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품 시인 논란: 로버트 프로스트와 W. B. 예이츠의 시적 대화

        한지희 ( Han Jihee )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16 世界文學比較硏究 Vol.57 No.-

        이 논문은 프로스트가 당대 세계문학계의 거성 예이츠를 향해 내뱉었던 “진품(genuine)” 시인 논란을 주목하며 그 진의를 파악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예이츠와 그의 시를 연상시키는 시어나 구절을 담은 「어떤 황금[시대]도 그대로일 수는 없다네(Nothing Gold Can Stay)」, 「삼동관 (Triple Bronze)」, 「한 때 태평양가에서(Once By the Pacific)」를 예이츠의 「황금시대(The Golden Age)」, 「타워(The Tower)」, 「환영의 바다(Shadowy Waters)」 와 비교하며 읽으면서 프로스트가 제기했던 진품 시인 논란이 단순히 예이츠에 대한 질투나 뒤틀린 심사에서 비롯된 것은 아니었다는 점을 조명하고자 한다. 오히려 그런 논란은 대중지향적 미국 사실주의 시인 프로스트와 귀족지향적 아일랜드 낭만주의 시인 예이츠 사이에 존재하던 계층과 민족/국가의 경계선들을 드러내는 단초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This paper takes note on Robert Frost`s satirical remark of Yeats being “always faking” and examines the controversy over the “genuine” poet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In particular, reading Frost`s “Nothing Gold Can Stay,” “Triple Bronze,” “Once By the Pacific” in comparison with Yeats`s “The Golden Age,” “The Tower,” “Shadowy Waters,” it makes an attempt to suggest that Frost was not just being mean toward Yeats or jealous of his achievements by calling him “a fake.” Rather, such controversy reveals so far veiled class and national boundaries between popular American realist poet Frost and aristocratic Irish Romantic poet Yeats. Looking into the intertextuality between apparently distanced two national poets will provide a rare opportunity to meditate on the persistent “hides” of class and nation in the world republic of letters.

      • KCI등재

        중·고등학생의 의사소통 역량에 따른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 요인 분석

        한지희(Jihee Han),이문수(Moonsoo Lee)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미래교육학연구 Vol.35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 4차, 6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중·고등학생의 의사소통 역량에 따른 잠재 계층을 분류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의사소통 역량의 하위 요인인 공감과 소통을 중심으로 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중·고등학생의 의사소통 역량을 ‘공감 부진-소통 하, 공감 부진-소통 중, 공감 부진-소통 상, 공감 양호-소통 하, 공감 양호-소통 중, 공감 양호-소통 상’으로 분류하였다. 연구결과: 개인 특성 요인에서는 중학생은 여학생, 자아개념 및 공동체 의식이 높을수록, 고등학생은 학업성취도가 높거나 독서량이 많을수록 ‘공감 부진-소통 하’집단 대비 ‘공감 양호-소통 상’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 특성 변수에서는 중학생은 부모의 정서적 교육지원과 부모-자녀 관계, 고등학생은 월평균 가구소득이 의사소통 역량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학교 특성 변수에서는 중학생은 도시 규모, 교사와의 관계 및 교우관계, 고등학생은 수업방식이 의사소통 역량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술적 기여: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의사소통 역량 함양을 위한 학교 현장의 수업 보완 및 효율적 운영, 가정에서의 자녀 지도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research classifies latent classes in accordance with communication competence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analyzes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class classification by utilizing the 4th and 6th year’s dataset found in Korea Longitudinal Research 2013. The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e are classified as: Limited Empathy and Poor Communication competence, Limited Empathy and Average Communication competence, Limited Empathy and Excellent Communication competence, Adequate Empathy and Poor Communication competence, Adequate Empathy and Averag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Adequate Empathy and Excellent Communication competence. Individual, household, and school factors affecting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This research will give teachers useful insights into how to complement and efficiently operate classes and will give guidance to parents on how to improve their children’s communication competence.

      • KCI등재

        레즈비언 여성주의 비평가 아드리안 리치-"특별한여성"의 신화에서 "보통 여자" 에밀리 디킨슨 구해내기

        한지희 ( Jihee Han ) 한국영어영문학회 2015 영어 영문학 Vol.61 No.4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lesbian feminist critics, Adrienne Rich’s dream of a common language has often been examined as an innately woman-centered and separatist vision for a long-silenced mass of lesbian women. Nonetheless, she has continued to get out of both the posh privilege of Token Woman granted by the mainstream critical community and the specific and discriminating position of a lesbian poet-critic in the 1970s and 1980s. This paper, therefore, looks into Rich’s critical essay on Emily Dickinson and illuminates how she tried to save both Dickinson and herself from the privileged but confining myth of Token Woman and to connect her to the history of masses of common women who have dealt with the same problems of silence, self-abnegation, depression, and a death wish. In particular, it examines Rich’s critical notion of “lesbian feminism” and “lesbian continuum” and how Rich re-defined Dickinson’s silence and slanted language not as evidences of her insecurity and ‘little-ness’ as a woman poet but as proofs of her poetic confidence as an outsider poet. Ultimately, this paper aims to show how much Rich wanted to purge the negative connotation from the word “lesbian” and to underscore “the eye of the outsider,” persistent in the tradition of American woman poets.

