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논문 : 해방과 민족지(民族知)로서의 영화

        한영현 ( Young Hyeon Han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5 현대영화연구 Vol.11 No.3

        해방기 조선 영화계는 새로운 독립 국가 형성과 그에 따른 각 사회 영역별 터전 마련의 대의적 명제를 수용하면서, 해방기 가장 중요한 화두로 떠오른 ‘민족 문화’ 수립의 방편으로 ‘민족 영화’ 수립의 당면 과제를 제시했다. 영화계는 민족 영화 수립의 구체적인 내용으로 ‘재건’과 ‘창조’, ‘주체성’의 측면에서 다양한 담론들을 형성하고 전개시켜 나갔다. 특히 민족 영화 재건의 대전제가 되는 것은 영화의 ‘민족에 대한 계몽’이었다. 민족 영화 수립을 위해 영화계에서는 지속적으로 과거의 봉건적 잔재를 청산하고 민중의 생활과 감정에 기반한 조선적인 것을 영화에 재현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했다. 그것이 해방기 조선 영화의 ‘대중성’을 설명해 주는 구체적인 내용이었다. 이러한 ‘대중성’에 기반하자면 대중에게 일시적 흥미와 자극을 제공하는 ‘오락성’은 지양해야 할 것으로 상정되었다. 또한 이른바 ‘조선적인 것’을 구현함으로써 헐리우드 영화의 공세에 맞서 ‘민족 영화’를 수립해 나가야 했다. 영화의 ‘대중성’을 ‘계몽’과 연계시키고, 영화를 따라다니는 필연적 수식어인 ‘오락성’을 배격함으로써 영화를 ‘민족 문화’와 ‘민족 국가’의 일익을 담당하는 역사적 존재로서 승격시키려는 노력이 바로 해방기 조선 영화의 ‘민족지(民族知)’적 성격에 함의되어 있다. In the field of Joseon film in the liberation period, the persons concerned had suggested an urgent problem that ‘ethno-graphic film’ should be produced as a way to create ‘ethno-culture’ which was the most important topic at that time, while they accepted representative proposition to set up the base of each social area due to the establishment of new independent nation. To produce ethno-graphic film in the field of film, there were various discussions in ‘reconstruction’, ‘creation’, and ‘independence’ as concrete contents and the discussions were carried forward. In particular, a major premise to reconstruct ethno-graphic film was ‘ethnic-enlightenment’ by film. To produce ethno-graphic film, the people concerned in the field of film had insisted that a vestige of feudal society in the past should be constantly gotten rid of and Joseon-oriented ones based on the public`s life and emotion should be shown in the screen. The above was concrete contents to explain the ‘popularity’ of Joseon film in the liberation period. To build up the base of such ‘popularity’, ‘entertainingness’ providing temporary fun and provocative ones toward the public should be rejected. In addition, ‘ethno-graphic film’ showing ‘Joseon-oriented ones’ had to be produced to face the pressure of Hollywood film. Various efforts to upgrade Joseon film to historical one having an important role in ‘ethnic-culture’ and ‘ethnic-nation’ by making the ‘popularity’ of film connect with ‘enlightenment’ and by rejecting ‘entertainingness’ which was the necessary epithet of ‘film’ included the ‘ethno-knowledge’ features of Joseon film in the liberation period.

