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1920년대 일본의 창조교육론에 관한 고찰

        한용진 ( Yong Jin Hahn ) 창조교육학회 2014 창조교육논총 Vol.1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reative Education theory of Inage Kinsichi(稻毛金七:1887-1946) in 1920`s Japan.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needs of new middle class in 1920`s Japan are ① child-centered, ② strict discipline, and ③ scholarly competent education. Second, as it has been more than 50 year since the modern educational theory had introduced from the west, the new educational theory such as ``Eight Educational Doctrines`` started to appear. Thirdly, Inage established an original ``creative education theory`` based on his experience as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as an editor of educational magazine. Fourth, as he consider the Pedagogy as normative science, ``creativity`` is the core principle of his creative education theory. He oppose not only the cramming, imitative and teacher-initiative education, but also automatical, secular and materialistic teaching.

      • KCI등재

        갑오개혁기 일본인의 한국교육 개혁안 고찰: 근대화 교수용어 선택을 중심으로

        한용진(Hahn, Yong-Ji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9 敎育問題硏究 Vol.0 No.3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ducational reform ideas about Korea in the Kabo Reform Reriod (1894.7-1896.2) which was published in the Japanese educational magazines. I examined the social backgrround of Kabo Reform and the discussions on the teaching and written language of modernization at Charpt 2, and explained the discuss on the Korean educational reform idea by Japanese at Charpt 3.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re are two different insistences; one is Korean as basic(Japanese as subsidiary), and the other is Japanese exclusive use(abolition of Chinese and Chinese letter). Second, these two insistences were expressed in serial order in the Kabo Reform Period. Third, I presumed that the insistence of abolition of Chinese letters which was claimed by Japanese, provide the momentum for the awakening of the importance of ‘Hangeul (Korean letters)’ and establishment of the Dongnipsinmun(The Independence Paper) in 1896. 본 연구는 갑오개혁기(1894.7-1896.2) 일본에서 간행된 각종 교육관련 잡지에 나타난 일본인들의 한국(당시에는 조선) 교육 개혁안에 관하여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제II장에서는 갑오개혁기의 교육개혁으로 시대적 배경과 함께 당시 교육개혁에 대한 논의가 어떻게 진행되었는가를 살펴보고, 제III장에서는 교육개혁에서 일본인들의 근대화 교수용어 논의가 어떻게 진행되었는가를 정리해 보았다. 크게 두 가지 입장으로 나뉘는데, 한국어를 근간으로 일본어를 보조언어로 선택하자는 ‘한국어기본론’과 중국어와 한자 폐지를 통한 ‘일본어 전용론’이다. 그러나 1894년에 갑오교육개혁으로 가장 먼저 세워진 사범학교의 교육내용을 볼 때, 일본어 전용론은 실현되지 못하였다. 하지만 한문폐지의 논의는 관보의 국한문혼용체 사용과 그 후 독립신문의 창간과 같이 한국어 사용에 대한 관심을 높여주는 계기가 되었다.

      • KCI등재

        일본국 군주 호칭에 관한 일고(一考)

        한용진 ( Yong Jin Hahn ) 한국교육사학회 2016 한국교육사학 Vol.3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의 군주 호칭을 한국어로 표기하는 것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높이려는 것이다. 천황과 일왕을 주장하는 사람들의 논쟁점은 다음 세 가지이다. 첫째, 일본의 군주 호칭을 정할 때, 한일의 과거사를 의식하는가? 둘째, 언어적으로 ``天皇``은 한자어인가 외국어인가? 셋째, 문법적으로 ``天皇``은 일반명사인가, 고유명사인가? 아래의 표에 나타난 세 가지 쟁점(역사적, 언어적, 문법적)을 균형 있게 고려했을 때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일본 군주 호칭은 천황과 덴노라 할수 있다. 즉 언어적·문법적 쟁점을 고려할 때, 관례적으로 사용하던 천황은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는 1945년까지의 실질적 일본 군주로서 그대로 사용하되, 1945년 8월 이후의 상징적 통치자로서 일본 군주는 ``덴노``로 구분하여 부르는 방안을 제안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lt the social awareness about the proper translate word of tenno(天皇) into Korean. The three disputed points of chun-whang and il-wang is as follows; First, do people still mind historically about the designated name of the Japanese monarch? Second, is the word tenno classified as chinese characters or as a foreign language for Koreans? Third, is the word tenno a proper noun or a general noun? Referring to the following table, you can decide what word is most suitable historically, linguistically, and grammatically. As a result, I propose chun-hwang and tenno as the two most suitable words. The former stands for the Japanese substantial ruler before the end of World War Ⅱ due to the common use and consideration of linguistics and grammar. The latter stands for the symbolic ruler after World War Ⅱ (1945.8) because of the grammatical principles and linguistical, grammatical consideration as well

