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모바일 테크놀로지 활용 교육을 위한 초등교사 역량 모델 개발 및 요구도 분석

        한형종,김근재,권혜성,임철일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19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mpetence model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ility to optimize education using mobile technology effectively. Also, it was to identify which competencies should be considered first through the needs analysis. Using mobile technology in education can promote meaningful learning by facilitating learners’ activities and providing easy access to information. To utilize it more effectively,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should have comprehensive competencies. Despite the significance of teachers’ competencies,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comprehensively investigate and synthesize them. Using literature review, behavioral event interview, and Delphi method, the competence model was developed. For analysis on nee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45 in-service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who have used mobile technology in class. The Borich’s needs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nalysis were utilized to confirm which competencies have the common priorities. As a results, there were the six main competencies as follows: ‘Using mobile applications and technologies’, ‘Teaching and learning based mobile technology’, ‘Promoting learning activity’, ‘Evaluation of mobile learning’, ‘Management of classroom and activity’, and ‘Management of mobile Information and Resource’. Also, twenty detailed competencies were developed. Through needs analysis for them, it was identified that checking and preparing the technical environment for using mobile tools, explor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using mobile tools, preventing the distraction through learners’ control, sharing and exchange of use cases, guiding ethics and information literacy should be considered preferentially in competencies. 본 연구는 모바일 테크놀로지의 효과적인 활용을 통해 최적화된 교육을 가능하게 하는 초등교사의 역량이 무엇인지를 종합하는 역량 모델을 개발하는 목적을 지닌다. 또한, 도출된 역량 중 우선적으로 무엇을 고려해야 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모바일 학습은 학습자의 활동 촉진, 정보 탐색의 용이성 제공 등을 통해 유의미한 학습을 도모할 수 있다. 보다 효과적인 모바일 테크놀로지 활용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초등교사들은 모바일 테크놀로지의 교육적 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역량을 지녀야 한다. 하지만 이상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초등교사들이 지녀야 하는 역량이 무엇인지에 대한 종합적 접근은 미흡하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 검토, 행동사건 면담, 두 차례의 델파이 분석을 통해 역량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를 모바일 테크놀로지를 수업에 활용해 본 경험이 있는 총 45명의 현직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후 Borich의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 분석을 실시하여 공통적으로 우선순위를 지니는 세부 역량이 무엇인지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및 기술 활용’, ‘모바일 테크놀로지 활용 교수학습’, ‘학습활동 촉진’, ‘모바일 학습 평가’, ‘수업 및 활동 관리’, ‘모바일 정보 및 자원 관리’ 총 여섯 가지의 주 역량에 포함되는 20개의 세부 역량을 개발하였다. 요구도 분석 결과 모바일 도구 활용을 위한 기술적 환경 점검 및 준비, 모바일 도구 활용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탐색, 학습자 통제를 통한 주의 분산 방지, 활용 사례 공유 및 교류, 윤리 및 정보 소양 안내의 세부 역량에 대한 접근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인공지능 기술 기반 교육용 도구에 대한 학습자 인식에 관한 연구

        한형종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3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4 No.10

        Although various educational tool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are being developed, empirical exploration ofhow learners as actual users of these tools differentiate between them based on certain criteria is lacking. Additionally, comparedto traditional tools, there is a lack of research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AI tools. This study usedmultidimensional scaling and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to examine learners’ perceptions. The results indicate that learnersbroadly categorized AI-based educational tools along dimensions of general-special and reactive-generative. Learners perceivedsuch tools as possessing characteristics such as individualized customization, learner and activity-centeredness, practicality, andarousing interest, while also finding them novel and potentially unethical.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s standards forclassifying various types of AI-based tools on the perspective of practical use and empirically confirms the characteristics of thesetools.

      • KCI등재

        면대면과 실시간 온라인 환경이 통합된 하이브리드 수업의 효과적 운영을 위한 요소 탐색: 초등교사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형종,Han, Hyeong Jong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ich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mainly in operating hybrid learning in which offline and synchronous online environments are integrated in elementary education. Using qualitative data through interview and so on for 8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experience in operating hybrid learning, major consideration factors were identified. Before clas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level of understanding through concrete guidance or education for what the characteristics of hybrid learning are. The redesign of the environment including hardware and software technology is considered because the foundation was not established properly so that effective operation was difficult. In particular, based on the simultaneity and interactivity between the environments, activities which learners can connect and participate in the two environments should be considered. Further, design strategies to guide the oper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will be developed.