      • KCI등재

        탈제도화된 가족과 대중의 감정 구조

        한영현(Han Young Hyeon) 한국영화학회 2015 영화연구 Vol.0 No.64

        본 고는 1960년대 초반의 홈 멜로드라마의 ‘가족’이 건전하고 명랑한 모랄을 제시하면서 박정희 정권의 근대화 프로젝트에 부응하는 대중 문화적 가치를 재현하는 코드였던 반면, 1960년대 중후반 통속 멜로드라마에 재현된 가족은 가족의 파괴와 위반을 통해 정권의 근대화 과정에서 파생된 대중들의 감정적 피로와 좌절을 조절하고 이완한다는 점을 규명하고자 했다. 1960년대 중후반 통속 멜로드라마에 재현된 중산층의 화려하고 완벽한 가족은 과거의 가난했던 시절 사랑했던 사람의 출현 혹은 6.25와 같은 역사적 경험의 지속적인 현재의 소급으로 말미암아 파괴되고 균열되는 양상을 보인다. 현재의 화려하고 완벽한 가족은 경제적 근대화를 통해 추구하고자 했던 이상화된 중산층 가족 모델이다. 이러한 화려한 현재는 과거의 가난하고 아픈 과거의 형상으로 균열되고 파괴된다. 이러한 양상은 경제적 풍요와 건전하고 명랑한 정신적 발전을 요구한 정권의 정책과는 부응하지 않았다. 영화는 정권의 정책과 요구를 수용하면서도 대중들의 요구, 즉 경제적 근대화를 따라가지 못하는 현실의 가난한 삶 혹은 청산되지 못한 역사적 아픔을 영화에 반영했다. 이것이 곧 1960년대 중후반 통속 멜로드라마의 가족 서사가 균열과 파괴의 양상으로 나타나게 된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1960년대 중후반 통속 멜로드라마에 재현된 탈제도화된 가족은 대중들의 근대화에 대한 감정적 피로와 좌절을 조절하고 이완하는 중요한 기능을 담당했다. This study aims at figuring out while ‘family’ in home melodrama in the early 1960’s was a code to represent popular cultural values to correspond to the modernization project under President Pack Chung He’s regime, suggesting sound and bright morality, family represented in popular melodramas in the mid-and-late 1960’s adjusted and alleviated people’s emotional stress and frustration derived from the regime’s modernization process through destruction and infringement of family. Splendid and perfect family of middle class represented in popular melodramas in the mid-and-late 1960’s seemed to be destroyed and cracked because of retrospective present from continuous historical experiences such as the Korean War or appearance of the loved one in the poor past. The current brilliant present was impaired and broken 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oor and heartbroken past. These aspects did not correspond to the policies of the regime requiring economic abundance and sound and joyful psychological development. The movie accepted the policies and requirement of the regime but reflected the reality’s poor life which could not follow economic modernization, people’s desire or historical pains which had not been solved. This is why family narrative in popular melodramas in the mid-and-late 1960’s seemed to be cracked and destroyed. Accordingly, deinstutionalized family represented in the popular melodramas in the mid-and-late 1960’s played an important role to adjust and alleviate emotional stress and frustration of people against modernization.

      • KCI등재

        영상 매체를 활용한 글쓰기의 전략과 전망: 영화 비평문 쓰기를 중심으로

        한영현 ( Young Hyeon Han ) 한국작문학회 2013 작문연구 Vol.0 No.19

        영상 매체를 활용한 글쓰기는 학생들이 쉽게 접하는 현실 세계의 다양한 시각화된 이미지를 좀 더 다각도에서 심도 있게 창의적으로 분석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여러 능률과 효과를 전제하면서도 실제 대학 글쓰기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영상 매체를 활용한 글쓰기 수업이 영상 매체의 특수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채진행되고 있는 게 현실이다. 본고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영화를 사례로 들어 영상 이미지를 이해하고 분석하여 비평문을 작성하는 전략을 논의해 보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영화 비평문 작성은 주로 영화 ‘서사’ 중심으로 이루어져 줄거리의 정리·요약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는 영화의 시각화된 이미지를 충분히 효과적으로 해석하지 못하는 한계를 보인다. 영화의 시각 이미지를 구성하는 다양한 영화적 기법을 이해하고 나아가 그것에 각인되어 이는 문화와 이데올로기의 내포된 의미를 심도 있게 분석하는 방법을 터득할 때 영화 비평문을 좀 더 효과적이고 창의적으로 작성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영화의 장면을 구성하는 인물들의 대화와 행동 및 음악, 색채 등에 초점을 맞춰 그것을 통해 영화의 주제와 의미를 창의적으로 분석해내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Writing utiluzing video media may be effective to improve the ability to analyze creatively to dig a diversified more image visualized varity of real world student contact easily. However, bt proceeding class of lighting that utilizes the video medium while also subject to effiency and effectiveness of some of these is carried out in the college classes writing actual remains does not properly reflect the special nature of the video media it is reality of being. This paper would like to discuss strategy for focusing on these points, to unstand the videa image into the story of movie, to analyze, to create a critical statement. The creation of film criticism statement, if you are staying to the level you want to summarize and organize the plot is configured for movie scrivener center mainly is most commonly. This indicates a limit that can not be resolved sufficiently effective on image is visualized movies. Creative and more effective film criticism statement when you learn how to understand the various cinematic techniques that make up the visual image of the film, to analyze deeply the meaning behind the ideology and culture that is stamped on it further you can create. Specifically, the film`s scenes that make up the characters` dialogue and acting, and music and color for it to focus the theme of the movie and the meaning of creative analysis propose amethodology that.

