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햄스터 난자에서 관찰되는 내향전류의 성상과 수정후의 변화

        한재희,홍성근,Han, Jae-hee,Hong, Seong-geun 대한수의학회 1998 大韓獸醫學會誌 Vol.38 No.2

        Voltage-sensitive ion channels contribute to establishment of the cell excitablity and the generation of the cellular function. At hamster oocytes in the primitive stage during developing process, an inward current elicited by voltage pulses was found to be carried mainly by $Ca^{2+}$. Even at present, $Ca^{2+}$ channels serve as the most probable route to pass this inward current but there is no evidence of the presence of this channels in eggs. To date, both the characteristic properties and the physiological role in the early stage of development remain unclear. Here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 properties of the inward current and changes in this currents at unfertilized oocytes, fertilized zygotes and two-cell embryos using whole-cell voltage clamp technique. The inward current carried reportedly by $Ca^{2+}$ was remained following removing external $Ca^{2+}$ but completely abolished by further replacement of impermeants such as tetramethylammonium ion ($TMA^+$) or $choline^+$ instead of $[Na^+]_0$. Tetrodotoxin did not affect on this inward current remained at $[Ca^{2+}]_0$-free condition. Removal of $Na^+$ ion out of the experimental solution clearly decreased the current. After adding 2mM $Ca^{2+}$ to the $Na^+$-free media, the inward current was restored. Interestingly, this current carried by either $Ca^{2+}$ or $Na^+$ was decreased by the reduction of intracellular $Cl^-$ concentration, or by $Cl^-$ channel blockers such as niflumic acid, DIDS and SITS. When $Cl^-$ concentration was lowered without changes in other ionic components, this inward current was reduced. At fertilized oocytes and two-cell embryos, the inward current carried by $Ca^{2+}$ and $Na^+$ was severely reduced. Also $Cl^-$ component could not be observed. From these results, the inward current is composed of $Ca^{2+}$, $Na^+$ and $Cl^-$ component, suggesting that the channel carrying this inward current is not selective specifically to $Ca^{2+}$. During early stage of development, the voltage-sensitive ion current seems not to contribute essentially to the cell cleavage and differentiation. The loss of $Cl^-$ component after fertilization suggests that $Cl^-$ may play a role in maintaining the viability of unfertilized ova.

      • KCI등재SCOPUS
      • KCI등재

        학생건강체력평가 등급의 체력수준에 따른 체육교과 태도분석

        한재희(Jae Hee Han),송지환(Ji Hwan Song)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4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1 No.2

        본 연구는 학생건강체력평가(Physical Activity Promotion System: PAPS) 등급에 따른 체육교과의 태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서 학생건강체력평가시스템 결과와 김종환(2004)이 개발한 한국형 체육교과태도척도를 활용하여 PAPS의 체력등급 1∼5등급 범위에서 ‘3등급’을 제외한 1∼2등급(체력우수집단), 4∼5등급(체력우려집단)으로 분류하여 체력수준 및 성별간의 체육교과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J도에 소재하는 중학교 중 자료수집이 용이하고, 연구주제에 대해 관심이 있는 체육교사의 중학교 3곳을 선정하여 한 학교당 60부씩 총 180부의 설문지를 배포한 후 불성실하게 응답한 15부와 ‘3등급’ 학생이 기재한설문지 45부를 제외한 120부만을 최종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절차에 따라 분석한 결과는 첫째: 체력수준에 따른 체육교과에 대한 태도는 체력우수집단의 학생들이 체력우려집단의 학생들에 비해 긍정적정서, 건강과 체력, 신체활동과 움직임, 대인관계, 능동적 참여와 적극적 수행 요인에서 높게 나타났다. 반면 부정적 정서는 체력우려학생집단이 체력우수집단의 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즉, 체력이 낮은 학생일수록 체육교과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성별에 따른 체육교과에 대한 태도는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긍정적정서, 건강과 체력, 신체활동과 움직임, 능동적 참여와 적극적 수행 요인에서 높게 나타났고, 부정적정서 요인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나 여학생들을 위한 체력단련 시설 및 도구 프로그램 등 체육활동을 위한 다양한 환경적 지원이 요구된다. It is a study to examine the attitudes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the Physical Activity Promotion System class The resul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the study First, the excellent physical fitness, students of the population exercise physical fitness positive emotion, and health, and physical activity compared to students of physical fitness concern group, attitude toward subject of physical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hysical fitness level, particip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ggressive was higher by a factor of active and running. On the other hand, concern student population of physical strength, excellent physical fitness, negative emotions, was higher than students of the population. That is, it is possible to know that the more students physical strength is low, attitude to subjects PE is negative this result. Second, schoolboy exercise positive feelings than girls, physical fitness and health, and physical activity, it appears very factors of aggressive execution and active participation, attitudes toward physical education by gender, negative emotions the factors, the girls are required to support environmental a variety of sports activities such as tools and programs fitness facilities for schoolgirl who it appears higher than boys.