      • KCI등재

        학회지 분석을 통한 한국의 교육사 연구 동향

        한용진 ( Yong Jin Hahn ),정은정 ( Eun Jung Jung ),권혜정 ( Hye Jeong Kwon ),박주희 ( Joo Hee Park ) 교육사학회 2010 교육사학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한국의 교육사학을 대표하는 두 학술지에 게재된 499편의 논문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에서의 교육사 연구 동향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분석방법으로는 선행연구를 통해 어떠한 분석틀을 사용할 것인가를 밝히고, 이어서 연구 시기별, 지역별, 내용별 논문분석과 함께 발표시기별 연구동향의 변화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두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의 연구 대상 시기는 조선시대가 가장 많았는데(27.6%), 1990년대 전후에는 해방후, 그리고 2000년대 후반에는 일제강점기 연구가 가장 많다. 둘째, 연구 대상 지역은 한국이 3/4을 차지하는 등 90% 이상이 동양이며, 1990년대 이후에는 한국 내 지역연구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셋째 내용상으로는 교육사상사가 가장 많고(38.5%), 교육제도사와 교육학사의 순서이다. 구체적으로는 1990년을 전후하여 전통시대의 교재 및 교수방법에 관한 연구 및 일상적 삶에 대한 내용이 증가하고 있다. 넷째 두 학술지의 성향을 비교해 보면 <교육사학연구>가 <한국교육사학>보다 조선시대 및 고대 교육사 연구 비중이 더 높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the history of education by Journal analysis of two History of Education Society in Korea. Total of 499 papers which were published in two academic journals; The Korean Journal of History of Education(The Korean Society for History of Education) and History of Education(The Society for History of Education). At first, the framework for analyizing research trends is suggested as a result of literature review. And then two academic journals have been analyzed by the criteria of period, region, and the Contents by using of the framework.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Joseon Dynasty period has been studied mostly(about 27.6%) in terms of the Periods. And the Liberation period before and after 1990s, and the Japanese Colonization period in the late 2000s are ranked by the frequency of the studies. Second, according to region, approximately 3/4 of the papers have studied about Korea, and more than 90% of the papers was compiled by the Asian-related studies. Since 1990s, the study of the region of South Korea has been increasing. Third, related to content, the history of Educational Thoughts has been researched mostly(38.5%), and are ranked the history of Educational System and History of Pedagogics nextly. Specifically, as a result of research trends of content, the textbooks and teaching methods of the traditional period and ordinary life on the educational and cultural history have been rapidly increased since 1990`s. Fourth, comparing with the tendencies of two journals, a periodical study proportion of the After the Liberation and the Whole Historical papers at The Korean Journal of History of Education is higher than History of Education. The Korean Journal of History of Education is dealing with foreign research papers widely about Japan or Western countries and so on.

      • KCI등재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교육 관련 용어 분석

        한용진 ( Hahn Yong-jin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7 民族文化硏究 Vol.74 No.-

