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평생학습’ 개념생태계 연구 : 평생학습 개념의 확장, 융합, 그리고 창발에 관하여

        한숭희(Han, Soonghee),양은아(Yang, Euna),임혜진(Lim, Hyejeen) 한국평생교육학회 2020 평생교육학연구 Vol.26 No.2

        이 연구는 평생학습(lifelong learning) 개념이 평생교육·인적자원개발 영역의 경계를 넘어 범학문적으로 확장되어가는 한편, 이 연구분야를 중심으로 각 학문분과간 초연결성을 형성해가는 양상을 분석한다. 또한 이 과정에서 기존의 평생교육 연구분야에서는 나타나지 않던 새로운 개념층위적 창발성이 진화되어 나오는 모습을 드러낸다. 연구자들은 이것을 평생학습 개념생태계의 성장과 진화라는 차원에서 이해하려고 한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들은 지난 20년 동안 국내 및 국외의 학술연구 데이터베이스에서 평생학습 혹은 lifelong learning 을 키워드로 설정한 학술논문들을 추출하여 그 주제영역과 연구문제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국외에서의 평생학습은 (1) 교육학 일반 영역으로 확장되는 한편 사회과학, 생명과학, 공학과 의학, 인문학과 교양학 등 거의 모든 분야로 그 적용범위를 넓혀가고 있었으며, (2) 핵심 연구주제들, 예컨대 노인발달과 학습, MOOCs, 전문가계속교육(의사, 공학자, 건축가 등) 등 주제와 관련된 융합학문적 연구로 발전하고 있었고, (3) 다른 한편에서 기존의 학교학습으로 표현하기 어려웠던 새로운 학습의 세계를 표상하는 플랫폼 개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었다. 특히 인공지능 등의 기계학습 분야에서 평생학습 개념이 활용되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4) 반면, 국내의 경우 평생학습 연구는 전통적 평생교육/HRD영역 안에 갇혀있는 양상을 보였으며 다학문간 활발한 융합연구를 찾아보기 어려웠다. 이제 평생학습 개념은 더 이상 50년 전의 그 개념이 머물 수 없으며, 학술개념의 리더십도 더 이상 평생교육연구자집단(혹은 성인교육연구자집단) 안에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평생학습 개념은 조만간 혁신적 업그레이드를 통하여 새로운 역할을 부여받는 개념으로 거듭날 필요가 있으며, 주요 융합주제들을 통해서 보다 적극적으로 초학문간(transdisciplinary) 협력연구를 촉진할 수 있어야 한다.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way in which the notion of lifelong learning has expanded beyond the territory of educational researches, created new interconnectivities with other major areas of academic researches, and eventually evolved into a new platform of conceptual emergence. The researchers adopted a complexity perspective to understand this whole process as a part of dynamic conceptual ecologies in evolution. Within this framework, an academic concept, being developed as part of practical reality in the related field, came to existence to obtain a discursive power, or “governmentality,” adopting Foucault’s terminology, which authorizes collective legitimacy to the piecemeal of the fragmented practices, and to provide them justification and social value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we used two major scholarly databases to select articles whose researches have mainly focused on the notion of lifelong learning. One is SCOPUS scholarly database, the other is Korean research database of RISS. From the two databases, we compared the distribution of the articles whose main theme is related with lifelong learning, both in Korea and overseas. Upon the data collected, we found out that (1) the expansivity and interconnectivity of lifelong learning discourses between various academic fields is far restricted in Korea than overseas; (2) lifelong learning in Korea is more strictly bound within the territory of educational researches, while in overseas more articles were found in the areas such as medicine, engineering, social science, humanities, and others; (3) newly emerging research themes were created especially in the area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that were standing over the platform of Industry 4.0 or post-humanism. Overall, the notion of lifelong learning today came to be a general and transdisciplinary concept that shares more connectivity and alliances in collective researches to shed “new” lights on the “old” phenomena of human learning in a new epoch. Nevertheless, the conceptual sophistication and major upgrade have not been supported enough by the original adult education research group; rather, the clock of the concept stopped at the point when it was first invented. All kinds of cliche and old implications are repeated without further evolution. Adult educators are no longer standing at the center of the academic leadership in this phenomenon.

