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홍보자료: 한국실험동물수의사회(KCLAM)는 이제부터 시작입니다!
한진수,Han, Jin-Su 대한수의사회 2010 대한수의사회지 Vol.46 No.8
한국실험동물수의사회는 지난 2월 9일 제1차 이사회의 승인을 얻어 새로이 대한수의사회 산하단체로 활동하게 되었다. 건국대학교 한진수교수를 초대회장으로 하고 138명의 실험동물분야 근무수의사들을 회원으로 한 한국실험동물수의사회는 현재 건국대학교수의과대학내에 사무소를 두고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으며 관심있는 회원들의 지속적인 참여로 한국실험동물수의사회가 더욱 발전해 나가도록 도움이 필요하다. 참고로 대한수의사회는 현재 한국우병학회, 한국동물병원협회, 한국양돈수의사회, 축산물자체검사원협의회, 수생동물질병수의사회, 한국양계수의사회, 한국실험동물수의사회 총 7개 산하단체가 있으며 각기 직능별 업무능력 향상을 위해 교육 및 세미나 등을 통해 수의사의 능력향상에 매진하고 있다.
한진수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04 교육논총 Vol.24 No.-
초등 경제교육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지만 현재의 교과서와 교육과정은 여러 가지 면에서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에 따라 새롭고 효과적인 경제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필요 성이 제기되고 있는데, SEC(Small Economy in the Classroom) 프로그램이 그 대안 가운데 하나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SEC 프로그램을 소개하는 것이다. SEC는 경험을 통한 지식 습득을 추 구하고, 학생들에 의해 자율적으로 운영되며, 통합교과적이고, 교실 및 학생 환경에 맞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어 유연하며,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효과적인 초등 경제 교육 프로그램이다. SEC는 초등학생들이 교실에서 자신들의 작은 경제를 구축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그 리고 이들은 프로그램에 의해 다양한 경제 활동을 하고, 그 속에서 발생하는 제반 경제 문 제들을 논의하며, 그에 대한 대책을 세우는 의사결정을 한다. 이 과정에서 초등학생들은 경제 개념과 원리를 자연스럽게 습득할 뿐 아니라 의사결정 능력을 배양할 수 있으며 자신 이 내린 결정에 대한 책임을 질 줄 알게 된다. SEC 프로그램을 통해 초등학생들은 현실 경 제에서 직면하게 될 다양한 문제와 현상을 미리 경험하는 기회를 갖게 되고 미래에 대비할 수 있다. SEC 프로그램은 일 주일에 2~3시간씩, 10주 이상에 걸쳐서, 적어도 모두 25시간 이상 동 안 진행되어야 하며 초등학교 3~6학년 학생들에게 적합하다. 초등교사들은 워크샵을 통해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전략을 배우게 되며, 프로그램 진행 과정에 필요한 도움말과 관련 경제 지식을 얻을 수 있다.
한진수 한국경제교육학회 2019 경제교육연구 Vol.26 No.1
이 연구에서는 개인의 금융 이해력, 금융 행위, 금융 성과, 금융교육의 효과를 소재로 진행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지금까지의 많은 연구를 통해 우리가 확실하게 알게 된 사실은 생각보다 많지 않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뿐이다. 혼자 힘으로 금융 의사결정을 합리적으로 하지 못하여 최적의 금융 성과를 얻지 못하는 금융 소비자가 다수 존재하며, 금융 이해력은 합리적 금융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는 중요한 역량 가운데 하나이고,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금융교육보다는 특정 금융 행위에 초점을 둔 특화 내용의 금융교육이 긍정적인 효과를 얻는 데 더 기여한다는 정도뿐이다. 금융교육이 궁극적으로 개인의 금융 행위와 금융 성과의 개선에 기여하고 있다는 근거는 생각보다 견고하지 않으며 엇갈린 발견이 보고되고 있다. 금융교육 확대를 주장하기에 앞서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이 남아있다. 금융 이해력을 더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방안 탐구하기, 금융교육이 개인의 금융 성과 개선에 효과적이라는 실증적 증거 확보하기, 금융교육의 긍정 효과를 제고할 수 있는 전략 모색하기가 대표적인 예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evious research focusing on financial literacy, financial behavior, financial outcomes, and effects of financial education. The facts that we have certainly come to know through many researches so far are less than we think. First, there are a lot of financial consumers who are unable to obtain optimal financial outcomes as a result of irrational financial decisions. Second, financial literacy is one of key competencies to help rationally make financial decisions. Third, specialized financial education targeting specific financial behavior or outcomes, rather than general and universal financial education, works better. The evidence that financial education ultimately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financial behavior and financial outcomes is not robust as it should be and mixed findings are reported. There are many issues to be addressed before insisting on strengthening financial education. Identifying methods to measure financial literacy more accurately, finding empirical evidence that financial education is an effective tool to improve an individual’s financial outcomes, and seeking strategies to enhance the positive effects of financial education are some examples.
