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세기 초 일제 강점기 향촌재지사족의 漢文懸吐小說창작에 대한 一考

        한의숭(Han Eui soong)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6 동양한문학연구 Vol.44 No.-

        본고는 향촌을 기반으로 한 재지사족의 당대 현실 인식이 개인 출판물을 통해 표출되던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작성된 것이다. 이를 규명하기 위한 자료로 20세기 초 全北 扶安에 거주하던 高濟安(1845~1927)에 의해 창작된 <神機圖>란 작품과 慶南 密陽에 거주하던 尹載禧에 의해 창작된 <太極翁傳> 두 작품을 주목하였다. <신기도>와 <태극옹전>은 20세기 초에 창작된 한문현토소설로 부안과 밀양이란 지방 향촌에 거주하던 재지사족에 의해 창작되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신기도>는 1916년에 창작되어 해방 이후인 1961년에 출간된 작품으로 향촌재지사족의 현실인식과 관련하여 주목할 부분이 있다. 작중에서 강조한 '塞翁之馬'가 그것으로 일제에 의한 강제 병합의 고통이 지속적인 현실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寓意'로 해석될 수 있는 것이다. 작품이 해방 이후 출간된 것은 작가의 서술의도에 대한 해석이 일정부분 부담으로 작용했기 때문이 아닌가 추정된다. 한편 <태극옹전>은 일제 강점기인 1935년에 출간된 작품으로 儒家와 여타 諸家의 사상 우열 논쟁을 통해 유가이상주의를 선양하는 방식으로 서술되어 있다. 이는 '유가'로 대표되는 전근대 조선의 지배계급의 시대인식이 어떠한지 그 일단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문제는 지배계급의 시대인식과 일제의 사상통치의 목적성이 상호 부합했던 까닭에 사전검열이 심했던 일제 강점기에 출간될 수 있었던 것이 아닌가 추정된다. <신기도>와 <태극옹전>은 일제 강점기 향촌재지사족의 현실 인식의 일단을 작품화 한 사례들로, 1935년과 1961년이란 출간시기에서 볼 수 있듯이 일제의 출판법에 의한 검열의 문제가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이때 핵심은 현실 인식의 표출 방식이 어떻게 노정되었냐 하는 점이며, <신기도>와 <태극옹전>은 우회적으로 표출하거나, 일제에 편승하는 방식으로 작품화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신기도>와 <태극옹전>은 한문현토소설이라는 언어, 문자의 방식으로 향촌재지사족이 당대를 인식하던 시각을 보여준 사례로 향후 보다 입체적으로 조명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바탕으로 일제 강점기 신문, 잡지 등에 수록된 한문현토소설 전반에 대한 새로운 시각이 마련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is paper investigates on the phenomenon of provincial novel family expressing their perception of reality through individual publications. Two pieces were chosen for this research purpose which are <Shin-Ki-Do> created by Ko-Jae-Ahn(1845~1927) who lived in Boo-Ahn, Jeon-Buk and <Tae-Keuk-Ong-Jeon> created by Youn-Jae-Hee who lived in Miryang, Kyung-Nam in early 20thcentury. Both <Shin-Ki-Do> and <Tae-Keuk-Ong-Jeon> are identified as Han-Moon-Hyun-To novel created in Miryang region in early 20thcenturies and they have in common that the authors are from provincial novel family. <Shin-Ki-Do> is created before 1914 and it got published in 1961 right aft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is shows that the reality perception is reflected on the volumes by provincial novel family. Especially in the middle of the volume, the emphasized theme 'Sae-Ong-Ji-Ma' has very high potential to be interpreted as 'a fable' which means that the pain caused by Japanese Colonial Period would not last forever. This piece being published right aft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provides enough room to have a thought of some pressure imposed on the publication process. On the contrary, <Tae-Keuk-Ong-Jeon> is published in 1935 which was still Japanese Colonial Period. This publication chose a method to leading towards on the 'You-Ga' idealism by debating between 'You-Ga' and 'Yue-Ta-Je-Ga'. This could be considered as a way to strategically win over the 'You-Ga' which is high class in premodern ChoSun Society. Because of the strategic purpose to conciliate the class, it seems to be possible to publish the piece eve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hin-Gi-Do> and <Tae-Keuk-Ong-Jeon> was outlets of expressing the reality perception by provincial novel family in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publication years have gaps as between 1935 and 1961. The inspection of Japanese's law over publication would have caused the year gap between those two pieces. The inspection seems to weight the most on the way of expressing the reality perception and there is a clear difference about the level of expressions between <Shin-Gi-Do> and <Tae-Keuk-Ong-Jeon>. As stated above, there is a clear evidence of being affected by Japan's lawful influence over publication to see one being published during the Colonial Era and the other being published right after the era ended because of the level of expressions. <Shin-Gi-Do> and <Tae-Keuk-Ong-Jeon> are very interesting pieces to study because even though both pieces started from the same base as the expression of reality perception by provincial novel family in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y split into two different ways as they evolves as Han-Moon-Hyun-To novel. In the near future, It is exciting to look forward to have new perspectives on Han-Moon-Hyun-To novel covered by newspapers and magazines in Japanese Colonial Period.

