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기조 발표(基調 發表) : 이곡(二曲) 이옹(李옹)의 학문관(學問觀)

        한예원 ( Yae Won Han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1 漢字 漢文敎育 Vol.26 No.-

        李二曲(1627~1705)의 이름은 옹, 또는 容이라고 하고, 字는 中孚이지만, 보통 二曲先生이라고 불려졌다. 陝西省 出身으로 평생 과거에는 응시하지 않았다. 학문으로 이름이 알려지면서 여러 번 仕宦을 推薦 받았지만, 응하지 않고 평생 빈한함 속에서 학문에 매진하였다. 明代(1368~1644)가 끝나고 滿洲族에 의해 淸朝가 세워지는 역사상황 속에서 학문을 하였던 二曲이기 때문에 그의 학문적 특색은 宋代 朱子나 明代의 王陽明 중 그 어느 쪽으로도 치우치지 않는 자세로 자신만의 새로운 學術을 이루었다. 이러한 二曲의 학문적 특징을 단적으로 드러나는 말이 바로 ``悔過自新``과 ``明體適用``이다. ``悔過自新``이란 말 그대로 학문을 하면서 자신의 過誤를 깨닫고 스스로 새롭게 고친다는 의미이고, ``明體適用``이란 태어날 때부터 갖고 태어나는 本體를 잘 보전하여 현실에 적용하여 경세치용을 이룬다는 의미라고 할 수 있다. 二曲이 志向하였던 學問은 理論적 糾明에 滿足하지 않고, 끊임없는 實踐을 摸索하였던 儒學이다. 이런 그의 實踐重視 思想이 그의 학문관의 바탕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實踐에 어긋나는 경우는 果敢하게 학문이 아니라고 비평하였다. 즉 內容도 없이 章句에만 얽매이는 學問을 俗學이라고 보았던 二曲이었기 때문에 學問은 悔過自新하여 明體를 밝히고 適用하는 實踐의 學問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LiErQu(1627~1705)`s name is Ong or Yong and his pen name is Chung-bu. He was called Mr. ErQu usually. He was born in Sumsu and never taken the gawgeo. He was recommended for official job because he was very famous scholar. ErQu made his own new theory, its inclination was neither Song dynasty`s Chu Hsi nor Myung dynasty`s Wang Yangming but a neutral attitude because there was a historical event that Manchuria built Chung dynasty. His important words are ``HweGwaJaSin`` and ``MyungCheChuc kYong``. ``HweGwaJaSin`` means that person acknowledge their fault oneself and be a new person. ``MyungCheChuckYong`` is same that person must conserve own body and use in actually. ErQu direction is not only theoretical suggestion but also constant action. He thought that practice is worth a pound of theory. Conclusively, He insisted people acknowledge their fault oneself and practice actually.

      • KCI등재

        『삼국유사』의 불교설화를 통해 본 편찬의도

        한예원(Han Yae Wo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6 동양한문학연구 Vol.23 No.-

