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장폐지 이의신청상 외부감사인의 재감사 의무에 관한 검토 - 부수의무로서 외부감사인의 재감사 의무 인정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

        한태일,서의경 한국상사법학회 2017 商事法硏究 Vol.36 No.3

        The Korea Exchange regulates the reasons for the cancellation of the listing to maintain the soundness of the KOSDAQ market and to create an investment environment for the market. In the target decision, the applicant company has been notified of the delisting from the Korean Exchange as respondent’s external auditor expressed limited opinions. Thus, the applicant company claims that the audit opinion is wrong and it demanded the respondent’s external auditor to re-audit for delisting filed as a right to claim for full performance under the external audit contract. As such, the court rejected the application by giving the fact that there has not been a sufficient call for special circumstances of the existence of defects in the audit opinion. However, this decision is thought to be reasonable in that even if a re-audit obligation is recognized as a full performance claim, where a specific audit opinion been forced to the external auditor, thus misleading the purpose of the audit. However, at least for limited comments in the reality that civil and criminal sanctions are frequent due to recent audit failures and that external auditors are conducting audits from a conservative point of view, the need for re-auditing can be realistically recognized considering its significance and characteristics. In this case, in a point that the re-auditor helps complete the payment by re-checking the auditing errors which may occur and deriving a more accurate audit opinion even though an expression of an audit opinion has been already given, it will mean a cooperating subsidiary obligation regarding the request for re-audit of the audited company. However, given the materiality and consequences of delisting, this obligation to cooperate is, of course, acceptable under the faithfulness of good. Furthermore, if the obligation to re-audit is constituted as an obligatory obligation, there is also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guarantee the purpose of the audit in that the external auditor may repeat the same audit opinion, Therefore, if it has not been easy to demonstrate clearly the deficiency of the audit opinion in the subject matter of decision, it is considered hat the applicant company should have requested the implementation of re-audit as an obligation of co-operation of subsidiaries, not as a full implementation of imperfect fulfillment. 한국거래소는 코스닥시장의 건전성 유지, 시장에 대한 투자환경 조성 등을 위하여 상장폐지 사유들을 정하고 있다. 대상결정에서 신청인 회사도 피신청인 외부감사인으로부터 한정의견을 표명 받아 한국거래소로부터 상장폐지 통지를 받았던바, 신청인 회사는 감사의견이 잘못 되었다고 주장하며 피신청인 외부감사인에 대하여 상장폐지 이의신청을 위한 재감사를 외부감사계약에 기한 완전이행청구권으로서 요구하였던 것이다. 이에 대하여 법원은 감사의견의 하자가 존재한다는 특별한 사정에 대하여 충분한 소명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을 들어 신청을 기각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결정은 완전이행청구로서 재감사 의무가 인정되더라도 이는 피신청인 외부감사인에게 사실상 특정 감사의견을 강요하게 되어 회계감사의 취지를 몰각시킬 위험성이 있다는 점에서 일응 타당한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최근 감사과실로 인하여 외부감사인에게 민·형사상의 제재가 빈번히 이루어지며 이로 인하여 점차 외부감사인이 보수적 관점에서 감사를 수행하고 있는 현실 하에서, 적어도 한정의견의 경우에는 그 의의 및 특성 등을 고려할 때 재감사의 필요성이 현실적으로 인정될 수 있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 경우의 재감사는 이미 감사의견 표명이라는 급부를 이행하였음에도 혹시 있을지 모르는 감사상 오류를 재차 확인하여 보다 정확한 감사의견을 도출함으로써 급부의 완전한 이행을 돕는다는 점에서, 피감사회사의 재감사 요청에 대하여 협력하는 부수의무 이행으로서 의미를 지닐 것이다. 상장폐지가 지니는 중대성 및 결과를 고려할 때 이 같은 협력의무는 신의칙상 당연히 인정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재감사 의무를 부수의무로 구성할 경우 외부감사인은 재차 동일한 감사의견을 표명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회계감사의 취지 등도 보장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그러므로 대상결정 사안에서 감사의견의 하자에 대한 명백한 입증이 쉽지 않았다면, 신청인 회사로서는 불완전이행에 대한 완전이행으로서가 아니라, 부수의무 중 협력의무로서 재감사의 이행을 요청하는 것이 더 바람직했을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慶甫와 그의 曹洞禪思想

        한태일 한국고대사학회 2006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42

        A Study on the Life of Gyeongbo(慶甫) and his Zen Thought of Jodong School(曹洞禪)