      • KCI등재

        평생교육담론이 교육학 연구에 던진 세 가지 파동

        한숭희(Han Soong hee)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05 평생학습사회 Vol.1 No.2

        This article explores the effect of the discourse of lifelong learning to the traditional education researches by the emerging concepts, theoretical structures, and research metholodogies that were created and developed in order to capture the peculiarity of the new phenomena. The major areas of lifelong learning discourse can be summarized into four aspects: firstly, the new concepts of learning and education that expand the scope of the research to lifelong and lifewide; secondly, the overall transition of the realm of education from the school society into the learning society; thirdly, new social engineering that constructs the new architecture of educational formation on the basis of learning society; fourthly, a naturally emerging epistemological standpoint for the lifelong learning researches that try to cover up the whole new entities and relations of the new context. In this article, the author use a metaphor of “three waves” in order to illustrate the impact: a wave for conceptual renovation, a wave for socio-cultural rearrangement, and a wave for new research methologies that fit into the new conditions.

      • KCI등재
      • KCI등재

        평생학습 제도화 현상의 이론적 기반과 글로벌 전개과정 : 유럽과 동아시아 현상 비교

        한숭희(Han, Soonghee) 한국평생교육학회 2021 평생교육학연구 Vol.27 No.4

        평생학습의 제도화란 사회 전반에 평생학습체계를 구축해가는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과정이다. 평생학습은 포스트-근대적 지식양식 및 그 학습을 지원하는 체계를 지속적으로 생산해간다. 이를 위해 교육체계로부터 학습을 탈주시키는 양상을 새로운 사회적 학습양식으로 구조화해낸다. 이를 통해서 사적 활동이던 개인의 학습활동들이 선택적으로 사회적 가치와 연동하도록 하며, 일정한 형태의 사회적 기능성을 가지게 하는 한편, 이를 사회적 차원에서 집합적으로 재생산할 수 있는 조직체계와 구조를 만든다. 그런데 이때 우리가 말하는 평생학습양식 혹은 그 제도화적 형태로서의 평생학습체계가 무엇인가의 문제는 결코 개념적 연역적으로 답해질 수 없다. 포스트-근대성이라는 것 자체가 어떤 현상의 본질을 개념으로 환원하여 규정하는 것을 거부하는 일이며, 이 점에서 연구자는 평생학습체계가 무엇인가를 개념적 규범적으로 규정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이 글은 체계가 모종의 설계자에 의해 가치와 개념 혹은 목적론적 차원에서 의도적으로 디자인되는 것이 아니며, 모종의 우연하고도 산만한 차이들의 누적적이고 재귀적인 형성을 통해 만들어진다는 이론들에 기반하여 평생학습체계가 생산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 글에서 연구자는 수동적 결정론에 빠져있던 기존의 평생학습체계관에 대비하여 물리주의적 신유물론과 사회생물주의적 사회체계 이론의 관점들을 검토하고, 그에 비추어 20세기 이후 전개된 평생학습제도화의 실제 역사적 전개 과정에서 평생학습의 실천들이 형성해내는 경계 및 정체성 형성 과정을 관찰하고 설명하려고 시도한다. 특히, 2000년대 유럽과 동아시아 평생학습제도화의 연대기적 변이과정을 통해 평생학습의 제도화를 주도한 힘이 어떤 선험적 개념에 의한 연역적 구성과정이 아니었다는 점을 설명한다. 오히려 제도화는 지속적 반복을 통해 자기 경계의 흔적을 만들어내는 동시에 그 경계를 통해 평생학습이 어떤 것인지를 이념화해낸다. 이제 평생학습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은 바로 그러한 평생학습이라는 이름으로 벌어져왔던 일들을 추적하는 가운데 획득되어야 한다. 이런 복잡성과 산만함 속에 숨겨져 있는 창발적 패턴과 재귀적 확장과정을 포착하는 일이 결국 평생학습에 대한 일반이론연구 라고 할 수 있다. The institutionalization of lifelong learning is a continuous and recursive process of building a lifelong learning system throughout a whole society. Lifelong learning allows individual learning activities, being private in nature, to be selectively endowed social values through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and allows them to possess social meanings and have a certain form of social functionality while creating an organizational system and structure that can collectively reproduce at the social level. Also, by linking parts and parcels of learning activity systems that share similar kinds of structures, the comprehensive emergent systems as of a lifelong learning system are territorialized. In this paper, I tri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by applying the perspective of the social systems theory, developed by Maturana or Luhmann. Acording to the theory, all social systems are by nature complex systems being recognized as emergent living things that produce self-territoriality through operational closure, structural couplings, structural drift, and self-referential organizing processes. Also, the systems are a living existence that weaves one s own identity by repeatedly producing the differences through continuous distributed and recursive practices. In this paper, the researcher tried to re-affirm this diversity of the patterns in the chronological cases that show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lifelong learning institutionalization in Europe and East Asia. Lifelong learning is not at all a phenomenon that can be defined deductively by any prior concept. Rather, institutionalization creates traces of self-territories through continuous repetition and at the same time conceptualizes what lifelong learning implies through those obtained territorial differences. Now, the answer to the question of what lifelong learning is must be obtained by trac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events that have actually taken place in the name of lifelong learning. Capturing emergent patterns and recursive expansion processes hidden in such complexity and distraction is ultimately a way of developing a general theory of lifelong learning.

