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주거지 지원형 도시재생 사업에서 주민활동과 사회적자본의 상관 관계에 관한 연구
한양수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2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9 No.-
Urban redevelopment and urban regeneration are understood as one of the means to solve the problem of urban society. It is interesting that urban redevelopment and urban regeneration of old city area can be carried out more efficiently and efficiently. This thesis analyzes the correlation between resident activity and organizational reliability, neighborhood activity participation, intimacy between neighbors, and community consciousness through resident consciousness analysis and social capital awareness survey analysis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provides basic data fo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t aims to provide. As a result of cross-correlation of daily activities and planning activities, economic activity was analyzed to have the highest correlation to daily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in autonomous activities was analyzed to have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iability during the social capital survey, the correlation of resident organization reliability with 0.912, the highest level of field support center reliability, was analyzed, and for public officials reliability, it was analyzed that center organization reliability had a correlation of 0.912. This thesis analyzes the degree of participation and reliability through social capital survey through the awareness survey among residents i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so that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led by the residents will be developed and sustainable. 우리나라는 산업화가 급속도로 변화하여 빠른 도시화가 집적되고 산업인구가 지나치게 집중되어 도시의 환경문제가 발생하고 세월이 지남에 따라 도시의 노후화가 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시재생 사업은 도시 지역의 산업구조가 변화하고 도시 확장으로 인하여 원 도심은 상대적으로 사회기반시설과주거환경이 낙후되어 도시재생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도시재생 사업에 있어 주민의 생활 의식 및 사회적 자본 의식 분석을 통하여 공동체의 활동 의식과주민 및 조직의 신뢰도, 동네 커뮤니티 참여도, 이웃 간의 친밀도 등에 대한 상관성을 분석하여 도시재생사업 시행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일상 활동 및 계획 활동에 대해 각 요소별 교차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일상 활동은 경제 활동이 가장 상관성이높게 분석되었으며 친목 활동 참여와 관계 되서는 자치 활동 참여가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사회적 자본 조사 중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주민 조직 신뢰도는 현장지원센터 신뢰도가 가장 높은 0.912의 상관계수가 분석 되었다. 그리고 공무원 신뢰도는 센터 조직 신뢰도가 0.912의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민 공동체 의식에서는 동네 치안 선도와 주민 약속 이행 상관계수가 0.947로 높은 상관성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지역 주민들이 노인 돌봄과 약속 이행에 대해 주민공동체 의식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논문은 도시재생 사업에 있어 주민들 간의 의식 조사 관련 참여도와 사회적 자본 조사를 통하여 신뢰도 등을 분석함으로써 공동체 관리에 필요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도시재생 사업 중 주거지 대상 지역 사업에 물리적 환경개선 사업, 경제적 개선사업을 시행하는데 있어 주민 의식을 조사하고 만족도, 참여도, 신뢰도, 공동체의식 등을 상관 분석하여 도시재생 사업을 시행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