      • KCI등재
      • KCI등재

        코로나 19 학습 상황에서 교사 역할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분석

        한지희(Han, Jihee),이동엽(Lee, Dong-yub)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코로나 19로 인하여 변화한 교육환경에서 교사 역할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을 분석하고, 교사들에게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생 4~6학년 93명이며, 2020년 10월 28일부터 11월 3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5.0 통계 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초문항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등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성별, 성적, 학년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test, 일원분산분석, Scheffé 사후검증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코로나 19 학습 상황에서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교사의 역할을 총 8개 요인 27문항으로 추출하였다. 학습 안내자, 학습활동 관리자, 기술 지원자, 교수 설계자, 학습활동 조력자, 평가자, 상호작용 촉진자, 학습내용 전달자로 구성되며 이 순으로 교사의 역할 중요도를 인식하였다. 둘째, 배경변인에 따른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 차이가 존재하는지 검증한 결과, 성별에 따라서는 ‘학습활동 관리자ㆍ상호작용 촉진자ㆍ학습내용 전달자ㆍ학습활동 조력자ㆍ교수 설계자’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성적에 따라서는 ‘평가자’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년에 따라서는 ‘평가자ㆍ기술 지원자ㆍ학습 안내자ㆍ학습내용 전달자’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코로나 19 학습 상황 속 온-오프라인 혼합수업에서 초등학생이 요구하는 교사의 역할을 규명하여 보다 효율적인 학습환경을 구축하는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This research first analyzes how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ive teacher’s rol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at has caused an enormous change in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then provides helpful insight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 survey of 93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d been conducted from October 28th, 2020 to November 3rd, 2020.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by the survey, SPSS 25.0, a software for statistical analysis, was used, and the following statistical methods were applied: Basic Questions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Further, Student’s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é’s Post-hoc Verification Method were utilized in order to test if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hen controlling gender, score, and grad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 which 27 questions with regards to teacher’s rol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were asked, student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the roles in the following order: Instructor, Learning-activity manager, Technical supporter, Instructional designer, Learning facilitator, Assessor, Interaction facilitator, and Knowledge deliverer. Second, when controlling gender,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Learning-activity manager, Interaction facilitator, Knowledge deliverer, Learning facilitator, and Instructional designer; when controlling score,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ly for Assessor; finally, when controlling grad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ssessor, Technical supporter, Instructor, and Knowledge deliverer. This research identified teacher’s role under the mix of in-person and remote learning during the Covid-19 pandemic so it will provide helpful resources in establishing efficient learning environments.

      • KCI등재
      • KCI등재

        음식 서사와 문화 정서: 허수경과 마르셀 프루스트 비교

        한지희(Jihee Han)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21 동서 비교문학저널 Vol.- No.58

        As a sign, each national food closely connects the collective unconscious to unique historical experiences and social norms and thus contributes to the configuration of a distinctive cultural identity. In this respect, this paper compares Marcel Proust’s narrative of the madeleine in In Search of Lost Time and Sukyeong Huh’s narrative of Gukbap in Global Blues and sheds light on how each national food unfolds a specific network of emotions and feelings and connotes each individual style and aesthetic sensibility. Considering that the two writers belong to different symbolic systems in the East and the West, it would be very interesting to examine how differently each writer reveals a unique socio-psychological sentiment in the attempt to restore a sense of ‘being oneself’ in the face of the loss of social presence.

      • KCI등재

        셰이머스 히니와 故허수경의 고고학적 상상력 비교

        한지희(Jihee Han)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20 동서 비교문학저널 Vol.0 No.54

        Seamus Heaney and Sukyung Huh share a common poetic ground in that both poets practiced archaeological imagination, musing on the bog bodies and old bones, ancient mummies, and skeletons. From Death of a Naturalist to The Spirit Level, Heaney went out to fields and tried to come to terms with the moments of violence and terror in the ancient history of Northern Europe. From What Could Be a Better Compost Than Sorrow? to At the Station None Remembers Huh, too, witnessed a wide range of evidences of destruction and cruelty, found in the excavation fields in the Mesopotamia region. While Heaney could return to his poetic guide Dante and the English poetic tradition in translating the memories of old bones into the tragic elegies of the Northen Europeans, Huh had few guides to light up her struggles, in waiting for the answers from the skeletons of ancient Sumerians, to comprehend the tragic moments of their dying. Still, both poets transmit the genuine energy of the magical moment in which the pre-linguistic times of the ancient humankind get fixed by their poetic imagination and re-enter the record of humankind through a poet’s will to communicate. This paper, noting the archaeological imagination of both poets, aims to illuminate the power of poetry to help the reader meditate on the common language of tragedy.