        본 연구는 `교육`이라는 용어가 오늘날 학습자 주도의 교육현상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조선왕조실록』에 등장하는 다양한 교육 관련 용어들의 분석을 통해 교육개념을 재정립하고자 한다. 다만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교육 관련 용어들을 귀납적(歸納的)으로 분석하기보다는 연역적(演繹的) 분석을 시도하였다. 바뇨니의 『동유교육』(1620)에서 논의된 `양육-교수-학습`의 `육(育)`·`교(敎)`·`학(學)`을 핵심적 분석틀로 삼아 『조선왕조실록』에 나오는 교육관련 용어를 유형별로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교육`이라는 단어는 가르침[교(敎)]과 기름[육(育)]만을 반영하는 용어로, 배움[학(學)]의 개념이 결여되어 있기에, 이를 보완한 균형적 관점이 요구된다. 둘째, 맹자의 `교육(敎育)` 개념이나 영어 `education`의 번역어로서 `교육`은 모두 타인에 의한 `길러짐`과 `가르쳐짐`이라는 수동적 행위에 주목하고 있다. 셋째,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나는 교육 관련 용어에는 수동적으로 타인에 의해 길러지고 가르쳐진다는 `육`과 `교`의 개념 이외에도 스스로 배우는 `학`과 관련된 용어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교수 중심의 `교육`이라는 용어는 배움의 즐거움까지도 포함하는 `학`의 관점이 포함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새로운 용어로 `육교학`을 제안해 본다. It was my subject of inquiry that the word `kyo-yuk(敎育: education)` doesn`t reflect sufficiently the learner initiative educational phenomenon these days. S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build the concept of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words of educational concept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However, it was executed not by inductive logic, but by deductive reasoning. In order to do this, I proposed an analysis framework of `yuk-kyo-hak`(育敎學), consisting of bringing up, teaching, and learning, from the book of Dong-Yu Kyo-Yuk(童幼敎育), written by P. A. Vagnoni. Also I verified the pertinency of this analysis framework using the three typical educational concepts and the English dictionary. After that, I analyzed three types of educational concept from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word `education` reflects teaching and bringing up, but is deficient in the learning concept. That means that, from now on, it needs the balance of teaching, learning and bringing up. Secondly, the concept of education by Mencious thought much of passivity as well as that of western concept. Thirdly, the words related to education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re balanced with the teaching, learning and bringing up. Therefore I propose to use the word `yuk-kyo-hak` instead of `kyo-yuk` for including the delights of learning which was disregarded in instruction focused in modern schools.

      • KCI등재

        관제기(1894-1906) 관립 외국어학교 연구

        한용진 ( Hahn Yong-jin ) 안암교육학회 2017 한국교육학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관제기 관립 외국어학교의 교육사적 의미를 정리하기 위한 것으로, 이 시기 설립·운영된 6개 관립 외국어학교의 교사진 특성과 학생수 변화를 통해 당시 외국어교육 정책과 외국어학교간 비교우위를 살펴보고자 한다. 1894년 갑오개혁을 통해 과거제와 신분제를 폐지한 조선에서 외국어 교육은 근대적 문물 습득과 사회적 지위 상승을 위한 문화자본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제기의 외국어학교는 당대 최고 수준의 교육기관이었다. 입학연령은 15세 이상 23세 이하였지만 실제 입학생들 대부분은 20세 이상이었다. 둘째, 관제기 외국어학교의 몇몇 교사 중에는 군사와 외교, 기술 분야 전문가도 있었다. 특히 법어학교 교사 마르텔은 대한제국 시기 중립외교 정책을 전개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셋째, 외국어학교의 학생 모집은 당시의 정치적·사회적 분위기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넷째, 관제기 관립 외국어학교의 입학생 통계를 보면 한어학교, 법어학교, 영어학교의 순으로 비중이 높으며, 이는 당시 재학생 통계상 영어학교와 일어학교에 학생들이 집중된다는 일반적인 주장과는 다른 결과이다. 다섯째, 관제기 관립 외국어학교는 역관통사를 양성할 뿐만 아니라 경세가가 될 수 있는 문무 관료를 양성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mmarise the educational meanings of Official Foreign Language Schools(hereafter, OFLS) in Korea, 1895-1906. Especially, I try to find out the foreign language policy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comparative superiority between six foreign language schools - Japanese School, English School, French School, Russian School, Chinese School, and German School - through the traits of teachers and the change of students numbers at the Regulation Period. As a part of Kabo Reforms, the government had abolished the of Civil Service Examination System and status system, and foreign languages worked as a cultural capital to acquire modern civilization and to escalate one`s social statu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OFLS have to be regarded as one of the highest educational institute during the Regulation Period. The eligibility of the OFLS was over 15 years old, but most of the incoming students were over 20 years old. Secondly, many of the OFLS`s teachers were specialists of military, diplomat and mechanics. Especially, Martel, the teacher of French school played an important role for the neutral diplomacy policy of the Great Korean(Dae-Han) Empire during the Regulation Period. Thirdly, the recruit of new members of the OFLS was affected by the political and social circumstances at that time. Fourthly, the statistics of incoming students during the Regulation Period was concentrated on Chinese school, French school, and English school in due order. Thus, it differed from the commonly accepted ideas of students` statistics which was concentrated on English School and Japanese School. Fifthly, the OFLS were not only for the training of official interpreters(譯官通事), but also the cultivation of civil servants who could become statesman.