한진수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02 교육논총 Vol.19 No.-
이 연구는 한국 초등교사들의 경제 지식 수준을 측정하고, 그들이 어떤 경제 개념 을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는 한국 초등교사들의 경제 지식 수준을 한국, 미국, 영국, 호주의 고등학교 학생들의 경제 지식 수준과 비교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한국 초등교사의 경제 지식을 결정하는 요인들을 추정하 였다. 239명을 대상으로 검사한 결과, 한국 초등교사들은 46개 문항 가운데 평균 31.2 개를 맞추었으며 최고 점수는 42개, 최저 점수는 14개, 그리고 표준 편차는 4.6이 었다. 한국 초등교사들의 평균 점수는 한국, 미국, 영국, 호주 고등학생들의 평균 점 수에 비해 1.1~9.8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초등교사들은 공공재의 비배 타성, 자유 무역, 경쟁시장, 도표, 총수요와 총공급, 재정정책, 통화정책, 이윤, 노 동조합의 역할, 환율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를 통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경제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먼 저 초등교사들의 경제 지식이 한층 강화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위 해 교육대학교에서 예비 교사를 위한 경제교육을 강화하고, 현직 초등교사들의 연수 기회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한진수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0 교육논총 Vol.30 No.1
최종 제안 게임은 죄인의 딜레마 다음으로 경제학에서 많이 연구되고 있는 게임이다. 게임의 구조는 매우 단순하지만 실험 결과가 사회 효용, 경제 주체들의 의사 결정, 협상, 비합리적인 선택과 공정성에 대한 인식 등 경제학자들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이 매우 많 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최종 제안 게임이 무엇이며 지금까지 발표된 수많은 문헌들을 분 석하여 어떤 결과들을 발견해냈는지를 정리함으로써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정하는 데 도움 을 주고자 한다. 최종 제안 게임의 발전에는 경제 실험의 역할이 결정적이었다. 노벨 경 제학상이 실험 경제학자에게 수여될 정도로 실험 경제학이 현대 경제학의 발달에 기여하 고 있으므로 경제학에서 실험의 역할을 살펴보며, 경제 실험을 수행할 때 연구자들이 조 심해야 할 요인들도 정리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최종 제안 게임과 실험 경제학 연구에 보 다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한진수 仁川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02 교육논총 Vol.20 No.-
경제실험을 활용하는 수업은 효과적인 경제교육을 위한 방법 가운데 하나다. 경제실험은 강의 위주의 수업을 훌륭하게 보완할 수 있으며,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유발하는 데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실험에 수반되는 각종 비용, 적절한 실험 도구의 부재, 실험에 대한 관심 및 이해 부족으로 인해 아직 우리 나라에서는 수업에서 경제실험이 보편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매몰비용과 관련된 간단한 경제실험을 대학생들에게 수행함으로써, 경제교육에서 실험의 가능성과 활용도를 진단해 보았다. 매몰비용이란 이미 지출했고 더 이상 회수가 불가능하여 현재의 의사결정에서 고려할 필요가 없는 비용을 말하는데, 이러한 경제원리와는 달리 많은 경제주체들이 매몰비용을 고려함으로써 경제학적으로 비합리적인 선택을 하는 예들이 주변에 많이 존재한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매몰비용의 개념을 효과적으로 가르칠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매몰비용을 경제실험의 대상으로 선택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수강학생이 많은 수업시간에서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는 매몰비용 실험의 간단한 예를 제시하는 것과, 실제로 이 실험을 적용한 결과 얼마나 많은 학생들이 의사결정에서 매몰비용을 고려하는지를 확인하는 데에 있다. 연구 결과 실험에 참가한 대학생들의 절반 정도가 매몰비용을 고려하는 비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매몰비용에 대한 경제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