      • KCI등재

        민법 제760조의 해석과 병존적 공동불법행위에 관한 검토 - 대법원 2015. 6. 24. 선고 2014다231224 판결 -

        한태일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경희법학 Vol.32 No.-

        Regarding an issue of the subject decision, according specifically to the decision made in the appeal trial, the account holder, despite being a victim of a deposit withdrawal fraud, reached a particular state of having to bear responsibilities as a joint tortfeasor for the action of illegal deposit withdrawal from a financial institute conducted by the criminals, and for the criminals’ insolvency risk due to the reason that the account holder did a careless job in managing his own financial information. Intention of the precedents and the major theory is to protect the victim by allowing a convenient establishment of a joint tort through understanding the definition of the term ‘joint’ specified in the Clause 1 of Civil Code Article 760 as the collectivity relating to objectivity. However, such understanding cannot be applied as is to the complicated modern society. Namely, the Clause 1 of Civil Code Article 760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joint responsibility, and it does not acknowledge exemption from responsibility. Therefore, when such regulation is acknowledged too easily,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oo excessive responsibility will be imposed to the offender rather than protecting the victim with actual benefits. Therefore, the definition of ‘joint’ specified in the Clause 1 of Civil Coder Article 760 should be understood as the collectivity relating to subjectivity in order to reduce the application range of such regulation, meanwhile acknowledging the cumulative joint tort permitting partition responsibility instead of joint responsibility depending on the case of a harmful act conducted by a convict which caused single loss without collectivity of intention as one type of joint tort. By doing so, comparative negligence becomes individually evaluable, and this reduces the irrationality of the insolvency risk of an offender responsible for intentional or gross negligence being imposed to an offender responsible for minor negligence. Moreover, as a result of examining individual precedents, in no cases the actions are specified as the cumulative joint tort, but such concept already seems to have been applied in some cases. On the other hand, in the supreme of the subject decision, the account holder was relieved by denying the proximate causal relation between the account holder and the loss due to deposit fraud. However, viewing the case from an aspect that the account holder on his own partially exposed his own information to the criminals, the denial of the proximate causal relation in the supreme seems to be a desperate measure made to protect the account holder. Therefore, rather than the ‘all or nothing’-based solution used in the appeal, it would be more appropriate to acknowledge the cumulative joint tort to apply joint responsibility to the account holder for a partial loss within the range of responsibility overlapping with that of the criminals, and to evaluate negligence of the financial institute separately from that of the criminals to relatively decrease the rate of responsibility. As a result, in the subject decision, it seems appropriate that the account holder should be held responsible for the loss occurred within the range of 10%~20%. 대상판결의 사안에서, 특히 원심판단에 의하면 예금주는 사회통념상 예금사기인출 사건의 피해자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금융정보를 소홀히 관리하였다는 이유로 사기범들이 금융기관으로부터 불법으로 예금을 인출한 행위에 대하여 공동불법행위자로서 책임을 부담하고, 사기범들의 무자력위험까지도 부담하여야 할 상황에 처하였었다. 이는 판례 및 다수설이 공동불법행위에 관한 민법 제760조 제1항의 공동의 의미에 관하여 객관적 관련공동성으로 이해함으로써 공동불법행위의 성립을 용이하게 하여 피해자 보호를 의도하고 있지만, 이를 복잡한 현대사회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더 이상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즉, 민법 제760조 제1항은 연대책임을 원칙으로 하며 책임의 감면을 인정하지 않는바, 동 규정이 너무 쉽게 인정될 경우에는 피해자 보호의 실익보다 가해자에게 과중한 책임을 부과하게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민법 제760조 제1항의 공동의 의미를 주관적 관련공동성으로 이해하여 동 규정의 적용범위를 축소하는 한편, 의사의 공동성은 없지만 단일 손해를 발생시킨 수인의 가해행위에 대하여 경우에 따라서는 연대가 아닌 분할책임을 허용하는 병존적 공동불법행위를 공동불법행위의 한 유형으로 인정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과실상계도 개별적으로 평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소한 과실이 인정될 뿐인 가해자가 고의 혹은 중과실이 있는 가해자의 무자력위험까지 부담하게 되는 불합리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이미 개별판례들을 살펴 보건데, 병존적 공동불법행위라고 명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그 개념을 이미 사례에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대상판결의 상고심은 비록 예금주와 예금사기에 의한 손해 사이의 상당인과관계를 부인함으로써 예금주를 구제하였다. 그러나 예금주가 사기범들에게 자신의 정보를 스스로 일부 유출하였다는 점에 비추어 상고심이 상당인과관계를 부정함은 예금주를 보호하기 위한 어쩔 수 없는 고육지책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상고심의 ‘전부 아니면 전무’식의 해결보다는 병존적 공동불법행위를 인정함으로써, 예금주에게 사기범들과 책임이 중첩되는 범위 내에서 손해의 일부에 대하여만 연대책임을 부담시키고 또한 금융기관의 과실을 고려함에 있어서도 사기범들과 개별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책임의 비율을 낮추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해결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대상판결의 사안에서 예금주는 발생한 손해의 10%에서 20%범위 내에서 책임을 부담하는 것이 적정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道詵의 생애와 唯心論的 禪思想