      • KCI등재
      • KCI등재

        일본 메이지기(明治期) 삼육(三育) 개념의 도입과 전개

        한용진(Hahn, Yong-Jin),최정희(Choi Jung-Hee) 한국비교교육학회 2014 比較敎育硏究 Vol.24 No.1

        본 논문은 메이지기(明治期) 일본에 서구교육학이 소개되는 과정에서 삼육(三育)의 개념이 어떻게 도입되고 전개되고 있는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서구의 교육학 서적의 번역을 통해 삼육 관련 용어가 어떻게 번역되고 그 개념이 어떻게 정리되는가를 확인하는 작업이다. 이 글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일본 메이지기 삼육 개념의 도입은 일본사회의 내부적 변화에 따른 선택적 번역과 수용의 과정에 따라 1880년대에는 '삼교(三敎)'의 형태에서 '삼육(三育)'의 체계로서 정착된다. 둘째, 일본 메이지기 삼육의 개념은 일본 교육사조의 흐름에 따라 '삼육'의 형태는 유지하되 교육의 목적에 따라 중점을 두는 구성요소와 개념이 변용되어 전개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the three concepts of general educational principles, such as Intellectual, Moral and Physical education, had adopted and developed in Meiji Japan through the introduction process of Western Education. In this work, we hope to identify the three general educational words which are translated in Japanese as well as that of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translated words of these principles had changed from Sam-Kyo(三敎) to Sam-Yuk(三育); owing to the internal change of situation in 1880's. Second, the three general educational principles have changed their main elements for the purpose of education, though still maintaining the three, but it had developed their concepts according to the trend of thought in Japanese education.

      • KCI등재

        교육학사(敎育學史) 서설

        한용진(Hahn Yong-Ji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7 敎育問題硏究 Vol.0 No.29

          모든 학문에는 그 학문의 발자취를 정리하는 학사(學史)가 있을 수 있으며, 또한 있어야 한다. 교육학사는 교육학의 학문적 발달과정을 역사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교육학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와주는 분야로, 교육사학을 전공하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교육학을 학문으로 전공하는 모든 사람들이 기본적으로 알아야 한다. 본 연구는 앞으로 교육학사를 어떻게 정리하여야 하는가, 혹은 할 수 있는가에 대한 시론적 논의로, 특히 대학원 수준에서 교육학 전공기초과목으로 교육학사를 개설하고자할 경우, 어떤 내용을 담아야 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춰 하나의 시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BR>  1. 교육학사의 개념 이해<BR>  2. 각 분과 학문별로 교육학사 탐구<BR>  3. 교육학사 접근 방법의 다양성   Every single study can have its own history that has been sorted out to trace back, and it is a must as a study. The history of pedagogics is a study to help have a proper understanding about pedagogics by examining the development process, and it is a must subject for all the people who are studying pedagogics, not only for those who are majoring the History of Pedagogics.<BR>  This study contains discussions on current views how the history of pedagogics has to be sorted out, or how it can be sorted out. Especially if a course for this subject, the History of Pedagogics is to set up as a compulsory subject in a postgraduate course, this study can assist to acquire some ideas on what the course should contain. Suggestions are as follow.<BR>  1.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History of Pedagogics - History of pedagogics, History of Education<BR>  2. Examination on history of pedagogics by each subdivision<BR>  3. Diverse approaches to history of pedagogic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