      • KCI등재

        『사상계』의 시민사회론을 통해 본 젠더 인식

        한영현(Han, Young-Hyeo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4 한국민족문화 Vol.50 No.-

        『사상계』의 시민사회 담론은 1950~60년대 한국의 전근대성과 후진성을 비추는 일종의 거울이었다. 후진성을 극복하고 풍요로운 물질적 근대화를 추구해야 했던 한국의 실정에서 보자면, 서구 시민사회의 도래는 긴박한 현실적 과제로서 요청되었다. 그래서 지식인들은 서구 시민사회 발전의 중요한 요소인 자유와 평등에 기초한 민주주의적 정신과 제도의 실천 및 자본주의에 기반한 경제 성장을 중요한 목표로 상정했다. 그런데 『사상계』의 시민사회 논의는 당위적인 차원에서 거론되었을 뿐 한국적인 적용과 실천에 있어서는 현실적으로 여러 미흡한 점을 드러냈다. 『사상계』의 시민사회론에서 추구한 개인의 자유와 평등의 실현 및 후진성의 극복과 근대성의 성취는 사회 제반 영역의 변화와 개선을 위한 일종의 방법론이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시민사회론의 관점에서 바라본 여성 문제를 다루었다. 여성의 자유와 평등은 한국의 전근대성과 후진성을 타파하기 위한 방법론으로서 제출되었던 만큼, 시민사회론과의 연장선상에서 살펴봐야 할 주목할 만한 문제였다. 그런데 『사상계』의 시민사회 세계관은 후진국 콤플렉스에 침윤되어 있는 지식인들에 의해 편향된 방향으로 조정되었다. 시민사회에 대한 『사상계』 필진들의 인식 태도는 여성에 대한 관점에서도 비슷한 양상으로 드러난다. ‘운동’과 ‘민주주의’의 발전 과정에서 여성의 자유와 평등의 필요성은 당위론의 차원에서 거론되지만 실제로 여성이 처한 구체적인 현실이나 실태는 언급되지 않는다. 이는 전근대성과 후진성을 극복하는 과제를 위해서 여성을 일종의 방법적 수단으로 호출하는 논리이다. 『사상계』의 시민사회 담론이 후진국 콤플렉스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제기되고 당위론적 차원에서 도래의 필요성만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논의된 점을 감안하면, 여성에 대한 『사상계』 필자들의 논의도 이러한 시민사회 담론의 수준과 크게 다르지 않은 상태로 제기되었던 셈이다. The discourse of civil society in Sasanggye was a kind of mirror that reflected Korea’s premodernity and backwardness in the 1950s and 1960s.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s conditions in which people should overcome backwardness and pursue material modernization, the advent of Western civil society was invited as an urgent practical task. Thus, intellectuals took as the primary goal the practice of democratic spirits and systems based on freedom and equality, crucial elements in the development of Western civil society, as well as economic development based on capitalism. However, the discussion of civil society in Sasanggyewas addressed only in a nominal dimension, but turned out to in fact have many insufficient aspects in its application and practice in Korea. We can find such aspects from many articles about equality between men and women as well as freedom. In particular, freedom and equality for women were a striking issue that should be viewed in tandem with the theory of civil society as they were presented as a methodology to overcome Korea’s premodernity and backwardness. However, the world view of civil society, as was presented in Sasanggye, was adjusted in a biased direction by those intellectuals who were indulged in the underdeveloped nation complex. The attitude of contributors to Sasanggye toward civil society appeared in similar aspects from their viewpoint of women. The necessity of freedom and equality for women in the course of the development of ‘movement’ and ‘democracy’ was discussed in a formal dimension, but the specificreality or conditions of women were not mentioned. This is a logic that calls for women as a methodological means for the purpose of the task of overcoming premodernity and backwardness. Given that the discourse of civil society in Sasanggye was raised asa methodology to overcome the underdeveloped nation complex and discussed in a way of only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its advent, the discussion of women by contributors to Sasanggye was not greatly different from such a discourse.