      • KCI등재

        레즈비언 여성주의 비평가 아드리안 리치(Adrienne Rich)

        한지희(Han, Jihee)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5 젠더와 문화 Vol.8 No.2

        이 글은 1970년대와 80년대 아드리안 리치가 수행했던 레즈비언 여성주의 비평을 재검토하면서 그녀가 강조했던 “레즈비언 연속체”의 관념이 이성애자들과 동등성을 주장하는 레즈비언들의 배타적인 공동체 혹은 섹슈엘리티를 넘어선 여자들의 사랑과 우정의 공동체를 상정하는 것이 아니라 가부장적 체제에서 침묵되었던 보통 여자들의 역사를 상정한다는 점을 주장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글은 리치가 레즈비언 여성시인이라는 이유로 세간의 주목을 받지 못했던 쥬디 그란의 시편들을 비평하는 가운데 그란의 비범한 시적 재능을 발견하고 그녀를 언어의 마법을 이해했던 여성시인들의 역사에 편입시키는 과정을 자세히 검토한다. 그럼으로써 이글은 리치의 “레즈비언 연속체”가 결국은 그녀가 평생 지녔던 “공동 언어”에 대한 소망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통합된 전체’로서 역사의식의 근간이 되고 있다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This paper aims to describe Adrienne Rich’s lesbian feminist criticism that she had pushed with primary intensity in the 1970s and 1980s. In particular, it takes note of her critique of Judy Grahn, a lesbian poet, in order to illuminate the fact that Rich’s notion of lesbian continuum should be understood as positing not an exclusive lesbian community but a history of common women who expressed their own ways of being in the patriarchal society by using the oppressor’s language. Thanks to her critique of Grahn, it could be better appreciated that her lesbian criticism is closely related to her dream of common language and her vision of a integrated whole.

      • KCI등재

        회화 같은 시: 아드리안 리치와 윌리엄 칼로스 윌리엄 즈의 공동 언어를 향한 소망

        한지희 ( Jihee Han )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15 世界文學比較硏究 Vol.51 No.-

        아드리안 리치는 월트 휘트만과 윌리엄 칼로스 윌리엄즈로 이어지는 미국 민중시 전통에 속한 시인이다. 두 명의 선배시인처럼 리치는 지배 권력과 주류사회의 관심에서 밀려난 주변부 여성들의 삶과 노동자계층의 삶을 미국역사의 일부로 기록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특히, 중기시집부터 그녀는 초기의 급진적 여성주의 시선에서 벗어나 인간주의 시선을 견지하며, 비-백인 노동자계층, 이민자들, 불법 이주노동자들에게 자행되는 현대 미국자본주의 사회의 야만성을 비판하는 진보주의 지성인의 목소리를 높이기 시작하였다. 이 논문은 그간 미국민중시 전통에서 좀처럼 연결고리가 규명되지 않았던 윌리엄즈와 리치의 영향 관계에 주목하며 리치와 윌리엄즈가 공유했던 진보주의 정치의식이 보여주는 미국적 특성을 살펴보고, 윌리엄즈의 ‘회화 같은 시학’이 리치의 시에서 어떤 식으로 변주되는지를 조명하고자 한다. 특히, 리치가 보여준 융합적 시선이 윌리엄즈가 가난하고 무지한 노동자계층에 대해 보여주었던 브뢰헬풍 풍속화가의 시선과 시적 음화 기법에서 중요한 영향을 받았다는 점을 분석할 것이다. 두 시인의 영향 관계를 조명하고 리치가 평생 헌신적으로 추구하였던 “공동 언어”를 향한 소망이 휘트만의 “대중들 전체”를 향한 소망이나 윌리엄즈의 “공동의 대화”를 향한 소망과 다르지 않은 것이었다는 점을 보여줌으로써, 이 논문은 휘트만에서 윌리엄즈로 그리고 리치로 이어지는 미국문학의 공동체적 전망을 보다 명확하게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Adrienne Rich is one of the American bards who succeeded to the communal vision of Walt Whitman. Just like Whitman, she dedicated herself to recording the lives of common working class people as part of American history. Yet, while developing a unique way of seeing as a Jewish, Lesbian, Feminist American poet, she seems to have re-discovered the value of William Carlos Williams’ Ut Pictura Poesis and his capacity to create a poetic negative. Therefore, this paper contends that Rich, reading later collections of Williams, could have evolved her intial gaze of a camera into a Williams-like communal scopic field, in which both the conscious of a poetic picture and the unconscious of a poetic negative unfold gradually so that they would awaken the reader’s perception and re-construct his/her mind. In order to illuminate how Williams’ Ut Pictura Poesis gets variated in Rich’s poetry, this paper first draws attention to the political stance two poets shared and examines Williams’ technique of creating a poetic negative. Then, it compares Williams’ Pictures from Brueghel, which was actually inspired by Peter Brueghel’s paintings, and Rich’s Necessities of Life and Time’s Power to explore how Rich’s woman-seeing eye is connected to Williams’ ‘American’ way of seeing. By indicating that Rich’s dream of a common language is in the continuation of Williams’ dream of a common conversation, this paper identifies Williams as the so-far missing link that would connect Whitman and Rich in the tradition of American democratic bard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