      • KCI등재

        한국 평생교육 프로그램 공급패턴 분석

        한숭희(Han, SoongHee),양은아(Yang, Eun-A),이재열(Lee, Jae-Yeol) 한국평생교육학회 2011 평생교육학연구 Vol.17 No.4

        이 연구는 한국 평생교육 프로그램 공급패턴 분석을 위해 시도된 거시적인 접근으로서 (1) 평생교육 프로그램 통계조사자료 분석을 위한 도구적 개념과 조건을 탐색하였으며, (2) 그에 터하여 평생교육법령 등록기관의 년간 총 공급량과 도농 간 패턴, 그리고 프로그램 내용별 차별성 등을 분석하였고, (3) 마지막으로 서울시를 사례로 평생교육법령 등록기관(1유형)과 기타법령 등록기관(2유형)을 포함한 총 공급패턴이 보여주는 몇 가지 핵심적인 특징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8-2010년 조사된 한국교육개발원의 평생교육통계조사 자료를 재분석하며, 부수적으로 2010년 서울시가 자체조사한 평생교육통계조사 자료를 함께 활용하였다. 그 결과 몇 가지 점에서 특징적인 패턴이 드러났는데, (1)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양적공급은 매년 증가추세에 있으나 내용 영역별로는 시민참여교육, 학력보완교육(초·중등), 문해교육은 급격한 감소추세에 있었으며, 직업능력, 문화예술, 인문교양, 학점인정 프로그램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기관 유형별로는 대학(원) 및 사업장 부설기관, 평생학습관이 프로그램 공급을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시군구 간 격차에 관해서는 구(광역시), 시 단위에 비해 군단위 지역에서의 공급이 미미한 수준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 주된 이유는 군단위가 평생학습관이 주도하는 공적 공급체계에 기초하는 반면 구,시 단위는 프로그램을 대규모로 공급하는 대학(원) 및 사업장 부설 등에 의한 사적 공급체계가 집중되어 있고 이에 의존하는 까닭인 것으로 보인다. (3) 서울시 분석을 통해서는 오히려 2유형의 기관과 프로그램, 학습자 수가 1유형(원격 제외)에 비해 훨씬 많은 것으로 드러남으로써 상당부분 평생교육법 영역 밖의 기관들을 통해 안정화된 평생교육 프로그램들이 공급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4) 이를 통해 향후 한국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공급패턴을 보다 정교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평생교육통계조사 자료를 지표화 및 지수화하기 위한 개념적 연구가 보완되어야 하며, 전국적인 프로그램 공급자료를 파악하기 위해서 2유형 기관에 대한 전국단위의 법정 통계조사가 수반되어야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Three years of national data accumulation on adult education institutions, programs, personel and finances, by KEDI, now enable us to analyze and find out some fundamental patterns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t the national level. This article conducts and provides the lifelong education provision by means of analyzing the raw data of national survey that have been annually conducted by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in 2008-2010. In this article, the authors attempted to provide the following four dimensions of findings on the issue: (1) several key concepts and conditions that shed light on developing further elaborated framework of national survey on lifelong education statistics were discussed and proposed; (2) the grand scale and pattern of educational provision nationwide in several aspects were provided, especially of total volume of it by using the matrix that consists in the types of provider as well as the types of program contents.; (3) the learning divide, especially inequality and its pattern between rural and urban areas were empirically proved with some new indicators that can be applied for the further researches; (4) A regional lifelong learning ecosystem with total picture of educational provision with the case study of the City of Seoul was drawn, with subsidiary analyses on the pattern of education provision by types of providers with types of program contents. As conclusions, the article has contributed on (1) establishing conceptual frameworks to proceed the data collection, processing, and retrieving and put them as survey output for professional uses; (2) exemplifying the way of in which the data, indicators, and matrix can be applied to show how the realities of the structure of educational provision in Korea can be revealed by analyzing the national survey data; and (3) Some explicated facts and patterns in detail of the program provision by areas, by issues, and by regions.

