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성우에 의한 토양산성화에 대한 4개 수종의 완충능력과 수관으로부터 양료 용탈 변이

        한심희,이경준 ( Sim Hee Han,Kyung Joon Lee ) 한국산림과학회 1997 한국산림과학회지 Vol.86 No.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cid-neutralizing and buffering capacity of four tree species against soil acidification by acid rain. About 30-year-old forests composed of Pinus rigida, Alnus hirsuta, Quercus mongolica, and Liriodendron tulipifera in a provincial experimental forest located 151an east from Banwol Industrial Complex in Kyonggido were used in this study. Incident precipitation, throughfall and stemflow, and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May to September, 1996 to analyze their pH and canon concentrations. Internal leaf pH, external acid neutralizing capacity(ENC), and buffering capacity index(BCI) of leaves were also determined. The incident precipitation showed an average pH of 4.56, with the percentage of acid rain incidents being 74%. The average soil pH of the study area was 4.15. The pH of throughfall and stemflow in all four species was higher than that of precipitation except that of the stemflow of Pinus rigida which showeed a pH of 3.73. The throughfall of Liriodendron tulipifera showed the highest pH of 5.38. The pH of throughfall and stemflow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nd no correlation, respectively, with precipitations. The most abundant cation in precipitation was Ca. The canon concentraions in throughfall and stemflow de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of K, Na, Ca, and Mg. Cation concentrations in stemflow were highest in Lirioendron tulipifera and lowest in Pines rigida. Nutrient leaching from above ground increased with decreasing pH of precipitation. The pH of stemflow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NC and BCI. The highest values in ENC, BCI, soil pH, and soil canon concentrations were observed in Liriodendron tulipifera, while the lowest values were obtained in Pinus rigida, It was concluded that Liriodendron tulipifera had highest neutralizing capacity against acid rain, while Pines rigida had the lowest capacity and even promoted acidification of soil.

      • KCI등재

        아연폐광산(亞鉛廢鑛山) 주변(周邊) 토양(土壤)의 중금속(重金屬) (Cd, Cu, Zn, Pb) 오염(汚染)에 따른 5개(個) 수종(樹種)의 부위별(部位別) 중금속(重金屬) 축적(蓄積)

        한심희,현정오,이경준,조덕현,Han, Sim Hee,Hyun, Jung Oh,Lee, Kyung Joon,Cho, Duck Hyun 한국산림과학회 1998 한국산림과학회지 Vol.87 No.3