          이 논문은 『삼국유사』의 편찬자인 一然의 편찬의도를 살펴본 것이다. 『삼국유사』는 편찬서이지만 일연의 주관적 안목에 입각하여 취사선택된 것이다. 따라서 『삼국유사』연구에 있어서 편찬자의 편찬의도를 살펴보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BR>  『삼국유사』는 구성 篇目에서 「王曆」과 「紀異」의 두 편목을 뺀 나머지 편목들은 대부분 불교설화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삼국유사』의 본령은 불교설화에 있다고 하겠다. 「왕력」의 도표를 제외한 전체 138조목에서 110조목이 불교설화와 관련된 것이다. 특히 撰者는 그 중 44조목에 대하여는 讚詩를 붙여놓았다. 이 찬시를 통하여 일연은 설화집의 전승 속에서 단순히 先行話를 계승ㆍ전달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독자적인 의식의 표현을 부가하였다. 따라서 본고는 이 찬시가 첨부된 불교설화에 주목하여 편찬자의 편찬의도를 살펴보았다.<BR>  우선 고구려ㆍ백제ㆍ신라 삼국의 ‘佛法 傳來談’을 분석하였다. 여기서 찬자는 국가가 불법을 적극 수용하고 지원함을 통하여 불법과 밀착관계를 형성하고, 나아가 이상국가를 실현하였던 역사적 사실을 편찬당시(13세기)의 사람들에게 계몽하고자 하였다. 두 번째로 ‘諸塔像 建立談’을 분석을 하였다. 찬자는 이 땅이 불국토임을 증명하는 탑상을 소개하고 또 국가가 護國修法의 일환으로 많은 탑상을 건립하여 불교흥성기를 이룩하였음을 계몽하고 있다. 세 번째로 ‘諸僧 靈驗’을 분석하였다. 여기서 승려는 왕권과 불법의 매개체 역할을 담당하고, 또한 불법의 神性을 顯現하는 존재임을 드러냈다. 불법과 밀접한 관계 나아가 불교공동체를 이루려는 국가에서는 승려를 적극 보호하고 지원하였음을 알리고 있다.<BR>  이상의 고찰을 통하여 일연이 『삼국유사』를 편찬한 의도가 국가와 불법의 본연의 모습과 이상적 질서관계를 고민하고, 그 질서상을 당시의 식자층에게 제시하여 계몽하는 데 있었다고 정리할 수 있다. 물론 기존에서는 이것을 ‘호국불교관’으로 일축해왔다. 하지만 본고는 ‘왜 국가가 불교를 지원하였는가’ ‘어떻게 지원하는 것이 정도인가’ ‘승려의 본연의 모습은 무엇인가’라는 문제의식을 일연이 갖고 그 해답을 당시의 독자층에게 계몽하려고 하였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었다.   This study speculates compilation intention of Ilyeon who is an author of Samgukyusa. Samgukyusa is a compiled book, which was selected by Ilyeon"s subjective appreciative eye. Therefore, for a study on the Samgukyusa, it is suggested that examination on compilation intention is very important.<BR>  Most of the Samgukyusa consists of buddhist narratives except two sections such as Wangryeok and Kii. Therefore, the original characteristic of the Yusa lies on buddhist narratives. 110 items of the total of 138 ones except a chart of Wangryeok are associated with buddhist narratives. In particular, the compiler added admiring poems to 43 items. Ilyeon represented his subjective consciousness in the admiring poems beyond simple succession and transmission of a collection of narratives. Therefore, this study speculates compilation intention of the compiler through buddhist narratives attached by admiring poems.<BR>  First, this study analyses Buddhism transmission of three kingdoms such as Goguryeo, Baekje and Shilla. Here, it was found that the countries was to enlighten the people at the time when Samgukyusa was compiled (the 13th century). The countries were to make close relations with buddhism through active acceptance and support of buddhism and to realize ideal countries.<BR>  Next, this study analyses narratives on pagoda and statue building. The compiler introduced buddhist statues to demonstrate that the country was a buddhist country and built many statues for the purpose of protection of countries and acceptance of buddhism.<BR>  Third, this study analyses miracles of buddhist monks. The monks were found to be carriers of royal authority and buddhism and try to realize divine nature of buddhism. The countries that intended to build buddhist community protected and supported buddhist monks.<BR>  Above mentioned, this study examines Ilyeon"s compilation intention of Samgukyusa. That is, Ilyeon worried about proper aspect of country and buddhism, and ideal order. He intended to compile Samgukyusa to present the ideal order to men of intelligence at that time. Of course, it was considered for buddhism of country defense in the past, but this study suggests that Samguyusa was compiled to presents answers to the questions as follows: Why did the countries support buddhism?;How was it supported to be a right path?;and what are the proper monks?

