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HEVC 고성능 압축 도구들의 성능 분석을 통한 스크린 콘텐츠 응용 최적 부호화 모델

        한찬희(Chan-Hee Han),이시웅(Si-Woong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12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자연 영상과 달리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기기에 의해 생성/랜더링(rendering)된 영상이나 동영상을 스크린 콘텐츠라 한다. 스크린 콘텐츠는 자연영상과는 구별되는 통계적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연 영상 혹은 동영상을 대상으로 하는 지금까지의 압축표준을 이용하는 경우 압축효율이 저하될 수밖에 없다. 스크린 콘텐츠의 효율적인 압축을 위한 연구가 최근 들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현재 진행 중인 고효율 동영상 부호화(HEVC : High Efficiency Video Coding)의 표준을 위한 JCT-VC(Joint Collaborative Team on Video Coding) 회의에서 스크린 콘텐츠가 가지는 특성에 적합한 압축 방식들이 지속적으로 논의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HEVC 참조 소프트웨어인 HM(HEVC Test Model)의 고성능 압축 도구들에 대해 스크린 콘텐츠 압축 효율성을 분석하고, 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기반으로 스크린 콘텐츠 응용에 최적화된 부호화 모델을 제시한다. 또한, 스크린 콘텐츠가 자연동영상과 구별되는 특성들과 스크린 콘텐츠 응용에서의 HEVC 적용을 위한 앞으로의 연구쟁점을 제시한다. Screen content refers to images or videos generated by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computers or mobile phones, whereas natural content refers to images captured by cameras. Screen contents show different statistical characteristics from natural images, so the conventional video codecs which were developed mainly for the coding of natural videos cannot guarantee good coding performances for screen contents. Recently, researches on efficient SCC(Screen Content Coding) are being actively studied, and especially at ongoing JCT-VC(Joint Collaborative Team on Video Coding) meeting for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 standard, SCC issues are being discussed steadily.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performances of high efficient coding tools in HM(HEVC Test Model) on SCC, and present an optimized SCC model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We also 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screen contents and the future research issues as well.

      • KCI등재

        초등 도덕과를 통한 인공지능윤리교육 방안 모색

        한찬희 ( Han Chan-hee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20 초등도덕교육 Vol.0 No.69

        오늘날 국내외 기업, 정부, 종교계는 지능정보사회에서 요구되는 윤리적 원리로서 ‘투명성, 안전성, 책임성, 비차별성, 공정성 등’을 강조하고 있다. 여기서 특기할 만한 점은 이러한 윤리적 원리들 가운데 비차별성(non-discrimination)과 공정성(fairness)이 강조되는 배경에 인공지능에 의한 차별(discrimination)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될 수 있다는 우려가 깔려 있다는 사실이다. 본 연구는 ‘공정성 지향’과 ‘편향 극복’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초등 도덕과를 통한 인공지능윤리교육의 방안과 실제를 가능한 구체적인 수준에서 드러내는 데 목적을 둔다. 도덕과를 통한 인공지능윤리교육은 학생들로 하여금 인공지능의 세계에도 편향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게 함으로써 지능정보사회에서 요구되는 인공지능(AI) 면역력을 길러줄 것으로 기대된다. The rapid development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is arousing great interest in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Domestic and foreign corporations, religious groups and governments have emphasized ‘transparency, safety, accountability, non-discrimination and fairness’ as the ethical principles required for the desirabl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What is noteworthy here is that there is a concern that discrimination by artificial intelligence could emerge as a serious social problem behind the emphasis on the non-discrimination and fairness among these ethical principles.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based on AI Ethics, focusing on the themes of ‘fairness orientation’ and ‘overcoming bias’. Moral education based on AI Ethics is expected to cultivate AI immunity required in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by letting students know that there are biases in AI.