        본 연구는 폐광지 주변에서의 토양내 중금속(Cd, Cu, Zn, Pb) 오염 정도와 토양내 중금속 농도와 수목내 중금속 축적 농도와의 관계를 규명하여, 오염지역의 정화에 수목을 이용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경기도 화성군에 위치한 삼보광산과 광명시에 있는 가학광산에서 1997년 4월부터 9월에 걸쳐 토양 시료와 주변의 난티잎개암나무, 리기다소나무, 현사시나무, 진달래, 아까시나무를 채취하여 중금속 농도를 측정하였다. 두 광산지역의 광구에서 500m 이내 주변 토양은 중금속에 의한 오염 정도가 28~143ppm으로써 심각하지 않았으나, Zn(143ppm), Pb(97ppm)과 같은 중금속 농도는 독성을 나타낼 수 있는 수준이었다. 토양내 중금속의 농도는 Zn>Pb>Cu>Cd의 순이었으며, 광구의 중심에서 1.5km 이상 멀어질수록 증금속 농도는 10ppm 이내로 감소하였다. 각 수종별 중금속의 농도는 Pb를 제외하고, 현사시나무에서 가장 높았으며, 특히 잎에 고농도로 축적되어 있었고, Zn의 경우 91ppm이 검출되었다. 난티잎개암나무의 뿌리에서는 Cu와 Pb의 높은 농도로 검출되었다. 토양의 중금속과 수목 조직내 중금속 농도는 매우 높은 정의 상관을 보여주었으며, 리기다소나무에서 가장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냈다. 토양에 대한 수목 조직의 중금속 농도비(Concentration Factors : CF)는 Zn이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Pb이 가장 낮은 값을 보여주었다. 현사시나무는 CF값이 가장 높아서 중금속을 가장 많이 축적하고 있었다. 특히 토양의 중금속 농도에 대한 식물체의 농도비가 가장 높은 현사시나무는 중금속의 흡수 능력이 뛰어나 중금속 오염지에서 정화식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리기다소나무는 토양의 오염 정도를 가장 잘 반영하는 수종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heavy metal concentrations(Cd, Cu, Z, and Pb) in the soil of two zinc mines and to correlate heavy metal contents between the soils and trees growing near the mines. Soils and leaves, stems, and roots of five tree species(Corylus heterophylla, Pinus rigida. Populus alba${\times}$glandulosa, Rhododendron mucronulatum, and Robinia pseudoacacia) were collected from Sambo Zinc Mine located in Hwasung and Gahak Zinc Mine in Kwangmyung city in Kyonggido. Soils near two zinc mines were not seriously contaminated by heavy metals, but Zn and Pb concentrations were at toxic level. The heavy metal concentration in soils decreased in the order of Zn, Pb, Cu, and Cd, and decreased with increasing distance from zinc mining sites. Among the five tree species, Populus alba ${\times}$ glandulosa showed the highest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the tissue except for Pb. Particulars, leaves of the species contained the high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to reach the maximum of 91ppm Zn. The roots of Corylus heterophylla contained high concentrations of Cu and Pb. The order of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the tree species was Zn, Cu, Pb and Cd.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in the tree tissue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at in soil in which trees are growing. The ratio of heavy metal concentration of trees to that of soils(concentration factor : CF) was highest in Zn and lowest in Pb. Populus alba${\times}$glandulosa had the highest CF value among the five tree species. It was concluded that Populus alba${\times}$glandulosa, based on the high metal uptake ability, could be used for decontaminating of heavy metals from contaminated soils, and Pinus rigida could be used to reflect the level of contamination in soils.

      • KCI등재

        아연폐광산 주변 토양의 중금속 ( Cd , Cu , Zn , Pb ) 오염에 따른 5개 수종의 부위별 중금속 축적

        한심희,현정오,이경준,조덕현 ( Sim Hee Han,Jung Oh Hyun,Kyung Joon Lee,Duck Hyun Cho ) 한국산림과학회 1998 한국산림과학회지 Vol.87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heavy metal concentrations(Cd, Cu, Z, and Pb) in the soil of two zinc mines and to correlate heavy metal contents between the soils and trees growing near the mines. Soils and leaves, stems, and roots of five tree species(Corylus heterophylla, Pinus rigida. Papulus alba × glandulosa, Rhododendron mucronulatum, and Rabinia pseudoacacia) were collected from Sambo Zinc Mine located in Hwasung and Gahak Zinc Mine in Kwangmyung city in Kyonggido. Soils near two zinc mines were not seriously contaminated by heavy metals, but Zn and Pb concentrations were at toxic level. The heavy metal concentration in soils decreased in the order of Zn, Pb, Cu, and Cd, and decreased with increasing distance from zinc mining sites. Among the five tree species, Populus alba × glandulasa showed the highest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the tissue except for Pb. Particulars, leaves of the species contained the high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to reach the maximum of 91ppm Zn. The roots of Corydus heterophylla contained high concentrations of Cu and Pb. The order of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the tree species was Zn, Cu, Pb and Cd.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in the tree tissue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at in soil in which trees are growing. The ratio of heavy metal concentration of trees to that of soils(concentration factor : CF) was highest in Zn and lowest in Pb. Populus alba×glandulosa had the highest CF value among the five tree species. It was concluded that Populus alba×glandulosa, based on the high metal uptake ability, could be used for decontaminating of heavy metals from contaminated soils, and Pinus rigida could be used to reflect the level of contamination in soils.