      • KCI등재

        19세기 서울, 욕망 투쟁과 가족 해체의 관계 : 「布衣交集」을 중심으로

        한의숭 ( Han Eui-soong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9 민족문학사연구 Vol.70 No.-

        「포의교집(布衣交集)」은 19세기 서울이라는 공간을 중심으로 기혼남녀의 사랑을 다룬 문제적 작품으로 그동안 주목받았다. 기존의 논의는 ‘불륜’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초옥’으로 대변되는 여성의 욕망을 분석하는 데 집중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시각에 대해서는 재조정이 요구된다. 이점에 있어서 중요한 포인트가 바로 가족이다. 때문에 본고에서는 불륜과 여성의 욕망 문제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욕망의 층위와 가족의 문제를 연결시켜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포의교집」의 여주인공 초옥은 개인을 소환하는 여성 주체로 존재하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특정 모델을 상정한 ‘모방주체’로서 ‘인정욕구’에 휩싸인 인물로 해석된다. 때문에 그녀라는 주체가 추구하는 욕망투쟁은 대단히 강렬한 인상을 남기긴 하나, 애당초 인정을 성취하기 힘든 것이었다. 왜냐하면 상대방인 남성 주체가 추구하는 욕구와 시선과 지향점이 달랐기 때문이다. 작품 속에 등장하는 남성 주체는 크게 두 부류로 나눠진다. 이생과 중약 등 사대부 남성과 초옥의 남편이 그것이다. 사대부 남성은 욕구의 해소 대상으로 인식하는 시 각에 시종일관 머물러있다. 하지만 초옥의 남편은 아내를 지킴으로서 가족을 유지하고, 피지배계급이기에 겪게 되는 부당한 폭력으로부터 본인의 주체적 존재를 인정받으려는 욕망으로 존재한다. 이점에서 남녀 주체의 상호 다른 욕망은 불륜이란 금기를 통해 발산되지만, 그것이 이면에 도사리고 있던 가족해체라는 또 다른 금기를 건드리고 문제 제기를 한다는 점에서 「포의교집」은 19세기 서울의 가족 문제를 환기시키고 있다는 게 중요하다. 특히 개인의 욕망 추구가 가족 해체의 문제와 결부되고, 그것이 주로 하층민 가족에게 작동된다는 점에서 「포의교집」에 깔린 가족 문제는 계급의 문제와 중요하게 결부된다. 특히 이러한 메커니즘이 작동할 수 있는 19세기 서울이라는 시공간이 밑바탕을 이루고 있다는 점에서 개인의 욕망과 가족해체의 충돌은 작품을 새롭게 독해하는 지점으로 충분히 설정 가능하다. 「포의교집」에서 가족의 문제는 파국으로 치닫는 위험한 줄타기의 연속과 같은데, 개인의 욕망이 가족이라는 제도의 장벽과 맞부딪치면서, 파생된 욕망의 성공여부가 가족의 해체문제와 직접 연관이 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내장하고 있다. 개인의 욕망과 가족 해체 사이의 시소게임을 「포의교집」은 정면으로 응시한다는 점에서 19세기 서울을 둘러싼 욕망과 가족에 대한 새로운 입점의 시야를 마련해 줄 수 있다. describes extramarital affairs in 19th century Seoul. The existing discussion is mostly focused on woman’s desire highlighting Cho-Ok, the main character’s individual character. However, this perspective needs reconsideration precisely because the important starting point of the literature should be family, rather than individual, given that it was produced in the 19th century. This paper s tries to go one step further from the previous discussion on ‘love affairs’ and women’s desires by shedding new lights on the levels of desires and by connecting them with family issues. If one takes a closer look at the main female character, Cho-Ok, she cannot miss that Cho-Ok is full of ‘the desire for recognition’ as a subject of mimicry / imitation. Thus even though the struggle of desire that she displays certainly leaves very strong impression for readers, she is not able to identify or pursue her own desire because the available model is only patriarchal and because it does not fit into her case. In other words, her desire, from the beginning, departs from that of the main male character’s desire and perspective. Male characters in the piece can be categorized into two different groups. The first group is gentry group(including ‘Yi-Saeng’ and ‘Jung-Yak’) and the other group is socially dispriviliged group(including Cho-Ok’s husband). Gentry characters look at women as the object of their own desire. On the contrary, Cho-Ok’s husband tries to maintain his family by protecting his wife and, at the same time, attempts to be independent while resisting against the structural and hierarchical violence. He also displays the desire for recognition despite his social status. It is at this point that the different shapes of desire are expressed through ‘affairs.’ While ‘affairs’ is a societal taboo which is, in turn, inextricably linked with another societal taboo of family dissolution, men and women of different desires converge and diverge through affairs. Thus Po-Eui-Kyo-Jib has its importance of temporarily loosening family ties in 19th centuries Seoul. Especially Po-Eui-Kyo-Jib shows that family issues are closely related to their societal statuses in that individuals’ pursuits for their personal desires are ultimately directed to family dissolution, which mostly affects families of lower societal class. This collision between personal desires and family structure has to be rendered crucial in interpreting the piece. Family issues in Po-Eui-Kyo-Jib are so volatile as to be likened to the tightrope walking in circus that is destructive in plain sight. The meaning of ‘affairs’ is personal and social at the same time; the act and meaning is derived from the collision between personal desires and family systems and the collision between family disintegration and social taboos. Po-Eui-Kyo-Jib directly deals with a seesaw game between personal desire and family dissolution, which gives us new interpretive possibility and challenge to understand the families in 19th century Seoul.