      • KCI등재

        반주삼매(般舟三昧)와 대승불교의 기원

        한재희 ( Jae Hee Han ) 인도철학회 2014 印度哲學 Vol.0 No.42

        반주삼매는 초기 대승불교의 특징적인 요소들이 잘 나타나 있는 불수념의 한 종류다. 반주삼매의 원류은 『숫따니빠따 』 , 『앙굿따라 니까야 』, 『증일아함경 』 과 같은 초기경전들에서 발견되는데, 이것이 『주삼매경 』 에 이르러 더욱 발전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반주삼매경 』 에서 설명하는 반주삼매에서는, 출가주의에 대한 강조와 관상의 대상으로 명시되는 아미타불에 관한 모호한 표현, 그리고 대승화된 공사상이 나타난다. 이와 같은 근거들을 통해 『반주삼매경 』 의 찬술이 기존 불교전통의 연장선상에서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특히, 반주삼매의 과정에서 수행자는 현전한 가상의 붓다를 친견하고, 그것에 대한 실체화를 하는데, 이 과정이 새로운 경전의 생산을 가능케 하는 전제가 되었다고 보았다. 이와 같이 등장한 새로운 경전이법사를 중심으로 진행된 ‘경전 확산 운동(textual movement)’으로 발전하여 훗날 대승불교의 기원으로 이어졌다고 추론해 보았다. Clarification about the origin of Mahayana is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issues in current Buddhist academia. A number of Buddhist scholars have studied this issue, however, they still can not perfectly explain it even today. Contemporary Buddhist scholars would admit that the early Mahayana is not any of the following: an independent sect, an ordination lineage (nikaya), a monolith, a concession to laity needs, nor does it have an inherent connection between Mahayana and the stupa cults. In this paper, I attempted to demonst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atyutpannasamadhi(般舟三昧) and the origin of Mahayana based on the Pratyutpannasamadhi sutra, which was translated into classical Chinese by Lokaksema as early as 179 A.D. Pratyutpannasamadhi is a type of buddhanusmrti, which is a practice of meditation emphasizing visionary experience and has appeared throughout some of the Sravakayana literature, such as the Sutta Nipata, the Anguttara Nikaya, and the Zengyi Ahanjing (增壹阿含經). In this original visualization meditation practice Pratyutpannasamadhi incorporates several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Mahayana including an emphasis on the tradition of asceticism, which was required by the monks in the Sravakayana tradition. The Sravakayana tradition incorporates both the ambiguous expressions of Amitabha, who is a typical Buddha of Mahayana, and the concept of Mahayanized Emptiness. These characteristics show that early Mahayana was at its root an extension of the Sravakayana tradition. According to the teachings of the Pratyutpannasamadhi Sutra, one who practices pratyutpannasamadhi can have a direct encounter with an imaginary Buddha in a meditative state and he/she can substantialize the experience. This process of meditation opens the way to re-turn the Dharma wheel, which was put to a halt after Sakyamuni Buddha`s parinirvana. This new Dharma had exerted an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Mahayana by “textual movement” centered on the composition, use, and circulation of the new dharma sutras, and that of the Dharmabhanaka, or “Dharma preachers,” which were its principle agents. This article hypotheses how the Mahayana Sutras were compiled and how established the Mahayana are in today`s societ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새로운 경전의 출현: 샨(Shan) 불교의 lik long을 중심으로

        한재희(Han, Jae-Hee)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1 佛敎學報 Vol.- No.97