      • KCI등재후보

        市場인가 公的 領域인가: 참여정부의 평생교육정책의 핵심 논제

        한숭희(Han Soong-hee) 한국평생교육학회 2003 평생교육학연구 Vol.9 No.3

        근대 복지국가의 전통에서 볼 때 교육은 복지, 의료 등과 함께 공적 영역을 대표하는 한 가지 사회적 실천으로 이해되어 왔다. 평생교육의 차원에서도 이러한 공적 영역의 책무성은 예전의 학교교육에 주어졌던 관심과 최소한 동일한 선상에서 강조되어야 하는 것이며, 사적 영역판으로 이루어진 평생학습 시장은 본질적으로 한계를 노출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최근 평생학습담론 안에서 이러한 공적 책무성에 대한 논의는 거의 무시과고 있다. 이 논문에서 연구자는 공적 영역(public domain), 특히 국가를 중선으로 한 공공 부문(public sector)이 받쳐주지 않는 평생교육의 시장화는 분명히, 교육의 시장 실패(market failuere)를 가져올 수밖에 없으며, 교육의 소외 계층 문제는 바로 이러한 점과 관련된 대표적 시장 실패의 사례로 이해되고 접근되어야 한다는 점을 주장한다. 구체적으로 연구자는 (1) 평생교육이 본질적으로 공공재로서의 성격을 가지며, 궁극적으로 공적 영역의 확장과 함께 전개되어야 할 사회적 책무성으로서 국가와 시민사회라는 공동 주체에 의해 추진되어야 하는 것임을 설명하고, (2) 이러한 공공평생교육의 구축이 결여된 시장중심 평생학습, 즉 인적자원개발 논의는 스스로의 시장실패 가능성으로부터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는 점을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3) 참여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인적자원개발 정책의 가장 핵심적인 기지에 교육의 공공성 회복을 통한 평생교육의 공적 기능 부활이 함께 구상되어야 한다는 점을 부각시킨다. Education, in the tradition of modem welfare state, has been understood as a social practice which represents public domain along with welfare and health service. Responsibility toward public domain should be emphasized in lifelong education policy, and it requires at least the same amount of interest which has been given to schooling. Otherwise, lifelong education market composed of private domain will expose its limitations. In recent lifelong learning discourse,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discussion on public responsibility. In this study, therefore, the researcher suggests that marketization of lifelong education without the support of public domain, especially that of public sector of a nation, will result in market failure. The researcher also argues that we should understand and approach the issue of neglected class from education as a key market failure. The researcher (1) explains that public property in itself should be the characteristics of lifelong education, and ultimately be promoted both by a nation and civil society. These are social responsibilities needed to be developed with the expansion of public domain, (2) argues that market-oriented lifelong learning without building up public lifelong education, in other words, discussions 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cannot be free from the possibility of market failure, (3) highlights that underlying philosophy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policy that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drives forward should map out public function of lifelong education by recovering public nature of education.