      • KCI등재

        18~19세기 傳奇小說의 인물형상 再考-<沈生傳>과 <布衣交集>을 중심으로-

        한의숭(Han Eui soong) 대동한문학회 2019 大東漢文學 Vol.58 No.-

        본고는 18~19세기 전기소설에 등장하는 남녀 주인공의 인물 형상을 <沈生傳>과 <布衣交集>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그동안 18~19세기 소설에 등장하는 남녀 주인공은 나약하고 소심한 남성 주인공과 적극적으로 애정 성취에 나서는 여성 주인공으로 이해하던 시각이 주류였다. 하지만 이러한 관행적 인식에서 탈피하여, 본고에서는 두 작품의 인물 형상을 새롭게 구획해 보고자 하였다. <심생전>과 <포의교집>은 18~19세기 전기소설의 대표적인 작품임과 동시에 전대와 구별되는 성격 또한 가진다. 특히 서사 전반에 걸쳐 현실성을 전면에 내세우되 통속의 시대에 걸맞게 통속적 성향이 이면에 배치되고 활용되고 있는 게 특징적이다. 이러한 성향은 正典화 된 傳奇文法을 패러디한 통속적 인물로 형상화 되거나, 감정 과잉과 이기적 욕망이 流露되는 감성적 주체로 형상화 된 것에서 확인할 수 있다. 문제는 18~19세기 한문소설사 전반에 걸쳐 현실성과 통속성이 상호 교 합된 작품의 출현은 특이한 현상이 아닌 일정부분 시대적 경향성을 띤다는 점이다. 이점은 19세기 한문중단편소설이 보수와 진보의 양극단을 넘나드는 행보를 취하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예를 들어 19세기에 창작된 한문소설은 <片玉奇遇記>나 <一夕話>, <李花實傳>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충・효・열’로 대표되는 보수적 이데올로기의 강조에 방점이 찍혀있다. 하지만 서술 방식에 있어서는 복선의 활용, 여종의 사대부가 여성 징치 등과 같이 통속적 요소들을 곳곳에 활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劉生傳>, <三海誌> 등에서 원혼, 해저 생물과 같은 통속적 소재를 활용하여 창작되는 것에서도 여실히 확인된다. 이처럼 현실성과 통속성의 교차는 18~19세기 한문소설사를 이해하는 중요한 입점으로 주목된다. 본고는 우선 <심생전>과 <포의교집>의 인물 형상을 중심으로 기존 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한 뒤 새로운 의견을 제기하였다. 뿐만아니라 17세기 이후 한문소설사의 구도를 기획하는데 현실성과 통속성이 어떠한 위상을 차지하는지 논의하기 위한 예비적 작업의 성격 또한 가진다. This paper investigates male and female characters’ Character shape showing up in 18th~19th centuries novels through <Sim-Saeng-Jeon> and <Po-Eui-Gyo-Jib>. Meanwhile, it used to be main trend to understand male characters to have weak and timid personalities and female characters to have aggressive character to pursue their loves. However, these conventional recognitions need to be broken and this paper tries to newly compart character shape in those two novel. <Sim-Saeng-Jeon> and <Po-Eui-Gyo-Jib> are the two exemplary 18th~19th centuries’ novel and have distinct characteristics apart from previous era. Especially, it largely shows the sense of practicality in the front page of description and places conventional characteristics behind. These characteristics are formed into conventional characters based on readers’ expectations through calculated borrow of Jeon-Gi grammar or these can be found in the formation of male and female characters having surplus emotions and selfish desires collided with each other. The problem is that the emergence of works that combine realism and modification of story throughout the 18th~19th centuries Chinese novel history is not a unique phenomenon but rather anachronistic trend. This point is not unrelated to a medium-length and short story novel written by chinese in 19thcenturies taking paths between two extreme ends of conservatism and progressivism. For example, as it can be found in 19thcenturies novel such as <Pyeon-Ock-Gi-Wu-Gi>, <Il-Seok-Hwa> or <Ei-Hwa-Sil-Jeon>, It has a side dot on the emphasis on the conventional ideology of ‘Royalty・Filial duty・Faithfulness’. However, it uses foreshadow as description method and discipline gentry woman of a female servant as conventional factors in here and there which clearly stands out in <Yu-Saeng-Jeon> and <Sam-Hae-Ji> using conventional materials such as revengeful spirits and epibenthos. Like this, it needs to pay attention to the crossing of practicality and conventionality as an important standing point to understand 18th~19th centuries Chinese novel history. Above all, this paper critically reviews the existing discussion centered into Character shape of <Sim-Saeng-Jeon> and <Po-Eui-Gyo-Jib>. Also it is precautionary writing to discuss which statuses practicality and conventionality take in the planning of post 17th centuries’ composition.

