiety, and quality of life). The concurrent validity was supported by th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ositive and social support that was measured by the Korean version of the DUKE-UNC functional social support questionnaire.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K-CISS was satisfactory, with Cronbach’s α values of .96 and .72 for the subscale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K-CISS is a reliable and valid measure of two aspects of social support.

      • KCI등재

        암 경험자의 직장복귀지원에 대한 요구도 및 관련 요인

        이성원,이광민,오규한,염찬우,정상협,함봉진,Lee, Sungwon,Lee, Kwang-Min,Oh, Gyu-Han,Yeom, Chan-Woo,Jung, Sanghyup,Hahm, Bong-Jin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20 정신신체의학 Vol.28 No.2

        연구목적 암 경험자의 직장복귀는 암 관리의 중요한 영역이 되었지만 암의 예방과 치료 영역에 비해 관련한 지원이 부족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암환자와 암환자 가족을 대상으로 암 경험자 직장복귀지원에 대한 요구도 및 관련 요인을 조사하였다. 방 법 2019년 세 차례 진행된 암 경험자를 위한 음악회에 참석한 암환자 182명을 대상으로, 디스트레스 온도계 및 문제목록과 0~10점 범위의 직장복귀지원 요구도 평가도구를 적용하여 직장복귀지원에 대한 요구도 및 관련 요인을 조사하였다. 또한, 음악회에 참석한 암환자 가족 114명을 대상으로 디스트레스 온도계 및 문제목록과 직장복귀지원 요구도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가족의 시각에서 암환자의 직장복귀지원에 대한 요구도 및 관련 요인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암환자 군 182명과 암환자 가족 군 114명에 대해 두 군간의 직장복귀지원에 대한 요구도를 비교하였고, 각 집단의 요구도 관련 요인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조사하였다. 결 과 암 경험자를 위한 직장복귀지원이 "매우 필요"하다고 보고한 비율이 암환자 군과 가족 군에서 각각 34.6%, 28.1%이었다. 암 경험자 직장복귀지원에 대한 요구도는 암환자 군에서 6.60±3.365점, 암환자 가족 군에서 6.17±3.454점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0.282). 암환자가 스스로 평가한 직장복귀지원에 대한 요구도는 수술 치료 경험이 있는 경우(OR=2.592, p=0.007), 가임능력 문제를 경험하는 경우(OR=6.137, p=0.025), 외모 문제를 경험하는 경우(OR=2.081, p=0.041), 피로를 경험하는 경우(OR=2.330, p=0.020)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암환자 가족이 평가한 암환자의 직장복귀지원에 대한 요구도는 암환자가 유방암 경험자인 경우(호흡기 암종 대비 OR=13.038, p=0.022 ; 혈액암 대비 OR=4.517, p=0.025 ; 기타 암종 대비 OR=13.102, p=0.019), 직장/학교 문제를 호소하는 경우(OR= 4.578, p= 0.005), 우울을 호소하는 경우(OR= 3.213, p=0.022)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암 경험자 직장복귀지원에 대한 요구도가 암환자 군과 암환자 가족 군 모두에서 높고, 요구도와 관련된 요인은 두 군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암 경험자를 위한 직장복귀지원 대책이 필요하며, 대책 수립에는 암환자의 임상적 특성, 디스트레스, 암환자와 가족간의 차이를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eeds for return-to-work support of cancer survivors and related factors in patients with cancer and their caregivers. Methods : 182 patients and 114 caregivers were recruited. Distress Thermometer and Problem List and scale ranging 0~10 measuring the degree of needs for return-to-work support were utilized. The needs for return-to-work support between the patient group and caregiver group (patient's needs evaluated by the caregiver) were compared, and related factors were investigated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34.6% and 28.1% of patients and caregivers reported return-to-work support of cancer survivors is "very necessary". The degree of needs was 6.60±3.365 points in the patient group and 6.17±3.454 points in the caregiver group,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p=0.282). The needs for return-to-work support evaluated by patients was high when they underwent surgery (OR=2.592, p=0.007), has fertility problems (OR=6.137, p=0.025), has appearance problems (OR=2.081, p=0.041), or has fatigue (OR=2.330, p=0.020). The needs for return-to-work support of patients evaluated by caregivers was high when patients treated with breast cancer (vs respiratory cancer, OR=13.038, p=0.022 ; vs leukemia/lymphoma, OR=4.517, p=0.025 ; vs other cancer, OR=13.102, p=0.019), has work/school problems (OR=4.578, p=0.005), or has depression (OR=3.213, p=0.022). Conclusions : The degree of needs for return-to-work support of cancer survivors was high, and factors related to the needs were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is suggests that return-to-work support of cancer survivors is required,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the distress of patients, and differences between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should be considered in establishing a support plan.