        한태일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8 한국학논총 Vol.30 No.-

        This is a study on idealistic zen thought of Doseon who was a zen master of Dongnisanmun(桐裏山門) in the late Silla related to his theory of divination based on topography. Doseon studied zen buddhism being under Hyecheol(慧徹)'s instruction. After receiving the commandments of buddhism, he established many temples making an extensive tour of here and there. However, his activities of the establishment got changed the whole appearance before and after domiciling himself at Oknyongsa(玉龍寺). He had showed activities under Hyecheol's influence before the time, but he would set up a zen buddhist school(禪門) by himself with Hyecheol's death. Doseon settled down at Oknyongsa and then founded Woonamsa(雲岩寺) after the death of his master. A chain of activities like this were accomplished with influence expansion of the temple power of Doseon group centering around Oknyongsa. As a result, they extended their power in Gwangyang, Gurye and even Damyang during Doseon's lifetime. Doseon's philosophy was Dharmalaksana school in zen. His thought showed under a bias towards idealism, and also it would be related to the morale of Dongnisanmun. The theory of divination based on topography was the main thought of Doseon, and it was possible for his philosophy that attached importance to Dharmalaksana school. Also, idealistic zen thought of Doseon was moved on interest in topography naturally, consequently, he could be a man of broad view and understanding of the theory of divination based on topography. On the one hand, Doseon brought up Bibo(裨補) as a rational management way of a whole country. After Bibo, his theory had been changed in quality into Docham(圖讖). Idealistic zen thought made much of Dharmalaksana school so that it could set up the theory of divination based on topography, but there were some obvious contradictions between zen buddhism and Dharmalaksana school. The theory of Doseon got deteriorated Docham from Bibo eventually because it was not able to overcome the contradictions like that. 이 글에서는 신라 하대 桐裏山門의 禪僧인 道詵의 선사상을 그의 풍수지리사상과 관련지어 검토하였다. 그럼으로써 그의 사상경향을 밝혀 풍수지리사상을 형성하는 데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를 살피려고 하였다. 도선은 출가하여 처음에 화엄을 배우다가 동리산문의 慧徹에게 나아가 다시 선종불교를 익혔다. 受戒 후 그는 각처를 유력하면서 다수의 사찰을 창건하였다. 그런데 도선의 사찰 창건활동은 옥룡사에 주석하는 시기를 전후하여 양상을 달리하였다. 그 이전까지는 혜철의 영향 아래에서 활동하였다면, 혜철의 입적을 계기로 스스로 禪門을 세우려 하였다. 혜철의 입적 후 도선은 옥룡사에 주석하고 다시 운암사를 창건하였는데, 이러한 일련의 활동은 옥룡사를 중심으로 한 도선계 세력의 확대과정에서 이루어졌다. 그리하여 도선의 생존시에 도선계는 광양과 구례지역뿐 아니라 담양지역에까지 그 세력을 확대하였다. 도선의 사상경향은 ‘眞空不空’으로 나타났는데, 그것은 禪的인 유식사상이라 할 수 있다. 말하자면 그의 선사상은 선종사상 안에 유식, 즉 법상종을 포용하는 唯心論的인 경향으로 성립되었으며, 이는 유식사상을 중시하는 동리산문의 선풍과 무관하지 않다. 풍수지리설이 도선의 핵심사상으로 성립할 수 있었음은 유식사상을 중시하는 그의 사상경향을 바탕으로 가능하였다. 도선의 풍수지리설은 전국 山水의 順逆형세를 살펴 정해진 明堂을 중심으로 재편하려는 것이다. 유식을 중시하는 유심론적인 선사상은 자연스럽게 지세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져, 도선은 풍수지리에 해박한 식견을 갖추었다. 한편 도선은 국토의 합리적인 운영방안으로 裨補를 내세웠다. 그의 풍수지리설은 비보를 내세우기까지 합리적으로 발전하였지만, 비보 이후 그것은 圖讖으로 변질되어 더 이상의 발전을 이루지 못하였다. 유심론적인 선사상은 유식사상을 중시했기 때문에 풍수지리설을 형성시킬 수 있었지만, 근본적으로 선종과 유식사상은 서로 입장이 모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모순을 극복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도선의 풍수지리설은 비보에서 도참으로 흐르고 말았다.