      • KCI등재

        나덕헌(羅德憲)의 『북행일기(北行日記)』 연구

        한의숭 ( Han¸ Eui-soong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0 호남학 Vol.0 No.68

        인간에 대한 초상은 기록의 흐름 속에서 윤곽이 그려진다. 이를 통해 한 인간에 대한 표폄이 후대에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는 그만큼이나 기록의 객관성과 엄정성의 확보를 요구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런 측면에서 일기는 개인 기록이긴 하나 역사의 공백을 보충하는 사료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본고는 호남 지역 출신 인물인 羅德憲(1573∼1640)의 『北行日記』를 주목한 것에 해당된다. 나덕헌의 『북행일기』는 춘신사로 1636년 2월 9일부터 4월 29일까지 수행한 여정을 기록한 사행일기에 해당된다. 해당 사행에서 나덕헌은 후금 황제의 남교 즉위식에 하례 문제와 황제참칭의 국서를 받아온 것으로 인해 곤란을 겪게 되었으나, 이후 청나라의 문서 자료를 통해 누명이 벗겨지기도 하였다. 이후 나덕헌에 대한 전기 자료가 다수 창작되었는데, 이것들의 기초적 자료라 할 수 있는 게 바로 『북행일기』이다. 『북행일기』는 단순한 사행 여정에 대한 기록에 중점을 두기보다 조선과 후금 사이의 외교를 중심으로 팽팽한 긴장 관계를 진술한 보고서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때문에 『북행일기』에서는 지역 문화와 지역민의 생활 및 풍경에 대한 묘사나 서술은 거의 눈에 띄지 않는다. 또한 『북행일기』는 여타 실기와 달리 장황한 세부 묘사나 자기 변명적 논설에서 한걸음 비껴나 있다. 대화 방식에 바탕을 둔 서술을 통해 현장감을 살리는데 중점을 두고 있는 게 그것이다. 이와 함께 기록이 조작이나 왜곡의 혐의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담백하게 사실을 진실성 있게 기록하는 형태를 강조하였다. 『북행일기』는 후대 문인들에 의해 다수의 나덕헌 전기가 창작될 수 있었던 중요한 원천이었다. 나덕헌은 병자호란 전후에 걸쳐 후금과의 관계 속에서 조선의 節義를 표상하는 상징으로 존재가 부각되었다. 『북행일기』의 기록은 나덕헌이란 인물이 현양되는 과정에서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북행일기』는 사적 일기 또는 춘신사행의 기록으로 단순히 취급될 수 없다. 일기임에도 공적 기록의 성격을 띄고 한 개인의 삶에 절대적 영향력을 미치며, 후대에 표상될 수 있는 증명 자료로 소환되었다는 점에서 그 위상을 자리매김할 필요가 있다. The portrait of man is outlined in the flow of records. This will lead to denigrating of a human being in the future, which also calls for securing objectivity and strictness of records. In this respect, the diary is a personal record, but it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feed to fill the void in history. This paper corresponds to the attention of Na Deok-heon(羅德憲, 1573-1640)’s 『Buk-haeng-il-gi』, a figure from the Honam region. Na Deok-heon’s 『Buk-haeng-il-gi』 corresponds to the record of his journey from February 9, 1636 to April 29, 1636. Na Deok-heon was in trouble for attending the royal ceremony of Namgyo and receiving the royal books of Emperor, but he was later cleared of the charge through documents from the Qing Dynasty. A number of biographical materials about Na Deok-heon were created, and the basic material of these was the 『Buk-haeng-il-gi』. Rather than focusing on the record of a simple journey, 『Buk-haeng-il-gi』 is important as a report that states the tense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Who-Geom, focusing on diplomacy. Therefore, in 『Buk-haeng-il-gi』, the statement and the description of local culture, the life of local people and its scenery are rarely noticeable. In addition, 『Buk-haeng-il-gi』 is a step away from lengthy detailed descriptions and self-evident editorials. The focus is on reviving the sense of realism through descriptions based on dialogue methods. And, it emphasized the form of recording facts in a simple and sincere manner so that the records could be free from charges of manipulation or distortion. 『Buk-haeng-il-gi』 was an important source of many Na Deok-heon’s biographies for later writers. Na Deok-heon’s existence was highlighted as a symbol of Joseon’s integrity before and after the Manchu invasions. The record of 『Buk-haeng-il-gi』 is very important in the process of Na Deok-heon being enshrined. Therefore, 『Buk-haeng-il-gi』 cannot be simply treated as a private diary or a record of Chun-shin-sa-haeng. Although it is a diar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its status in that it has the character of a public record, has an absolute influence on a person’s life, and has been summoned as a proof that can be reflected in future generations.

