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ICF모델에 기초한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참여정도가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성민(Seongmin Han) 글로벌지식융합학회 2018 지식융합연구 Vol.1 No.1

        ICF 모델에 근거하여 장애인 근로자의 참여가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주관적 건강상태와 일자리 만족도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검증한 참여수준은 ICF 분류기준에 근거하여 활동과 참여를 측정하는 척도 중, 장애인으로서의 겪는 여러 제약으로 인해 장애인에게는 큰 제약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가정에서 본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참여수준이 높으면 주관적 건강상태, 일자리만족도가 높아지며, 이는 일상생활만족으로 이어진다는 연구결과가 도출이 되었다. 따라서 장애인근로자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측면에서 건강에 대한 개입과 직무 환경에 대한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으로서, 장애인 근로자를 둘러 싼 환경 체계적 개입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즉 개인적 요인인 건강상태와 사회적 요인인 직무만족도에 대한 실체적인 개입이 궁극적인 삶의 질로 이어질 수 있다는 가정이 통계분석절차를 통해 그 영향력이 검증되었다. Based on the ICF model, the effect of participation of disabled workers on daily life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job satisfaction. The level of participation confirmed by this study may be a major constraint on disabled people due to various limitations on the scale of activity and participation measurement based on the ICF classification criteria. This study conducted this study and found that higher levels of participation lead to higher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job satisfaction, which leads to daily life satisfac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tervene in the health and the work environment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disabled workers. It shows the necessity of environmental system intervention surrounding the disabled workers. In other words, the statistical analysis procedure proved its influence on the assumption that the actual intervention of the personal factor, the health condition and the social factor, the job satisfaction, could lead to the ultimate quality of life.

      • KCI등재

        요양보호사의 클라이언트 폭력피해경험, 소진, 직무만족도 관계 연구 : 회복탄력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성민(Han Seongmi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2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기관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가 클라이언트에게 겪는 폭력피해경험이 소진을 통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며,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요양보호사의 폭력피해에 대한 심각성과 업무적인 어려움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요양보호사를 보호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주요 변수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변수인 클라이언트 폭력피해경험, 소진, 직무만족도, 회복탄력성의 측정 변인의 설명력을 파악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요양보호사의 클라이언트 폭력피해경험과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소진의 매개효과를 단계적 절차에 따라 검증하였으며, 클라이언트 폭력피해경험과 소진을 통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의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SPSS의 확장프로그램인 PROCESS macro를 활용하였다. 연구모형을 통한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가 경험하는 클라이언트 폭력피해경험은 소진을높이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둘째, 요양보호사가 경험하는 클라이언트 폭력피해경험은 직무만족을 낮추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셋째, 요양보호사가 경험하는 소진은 직무만족을 낮추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소진을 통제하고도 클라이언트 폭력피해경험은 직무만족에 여전히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본 연구의 연구모형은 부분매개모형으로 결정되었다. 넷째, 요양보호사의 회복탄력성은 클라이언트 폭력피해경험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력을 완충해주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다섯째, 요양보호사의 회복탄력성은 클라이언트 폭력피해경험이 소진을 통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하는 영향을 가지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연구의 함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소진 예방과 직무만족을 증진하기 위해 요양보호사의 회복탄력성을 증진하기 위한 다각도의 정책적 실천적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요양보호사의폭력피해경험을 최소화하는 방안으로 요양보호사 개인뿐만 아니라 정부와 복지기관에서도 요양보호사의 클라이언트 폭력피해경험 현실과 위험성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사회적 인식을 환기시키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하고, 클라이언트 폭력에 대한적절한 대응 매뉴얼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업무 상황에서 발생하는 클라이언트 폭력피해경험이 소진감을 높여 직무만족 저하로 이어지는 관계를 예방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민관 협력사업으로 요양보호사의 업무수행과정에서 겪는 소진과 같은 긴급한 상황에 이를 정서적으로 지원하고 적절한 해결책을 마련할 수 있는 근로 현장 복지상담전문가의 양성을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클라이언트 폭력피해경험, 소진, 직무만족도 간의 인과관계를 확인함에 있어서 회복탄력성의영향력에 대해 검증하여 노인복지 현장에 맞는 정책과 실천적 서비스가 마련되어, 요양보호사의 근로환경이 개선되는 데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curately identify the seriousness and work difficulties of nursing care workers by verifying the effect of violence damage experienced by clients through burnout and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is study,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and the current status of major variables such as client violence damage experience,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resilience.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burnou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lient violence damage experience and job satisfaction of nursing care workers was verified in stages, and PROCESS macro, an extension program of SPSS, was used to verify the influence of resilience on job satisfaction through client violence damage experience and burnout. In this study,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and the current status of major variables such as client violence damage experience,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resilience.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burnou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lient violence damage experience and job satisfaction of nursing care workers was verified in stages, and PROCESS macro, an extension program of SPSS, was used to verify the influence of resilience on job satisfaction through client violence damage experience and burnout.The research results through the research model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 of client violence damage experienced by nursing care workers has an influence that increases burnout. Second, the experience of client violence damage experienced by nursing care workers has the influence of lowering job satisfaction. Third, burnout experienced by nursing care workers has the influence of lowering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even after controlling burnout, the experience of client violence still had a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erefore, the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was determined as a partial mediation model. Fourth, the resilience of nursing care workers had the influence of buffering the influence of client violence damage experiences on burnout. Fifth, the resilience of nursing care workers had the effect of controlling the influence of client violence damage experiences on job satisfaction through exhaustion.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deriv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prevent burnout of nursing care workers and improve job satisfaction, various policy and practical approaches are needed to improve the resilience of nursing care workers. Second, as a way to minimize the experience of violence in nursing care workers, not only individuals but also governments and welfare institutions should continue to make efforts to raise social awareness of the reality and risks of client violence. Third, it will be necessary to prevent the relationship that leads to a decrease in job satisfaction by increasing the sense of exhaustion of client violence damage experiences occurring in the work situation of nursing care worker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fostering on-site welfare counseling experts who can emotionally support urgent situations such as burnout experienced in the course of nursing care workers work as public-private cooperation projects and come up with appropriate solu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of nursing care workers by verifying the influence of resilience in confirm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lient violence experience,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of nursing care workers.