      • KCI등재

        도덕교육의 목적으로서의 자기인식: 아퀴나스의 자기인식이론을 중심으로

        한찬희(Chan-Hee Han) 한국도덕교육학회 2020 道德敎育硏究 Vol.32 No.4

        ‘너 자신을 알라’는 델피 신전의 권고를 자신의 필생의 과제로 받아들인 소크라테스 이래로 자기인식은 삶과 교육이 추구해야 할 가장 중요한 목적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자기인식은 주체와 대상, 마음과 세계의 구분이 의미 있게 성립하지 않는 상태를 가리키며, ‘사물과 지성의 일치’라는 중세 전성기의 진리 규정에는 이 상태를 추구하는 삶과 교육의 오랜 전통이 녹아 들어있다. 아퀴나스의 용어로 ‘완전한 귀환’(reditio completa)으로 불리는 자기인식의 최종 국면은 ‘행복’(felicitas)을 넘어서 ‘지복’(beatitudo)을 누리는 경지를 가리키며, 이는 우리의 삶과 교육이 지향해야 할 최고 수준의 목적에 해당한다. 이 글의 목적은 아퀴나스의 자기인식이론에 비추어 도덕교육이 그것에 참여하는 당사자의 삶을 자기인식으로 이끄는 실천이라는 사실을 밝히는 데 있다. 일상의 사태에서 손쉽게 드러나지 않는 삶의 온전한 현실은 개념의 매개를 빌어 일어나는 교사와 학생의 지적 대화에 의해 비로소 탈은폐되며, 이 과정 속에서 교사와 학생은 ‘삼라만상을 수용할 수 있는 인간’(homo capax universi) 이상을 실현하고 있다. Self-Knowledge(from the medieval idiom, “the soul’s knowledge of itself”)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facing moral education since Socrates, who accepted the Delphian exhortation “Know thyself” as his existential task. Self-Knowledge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distinction between subject and object, mind and world is not meaningfully applied. The medieval definition of the truth[adaequatio rei et intellectus] implies a long tradition of life and education that pursues self-knowledge. The final phase of self-knowledge, namely “complete return”[reditio completa], refers to a state of “perfect happiness”[beatitudo] that is beyond “imperfect happiness”[felicita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eal the fact that moral education, in the light of Thomas Aquinas’ theory of self-knowledge, is a practice that leads the participant to the pursuit of self-knowledge. The reality, which is not easily revealed, begins to be uncovered by intellectual conversations which take place through the medium of Concept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In the intellectual conversations, teacher and students are realizing the ideal of homo capax universi.

      • KCI등재

        인공지능에 의해 창출된 부의 재분배에 관한 고찰 - 인공지능윤리교육에 주는 시사 -

        한찬희 ( Han Chan-hee ),박성진 ( Park Sung-jin ),이재호 ( Lee Jae-ho ),한정윤 ( Han Jeongyun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21 초등도덕교육 Vol.- No.73

        본 연구는, 인공지능 기술과 빅데이터의 밀접한 관련을 염두에 두고, 인공지능에 의해 창출된 부의 공정한 분배방식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공적’과 ‘우선성’의 원칙을 중심으로 검토한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인공지능이 생산한 이윤은 공적을 인정하는 ‘합리성’과 최소 수혜자를 고려하는 ‘도덕성’을 둘 다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분배되어야 한다. 이에, 빅데이터 시대의 인공지능윤리교육은 개인의 프라이버시 보호와 같은 사적 영역에 국한되지 않고 분배정의의 관점에서 그 과제와 방향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 The adv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big data has highlighted various ethical issues related to distributive just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how fair distribution of wealth genera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is achieved, with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big data. According to this study, which reviewed the two principles of distribution, namely ‘merit’ and ‘priority’, the wealth produc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should be distributed in a way that satisfies two factors: recognition of merit and consideration of the least advantaged. Therefore, AI ethics education in the era of big data should pay due attention to promoting the common good beyond dealing with topics such as protecting individual privacy.