      • KCI등재

        유교교육에서 본 ‘인성교육’ : 부교(父敎)를 중심으로

        한예원(Han Yae Won) 동양한문학회 2015 동양한문학연구 Vol.42 No.-

        이 논문의 목적은 인성교육에서의 아버지의 역할, 나아가 부모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근대 이후 학교교육이 확대되면서 가정교육 특히 아버지의 교육적 역할이 축소되거나 유명무실해졌다. 당연한 결과로 아들은 가정에서 남성의 롤 모델을 찾지 못하고, 딸은 올바른 남성관을 갖기가 어려워졌다. 즉 가정에서 ‘부교(父敎)’가 자리를 잃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동아시아의 대표적 ‘부교’의 모습을 통하여 전통의 재해석을 시도해보고자 한다. 『논어』에는 아들을 교육하는 아버지 공자의 가르침을 ‘과정지훈(過庭之訓)’이라고 한다. 이후 ‘과정(過庭)’이라는 개념은 동아시아의 ‘부교론’의 토대가 되었다. 18세기 박종채는 아버지 박지원의 가르침을 『과정록(過庭錄)』이라고 엮었다. 이러한 부교의 집약체는 정약용에게서 찾아 볼 수 있다. 다산은 유배지에서 폐족(廢族)이 된 두 아들에게 편지와 『가계』를 통하여 ‘원격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전통시대의 ‘부교’를 통하여, 현대의 부모의 역할을 돌아보게 된다. 부모는 자식에게 경제적 원조를 해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부모 자신의 인생관과 가치관을 상속시켜주는 일이 중요하지 않을까? 올해 한국에서는 인성교육이 법제화되어 시행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아직도 인성교육의 목표 및 컨텐츠는 정비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 논문은 인성교육의 측면에서 부모의 자식교육을 살펴보았다. 과거의 동양적 전통교육은 우리가 상실하였던 많은 부분을 반성하게 하는 단서를 제공하여 준다. 이것이 현대에서 전통교육을 되돌아보는 이유가 될 것이다. How today fathers teach character education to their kids and role of parents are explored in the essay in this collection. Now most parents, especially fathers don't have any roles in their home with the expansion of industrial society environment. Loosing father's power have dissociable impacts on their kids. Boys cannot find his role-model in their home and daughters have risk in finding right masculinity. Seeing of loosing father's power, classic references of East-asia help them in the exploration father's educational theories. The contributions are : Education of Confucius as father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 learning poem and politeness; 《Kwajeongrok》過庭錄is about Yunam's education theories, who is park jong chae's father and they are very famous Cho-sun dynasty scholars and Letters to two sons from Jung yak-yong(dasan) when he lived in a penal colony. Parents have to make an effort to be not just money maker but spiritual mentor for their kids. Father can support not financial assistance but also best concept of life and values. Using these theories from classic references provide chance to reflection about intellectual and moral loss with the modern world. This is reason for studying traditional ethics in East-asia.

      • KCI등재

        연구논문 : 호남지역서원(湖南地域書院)의 교육활동(敎育活動) - 『죽수서원지(竹樹書院誌)』를 통해 본 유교교양의 수용 -

        한예원 ( Yae Won Han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0 儒學硏究 Vol.22 No.-