      • KCI등재

        폭력의 시대에 맞서는 가족 -영화 <꼬방동네 사람들>(1982)과 <그 해 겨울은 따뜻했네>(1984)에서 가족의 재현 양상을 중심으로-

        한영현 ( han, Young-hyeon ) 한민족문화학회 2020 한민족문화연구 Vol.72 No.-

        이 글은 영화 <꼬방동네 사람들>(1981)과 <그 해 겨울은 따뜻했네>(1984)를 분석하되, 가족 서사의 중요한 장치로 대두되는 ‘용서’와 ‘화해’의 문제에 초점을 맞춘다. ‘용서’와 ‘화해’는 1980년대 초반 대중문화로서의 영화에 투영된 전두환 정권의 폭력적인 통치성을 드러내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를 밝히기 위해서 이 글은 소설 원작과의 비교를 통해 영화 <꼬방동네 사람들>과 <그해 겨울은 따뜻했네>가 ‘가족 서사’를 중요한 기반으로 하고 있었다는 점을 밝힌다. 이 과정에서 소설이 보여 주었던 빈곤층의 현실적 저항의식 및 분단 민족의 전쟁 체험이 가져온 역사적 문제 등이 상당히 희석되고 대신 가족 서사의 내부에서 경제적 주권을 획득한 남성 가부장의 권력 강화와 자본을 획득한 계급의 논리가 크게 작동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가족 서사의 변형 속에서 ‘가해’와 ‘피해’의 서사적 전개를 통해 드러나며 이러한 가해와 피해의 구조 안에서 화해와 용서는 피해자인 여성 혹은 빈곤한 가족들에게 일방적으로 요청되고 수용되는 양상으로 드러난다. 이렇듯 섣부른 용서와 화해는 1980년대 초반 사회를 지배하던 통치성 이면에 감춰진 경제 성장과 개발 논리의 강요된 요청이 가져온 부조리를 은폐하고 가족의 앞날을 여는 미래지향적인 것으로 비춰지지만, 실상 민족과 현실의 문제를 간과하고 은폐하는 비가시화된 폭력을 보여 준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movies < People in the slum >(1982) and < The Winter Of The Year Was Warm >(1984). It focuses on the problem of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which are emerging as important devices of narrative.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is that reveals the violent governance of the Chun Doo-Hwan regime projected in movies as popular culture in the early 1980s.To clarify this, this article is compared with the original novel, < People in the slum > and < The Winter Of The Year Was Warm > were based on the 'family narrative'. In this process, the realistic sense of resistance of the poor and the war experience of the divided nations, as shown in the novel changed A man whose historical problems have been considerably diluted and instead acquired economic sovereignty within the family narrative. It can be seen that the power of the patriarchal reinforcement and the logic of the class that acquired the capital work greatly. This is revealed through the narrative development of 'harm' and 'damage' in the transformation of the family narrative, Reconciliation and forgiveness within the rescue are unilaterally requested and accepted by the victim woman or the poor family. It appears in the aspect of becoming, Such hasty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were the rule that ruled society in the early 1980s. Concealing the absurdity brought about by the forced request of economic growth and development logic hidden behind the violent governance, It is seen as a future-oriented opening the future, but in reality it overlooks and conceals the problems of the people and reality. It is problematic in that it shows violence that has become invisible.

