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실업계 고등학교의 조직 효과성과 관련 변인 간의 인과적 모형

        한홍진,나승일 한국농업교육학회 2006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8 No.4

        이 연구는 실업계 고등학교의 조직 효과성과 교사 임파워먼트, 교장 변혁적 리더십, 직무특성, 조직 문화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조직 효과성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관련 변인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가설적 모형을 구성하였다. 연구의 모집단은 전국의 656개 실업계 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35.076명의 교사였다. 25개 실업계 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76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배포된 질문지 가운데 626매가 회수되었다(회수율: 82.4%). 수집된 자료는 Lisrel 8.50을 사용하여 공변량 구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모수 추정방법으로는 최대우도법이 사용되었다. 적합도 지수로는 x^(2), RMSEA, GFI, CFI, IFI, NNFI가 사용되었으며, 경로계수의 통계적 유의수준은 5% 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x^(2)는 446.84 (df=125, p<.001)로 모형이 부적절한 것으로 판정하였으나, RMSEA는 .075로서 수용가능한 수준이었다. 또한 GFI는 .90, CFI와 IFI는 .91로서 세 수치 모두 적합 수준인 .90이상이었다. 그리고 NNFI가 .88로서 권장 수용수준인 .90이상에는 다소 미치지 못하지만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문화는 조직 효과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장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특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 임파워먼트는 조직 효과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장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특성은 교사 임파워먼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조직문화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독립변인(교장 변혁적 리더십, 직무특성, 조직문화)과 매개변인(교사 임파워먼트)은 조직 효과정의 전체 변량 중 80%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 효과성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변인은 조직문화, 교사 임파워먼트, 직무특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교사 임파워먼트는 직무특성과 교장 변혁적 리더십의 조직 효과성에 대한 효과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causal structural model among principal leadership, job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culture and teacher empowerment associated with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vocational high schools. The data were gathered from 760 teachers in vocational high school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① The result of this analysis revealed a generally fit to the data: x^(2)=446.84(p<.05); x^(2)/df=125; RMSEA=.075; GFI=.90; CFI=.91. IFI=.91; NNFI.88. ② Organizational culture had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β=.71, p<.01). But principal leadership and job characteristic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vocational high schools. ③ Teacher empowerment in vocational high schools had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β=.27, p<.01). ④ Principal leadership in vocational high schools(β=.15, p<.01) and job characteristics(β=.78, p<.01) had positive effects on teacher empowerment. But organizational cultur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eacher empowerment. ⑤ A series of path analyses revealed that organizational culture(β=.71, p<.01), teacher empowerment(β=.27, p<.01) and job characteristics(β=.21, p<.01) had significant effect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vocational high schools. Moreover, indirect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ere mediated by teacher empowerment(β=.21, p<.01). It showed that teacher empowerment mediated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KCI등재

        상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학습몰입 영향 요인에 관한 구조분석 : 안산 지역을 중심으로

        한홍진 한국상업교육학회 2008 상업교육연구 Vol.19 No.-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습능력 부족과 부적응, 그리고 학습의욕 저하 현상을 해결하 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학습상황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긴요하다. 전문계 고등 학교가 미래의 교육기관으로 존속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최우선 과제인 교육성과의 가시 화를 위해 학습몰입의 개념 정립과 그 영향 요인 구명이 긴요한 상황이다. 이 연구에서 는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상고 학생의 학습몰입 인과모형을 구안하고, 구조분석을 통하 여 학습몰입과 그 영향 요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LISREL을 이용한 공변량 구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 , RMSEA, GFI, CFI, IFI, NFI, NNFI를 이용한 가설적 인과모형 검증 결과, 전반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영향 요인 가운데 학습진행방법(β=.16, p<.05)과 학습내용(β=.80, p<.01)이 학습몰입에 유 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개념은 학습몰입에 유의한 정적인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18, p<.01). 또한 학습내용은 학생의 자아개념에 유의 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27, p<.0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causal structural model among instructional technique, learning contents and self-concept associated with learning flow of business high school students. The specific objectives were 1) to analyze the effects of instructional technique and learning contents on learning flow, 2) to analyze the effects of self-concept on learning flow, 3) to analyze the effects of instructional technique and learning contents on learning flow on self-concept, 4)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cept between instructional technique, learning contents and learning flow. A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questionnaire was conceived to obtain the measures of four latent variables: learning flow, self-concept, instructional technique and learning cont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369 students of 3 business high schools in Ansan city. 326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response rate: 88.4%), of which 313 responses were used after screening. The SPSS program for window and LISREL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for this study. The statistical method used in this study was the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estimating parameters by maximum likelihood method. Path coefficients were tested for t-tests with a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of .05.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result of this analysis revealed a generally fit to the data:   =137.70(p<.05);  /df=38; RMSEA=.089; GFI=.93; CFI=.92; IFI=.92; NFI=.89; NNFI=.89. 2. Instructional technique had positive effects on learning flow((β=.16, p<.05). 3. Learning contents had positive effects on learning flow(β=.80, p<.01). 4. Self-concept had positive effects on learning flow(β=.18, p<.01). 5. Learning contents had positive effects on Self-concept(β=.27, p<.05).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조직몰입과 관련 변인간의 인과적 모형: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홍진 한국상업교육학회 2011 상업교육연구 Vol.25 No.3