      • KCI등재
      • KCI등재

        조선후기 문집에 나타난 『금오신화(金鰲新話)』와 『기재기이(企齋記異)』의 흔적

        한의숭 ( Han¸ Eui-soong ) 한국고소설학회 2020 古小說 硏究 Vol.50 No.-

        본고는 조선 후기 문집에 나타난 『금오신화』와 『기재기이』의 흔적을 발견하고 그 성격을 이해하기 위한 차원에서 기획되었다. 15~6세기 전기소설의 명편인 두 소설집은 이본 수가 그리 많지 않다. 사적 위상에 비해 조선 시대 전반에 걸쳐 열독의 대상으로 주목되지는 않았던 것으로 이해되는 부분이다. 일단 본고에서는 기존에 남아 있는 두 소설집 관련 기록을 재검토하여 윤춘년에 의해 간행된 목판본 『금오신화』는 『중종실록』 편수관으로 윤춘년과 함께 참여했던 윤옥을 통해 하서 김인후가 열람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한편 조선 후기 문집에 나타난 『금오신화』의 흔적은 〈남염부주지〉가 18세기 경주 지역 출신 문인 목재 황곡의 『목재집』 잡저 『남강만록』에 실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때 당대 문인에게 〈남염부주지〉는 소설로 이해되기보다 불가를 비판하기 위한 이론적 관점을 발명하는 근거로 원용된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와 함께 『기재기이』 소수 〈서재야회록〉은 20세기 초 문인인 성세영의 『나옹문집』 잡저에 〈별서야회록〉이란 제명으로 실린 것을 발견하였다. 성세영의 문집에 수록된 작품은 기재 신광한의 〈서재야회록〉과 비교해 봤을 때, 큰 변개가 발견되지 않는 것으로 이는 일종의 위작 내지 표절에 해당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어떠한 과정에 의해 〈서재야회록〉이 〈별서야회록〉으로 제명이 바뀌어 성세영의 문집에 수록된 것인지 확인할 수 없으나, 이러한 현상 자체는 특이한 것으로 특기할 만하다. 본고는 무엇보다 고소설 관련 자료의 흔적을 찾는 데 있어서 『한국문집총간』 중심에서 영호남의 각 지역에 소장된 자료로 연구의 범위를 확장시킬 필요가 있음을 환기시키는 목적을 가진다. 특히 『금오신화』의 작품이 황곡의 문집에 실린 사실에서 볼 수 있듯이 18세기 경주 지역을 중심으로 황곡과 교유한 인물 및 그 주변으로 범위를 넓혀 문집과 관련 자료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새로운 고소설 작품과 관련된 자료는 이제 일정부분 얼개가 그려졌다고 봐도 무방할 듯하다. 물론 어디에선가 새로운 작품이 발견되고 그 가능성 또한 충분히 열려 있긴 하나, 자료를 찾는 대상과 범위를 전환할 필요가 있다. 본고는 이러한 측면에서 지역에 소장된 문집 자료의 중요성을 지적하고자 한다. This study intends to discover the traces of 『Geum-o-Shin-hwa(金鰲新話)』 and 『Ki-jae-ki-yi(企齋記異)』 in literary compilations of late Joseon Dynasty and to understand their characteristics. The two novels, which are masterpieces of biographical novels of the 15-16th centuries, do not have many copies found. Compared to its historical status, it is presumable that it had not enjoyed popularity among readers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This paper primarily reviews records regarding these two novels and estimates that the woodblock printed 『Geum-o-Shin-hwa(金鰲新話)』 was published by Yun, Chun-nyeon and was read by Ha-seo Kim, In-hoo through Yoon-ok, who participated in the publication of 『Chung-jong-Sil-lok』 as an