      • KCI등재후보

        평생학습참여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학습자배경, 학습패턴 및 자기보고 핵심역량이 평생학습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숭희(Han Soong-Hee),신택수(Shin Tack-Soo),양은아(Yang Eun-Ah) 한국평생교육학회 2007 평생교육학연구 Vol.13 No.2

          최근 평생학습정책을 주도하고 있는 국제기구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형태의 평생학습 국제조사가 실시되고 있다. 이 조사들은 단순한 참여율 파악의 수준을 넘어서 성인학습의 다양한 특징과 기능을 조명하려는 연구로 그 관심사를 확장해가고 있다. 평생학습조사와 관련한 주요쟁점으로는 평생학습을 측정 가능한 형태로 규정해내는 것과 함께 학습이 핵심역량 형성을 통해 지식자본주의 안에서 새로운 위치를 차지하는 양태에 관한 내용들이 포함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유럽연합의 평생학습 질적 지표는 평생학습과 기초 직업역량과의 관계, 평생학습 접근성 및 참여현황, 평생학습의 자원영역, 전략과 시스템 개발이라는 관점에서 그러한 맥락화를 본격화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지구적 경향성의 연장선상에서 우리나라의 평생학습참여조사를 확장하려는 시도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 거주성인 1,000명에 대한 평생학습참여 조사자료에 기반을 둔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학습참여율 및 참여시간 등의 조사에 덧붙여서 학습패턴 및 학습역량이라는 두 가지 핵심요소를 포함시킴으로써 학습에 참여하는 성인들이 보유하고 있는 학습양태 및 능력인지 여부와 참여율 간의 관계를 추적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서 연구자들은 (1) 서울시 거주 성인의 평생학습참여율에 관한 기초 자료를 추출하는 한편, 특히 (2) 학습자의 학습패턴 및 학습역량이 성인의 평생학습참여를 결정하는 의미 있는 변인일 수 있다는 점을 비선형 회귀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Recent years,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which are leading development of lifelong-learning policies, have analyzed diverse types and effects of international lifelong education. Most studies examined not only the simple rate of participation but also various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lifelong learning. The significant issues with respect to investigation of lifelong education were how to categorize and measure the definition and effect of lifelong education and how those educations improved the core competencies to be retained for use in knowledge and capital based modern society. Related to these, Fifteen Quality Indicators of Lifelong Learning(FQILL) by E.U. tried to answer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long learning and basic vocational competency. Also, it provided valuable information about accessibility, enrollment rates, and resources, as well as development of strategy and system of lifelong learning.<BR>  Recognizing the worldwide trends of lifelong-learning studies, this study investigates which democratic and learning-style factors affect participation rates and lengths of education. Importantly, it analyzes relationship among enrollment rate,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and their cognitive capacities involving learning styles and competencies. The data was obtained from a sample of 1,000 adults from a metropolitan city of Korea.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articipation of lifelong learning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learning style and learning competency.