      • 군인들의 자살 행동 유병률과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유지혜(Ji-Hye Yu),윤선경(Sun-Kyung Yun),김석주(Seog-Ju Kim),함봉진(Bong-Jin Hahm),조인희(In-Hee Cho),김종훈(Jong-Hoon Kim),이유진(Yu-Jin Lee),배승민(Seung-Min Bae),조성진(Seong-Jin Cho)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9 사회정신의학 Vol.14 No.1

        연구목적: 군인들의 자살관련 행동(자살사고, 자살계획 및 자살시도)의 유병률과 관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 법: 인천지역의 군부대 중에서 선정된 4곳의 군인 507명을 대상으로 한국어판 Mini 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 (K-MINI), Beck Depression Inventory(BDI)를 사용하여 설문지 조사를 시행하였다. 507명중 463명이 설문지를 완료하였다. 결 과: 전체 대상자의 평생자살사고, 자살계획 및 자살시도 유병률은 각각 23.3%, 5.4%와 3.7%이었다. 6개월 자살사고, 자살계획및 자살시도 유병률은 5.0%, 0.9%와 0.2%이었다. 자살관련행동을 보인 군인들이 자살관련행동이 없던 군인들에 비해서 평생 주요우울장애와 평생 경도 우울장애의 유병률과 BDI 점수가 높았다. 그리고 군 입대 전 경제수준과 교육연수가 낮으며, 건강상태가 나쁘며, 신체질환을 가지고 있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자살관련행동의 관련요인으로는 평생 주요우울장애(OR=7.40, 95% CI=2.96-18.5), 입대 전 낮은 경제수준(OR=2.11, 95% CI=1.26-6.18)과 낮은 현재 건강상태(OR=2.36, 95% CI=1.35-4.15)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 론: 자살관련행동의 경험한 군인들이 많았고, 이들 행동들의 관련요인들이 정신건강 및 신체건강상태와 관련이 있음을 고려할 때, 정신 및 신체건강상의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고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Objectives: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evalence, and the correlates of suicide-related behaviors (suicidal idea, plan, and attempt) of army personnel in Incheon. Methods:Sample of 463 completed the self-administered form of Korean version of the Mini 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 (K-MINI)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 Results:Lifetime prevalence of suicidal idea, plan and attempt among 463 respondents was estimated as 23.3%, 5.4%, and 3.7%, respectively. Army personnels with any suicide-related behaviors had higher lifetime prevalence of major and minor depression, higher mean BDI scores, lower economic status before recruitment, lower education year, physical illness and poor current health status than those without.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correlates of suicide-related behaviors were major depression (OR=7.40, 95% CI=2.96-18.5), lower economic status before recruitment (OR=2.11, 95% CI=1.26-6.18), and poor current health status (OR=2.36, 95% CI=1.35-4.15). Conclusion: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stablishment of mental health system in the army is crucial to detect mental health problem early and to prevent suicide of army personnel.

      • KCI등재

        화상 중환자에서의 섬망과 사망

        서국희(Guk-Hee Suh),신형직(Hyong Jik Shin),함봉진(Bong Jin Hahm),조성진(Seong-Jin Cho),이동우(Dong-Woo Lee),최인근(Ihn-Geun Choi),손현균(Hyeon Gyun Son),연병길(Byeong Kil Yeon) 대한노인정신의학회 1999 노인정신의학 Vol.3 No.2

        Objective :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and identify the predisposing risk factors of delirium and to determine the effect of delirium on the prognosis, especially death in burn patients. Method : The study was completed by thorough examination of medical records, with additional confirmation, of the 245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the Burn ICU in Burn treatment center of Hangang Sacred Heart Hospital during last one year (Jan. 1. 1998-Dec. 31. 1998). Delirium was retrospectively diagnosed according to DSM-IV. Only when disturbance of consciousness and attention, cognitive dysfunction –especially disorientation–, or perceptual disturbance were observed, diagnosis of delirium were given. Final outcome such as death was discriminated through examination of medical records or question to those who knew the patient. Result : One year prevalence of delirium in burn patients is 34.4%.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sposing risk factors of delirium were five;Age 65 and over (OR=45.51, 95% CI : 6.07-341.11), burn size over 60% of total body surface (OR=6.48, 95% CI : 3.16-13.28), current psychiatric disorder (OR=6.81, 95% CI : 1.42-32.57), current medical disease (OR=3.00, 95% CI : 1.40-6.45), alcohol abuse (OR=3.17, 95% CI : 1.07-9.43) Statistically significant deathrelated risk factors were three;burn size over 60% of total body surface (OR=4.58, 95% CI : 2.00-10.46), delirium (OR=2.94, 95% CI : 1.25-6.94), current psychiatric disorder (OR=4.09,95% CI : 1.05-15.87). Aging is not the death-related factor in this study. Conclusion : Three factors, such as delirium, organic brain damage, and burn size over 60% of total body surface may predict higher risk of death in burn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