        한국의 전통적 유교문화공간 중, 國公立의 成均館과 鄕校,그리고 私立의 書院은 모두 교육과 享祀의 역할을 담당하는 공간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고려시대와 조선초기의 書院은 주로 圖書館및 교육의 역할을 담당하였지만, 주자학이 체제교학으로 자리 잡은 임진왜란 전후로 내려오면, 교육활동 외에 제향공간으로서의 비중이 높아졌다. 급기야 肅宗代에 이르러 京鄕각지에 다수의 서원이 세워지면서, 교육과 藏修는 뒷전인 채 祭享과 향촌정치의 공간으로서의 성격이 강해졌다. 이후 書院濫設에 따른 폐해가 표면으로 부상되면서, 서원에 관한 평가는 부정적 시각이 주류를 이루고, ‘黨爭의 소굴’로 보는 인식도 자리 잡게 되었다. 하지만 70·80년대 들어오면 역사학계에 서원에 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이런 연구에 힘입어 서원에 관한 부정적 인식도 상당히 수정되었다. 아울러 교육학분야에서도 교육제도로서의 서원연구가 진행되었지만, 구체적 사례를 통한 교육의 내용에 관해서는 아직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호남지역의 유교문화공간 중 사립교육기관인 書院의 교육활동을 『竹樹書院誌』를 통해 살펴보았다. 죽수서원은 전남의 화순에 위치하는 서원으로 1570(선조3)년 기묘사화로 능성현에 귀향와서 죽은 趙光祖(1482~1519)를 추모하는 공간으로 세워졌다. 書院誌를 통하여 서원의 운영임원진과 또 운영상 필요한 행동규범들을 알아보았고, 교육활동으로서 講會가 열리는 공간의 좌석배치도, 講會에 참가하는 諸生들의 준비과정, 그리고 강회에서의 집단교육체제를 고찰하였다. 특히 「相揖禮笏記」에 보이는 ‘告語’를 통하여 서원교육이 추구하였던 교육목표와 실천방안을 살펴보았다. In Korea, the traditional institutions of confucianism remain through out the nation. Sungkyunkwan and hyanggyo, the Confucian temple and school to teach local students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are the national institutions. Seowon is the private school. This paper focuses on understanding situation and education of seowon. Seowon had been the library and schooling space in previous Joseon Dynasty. However, it was of great importance as the space of the memorial service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Many seowon was built in 17th century and its main goals were memorial service and country`s politics instead of education after all. Heungseon-Daewongun phased out seowon to prevent harmful effect from taking place, so only 47 seowon was left. Seowon was rated very negatively and was supposed to a den of party strife, but historians studied seowon actively in 1970s,80s. Therefore, negative cognition of seowon was modified more than a bit. However, the studies of educational activity of it still lack in part of Chinese-education. In this paper, I organize concrete examples of education activity in official seowon, which have data in Jeoun-Nam Province. This study indicates how developing confucianism in local community. The scale of Jeoun-Nam`s seowon is smaller than Yeongnam`s or Kiho`s. Because of financial pressure, ‘Gujeop’ which means preparing for an classical examination system for the government service in old time Korea in seowon was less operated. While some Confucian scholars attended lectures in the first and the fifteenth days of the lunar month. This paper consider lecture of Jucksoo seowon in Jeoun-Nam province.

      • KCI등재
      • KCI등재

        ``한자문화``의 지식형성과 지식실천: 전통의 이해와 계승을 위한 교육교재 개발

        한예원 ( Yae Won Han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2 漢字 漢文敎育 Vol.28 No.-