        특성화고등학교가 교육환경 변화의 흐름에 뒤쳐지지 않고 교육 수요자들의 요구에 신속히 대응함으로써 교육의 질을 높여나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물리적 환경 개선이나 교육과정의 진화도 중요하지만 교사들의 학교조직에의 몰입도를 높여나가는 노력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러한 노력을 뒷받침하려면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조직몰입이 무엇인가에 대한 정확한 개념 규정은 물론 관련 변인들을 찾아내는 일이 긴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조직몰입과 그 관련 변인들 간의 인과모형을 구안하고, 구조분석을 통하여 변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LISREL을 이용한 공변량 구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χ, RMSEA, GFI, CFI, IFI, NFI, NNFI를 이용한 가설적 인과모형 검증 결과, 전반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모형의 간명화를 위해 2개의 경로를 삭제한 수정모형도 전반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관련 변인 가운데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구조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뢰(β=.87, p<.01)는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β=.27, p<.05)과 조직구조(β=.68, p<.01)는 신뢰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β=.24, p<.05)과 조직구조(β=.59, p<.01)는 신뢰를 매개변인으로 하여 조직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간접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aimed at establishing the causal structural model among principal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trust associated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specialized high school teachers. The specific objectives were 1) to analyze the effects of principal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structur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2) to analyze the effects of trus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3) to analyze the effects of principal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structur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4)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trust between principal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297 questionnaires out of 370 ones were collected (response rate: 80.3%), of which 273 responses were used after screening. For analyzing the data, SPSS program for window and LISREL program were used. The statistical method used was the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estimating parameters. by maximum likelihood method. Path coefficients were tested for t-tests with a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of .05.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below: 1. The result of this analysis revealed a generally fit to the data: =130.93(p<.05); RMSEA=.09; GFI=.90; CFI=.95; IFI=.95; NFI=.92; NNFI=.93. 2. Principal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structur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3. Trust had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β=.87, p<.01). 4. Principal transformational leadership(β=.27, p<.05) and organizational structure(β=.68, p<.01) had positive effects on trust. 5. Indirect effects of principal transformational leadership(β=.24, p<.05) and organizational structure(β=.59, p<.01)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mediated by trust.