      • KCI등재

        평생학습사회의 학습체제 연구를 위한 생태체제적 개념모형탐색

        한숭희(Han Soonghee) 한국평생교육학회 2006 평생교육학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상징체계적 수준에서 논의되던 학습사회 논의를 이론적 구체화의 세계로 끌어내기 위한 몇 가지 이론적 개념을 구안한다. 첫째, 연구자는 학습사회의 학습체제(learning system)를 이해하는 한 가지 도구로서 "학습의 사회적 관리양식"이라는 개념을 제안한다. 학습의 사회적 관리양식이란 한 사회에서 학습이 생산되고 관리되고 교환가치를 획득하는 방식임과 동시에 한 사회의 학습체제가 가지는 특징을 규정하는 핵심개념이다. 학습사회란 인류가 구성해온 다양한 사회양식 가운데 한 가지 특징적인 사회양식이며, 학습의 사회적 관리양식은 그 특징적 사회양식을 보여주는 상징체계라고 할 수 있다. 둘째, 현재까지의 학습사회 논의가 주로 포스트스쿨시스템(post-school system)에 대한 구조 및 확장된 평생학습 패턴에 천착하는 것으로부터 모종의 복잡계적 학습체제에 대한 이해로 그 연구의 방향을 전환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고, 복잡계로서의 학습사회의 학습체제를 이해하기 위한 세 단계 범주 개념을 제시하고 있는데, 각각 미시계로서의 학습행위, 중간계로서의 학습생활, 그리고 거시계로서의 학습생태계를 개념화한다.   This study discusses and pull out a few useful concepts that can be implemented to shed light on the nature of learning society that had been usually located in the discursive symbolism and normative idealism. From the recent European experience the researcher finds some clue of grand shift of societal change from school-based society to learning-based society. Several key features were scrutinized from the changes.<BR>  In this article, as a conceptu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key characteristics of the learning system of the learning society, the researcher proposes the cocept of "social management of learning(SMSL)", which takes a fingerprint-like uniqueness of the given society. The researcher also creates several key criteria useful for elucidate the structure of learning system. Learning Activity was proposed for a unit of microsystem, learning life for mesosystem, and learning ecosystem for macrosystem of learning society.

      • KCI등재후보

        평생교육 맥락에서의 인문학습의 새 지평 - 인문학 위기론의 재해석

        한숭희(Han Soong-Hee),양은아(Yang Eun-A) 한국평생교육학회 2007 평생교육학연구 Vol.13 No.4

          최근 평생학습담론은 일의 대상화를 통한 사회적 교환가치 획득을 지향하는 평생직업능력개발의 담론과 함께 인간의 존재적 가치를 중심으로 자신의 경험을 돌보고 성장시키는 평생교육이라는 두 가지 대칭적 담론구조의 상호 보완을 통하여 성장해 가고 있다. 전자가 노동현장에서 사회 생산과정의 기능성 획득을 위해 사회적 교환가치 즉 노동상품 가치를 획득하기 위한 경험의 변화를 지향하는 과정이라면, 평생교육은 생활세계의 삶에 터하여 상품화 과정에서 과잉 사회화된 자신의 경험을 다시금 ‘하나의 통일된 경험’으로 복원해내는 생명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노동의 상품화과정을 통해 인적자원개발이 강조되면 될수록 그 반면에서 경험의 목적합리성에 의해 상실되는 주체적 인식과 경험성장의 생명성 상실 등을 보전할 수 있는 것, 즉 자신의 경험의 생명성을 부활시키는 과정으로서의 평생교육이 보다 시급히 요청된다. 이 연구는 평생교육의 맥락에서 인문학과 인문학습의 가치와 기능을 다시 설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는 첫째, 인문학을 학습하는 일이 인간이 자신의 존재를 성찰적으로 이해하는 일과 어떤 논리적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설명한다. 둘째, 최근 제기되고 있는 강단인문학에 대한 대중인문학의 도전의 의미를 살피고 그것이 평생학습 맥락에서 어떤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는지를 밝힌다. 셋째, 지식자본주의 체제에서 지식노동이 가지는 ‘사유의 상품화’ 현상을 설명하고 대중인문학이 이 문제에 어떠한 해결점을 제시해줄 수 있는지를 논의한다.   Recently the theory and practice of lifelong learning consists of the two contrasting bodies of discourses: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at represents human labor to produce social exchange value and lifelong education that focuses on reflecting and developing the existential meaning of life itself. If HRD transforms human experience to obtain maximum social exchange value, lifelong education on the contrary represents the life process that helps the alienated human experience to recover the balanced meaning of lifeworld. As the work and employment in the modern society commodifies human labor into human capital, the embedded attributes of exchange value in the labor and its representations estranges the human lived experiences into the commodities. Lifelong education, I argued in this paper, serves for the re-covering the human ecology against the commodified labor processes and heavily rely on the humanities as subject as well as mode of thinking. In this article I argued that humanities and humanity education can be settled a core part of lifelong education in that ‘the colonized system’ in human mind can be recovered to that of lifeworld. Second, I discussed the newly emerging ‘street humanities’ that significantly brings living breath to the current crisis of humanities that is strongly interwoven with the limitation of formal education system.