        한자문화권의 한자문화란 한문을 공용문어로 사용하여 영위된 종합적 지식체제이다. 즉 한문을 지적 수단으로 사용하였던 사람들의 生活知, 學問知, 普遍知, 構想知 등이 모여 이루어진 知識 地形圖이다. 한자문화의 ``知的傳統``은 가치의 역사적 축적이다. 특히 한국의 지적전통은 한국의 지반에서 현실적으로 갖는 의미라고 할 수 있다. 한자기록으로 이루어진 지적전통은 다양하게 전개되어 왔으며, 그것을 교육하고 학습하는 분야가 한문과목이다. 우리의 한문문화를 동아시아 한문문화 속에서 비교하여 그 同異와 變化, 나아가 普遍化를 분석할 때 우리만의 특성을 찾아낼 수 있다. 본고는 한자문화 중 전통교육과 관련된 지식형성에 관해서 살펴보았다. 이 때 지식형성에 어떤 교재가 어떤 교육방법으로 사용되었는가를 밝히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전통`` 한문교육에서 그 지식의 분류와 지식의 실천내용을 고찰하여 지식형성의 틀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전통적 몽학 한문교재는 天地人 분류체계를 기반으로 지식을 형성하고 있다. 우선 자연에 대한 개괄적 이해를 토대로 하고, 그 위에 이상적 인간의 모습으로서 사회의 질서체제와 예교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분류체계는 고대사회의 식자교재인 『급취장』을 비롯하여, 가장 널리 사용된 『천자문』등의 중국교재는 물론이고, 조선시대의 『유합』이나 『訓蒙字會』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이런 분류체계 안에서 초학자들은 識字와 함께 자연스럽게 전통적 세계관과 인간관에 접하고 수용할 수 있었다. 한편 교화용 교재는 자연에 관한 이해에 앞서 인간에 대한 이해를 다양하게 제시하고 있다. 중국 宋代에 만들어진 『소학』, 『삼자경』의 분류체계가 율곡의 『성학집요』나 『격몽요결』등의 계몽서에 수용되어 계승되었다. 이러한 교화용 교재의 분류체계는 학습자로 하여금 심신의 수양과 독서를 통한 자기계발의 학습방법과 사회 속에서의 처신을 체득하게 한다. 이러한 전통적 몽학교재에 보이는 분류체계를 현대 한문교육 교재에 활용하게 되면,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전통의 이해와 계승의 한 방법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sino-Korean culture in Chinese character culture zone is a general knowledge system using classical Chinese as a common written language. That is, it is a knowledge map describing living, studies and conceptions of the people who used chinese characters as an intellectual means. The intellectual tradition of Chinese characters is historical accumulation of values. In particular, it is the real meaning Korean intellectual tradition has on the Korean base. The intellectual tradition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has been developed in varied ways, and we are taught and learn through the subject of Chinese writing. When we compare our culture of Chinese writing with Chinese writing cultures of East Asia , we can find our own characteristics. This study looked at formation of knowledge on traditional education at Chinese character culture. Here, it is very important to analyse what textbooks and educational methods have been used. Therefore, the classification of the practical knowledge was analysed to discover the frame of the knowledge formation. The traditional textbooks of Monghak Chinese writing form knowledge based on Tenchijin classification system. First, based on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they present social order system and Confucian manners as ideal attitudes of humans. Such classification system accepts 『Yuhap』 or 『Hunmongjahoi』 including Chinese character books such as the Thousand-Character Text including 『Geupchijang』, a typesetting textbook of Joseon Period. Through the classification system, learners could access to the traditional views of the world and people along with Chinese characters. However, textbooks for edification presented understanding on people in varied aspects rather than understanding on the nature.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Sohak』 and 『Samjagyong』 written in Song Dynasty has been inherited to edification books as in Yulgok`s 『Sunghakjipyo』 or 『Gyeokmongyogyol』. Such system led learners to learn how to study and behave themselves through self-training and reading. If the classification system is used for modern Chinese writing textbook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 way to understand and succeed tradition required by the curriculum.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유교경전해석학 : 『대학(大學)』의 해석학적 접근 ; 일본 유자(儒者)의 『대학(大學)』 수용과 해석에 관하여