editorial officer with Yun, Chun-nyeon. The traces of 『Geum-o-Shin-hwa(金鰲新話)』 also appear in the literature of the late Joseon Dynasty, as < Nam-yeom-bu-ju-ji(南炎浮洲志) > is found in 『Nam-kang-man-rok(南岡謾錄)』 in 『Mok-jae-jip(牧齋集)』 by Mok-jae Hwang Gok, who lived in Gyong-ju in 18th century. It was found that as < Nam-yeom-bu-ju-ji(南炎浮洲志) > provided a theoretical basis to criticize Buddhism for the contemporary literary circle rather than it was read as a novel. Along with this, < Seo-jae-ya-hoe-rok(書齋夜會錄) > of 『Ki-jae-ki-yi(企齋記異)』 was found to have been published under the title of < Byeol-seo-ya-hoe-rok(別墅夜會錄) > in 『Na-ong-moon-jip(裸翁文集)』 by Seong, Se-young, a writer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text contained in Seong, Se-young's compilation does not largely alter the original text when compared to < Seo-jae-ya-hoe-rok(書齋夜會錄) > which is Shin, Gwang-han's original text. It makes the work of Seong, Se-young fall into the category of forgery or plagiarism. Although it is difficult to figure out how < Seo-jae-ya-hoe-rok(書齋夜會錄) > was retitled to < Byeol-seo-ya-hoe-rok(別墅夜會錄) > and was included in the works of Seong, Se-young, it draws attention with its peculiarity. This study also asserts the necessity to expand the scope of the research for the remnant of Korean classical novels from Korean Literary Collections to materials preserved in Young-nam and Ho-nam areas. As it can be seen from the fact that the text from 『Geum-o-Shin-hwa(金鰲新話)』 was included in the book of Hwang Gok,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the research to the works of those who were associated with Hwang Gok in Gyeong-ju region in 18th century to find out relevant materials. For instance, the following figures are estimated to socialize with Hwang Gok and there exists the necessity to review their work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possibly assume that materials regarding Korean classical novels are mostly to be found. New materials can be found anytime, however, changes in the target and scope of the research are required. In this respect, this study accentuates the importance of the regional collections of literary works.