      • KCI등재

        맥킨타이어의 토미즘: 도덕교육에 주는 시사

        한찬희(Chan-Hee Han) 한국도덕교육학회 2021 道德敎育硏究 Vol.3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맥킨타이어의 토미즘이 도덕 탐구의 전통으로서 가지는 의의를 조명하고, 그것이 도덕교육에 주는 시사를 밝히는 데에 있다. 맥킨타이어는 13세기 파리 대학에서 있었던 아우구스티누스주의와 라틴 아베로에스주의 간의 격렬한 대립에 대해 잘 알고 있었고, 토미즘을 이러한 역사적 상황과 맥락에 대한 고려 속에서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에 따르면, 토미즘은 통약불가능한 두 지적 전통을 서로의 용어로 동화시킴으로써 각 전통이 그 내부에서는 성취할 수 없었던 새로운 성취를 이룩하고 있다. 토미즘은 자신이 물려받은 전통과 유산에 부단히 의존하면서도 보편적 진리에로의 도약을 위해 기꺼이 지적 모험을 감행하는 ‘탐구 담론의 새로운 장르’이다. 토미즘이 이룩한 성취에는 부정이라는 방법적 원리가 녹아 있으며, 이는 도덕교육이 마땅히 주목해야 할 교육학적 시사에 해당한다. 맥킨타이어가 기대하고 있는 것처럼, 토미즘은 다원주의 문화에 잠식된 현대사회가 안심하고 기댈 만한 도덕 탐구의 전통일지 모른다. 물론, 이 기대가 온전하게 실현되기 위해서는 아퀴나스의 진리이론이 메타프락시스의 원리를 따르고 있음을 드러내는 후속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며, 이는 토미즘 연구자들이 수행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minate the significance of MacIntyre’s Thomism as a tradition of moral enquiry and to reveal its implications for moral education. MacIntyre was well aware of the fierce confrontation between Augustinianism and Latin Averroism at the University of Paris in the 13th century, and attempted to understand Thomism in that historical context. In MacIntyre’s view, Thomism achieves new achievements that each tradition could not achieve within itself by assimilating the incommensurable traditions into their own terms. Thomism is a new genre for the discourse of enquiry that shows the tension created by an epistemological crisis and the process of its resolution. It is the principle of negativity that enables the achievements of Thomism, and moral education needs to pay attention to this principle suggested by Thomism. Thomism, as MacIntyre expects, may be the tradition of moral enquiry that we can rely on in the age of pluralism. However, in order for that expectation to be fully realized, it is necessary to clearly reveal that Aquinas’ theory of truth follows the principle of metapraxis.

      • KCI등재

        「신학대전」 미완성의 교육적 의미

        한찬희(Chan-Hee Han) 한국도덕교육학회 2017 道德敎育硏究 Vol.29 No.2

        「신학대전」은 교육 실천과 무관하게 신의 의미를 밝히려는 형이상학적 사변에 불과한 것이 아니다. 그것은 오히려 신의 의미에 대해 질문하고 토론하는 방식 그 자체로 저자는 물론 독자의 삶을 신에게로 이끄는 교육 실천의 모범을 예시한다. 신의 의미를 밝히려는 아퀴나스의 학문적 노력은 ‘신과 분리되지 않은 인간’이 되기 위한 훌륭한 실천으로 해석될 가능성이 있으며, 7년이라는 기간에 걸쳐 저술된 대작(大作)이 끝내 ‘미완성’으로 남겨졌다는 사실은 이러한 실천이 그야말로 성공했다는 증거로서 재해석될 수 있다. Thomas Aquinas left his great work Summa Theologiae unfinished. A mystical experience on the feast of St. Nicholas or his health problem could be a reason he stopped writing. But neither of these answer the question, ‘what did he mean when he said that all I have written appears to be as so much stra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an explanation as to why he stopped writing after December 6, 1273. According to this study, Aquinas’ Summa Theologiae is not simply to transcribe already-fixed religious doctrines with theological or philosophical terms. It is meaningful as an ‘educational practice’ that leads the life of the author and readers to God by way of discussing and asking about the meaning of God. And his efforts to understand God is more likely to be interpreted as a worthy practice to become ‘man who is not separated from God’. From the viewpoint of metapraxis, it can be argued that Aquinas’ reason could serve as the path to God although his Summa Theologiae was left unfinished. The fact that the Summa Theologiae ended unfinished can be strong evidence that Aquinas’ efforts to understand God did not fail, but rather succeeded.