      • KCI등재
      • KCI등재

        『상업교육연구』의 내용 및 방법론에 대한 분석

        한홍진 한국상업교육학회 2007 상업교육연구 Vol.15 No.-

        상업교육 연구의 핵심적인 학술전문지인 『상업교육연구』의 내용과 방법론을 분석하는 것은 상업교육 연구를 평가해보고 발전 방안을 수립하기 위해서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상업교육연구』의 내용과 그 방법론을 분석하기 위하여 2000년~2006년 사이에 『상업교육연구』에 발표된 213편의 논문에 대해 내용분석을 하였다. 분석은 발간 연도, 연구 유형, 연구자의 특성, 연구 영역, 연구 대상 기관, 연구 주제, 사용언어, 표본의 크기, 자료수집 방법, 회수율, 통계분석 방법에 초점을 두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전체 연구의 53.0%가 조사연구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43.7%가 문헌연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업 관련 학문에 대한 연구가 전체 연구의 51.7%이며, 학교 교육 관련 연구가 48.3%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기관에서는 전체 연구의 47.9%가 기업체 대상 연구이고, 36.6%가 직업교육기관인 실업고와 전문대를 대상으로 한 연구로 나타났다. 연구 주제에서는 회계․세무, 직업교육발전방안, 마케팅, 금융․보험․증권 등이 주류를 차지하고 있다. 사용 언어는 97.2%가 국어를 사용하였고 6편만이 외국어를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연구의 경우 설문지가 주로 이용되는 자료수집 방법이었으며, 주로 이용되는 통 계분석 방법으로는 기술통계, t-검증, F-검증, 회귀분석 등으로 나타났고, 고급통계기법인 공변량구조분석도 11편에서 이용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tents and methodologies of papers in the Journal of Business Education which The Korean Research Association for the Business Education had published since 2000. A total of 213 articles were analyzed by using the coding system. The coding system for analysis included the following aspects of business education research: publication year, types of research, author characteristics, fields of research, focused-institutes, research topics, population and subjects, mode of data collection, language used, statistical techniques used. This study also reviewed the methodologies of papers within each type of research.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Among 213 research articles, 53%(113 articles) were classified as the survey research and 43.7%(93 articles) of them were literature review. 2) Of all the 213 articles, 51.7%(110 articles) were the researches on the subject-matters(business administration, economics, accounting, international trade, electronics) and 48.3%(103 articles) were those on education. 3) In the focused-institutes for research, 47.9%(103 articles) were companies and 36.6%(78 articles) were vocational high schools and community colleges. 4) In research topics, Accounting․Taxation, Scheme to promote vocational education, Marketing, Financing․Insurance․Securities were main ones. 5) Among 213 articles, 97.2%(207 articles) used Korean for research and only 2.8%(6 articles) were written by foreign languages. 6) In the survey research, the most common mode of data collection was the questionnaire. 7)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ologies mainly used wer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F-test, regression analysis, and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was used in 11 articl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상업계 고등학교의 조직 효과성 영향 요인 구조분석

        한홍진 한국상업교육학회 2006 商業敎育硏究 Vol.13 No.-

        상업계 고등학교의 교육 여건이 점차 어려워지고 있는 상황에서 학교 조직 효과성의 개념 구명 및 영향 요인 탐색 노력이 긴요한 상황이다. 이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학교 조직 효과성 인과모형을 구안하고, 구조분석을 통하여 조직 효과성과 그 영향 요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LISREL을 이용한 공변량 구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χ2, RMSEA, GFI, CFI, IFI, NFI, NNFI를 이용한 가설적 인과모형 검증 결과, 전반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영향 요인 가운데 조직문화는 조직 효과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β=.77, p<.01), 교사의 임파워먼트는 조직 효과성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33, p<.01). 또한 조직문화는 교사의 임파워먼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β=.49, p<.01), 조직문화는 교사의 임파워먼트를 매개변인으로 하여 조직 효과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간접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β=.16, p<.0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causal structural model amo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teacher empowerment associated with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business high schools. The specific objectives were 1) to analyze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2) to analyze the effects of teacher empowermen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3) to analyze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teacher empowerment, 4)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er empowerment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261 questionnaires out of 372 ones were collected (response rate: 70.2%), of which 229 responses were used after screening. The SPSS program for window and LISREL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for this study. The statistical method used in this study was the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estimating parameters by maximum likelihood method. Path coefficients were tested for t-tests with a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of .05.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result of this analysis revealed a generally fit to the data: χ2=89.85(p<.05); χ2/df=41; RMSEA=.072; GFI=.93; CFI=.95; IFI=.95; NFI=.91; NNFI=.93. 2. Organizational culture had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β=.77, p<.01). 3. Teacher empowerment in had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β=.33, p<.01). 4. Organizational culture had positive effects on teacher empowerment(β=.49, p<.01). 5. The indirect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ere mediated by teacher empowerment(β=.16, p<.01). It showed that teacher empowerment mediated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