      • KCI등재

        온도와 CO<sub>2</sub> 농도 증가에 따른 다릅나무와 백당나무의 생장, 광합성 및 광색소 함량 변화

        한심희,김두현,김길남,이재천,Han, Sim-Hee,Kim, Du-Hyun,Kim, Gil-Nam,Lee, Jae-Cheon 한국농림기상학회 2011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3 No.3

        본 연구는 최근 전 지구적으로 문제시 되고 있는 기후변화와 관련하여, 우리나라에서의 대기 중 $CO_2$ 농도 증가와 평균 온도 상승에 따른 수목의 생장 및 생리 반응의 변화를 예측하고자 실시되었다. 온도와 $CO_2$ 농도 증가 하에서 다릅나무의 건중량은 감소하였으나, 백당나무의 건중량은 증가하였다. 또한, $CO_2$ 농도 증가는 다릅나무의 지상부와 지하부의 비(S/R)를 감소시킨 반면, 백당나무의 지상부와 지하부의 비는 증가시켜, 두 수종의 생장 반응은 서로 상반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두 수종 모두 온도 증가에 의해 S/R율이 증가하였다. 탄소고정효율은 다릅나무의 경우, 온도와 $CO_2$ 농도 증가에 의해 뚜렷하게 감소하였으나, 백당나무는 온도 증가로 탄소고정효율이 감소한 반면, $CO_2$ 증가는 뚜렷한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광색소함량은 다릅나무의 경우, $CO_2$ 농도가 증가하면서 모든 광색소 함량이 감소하였다. 그러나 백당나무에서는 뚜렷한 변화가 없었다. 한편 온도 증가는 다릅나무의 잎내 광색소 함량을 크게 증가 시켰으나, 백당나무는 반대로 광색소 함량이 모두 감소하였다. 다릅나무의 엽록소 a/b 비는 $CO_2$ 농도 증가로 뚜렷하게 감소하였으며, 백당나무는 온도 증가로 엽록소 a/b 비가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온도와 $CO_2$ 농도 변화에 따른 수목의 생장 및 생리적 반응은 처리 농도 또는 기간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며, 공시재료의 연령에도 큰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1년생의 어린 묘목을 대상으로 단기간 온도와 $CO_2$ 농도 변화에 대한 반응을 분석한 것이므로, 장기적인 환경 변화에 대한 수목의 적응 특성은 예측하기 어렵다. 따라서 미래의 기후변화에 대한 수목의 반응을 정확한 예측을 위해서는 장기적인 환경 변화 조건하에서 다각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환경 변화에 따른 반응은 수종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므로, 기후변화에 따른 수목의 반응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주요 수종 및 기후변화에 민감한 수종들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The impacts of elevated temperature and $CO_2$ were studied on the seedlings of Maackia amurensis and Viburnum opulus var. calvescens. The seedlings were grown in controlled-environment growth chambers with four combinations of temperature and $CO_2$ treatments: $25^{\circ}C$ + ambient $CO_2$ (400 ppm), $25^{\circ}C$ + elevated $CO_2$ (800 ppm), $30^{\circ}C$ + ambient $CO_2$ (400 ppm), and $30^{\circ}C$ + elevated $CO_2$ (800 ppm). Under elevated temperature and $CO_2$ concentration, the dry weight decreased in seedlings of M. amurensis, but increased in seedlings of V. opulus var. calvescens. In addition, the shoot to root (S/R) ratio in M. amurensis reduced but that of V. opulus var. calvescens increased under elevated $CO_2$ concentration. The S/R ratios of two tree species increased under higher temperature. M. amurensis represented lower carboxylation efficiency under higher temperature and $CO_2$ concentration and that of V. opulus var. calvescens showed lower values under the only higher temperature. Photosynthetic pigment content of in the leaves of M. amurensis was lower under higher $CO_2$ concentration and higher under the increase of temperature, but that of V. V. opulus var. calvescens de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emperature. Chlorophyll a/b ratios of M. amurensis and V. V. opulus var. calvescens decreased obviously with the increase of $CO_2$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growth and physiological responses under the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temperature and $CO_2$ concentration depend on the tree species. Therefore, more studies are needed to predict the response of each tree species against the climate changes.