      • KCI등재
      • KCI등재

        낯선 신체의 도래와 해부되는 도시의 속살

        한영현(Han Young Hyeon) 한국영화학회 2018 영화연구 Vol.0 No.77

        본 연구는 1998년 IMF 사건 이후의 2000년대의 ‘도시’와 ‘도시인’의 삶을 ‘불확정성’에 초점을 맞춰 분석하고자 한다. 삶의 불확정성은 고유한 자신의 자리, 즉 존재론적 안정과 평안을 느낄 수 있는 특정한 자신의 장소감을 상실한 데서 비롯되는 것이라고 본 고에서는 전제한다. ‘장소의 상실’과 안정과 평안을 누릴 수 없는 존재로 밀려난 존재들 혹은 떠돌이들의 삶은 ‘불확정성’을 가장 대표적으로 드러내는 방식이 된다. 이 글은 이러한 전제 하에 ‘낯선 신체’와 ‘도시’의 공간적 관계를 분석하여 2000년대 한국 영화의 의미를 새롭게 밝히고자 했다. ‘낯선 신체’는 담론장 안에 포섭되기 어려운 해석 불가능한 어떤 ‘너머’에 존재하는 날 것 그대로의 이미지이다. 해석과 이해를 거부하는 가장 먼 곳은 그러나 가장 가까이 바로 도시의 어떤 장소에서도 불현 듯 출몰한다. 이 출몰은 완벽한 도시 이면에 잠재되어 있는 불안과 공포의 어떤 공간을 열고 동시에 도시의 삶과 장소가 일종의 환상과 집착의 결과물에 지나지 않는다는 점을 상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글에서는 윤종찬 감독의 〈소름〉과 박찬욱 감독의 〈복수는 나의 것〉, 〈올드보이〉 등이 낯선 신체를 통해 도시의 이면에 가려진 불안과 공포를 환기하는 방식을 분석했다. 한편, 자본과 도시 그리고 도시의 삶을 예리하게 탐색하는 영화는 ‘산-죽은’ 신체를 재현함으로써, 시대를 관통하고 있던 자본의 증식과 도시, 도시적 삶의 관계를 고발하는 알레고리로 기능하는데 봉준호 감독의 영화 〈괴물〉과 〈플란다스의 개〉을 통해 이러한 ‘삶-죽음’과 해부되는 도시의 속살에 대해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한국 영화는 그동안 역사적 의미를 획득해 왔던 전통의 장소와 의미 자체를 비판적으로 탐구하거나 해체하는 작업보다는 그러한 역사성이 더 이상 의미 없다는 듯이 역사와 전통의 장소를 새롭게 구성해 나가는 과정에서 도시의 파편적 삶을 구축해 나간다. 역사와 삶의 총체성이 실효성을 상실한 자리에 들어선 것은 도시의 파편화된 삶을 살아가는 익명적 개인들의 분절되고 불안정한 삶이다. 이는 도시를 육체성과 관련지어 분석할 때 좀더 분명하게 드러난다. 정지우 감독의 〈해피엔드〉와 임상수 감독의 〈처녀들의 저녁식사〉와 〈바람난 가족〉을 통해 이러한 한국 영화의 재현 방식에 대해 분석하고자 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city’ in the 2000s after the IMF in 1998 and the lives of ‘city dwellers’ focusing on ‘uncertainty.’ This research assumes that the uncertainty of life comes from losing one’s unique place, i.e. the certain place of oneself where the one can feel ontological stability and comfort. The ‘lost of the place’ and the life of beings who failed to enjoy stability and comfort or wanderers become the method that represent ‘uncertainty’ most typically. Under such premise, this research aimed to identify the new meaning of Korean movies in the 2000s by analyzing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unfamiliar human body’ and ‘the city.’ ‘Unfamiliar human body’ is the raw image of an uninterpretable being existing ‘beyond’ something that cannot be turned over to inside the discussion. The farthest place that refuses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ing, however, appears suddenly at any nearby places in the city. Such appearance opens a certain place of anxiety and fear hidden inside the perfect city and plays the role of reminding that urban life and place is nothing but the result of a sort of fantasy and obsession at the same time. This research analyzed how 〈Sorum〉 by director Yoon Jong-Chan and 〈Sympathy For Mr. Vengeance〉, 〈Oldboy〉, etc. by director Park Chan-Wook evoked anxiety and fear hidden inside the city through unfamiliar human body. Meanwhile, films that sharply explore capital, city, and urban life reproduce ‘live-dead’ human body to function as an allegory that accuses the relationship among the proliferation of capital that goes through periods, city, and urban life; this research analyzed such ‘life-death’ and bare skin of the city being dissected through 〈The Host〉 and 〈Barking Dogs Never Bite〉 director Bong Joon-Ho. Lastly, Korean movies establish urban fragmentary life in the process of organizing new place of history and tradition as if such historicity has no meaning any longer, instead of critically exploring or breaking up the traditional place and meaning that has acquired historical significance so far. The totality of history and life entering the place that has lost effectiveness is the fragmented and anxious life of anonymous individuals who live an urban fragmented life. This becomes clearer when the city is analyzed related with physicality. Such representation method of Korean movies were analyzed through 〈Happy End〉 by director Jung Ji-Woo and 〈Girls’ Night Out〉 and 〈A Good Lawyer’s Wife〉 by director Im Sang-Soo.