        한예원 ( Yae Won Han ) 동양철학연구회 2010 東洋哲學硏究 Vol.63 No.-

        본 논문은 『대학』을 일본 儒者들이 어떻게 수용하여 해석하였는가를 사상사적 관점에서 살펴본 것이다. 『대학』의 내용 중, ``明明德``이 실천주체의 修身에 관여하는 범주라면, ``親(新)民``은 실천주체의 사회참여에 관한 범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일본 儒者들의 ``明明德``과 ``親民``에 관한 해석을 살펴보면, 그들의 수양론과 실천론의 특색을 드러낼 수 있다. 우선 일본의 근세유학 형성기에 해당하는 시기의 儒者로서 후지와라 세이카(藤原惺窩)의 『대학』 수용과 그 해석의 특색을 살펴보았다. 그는 주희의 『대학장구』적 해석을 수용하면서도, 명말 임조은(林兆恩)의 해석을 수용하여 주희의 해석에 異議를 제기하고, 나아가 임조은의 해석으로도 만족하지 못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신만의 독특한 해석을 제시하고 있다. 이어서 근세 양명학 형성시기의 나카에 도주(中江藤樹)의 『대학』 해석은 또 다른 특색을 보여준다. 만년이 되기 전까지 주자학에 심취하였던 도주는 주희의 해석을 바탕에 두고, 그 위에 왕수인의 해석을 수용하여 도주 나름의 심학을 이루었다. 특히 도주는 개인의 윤리적 실천에 주안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사회개혁의 의지보다는 인간다운 인간, 참된 인간을 추구하는 내용상의 특색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일본 유자의 『대학』 해석 자세는 오규 소라이(荻生조徠)에 이르러 보다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주희에게 이의를 제기하게 된다. 그는 古文辭學이라는 문헌학적 해석 방법을 적극 활용하여 주희의 논리체계를 정면에서 반박하고, 새로운 해석을 창출한다. 이 러한 독창적 경학연구는 조선의 정약용도 참조할 정도의 수준이었다. 일본 儒者들은 각자의 관심과 해결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다양한 『대학』 해석 중 취사선택하여 자신들의 해석으로 삼았다. 그런 지적환경에서 개성적 해석이 나올 수 있었는데, 이렇게 되기까지 주자학이든 양명학이든 일본근세사회에서는 교조화 되지 않았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This is a paper which about how did Japanese Confucian scholar accommodate and interpret 『University』 which was independent with one of the Four Chinese Classics (四書) by Juxi(朱熹) in their thought historians view. In content of 『University』, if ``myeongmyeongdeok(明明德)`` is involved in moral training of doer, `` 親民`` can be defined as social participationcategory of doer. Therefore, you can get to know about characteristic of the theory of moral culture and the theory of practice, if you look into interpretation regarding ``myeongmyeongdeok`` and ``親民`` of Japanese Confucian scholar. First of all, about characteristic of accept and interpret 『University』 of Fujiwara-seika(藤原惺窩). He is Confucian scholar who corresponded in the Japanese modern times Neo-Confucianism formative period. He was accepted about interpretation of 『College gear(大學章句)』 of Juxi however, he objected to interpretation of Juxi with accept of interpretation of myeongmal Lin Zhaoen(林兆恩). Furthermore, he suggested a unique interpretation in his own way if he did not satisfy with interpretaion of Lin Zhaoen. This is one of characteristic of Japanese Confucianism which objected to Juxi from Neo-Confucianism acceptance stage and, the way that is assemble interpretation in their own way with selected diversity construe. Second, about characteristic of accept and interpret 『University』 of Nakaetoujyu(中江藤樹). He is a person when the modern times philosophy of Wang ShouRen(王守仁) formation times. He constitute a Study of maind(心學) characteristic of him. He is based on interpretation of Juxi with accept Wang ShouRen`s construe. In especial, he focus on the personal`s ethical practice so, he want to show real hunam and true human than social reform will. Last, Japanese Confucian scholar`s construe of 『University』 has reached Ogyu Sorai(荻生조徠) who made a use of philological analysis system which call Gobunjigaku(古文辭學) and took exception to a logical system of Juxi. Chinese classics of Japan`s stage has reached a creative level even JeongYakYong(丁若鏞) of the Joseon Dynasty refer to it. Japanese Confucian scholar are selected of diversity interpretation of 『University』, and made of their own construe to suggest present each interest and solution. That even if what this individualistic interpretation was able to flow from was the Neo-Confucianism or philosophy of WangShouRen, there was the scientific background that did not become doctrinality in Japanese modern history times. When lodge a protest against about interpretation of 『University』 start from Neo-Confucianism formative period to Ogyu Sorai, then it originate the zeni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