        그간 학계에서는 내용과 형식면에서 기존의 경전들과 상당 부분 결을 달리하는 대승경전의 정체성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어 왔다. 특히, 후대에 대승경전으로 분류되는 새로운 문헌들의 출현이 대승불교의 성립과 발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주장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1) 하나의 로컬 텍스트가 그 지역의 문화와 기후, 언어 체계가 가진 특수성 등의 외부 요인들에 의해 변화해가며 경전으로서의 권위를 획득해가는 과정을 살펴보고, (2) 그것이 초기 대승경전 연구에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지 검토해 보았다. 샨(Shan) 불교의 릭 롱(lik long)은 테라와다 전통 내에서 자생적으로 발생한 불교 문헌군이다. 전문적인 훈련을 받은 재가자 그룹, 자레(zare)를 중심으로 전승되는 lik long 전통은, 필사본의 적극적인 제작이 요구되는 고온 다습한 기후환경과 샨족의 문자체계가 가진 한계를 보완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경전의 토착화’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이는 그동안 보수적인 불교로 여겨졌던 테라와다 전통이 가진 개방성과 확장성을 동시에 보여주는 하나의 구체적인 사례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더 나아가 우리가 어떻게 초기 대승경전의 등장을 이해할 것인가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plores how the texts classified as Mahāyāna sūtras acquired their position as canonical scriptures through an example of traditional poetic writings of Shan Buddhism, lik long (Great Manuscripts). The lik long manuscripts, written in the Shan language and script, are indigenous local texts in Shan Buddhism, which have been performed and transmitted mainly by a group of zares. The zare is a lay intellectual, who received professional training for copying, reading, and reciting the lik long manuscripts on various religious occasions in Shan Buddhist temples, including the practice of temple-sleeping, and as such, plays a pivotal role in the reservation and continuation of this religious-literary tradition. In this paper, I first briefly introduce the Shan Buddhism, its ethnical, cultural, and linguistic characteristics, and then investigate the lik long tradition with special reference to how the lik long manuscripts function as canonical scriptures in religious and cultural contexts. I also examine the possible background out of which this lik long tradition emerged and gradually developed. Based on these considerations, it is argued that Shan Buddhists had to develop their own indigenous Buddhist literary tradition because their traditional writing system was incompatible between written and verbal language. It is also suggestted that the lik long tradition in Shan Buddhism is a concrete example that allows us to see the flexibility and openness to change in Theravāda tradition, which has often been regarded as conservative and therefore not likely to be changed.

      • 유교문화와 기독교상담의 문화적 접근

        한재희 ( Jae Hee Han ) 한국복음주의 기독교상담학회 2005 복음과 상담 Vol.5 No.-

        모든 전문적인 상담은 상담자와 내담자 두 인격의 만남을 매개로해서 이루 어진다. 이러한 만남의 과정에서 상담자와 내담자 모두는 자신의 내면 안에 일 생동안 배워온 일정한 형태의 생각이나 감정, 행동이나 태도, 가치관 등을 내 장하고 있다. 오늘날 상담에 있어서 상담자와 내담자의 문화적 차이에 대한 문 제는 매우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상담 및 심리치료의 이론이 서구의 문화적 가치관을 기반으로 해서 발달되었기에 우리나라의 문화 에 적합한 상담의 틀을 세우는 매우 중요한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유교사상은 한국인의 사회문화적 틀을 형성하는 지대한 역사적인 역할을 하 였다. 유교는 종교성에 대한 논란의 여부를 떠나 그 사상자체가 현대를 살아가 는 한국인들의 이념, 가치, 정서, 사회관습, 규범, 교육제도, 가치관 등에 속속 들이 스며져 있다. 특히 한국의 문화적 현상에서 파생된 가부장제도, 서열의식, 여성차별, 가족주의, 혈연, 지연, 학연 등의 연고주의, 비정상적인 교육열풍, 체 면의식 등은 유교적 가치관과 그 영향으로 말미암은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 서 본고에서는 우리나라 문화의 기반이 되는 유교와 유교로 말미암은 사회심 리적 특성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유교적 특성에 적합한 기독교상담적 고찰을 시도해 보고자 하였다. Counseling is a process of encounter between a counselor and a client. There ar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a counselor and a client. Current theories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face to cultural issue. Theories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represent a variety of worldviews, each with its own values, biases, and assumptions about human behavior. Also, there is an increased need for indigenous models of helping used by healers and traditional figures in non- Western societies. In this research, multicultural counseling is introduced for the Application of Korean Christian counseling. Especially, researcher revealed traditional Korean cultural related to Confucianism that has been giving a great influence in Korean culture. Conclusionally, Christian counseling technics was applied for the Korean culture related to Confucian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