      • KCI등재

        1960년대 후반 ‘시네 에로티시즘’의 문화 정치적 의미

        한영현(Han Young Hyeon) 한국영화학회 2015 영화연구 Vol.0 No.66

        본 고에서는 1960년대 후반 대중 문화 전반을 휩쓸었던 ‘에로티시즘’ 열풍의 한가운데에서 그동안 제대로 규명되지 못했던 1960년대 후반 한국 영화의 변화와 정체성 모색의 일면을 파악하고자 당대 ‘시네 에로티시즘’에 초점을 맞추었다. 정부의 무정견한 검열을 꾸짖고 바로잡을 기세로 강경한 윤리적 입장을 고수하던 지식인들이 <내시>와 <벽 속의 여자>와 같은 영화를 문제 삼으면서 영화계는 ‘시네 에로티시즘’을 둘러싼 논란에 휩싸였다. 상업성과 예술성을 겸비해야 하는 영화의 특성상 ‘에로티시즘’은 영화에 표현될 수밖에 없는 본질적인 것이었으나, 당국의 정책과 지식인들의 강경한 비판 가운데에서 영화는 ‘예술’도, ‘상업’도 아닌, 그저 저질의 알맹이 없는 선동적 표현물로 전락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에로티시즘’을 표현한 영화에 대한 강경한 처벌과 제도 마련에 의해 ‘예술’ 자체가 위협받자 문화 예술계를 중심으로 ‘예술’과 ‘외설’의 문제가 비로소 담론의 장으로 떠오르는 계기가 마련된 것은 생산적인 것이기도 했다. 문화적 환경은 매우 척박했지만, 그 상황에서 비로소 ‘예술’과 ‘외설’에 대한 인식이 싹트고 영화계는 ‘예술’과 ‘외설’의 경계를 정립하고 한국 영화의 정체성을 구현하는 문제로까지 인식의 확장을 가져올 수 있었던 것이다. 영화계는 당대 유행하던 ‘에로티시즘’을 수용함과 동시에 안방 극장의 TV와는 차별화된 영화만의 새로운 무엇을 보여 주면서 상업성과 예술성을 겸비해 나가야 했다. 영화 <내시>를 비롯한 일련의 에로티시즘을 표방한 영화들이 신체를 에로틱하게 보여 줌으로써, 안방극장을 석권한 스토리 중심의 드라마와는 차별화된 대형 스크린의 장면을 최대한 활용한 것도 이와 같은 맥락에서 비롯되었다. 영화는 스토리보다는 대형 스크린의 여러 장면을 통해 신체를 에로틱하게 전시하면서 대중의 시청각적 흥미와 쾌락을 최대한 끌어 올리기 위해 노력했다. 이를 통해 당시 한국 영화는 대중 매체로서의 생존 위기를 타개하고 예술로서 자리매김하기 위한 자구책을 마련했던 것이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s and identity of Korean cinema in the second half of the 1960s as they were not fully examined in the middle of “eroticism” fever that swept over the entire popular culture during the period, focusing on “cinematic eroticism” of the times. As the intellectuals, who used to maintain a strict ethical position with such force to criticize and correct the inconsistent censorship of the government, started to raise issues with movies like The Eunuchs and The Lady in the Wall, the Korean movie circles were caught in the controversy of “cinematic eroticism.” Given the characteristics of movies that should satisfy both commercial viability and artistic value, “eroticism” was something essential that could not help being expressed in movies. Being bombarded with the harsh criticisms of intellectuals as well as the government policies, however, movies degenerated to low quality propaganda expressions with no kernel that were neither “art” nor “commerce.” As “art” itself was threatened by the strict punishments and institutions for the movies that expressed “eroticism,” however, the issue of “art” and “pornography” finally emerged to the venue of discourse around the cultural and artistic circles, which was a productive result. The cultural environment was extremely poor, but the movie circles were able to have budding perceptions of “art” and “pornography,” establish the boundary between “art” and “pornography,” and expand their perceptions to the issue of manifesting the identity of Korean cinema. They had to pursue and satisfy both commercial viability and artistic value by accepting “eroticism,” which was in vogue those days, and, at the same time, showing something new of their own differentiated from TV, the home theater. A series of movies that claimed to advocate eroticism including The Eunuchs depicted the body in an erotic fashion and made utmost use of the large screen scenes differentiated from story-based dramas that dominated the home theater, which is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Such movies tried to stimulate the audiovisual interest and pleasure of the public as much as possible by displaying the body erotically in many scenes on the large screen rather than focusing on the stories. Employing those approaches, the Korean cinema of the time resolved its survival crisis as a mass medium and made plans to save itself and settle down as art.