      • KCI등재

        도덕교육의 내용으로서의 ‘가치’

        한찬희 ( Han Chan Hee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8 초등도덕교육 Vol.0 No.61

        이 글의 목적은 도덕교육의 내용을 이루는 ‘가치’자체의 성격과 의미를 밝히는 데 있다. 가치가 그 자체로서 존재한다고 보는 관점(‘가치 실재론’)과 주관의 심리적 태도나 필요에 의해 생긴다고 보는 관점(‘가치 주관론’)은 ‘가치를 가치로서 정립하는 실천’과 무관하게 가치를 규정한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진다. 이러한 한계는 도덕교육의 내용으로서의 가치를 ‘삶의 형식’으로 이해할 때 완화될 가능성이 있다. 비트겐슈타인에 따르면, 삶의 형식은 ‘무엇이 가치 있다거나 가치없다’라고 판단을 내리는 경우에 받아들이지 않으면 안 되는 ‘주어진 것’이다. 삶의 형식으로서의 가치는 모든 가치 있는 것을 가치 있는 것으로 알아보게 만드는 토대라는 점에서 그 자체로 도덕교육의 내용이라고 할 만하다. 가치는 그 자체로서 ‘있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해서 순전히 주관에 의해 생겨나는 ‘없는 것’도 아니다. 그것은 도덕교육의 실천에 의해 확인되고 정립되는 삶의 형식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eal the nature and meaning of the ‘value’ itself which is the content of moral education. The perspective that value exists in itself or that it is derived from the psychological attitude or necessity is limited in that it defines value regardless of the educational practice of establishing value as value. These limitations are likely to be supplemented when the value that is the content of moral education is understood as the form of life. According to Wittgenstein, the form of life is ‘given’ that must be accepted if it makes a judgement that something is worth or not. The value as the form of life in itself is worthy of the content of moral education. Because it is the foundation that makes all valuable things valuable. The value is not the thing ‘existent’ in itself, nor is it derived from the psychological attitude or necessity. It is the form of life established only by the practice of moral education.

      • KCI등재

        임상적 병기 I-II 자궁내막암 환자의 병기설정 수술시 양측 난관난소절제술 유무에 따른 예후의 비교

        한찬희 ( Chan Hee Han ),임시연 ( Si Yeon Lim ),국일영 ( Ill Young Kook ),이근호 ( Keun Ho Lee ),남궁성은 ( Sung Eun Namkoong ),박종섭 ( Jong Sup Park ),박태철 ( Tae Chul Park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2