      • 대학 역전학습 온,오프라인 연계 설계전략에 관한 연구

        한형종,임철일,한송이,박진우 한국교육공학회 2015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5 No.1

        본 연구는 대학교육에서 역전학습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고 최적의 상태로 구현되기 위한 온라인 학습과 오프라인 활동의 유기적인 연계를 가능하게 하는 전략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학 맥락에서 역전학습과 관련하여 온·오프 라인의 연계성에 대한 강조에도 불구하고 문제점 중 하나로 온·오프라인의 연계성이 낮다는 점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기 단계에서의 사용성 평가 및 이후 두 차례에 걸쳐 총 일곱 명의 전문가 타당화를 통해 확인된 연계 전략을 수정 및 보완한 후 최종적으로 도출된 전략에 대한 학습자 반응을 분석하는 형성 연구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개발된 설계전략을 2014년 2학기 서울 소재 S 대학교 ``교육공학`` 강좌에 적용 하였으며 본 강좌를 수강한 학습자 여덟 명 중 다섯 명의 학습자 반응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역전학습의 연계를 위한 강의계획서 개발``, ``사례를 통한 수업 설계``, ``오류를 포함한 학습자료 개발 및 오류 찾기 활동``, ``학습자 질문을 통한 연계``, ``시각화 활 동을 통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 학습 연계``, ``성찰일지를 통한 학습 종합``, ``온라인 학습 여부 및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활동 설계``, ``다음 차시의 연계성 안내``, ``학습자 의견 기반의 보충 및 심화학습 자료 제공`` 총 아홉 개의 일반 설계 전략과 스물 한 개의 상세설계 지 침이 도출되었다. 본 전략에 대한 학습자 반응을 분석한 결과, 주요 강점으로는 ``수업 운 영 및 연계를 위한 안내의 제공``, ``피드백 및 학습자 의견 반영을 통한 연계성 인식``, ``학습 내용의 습득 및 적용의 유용성``, ``활동을 통한 학습 내용 회상`` 등이며, 약점을 고려한 주요 개선점으로는 ``안내 전략 이외에 학습 활동과 관련된 전략의 경우 한 차시에 개별 전략 적용을 통한 학습 부담감 감소``, ``학습 자료의 시각화 및 구조화`` 등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는 설계 전략을 개발함에 있어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정교화 및 최적화를 추구하였으며, 대학 맥락에서 효과적인 역전학습을 설계 및 운영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업 설계 전략을 안내하였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의미를 지닌다.

      • KCI등재

        초등교사의 가상현실 활용 교육을 위한 역량 모델 개발과 요구도 분석

        한형종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문화연구 Vol.28 No.2

        본 연구는 가상현실 활용 교육의 효과적 운영을 위해 초등교사가 지녀야 하는 역량을 종합적으로 구성한 역량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또한, 역량 모델에 대해 초등교사가 인식한 중요도와 수행도의 차이 분석과 요구도 분석을통해 현재의 수준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문헌 고찰을 통해 세부 역량과 행동 지표를 포함하는잠정적 역량 모델을 도출한 이후 전문가 대상의 두 차례 델파이 조사를 통해 정교화가 이루어졌다. 이에 대해 대응표본t검증을 통한 중요도와 수행도의 인식 차이, Borich 요구도 및 The Locus for Focus 분석을 통한 요구도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 교육에서 가상현실 활용 교육을 위해 교사가 지녀야 하는 역량 모델은 ‘가상현실의 개념적 내용및 하드웨어 도구 이해’, ‘가상현실 활용 교육 기반 마련’, ‘가상현실 활용 수업 설계 및 실행’, ‘가상현실 활용 교육활동 지원 및 관리’, ‘가상현실 활용 교육 경험의 종합 및 성찰’ 총 다섯 가지의 주 역량 군에 포함되는 스물 네개의세부 역량으로 구성된다. 이에 대해 초등교사가 인식한 중요도와 수행도의 차이에 있어서는 모든 역량에 있어서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요구도 분석 결과, 가상현실 하드웨어 도구를 활용하는 환경에 대한 점검, 안전한공간 및 시설 마련, 학습자의 제약적인 상태 확인, 가상현실을 활용한 활동 설계, 사례를 공유하는 태도를 우선적으로고려한 접근이 필요함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 KCI등재

        ChatGPT의 교육적 활용 고려 요소 탐색을 위한 질적 연구

        한형종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3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9 No.4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한 도구 중 하나로 ChatGPT에 대한 활용 가능성이 모색되고 있다. 하지만 이를 교육적으로 활용할 때, 어떠한 요소를 고려해야 하는지를 학습자의 실제적인 인식을 기반으로 확인한 연구는 미흡하다. 본 연구는 교육 현장에서 ChatGPT를 활용할 때, 고려해야 하는 요소가 무엇인지를 질적 연구를 통해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에 있어서 ChatGPT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생성된 정보에 대한 비판적 사고, 학습을 지원하는 한 가지 도구로서 인식하여 의존적인 활용 지양, 올바른 윤리적 활용에 대한 사전 교육 실시, 명확하고 적절한 질문 생성, 답변에 대한 재검토와 종합화 총 다섯 가지의 핵심 고려 요소를 확인하였다. 향후 이상의 요소를 종합적으로 구성한 교수설계 모형 개발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