      • KCI등재

        미시 공간의 출현과 비판적 재현 -1980년대 후반-1990년대 중반 한국 영화 공간의 의미-

        한영현 ( Han Young Hyeon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7 현대영화연구 Vol.13 No.3

        이 글은 1980년대 후반 이후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한국 영화를 ‘공간’을 통해 분석하고 의미화하는 데 목적을 둔다. 1980년대 후반 전두환 정권의 붕괴와 세계적인 냉전 종식 및 서구와 자유화, 영화계의 변화 등은 한국 영화의 의미 분석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특히, 이 글은 당대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는 데 주요한 방법론으로 ‘공간’이 유효하다는 판단 아래, 다음의 세가지 차원에서 영화 분석을 시도했다. 첫째, 1980년대 후반 이후 한국 영화에서는 아파트 스펙타클을 재조명하기 시작했다. 근대화의 상징이자 가부장적 남성 질서의 표상으로 군림했던 아파트 스펙타클의 붕괴는 한국 영화에 아파트 내부 공간이 출현함으로써 가능해졌다. 중산층의 상징이던 아파트의 내부 공간이 출현하고, 그 안에 은폐되어 있던 ‘성’과 ‘가부장’의 문제들이 돌출함으로써, 아파트 스펙타클은 비판적인 탐색의 대상이 되었다. 둘째, 근대화의 과정에서 제대로 조명받지 못했던 노동 공간이 출현했다. 1980년대 후반 영화에서는 근대화 담론을 추인했던 이데올로기화된 노동 공간이 아니라, 그동안 은폐되어 왔던 열악한 노동 환경이 재현된다. 셋째, 근대화로 인한 도시 개발과 재개발의 내부 식민지, 서구화된 공간을 조명하되, 이러한 공간을 점유하며 살아가는 타자들을 재현함으로써 한국 영화는 도시화의 그늘에 가려진 내부 식민지의 문제를 비판적으로 탐색하는 장을 열었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and signify the Korean film from the late 1980s to the mid 1990s through ‘space.’ In the late 1980s, the collapse of the Chun Doo-Hwan administration, the end of Cold War, liberalization with the Western societies, changes in the movie circle, etc. have significantly affected the analysis on the meaning of Korean film. Especially, considering that ‘space’ is an effective and major methodology to investigate the change pattern of the periods, this research attempted to analyze movies in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 Korean film started to shed new light on A.P.T. spectacle after the late 1980s. The collapse of A.P.T. spectacle, which dominated as a symbol of modernization and masculine order of patriarchy, was possible as A.P.T. internal space emerged in the Korean film. With the emergence of the symbol of the middle class, inner space of A.P.T. and exposure of problems of ‘sex’ and ‘patriarchy’ that had been hidden inside, A.P.T. spectacle became the target of critical exploration. Second, labor space, which could not be highlighted properly during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appeared. In the late 1980s, movies reproduced poor labor environment that had been concealed, rather than ideologized labor space that ratified discussion on modernization. Third, by casting light upon internal colonialism of urban development and redevelopment due to modernization and westernized space, and reproducing others who live occupying such space, Korean films have opened an opportunity to critically explore problems of internal colonialism that was shadowed by urbanization.