      • KCI등재

        신발굴 漢文小說 <巴陵奇事> 연구

        한의숭(Han, Eui-soong) 대동한문학회 2013 大東漢文學 Vol.38 No.-

        본고는 필자에 의해 새로 발굴된 한문소설을 소개하고 그 서사적 특징에 관해 논의하려는 의도 아래 작성된 것이다. 본고에서 소개하는 자료는 대구 가톨릭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된 <巴陵奇事>라는 한문소설이다. 서지사항은 전체 198면, 매면 12행 14자, 총 33,000여자 정도 분량의 필사본 1책으로 작품 말미에 ‘壬戌 二月 十二日 右寫’라는 필사년도가 기재되어 있어, 대략적으로 19세기에 창작된 작품으로 추정된다. 본고에서는 새로 발굴한 <파릉기사>를 소개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먼저 서사분절을 개괄한 다음 작품의 서사적 특징에 관해 4가지 측면에서 살펴 보았다. 첫째, <파릉기사>는 ‘家族의 構成과 離合’이라는 서사 구조를 핵심 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점은 남녀 주인공인 李夢星과 梅玉英 그리고 그의 아들인 雲南生으로 구성되는 가족의 구성과 이합의 과정을 중심으로 서술된 것에서 확인된다. 이와 함께 서사 전개 양상에 있어 독특한 면모 또한 발견되는데, 그것은 유배지로 남편을 찾아나서는 아내의 여정이, 이후 아들이 아버지를 찾아나서는 여정으로 반복되는 서사가 구축되는 것을 통해 확인된다. 이를 통해 ‘家族’의 구성이 서사의 중요한 핵심 축으로 설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파릉기사>는 ‘家門小說’적 양상 또한 일정부분 틈입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파릉기사>는 19세기에 창작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 시기에 창작된 작품임을 짐작케 하는 성향으로 전대 소설의 화소가 활용되고 있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파릉기사>의 경우 <淑香傳>의 화소가 세부적으로 차용되고 있는데, <숙향전>의 화소를 활용한 것은 전범이 되는 작품의 화소를 차용하여 서술함으로써 독자로 하여금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역할을 기대한 서술방식으로 이해된다. 셋째, <파릉기사>는 經傳의 주석 방식 및 夾批를 부분적으로 활용하여 서술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는 본문에 기술된 단어의 하단에 경전의 細注처럼 音을 달거나 특정 대목이나 단락에 관해 여백 상단에 간단한 설명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기술되고 있다. 이점은 조선후기 평점소설 계열에서 간헐적으로 확인되는 양상으로 <파릉기사>의 서술방식에 김성탄 평비의 편린이 일정부분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는 부분이다. 넷째, <파릉기사>는 漢詩, 書簡, 上疏, 祭文 등 다양한 한문문체 양식이 활용되고 있으며, 이 가운데 漢詩는 작중 인물의 재능을 과시하는 요소로 활용되고 있고, 上疏의 경우 갈등을 부각, 해소시키는 양식으로 활용되고 있다. 게다가 이러한 문체 양식의 활용은 작품의 분량 확대를 통한 중편화 경향에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이들 양식의 활용을 통해 작중 등장인물의 감정 전달이 디테일하게 이뤄지는 효과를 낳고 있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introduce the newly discovered a Chinese novel and discuss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a Chinese novel. The data which is depicted through this paper is <Pa-Reung-Ki-Sa> that is a Chinese novel kept at the Dae-Gu Catholic University library. The total number of pages is 198 and every page has 12 lines and 14 words. The total words used in this book is approximately 33,000 words and there is ‘imsul two month twelve right descrive’ which indicates the publication year recorded at the last page of this book so this book is estimated to be created in 19th centuries. This paper focuses on introducing <Pa-Reung-Ki-Sa>, the recently discovered