        목적: 임상적 병기 I기 와 II기인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시 양측 난소난관절제술을 시행 받은 군과 시행 받지 않은 군을 비교하여 전체 생존율과 무병 생존율, 및 수술 병리학적인 소견을 비교하여 초기 자궁내막암 환자에서 병기설정 수술시 양측 난관난소절제술의 타당성 여부를 확인 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994년 1월 1일부터 2004년 12월 31일 까지 자궁내막암으로 병기설정 수술을 받은 임상적 병기 I기 와 II기인 178명의 환자들의 챠트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으며, 통계청 자료를 통해 환자의 생존 여부를 확인하였다. 수술 시 양측 난관난소절제술을 시행한 군과 시행하지 않은 군간의 전체 생존율, 무병생존율, 및 수술병리학적인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임상적 병기 I기인 환자는 160명, 병기 II기인 환자는 18명이었으며, 이중 수술 시 양측 난소난관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는 142명, 시행 받지 않은 환자는 36명이었다. 수술 후 병리 조직 소견은 대부분 자궁내막양선암 (93.8%), 분화도 I (56.1%)이었다. 양측 난관난소절제술을 시행 받지 않은 환자가 시행 받은 환자에 비해 더 젊고 (평균 나이 40.75세 vs 55.8세), 자궁근층 침범이 덜 한 점 외에 두 군 간의 수술-병리학적인 소견 차이는 없었다. 평균 29개월 간의 추적 기간 동안 두 군간의 전체 생존율과 무병 생존율의 차이는 없었다. Cox regression으로 다변량 분석한 결과 병기 외에는 전체 생존율 및 무병 생존율에 의미있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없었다. 골반 및 대동맥 임파전이도 두 군간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임상적으로 I 혹은 II인 자궁내막암 환자에서 수술 시 양측 난관난소절제술의 여부가 전체생존율 및 무병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젊은 여성과 같은 선택된 경우에 한하여 양측 난관난소절제술을 하지 않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clinical outcome of staging surgery with and (or) without bilateral salpingo-oophorectomy (BSO) in clinical stage I-II endometrial cancer patients.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178 surgically treated patients in clinical stage I-II endometrial cancer between January 1994 and December 2004. Overall survival (OS) and disease free survival (DFS) were analyzed by using data gathered from the National Statistics Office. The clinical outcome was compared between patients who underwent hysterectomy with and without BSO. Results: One hundred sixty patients were in clinical stage I, and 18 patients were in clinical stage II. Most of the cases showed endometrioid (93.8%) in histology and G1 (56.1%) in differentiation. BSO was performed in 142 patients. Surgico-pathological features of two group are not different but the group without BSO were younger (40.7 vs. 55.8 years old) and less myometrial invasion than the group with BSO. After mean 39.27 months follow up, we found no difference in OS and DFS between the two groups with BSO and without BSO. No factors except stage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OS and DFS by multivariate Cox regression analysis. The rate of pelvic and paraaortic lymph node metastasis was not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The retrospective data in the study reveals that staging surgery with and without BSO does not affect OS and DFS in clinical stage I-II endometrial cancer patients. In limited cases, such as young women, omitting BSO can be considered carefully.

      • 안전성활동의 추적성을 위한 초기 위험원 도출 기법에 대한 연구

        한찬희(Han Chan-Hee),이영수(Lee Young-soo),안진(Ahn Jin),조우식(Cho Woo-Sik) 한국철도학회 2007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 No.-

        The primary purpose of the safety management is to prevent the loss of lives or physical damages arising from potential hazards in the railroad signaling system. Since such potential hazards may occur at any time during the system life cycle from design and development to maintenance,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have to be continuously taken in the course of the system life cycle. The identification of potential hazards is the early step of the safety management. However, such identification activities have to be continued during the system life cycle. Further, they have to be closely linked with system functions to prevent functional problems. This study provides a systematic approach to identification of potential hazards for their tracking and management during the system life cycle to assure the identification and definition of the most appropriate hazards.

      • 철도시스템 안전성 확보를 위한 “(개정)철도안전법” 적용방향에 대한 연구

        한찬희(Chan-Hee Han),최진우(Jin-Woo Choi),정재옥(Jea-Ok Jung) 한국철도학회 2013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3 No.5

        국내 철도안전을 확보하고 해외 진출을 위한 교두보를 마련하기 위해 현재 철도안전법이 개정되고 있다. 개정되는 철도안전법은 철도차량 및 용품에 대한 안전성 검증 및 안전 관리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지만, 국제적으로 인정되는 철도시스템을 보증하기 위해서는 세부적인 시스템 안전성 확보를 위한 방안이 제시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철도안전법에서 제시하는 승인 및 검사 프로세스와 국제적으로 적용되는 안전성 인증 프로세스를 비교 분석하여 현실적인 문제점과 차이점을 도출하고, 이에 따른 개정되는 철도안전법의 방향을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