      • KCI등재

        개발 신화의 승인과 폭로, 도시 난민의 영화적 재현-1980년대 초반 한국 영화를 중심으로-

        한영현 ( Han Young Hyeon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6 현대영화연구 Vol.12 No.3

        이 글은 1980년대 초반 한국 영화의 문화 정치적 성격을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따라 1980년대 초반 한국 영화에 반영된 도시 난민의 삶을 통해 1980년대까지 진행되어 오던 근대화와 개발 신화의 면모를 비판적적으로 분석한다. 1980년대 초반은 박정희 정권의 붕괴와 전두환 정권의 수립이라는 격동의 역사적 변환의 시기였다. 정권의 변화에 따라 대중 문화정책에도 변화를 보여 전두환 정권은 `3S`정책을 통해 영화가 문화적 열린 틈새를 비집고 당대의 현실을 비판적으로 탐구하도록 길을 열어 주었다. 도시 난민의 형상은 이러한 틈새에서 잠깐 동안 출현했다. 도시 난민은 시골에서 도시로 상경한 이주민들로서, `망향`의 상실과 표류를 전제하고 있으며, 이들은 한편으로는 물질적 풍요와 성공을 위한 욕망을 내면화하면서 근대화의 개발 신화를 추구하면서도 그 안에 편입되지 못한 채, 근대화의 주변부를 서성인다는 점에서 자기 분열적인 모습을 보인다. 이들의 주변부적 삶은 끊임 없이 근대화가 낳은 물질적 풍요와 안정된 삶의 경계를 확정하면서 동시에 이 경계가 내재하고 있는 배제와 삭제의 폭력적 양상을 환기시킨다. 따라서 이들은 근대화의 주변부를 횡단하면서 근대화와 개발 신화를 승인하면서도 그것을 폭로하는 양상으로 1980년대 초반 영화에 등장하는 것이다. 영화에 재현된 윤락녀와 날품팔이, 소매치기, 바보 등은 모두 도시로 몰려와 성공의 꿈을 펼치고자 하지만 그것이 좌절된 채 거리의 떠돌이로 전락하는 존재들이다. 이들이 서 있는 `길`은 `횡단`하는 존재들이 이들의 정체성과 개발 신화의 승인과 폭로를 이중적으로 반영하는 상징이기도 하다. 또한 아무 것도 가진 것 없는 이들의 `신체`, `몸`은 근대화가 가져오는 폭력을 드러내는 중요한 수단이 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낯선 신체의 도래는 안정된 근대화 세계를 침입하고 근대화가 내포한 불안과 두려움을 환기시킴으로써, 개발 신화의 폭력성과 잔인성을 한층 더 부각시키는 것이다. This writing aims to investigate cultural and political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1980s Korean movies. Hence, it critically analyzes aspects of developmental mythology and modernization progressing till 1980s by looking into the lives of urban refugees. Early 1980s was a historical turning and turbulent paradigm due to collapse of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and new establishment of Chun Doo-hwan administration. Not only in the governmental change, but also changes in public culture were entailed, the Chun administration has created `3S` policy, allowing films to critically explore the filed of contemporary reality for further cultural expansion. A figure of Urban Refugee shortly emerged thanks to such a cultural change. The notion of an Urban Refugee refers to the domestic migrants coming up to the capital from the rural, under the premise of loss and drift of `homesickness`, on the one hand, presents traits of Self-dissociation, internalizing their desire for material prosperity and success and hanging around the peripheries of modernization, without being involved into the modernized world of developmental mythology. Their periphery lives constantly determines the boundary of material prosperity and stable lives deriving from the modernization, simultaneously stir up the violent aspects of exclusion and elimination entailed to the boundary. Therefore, these people appears in 1980s films as a disclosing, but also as an approving feature upon the modernization and developmental mythology, traversing the peripheries of modernization. The people such as prostitutes, pickpockets and fools depicted in films are the beings crowding into the urban cities and being degraded to just a depressed drifter after failing to accomplish their dreams towards a success. The `Road` which these people are standing is a symbolization equivocally and dually reflecting both approval and disclosure of developmental mythology and the identities of the `traversing` beings. Furthermore, the `physical`, `body` of these destitute people is significant as utilized as a mean to reveal the violence that originated from modernization. An advent of an unfamiliar body emphasizes the violence and cruelty of developmental mythology, by refreshing the fear and unrest which modernization contains, invading the world of stable modern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