      • KCI등재

        홍콩 고등평생학습복합체제 구조적 특징 분석

        양은아(Yang Eun A),한숭희(Han Soong Hee) 한국평생교육학회 2016 평생교육학연구 Vol.22 No.2

        최근 고등교육체제를 평생학습으로의 확장이라는 관점에서 새롭게 이해하려는 시도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홍콩의 사례는 기존 전통적인 엘리트중심 고등교육체제가 어떻게 성인 계속학습의 수요를 내부에 수용하고 있는가에 관한 흥미있는 현상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홍콩의 고등평생학습복합체제로의 변화과정을 통해 고등교육의 보편화라는 축을 만족시킴과 동시에 자체적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시장화 모형을 비학위과정 및 기타 변형된 형태의 계속교육과정에 적용함으로써 새로운 대학 거버넌스 구조를 만들어내는 추이와 양상을 분석하고, 그 사례로서 홍콩대학의 전문계속교육대학(‘HKU SPACE’)의 거버넌스 시스템과 작동방식을 검토하였다. 결과적으로 홍콩의 사례는 대학의 기능 및 거버넌스 구조만으로 보았을 때 매우 특이한 구조적 변이를 가능하게 해주는 생태적 맥락을 드러내는데, 이런 점에서 홍콩의 고등교육은 (1) 전통적 대학이라는 울타리, (2) 그 안에 엘리트적 및 보편적 고등교육 수요에 대한 격리된 학위공급구조, (3) 모듈화되어 분리와 결합이 가능한 비학위프로그램 공급생태계, (4) 학습결과와 학위를 통한 상위계열로의 편입 가능성 등이 종합된 이른바 ‘한 지붕 두 가족’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처럼 4년제 대학중심, 학위중심의 단순함에서 벗어나서 다양한 체제가 공존함과 동시에 학위와 전문자격이 함께 학위프로그램과 비학위프로그램을 융합하고 공유하는 형태를 발전시켰다는 점에서 고등수준에서의 평생학습체제 구축에 몇 가지 중요한 시사점을 주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동시에 이 체제들은 공공재원으로 이루어지는 고등교육과 사적비용으로 시장화된 성인계속교육으로 고등평생학습의 생태계를 이분화하는 결과를 가져왔다는 점도 부정할 수 없다. Recently, there have been many attempts to understand higher education system from a new angle of expanding toward lifelong learning. In this context, the case of Hong Kong system shows us the interesting phenomenon that tells us how traditionally elite-centered higher education system embraces the demand of lifelong continuing learning.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 and progress of creating new governance structure of universities and reviewed the governance system and operational methods of professional and continuing education in Hong Kong. For this, through the process of conversion into complex system of higher education and lifelong learning, a marketing model that satisfies gener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creates profits by itself at the same time was applied to non-degree courses and other transformed continuing education courses. As a result, in the case of Hong Kong, considered only with the function and governance structure of universities, showed ecological context that enables very unique structural transformation; in this regard, higher education in Hong Kong has a so-called ‘two families under one roof’ system that includes: (1) the boundary of traditional university, (2) segregated degree-supplying structure for demands for elitist and universal higher education, (3) modularized ecosystem supplying non-degree programs that can be separated and combined, and (4) possibility of transferring higher levels through learning outcomes and degrees. This provides a few important implications in establishing higher level of lifelong learning system, in that they have developed higher educational system where various systems coexist, and degree programs and non-degree programs and academic degrees and professional certificates are converged and shared at the same time, beyond the system that focuses on 4-year university and degree system in South Korea. On the other hand, it is undeniable that the system has divided the ecosystem of higher education and lifelong learning into those with public fund and private cos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