      • KCI등재

        수목의 장기 기후변화 연구시설: CO<sub>2</sub> 폭로용 상부 개방형 온실

        이재천,김두현,김길남,김판기,한심희,Lee, Jae-Cheon,Kim, Du-Hyun,Kim, Gil-Nam,Kim, Pan-Gi,Han, Sim-Hee 한국농림기상학회 2012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4 No.1

        본 연구는 외국에서 이용해 왔던 기존의 상부 개방형 온실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적인 연구가 요구되는 수목을 대상으로 설치한 상부 개방형 온실의 운영결과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자료에는 이산화탄소의 농도 조절 능력 및 안정성을 비롯하여, 대기와 OTC 내부 간의 미세환경 차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OTC 시설은 대조구인 OTC 외부 시험구, 대기와 동일 $CO_2$ 농도의 OTC 시험구, 대기 $CO_2$ 농도의 1.4배 증가시킨 OTC 시험구, 대기 $CO_2$ 농도의 1.8배 증가시킨 OTC 시험구로 구성되어 있다. 이시설은 온실 6기, $CO_2$ 폭로장치 6기, $CO_2$ 제어장치 6기, 액화탄산가스 탱크 1기, 제어감시실 1실로 구성되어 있다. 온실 6기는 직경 10m, 높이 7m의 10각형 구조물로 제작되었으며, 상부 개구율은 75%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CO_2$ 폭로를 위해 16개 원통형 토출배관을 도입하였다. OTC의 평균 가동률은 2010년 6월에 94.2%로 가장 낮았으나, 7월 이후부터는 98% 이상의 가동률을 나타냈고, 2011년에는 100% 가동률을 보였다. 2010년과 2011년 모두 $CO_2$ 농도 조절 결과는 목표 값에 도달하였으며, 2011년이 보다 안정된 값을 나타냈다. 2011년 무처리 OTC의 $CO_2$ 농도는 목표 값의 106%였으며, 1.4배 OTC는 목표 값의 100%, 1.8배 OTC는 목표 값의 94%였다. 대기와 OTC 내부의 온도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2시 사이에 차이가 가장 컸는데, 편차는 $1.2{\sim}2.0^{\circ}C$를 기록했으나, OTC간 온도 차이는 크지 않았다. 대기와 OTC 내부간 상대 습도의 차이는 0.1~1% 사이로 매우 적었다. OTC를 운영하는데 사용된 $CO_2$ 가스 소비량은 2010년과 2011년 6월에 가장 많은 11.33톤과 17.04톤을 기록했다. The open-top chamber (OTC) system is designed for long term studies on the climate change impact on the major tree species and their community in Korea. In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KFRI), the modified OTC system has been operating since September 2009. The OTC facility consists of six decagon chambers (10 meters in diameter by 7 meters high) with controlled gas concentration. In each chamber, a series of vertical vent pipes are installed to disperse carbon dioxide or normal air into the center of the chamber. The OTC is equipped with remote controlled computer system in order to maintain a stable and elevated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n the chamber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The experiment consisted of 4 treatments: two elevated $CO_2$ levels ($1.4{\times}$ and $1.8{\times}$ ambient $CO_2$) and two controls (inside and outdoors of the OTC). Average operational rate was the lowest (94.2%) in June 2010 but increased to 98% in July 2010 and was 100% during January to December 2011. In 2010~2011, $CO_2$ concentrations inside the OTCs reached the target programmed values, and have been maintained stable in 2011. In 2011, $CO_2$ concentrations of 106%, 100% and 94% of target values has been recorded in control OTC, $1.4{\times}$ $CO_2$-enriched OTC and $1.8{\times}$ $CO_2$-enriched OTC, respectively. With all OTC chambers, the difference between outside and inside temperatures was the highest ($1.2{\sim}2.0^{\circ}C$) at 10 am to 2 pm.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six OTC chambers was not detected. The relative humidity inside and outside the chambers was the same, with minor variations (0~1%). The system required the highest amount of $CO_2$ for operation in June, and consumed 11.33 and 17.04 ton in June 2010 and 2011, respectively.