novel, and analyzed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in 4 different aspects after appreciating divide narrative. First of all <Pa-Reung-Ki-Sa> is narrative with a core of narrative structure which is ‘composition and meeting and parting of family’. This point could be identified through the process of meeting and parting and the family members composed of Lee Mong Sung who is male main character, Mae Oc Young who is female main character and their son Un Nam Saeng. With this point, also the unique and interesting aspects are discovere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narrative story, which could be identified through the wife’s trip to find her husband in isolated place is repeated as the son tries to find his father later on. The composition of ‘family’ is set up as an important core part in terms of structuring narrative and <Pa-Reung-Ki-Sa> is identified as being composed of ‘korean family novel’ aspects for a certain level in this matter. Second, <Pa-Reung-Ki-Sa> is estimated to be published in 19th centuries because story of former novel is utilized, which gives a big clue to its publication date. In the case of <Pa-Reung-Ki-Sa>, the story of <Sook-Hyang-Jeon> is partially adopted and using the story of <Sook- Hyang-Jeon> is regarded as a method to drive interests from readers by describing the story with adoption of the story of novel that could be classic. This could be interpreted as that ‘popular nature’ is a intrinsic characteristic of this novel. Third, <Pa-Reung-Ki-Sa> utilizes the descriptive method with the annotation method of Confucianism bible and partial use of side criticism. This is described as a method that suggesting simple explanation as a formation of annotation about specific lines or paragraphs by attaching the sound like annotation of Confucianism bible. This aspect is rarely identified in post cho-sun mark novel group and a portion of jin seung tian criticism seems to give certain level of influences on <Pa-Reung-Ki-Sa>. Fourth, <Pa-Reung-Ki-Sa> contains various formation of chiness writing styles like Chinese poem, epistle, appeal papers, funeral oration and among those Chinese poem is used as a factor by showing off the talent of a character, developing conflicts in case of appeal papers, and resolving the conflicts. Furthermore the usage of those writing styles gives influences on the tendency of a medium-length story through expanding the volume of novel and it gives impact of developing the process of expressing characters’ emotions in detail.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