      • KCI등재

        징벌적 손해배상의 활성화를 위한 검토 : 하도급법을 중심으로

        한태일 법무부 2016 선진상사법률연구 Vol.- No.76

        하도급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상 위법행위는 소위, ‘보이지 않는 법위반행위’에 해당하여, 이에 대한 시정명령 및 과징금 등의 기존 공적 제재는 이미 비효율성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하도급법은 2011년 사적 제재로서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를 도입하였으나 도입 취지와 달리 동 제도는 현실적으로 거의 활용되지 않고 있다. 그런데 하도급 거래관계는 민사상 도급계약으로 공적 제재는 오히려 중소기업의 경쟁력 약화 등을 야기할 수 있다는 점 및 공정거래법상으로도 시정조치전치주의가 폐지되어 손해배상청구제도가 활성화되어가는 추세라는 점 등에 비추어, 하도급 거래의 공정화를 위하여 거래의 당사자가 직접 민사소송 등의 사적수단을 통하여 스스로 구제 받는 방안이 바람직할 수 있는바 특히, 징벌적 손해배상의 활성화가 요구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를 위하여는, 하도급거래의 특성 등에 비추어 전보적 손해배상의 3배를 초과하는 징벌적 손해배상을 인정하여도 과도한 배상의 결과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에서, 재량적 징벌적 손해배상방식(유동적 상한제한 방식을 포함하여)을 도입함으로써 경우에 따라서는 수급사업자가 하도급거래 단절 등의 결과를 감수하고라도 징벌배상청구소송을 제기할 수 있도록 상당 수준의 배상금 인정의 가능성을 열어두는 것이 징벌적 손해배상의 활성화를 위하여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Violation of the Fair Subcontract Transactions Act constitutes the so-called invisible legal violation. And the existing public sanctions such as corrective orders and fines have already faced the limitation of inefficiency. As a way to overcome these, punitive damages was introduced to the Subcontract Act in 2011 as a private restriction. However, unlike the original purpose, the scheme has been hardly utilized practically. Subcontract transactional relationships are invited contract in the civil code. Thus, public sanctions against them could rather weaken smaller firms’ competitiveness, etc. And the corrective measure-prepositive principle was abolished and damage claim scheme has been activated. Against this background, it seems desirable to provide private means such as civil lawsuit for transaction participating parties to request remedies for themselves. Punitive damages scheme, in this situation, would need to be further activated. Given the characteristics of subcontract transactions it can be assumed that even if the punitive damages is recognized, whose damage amount exceeds that of the compensatory damages by 3 times, not any excessive compensation would be resulted. In this sense, it is deemed desirable in stimulating the punitive damages to introduce the discretionary punitive damages (including the flexible upper limit method) to open up the possibility of recognizing a considerable damage amount in some cases for subcontractors to file a punitive damage suit even at the cost of their transaction severance, etc.

      • 불산 및 벤젠 실내 저장시설에서의 소량누출에 따른 피해 영향범위 선정에 관한 연구

        한태일,문진영,황용우,천영우 한국공업화학회 2016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6 No.0

        2013년 화성 불산 누출사고는 50% 불산 수용액이 40L~60L 소량 누출된 사고임에도 불구하고 1명 사망, 4명 부상의 인명 피해가 발생하였다. 이처럼 화학물질이라는 특성상 소량으로도 인체에 치명적인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소량 누출에 관한 영향범위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현재 장외영향평가에서는 소량기준 미만일 경우 피해 반경 모델링을 실시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불산 및 벤젠을 대상물질로 선정하여 실내저장시설에서의 소량누출에 따른 피해영향범위를 산정하였다. 그 결과 불산 소량기준의 110%부터 차례로 ERPG(20ppm)기준으로 217.3 m, 206.4 m, 194.8 m로 예측되었다. 벤젠의 경우에는 ERPG(150ppm)기준 202.7 m, 192.4 m, 181.6 m로 나타나 소량누출시에도 그 피해 범위는 크게 감소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