      • KCI등재
      • 증가한 온도와 CO₂ 농도가 소나무와 곰솔 유묘의 바이오매스 및 생리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심희(Han, Sim-Hee),신수정(Soo-Jeong Shin) 한국산림바이오에너지학회 2020 산림바이오에너지 Vol.30 No.1

        본 연구는 증가한 온도와 CO₂ 농도 환경에서 소나무(Pinus densiflora)와 곰솔(P. thunbergii) 유묘의 바이오매스 생장 변화와 생리적 반응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기후변화시나리오에 따라, 온도는 현재 대기 온도(24℃)와 50년 후 예측 온도(27℃)로 처리하였고, CO₂ 농도는 현재 대기 평균 농도(400ppm)와 100년 후 예측 농도(750ppm)를 적용하였다. 온도와 CO₂ 농도 증가는 소나무 유묘의 줄기와 뿌리 바이오매스 변화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곰솔 유묘의 줄기와 뿌리 바이오매스를 증가시켰다. 특히, 높은 온도는 곰솔 줄기의 바이오매스에 더 큰 영향을 주었고, 증가한 CO₂ 농도는 곰솔의 줄기와 뿌리 바이오매스 모두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증가한 온도와 CO₂ 농도는 소나무 침엽 내 광색소 함량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곰솔 침엽에서는 광색소 함량을 감소시켰다. 두 수종 모두에서 온도와 CO₂ 농도 증가 시 엽록소 a/b의 비율과 총 엽록소 및 카로테노이드 함량 비율이 감소하였다. 온도와 CO₂ 농도 증가에 따른 항산화효소의 활성은 두 수종 간, 효소 간에 차이가 컸다. 증가한 온도와 CO₂ 농도 환경에서, 소나무 침엽 내 SOD와 GR 활성은 증가하였으나, 곰솔에서는 SOD, APX, GR 활성이 모두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증가한 온도와 CO₂ 농도가 소나무에는 스트레스로 작용하여 생장을 억제하였으나, 곰솔에는 생장 촉진 효과를 준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biomass changes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Pinus densiflora and P. thunbergii seedlings in increased temperature and CO₂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climate change scenario, the temperature was treated as the current atmospheric temperature (24°C) and the predicted temperature (27°C) 50 years later, and CO₂ concentration was applied with the current atmospheric average concentration (400ppm) and the predicted concentration (750ppm) 100 years later. The increase in temperature and CO₂ concentration did not affect the stem and root biomass changes of P. densiflora, but increased the stem and root biomass of P. thunbergii. In particular, the high temperature had a greater effect on the stem biomass of the P. thunbergii seedlings, and the increased CO₂ concentration affected both the P. thunbergii stem and root biomass. Also, the increased temperature and CO₂ concentration didn’t affect the photosynthetic pigment content in the P. densiflora, but in the P. thunbergii, the photosynthetic pigment content was reduced. In both species, the ratio of chlorophyll a/b and total chlorophyll and carotenoid content was reduced when the temperature and CO₂ concentration were increased. The activity of antioxidant enzymes due to increased temperature and CO₂ concentration differed greatly between the two species and between enzymes. In the increased temperature and CO₂ concentration, superoxide dismuatse (SOD) and glutathion reductase (GR) activity in P. densiflora needles increased, but SOD, ascorbate peroxidase (APX) and GR activity all decreased in P. thunbergii. In conclusion, the increased temperature and CO₂ concentration acted as stress on the P. densiflora seedlings to inhibit growth, but it is considered that P. thunbergii seedlings had a growth promotion effect.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