      • KCI등재후보

        국내 정밀의료의 현황과 방향성

        한성민(Han Seongmin) 글로벌지식융합학회 2020 지식융합연구 Vol.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정밀의료에 대한 현황 고찰과 더불어 미래에의 전망을 살펴보고자 함이다. 더불어 향후 정밀의료의 방향성에 대한 논의를 위한 탐색연구로서의 의의를 가진다.빅데이터 기술과 정보통신 기술이 결합한 바이오 의료 산업은 의료산업에서 고부가치적인 분야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 3년 동안 의료 산업에서 화두가 되고 있는 분야는 정밀의료(precision medicine)이다. 전 세계는 차세대 의료 산업에서 정밀의료를 1순위로 뽑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미국, 캐나다, 중국과 비교하면 첫 단계를 시작하는 수준이다. 현재까지 정밀의료에 대한 개념과 의미, 정밀의료의 기능과 활용 등에 대한 국내 정보가 제한적이다. 의료계에서는 정밀의료가 고평가되고 있으나 정밀의료의 현황과 방향성에 대해 조사한 문헌은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밀의료에 대한 개념과 정밀의료 산업에 대한 현황을 정리하였으며 향후 개인 맞춤형 정밀의료를 실현하기 위한 방향을 제안하였다.정밀의료는 우리의 건강과 건강 관리에 대한 생각과 사고 방식을 바꿀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정밀의료가 보편화하기 전 우리는 의사와 의료 제공자는 최신 과학 및 복잡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환자를 이해하고 정확한 치료를 맞춤화 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과 도구를 배워야 할 것이다. 복잡한 생각을 환자들에게 전달하기 위한 도구가 필요할 것이다. 환자들은 유전학과 생물학에 대한 환자의 개인 데이터를 어떻게 보호되는지 그리고 그것들이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를 알고 싶어 하므로 개인 정보를 강화하기 위한 견고한 플랫폼이 필요할 것이다. 향후 정밀의료 발전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과학자들의 많은 연구와 정부와 민간의 파트너십, 시민 사회, 환자, 산업 및 정책 입안자의 협력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precision medicine and the prospects for the future. In addition, it has significance as an exploratory study to discuss the future direction of precision medicine. The biomedical industry, which combines big data technology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s drawing attention as one of the high value-added fields in the medical industry. The field that has become a hot topic in the medical industry for the last three years is precision medicine. The world ranks precision medicine first in the next-generation medical industry. However, compared to the US, Canada, and China, Korea is at the level of starting the first stage. To date, domestic information on the concept and meaning of precision medicine and the functions and uses of precision medicine is limited. Precision medicine is highly evaluated in the medical field, but the literature on the current status and direction of precision medicine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summarizes the concept of precision medicine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precision medicine industry, and proposes a direction for realizing personalized precision medicine in the future. Precision medicine is likely to change the way we think and think about health and health care. Before precision medicine becomes prevalent, we will need doctors and healthcare providers to learn new technologies and tools that can use the latest science and complex data to understand patients and tailor precise treatments. You will need tools to communicate complex thoughts to patients. Patients want to know how to protect their personal data about genetics and biology and how they are being used, so they will need a robust platform to enhance their privacy. In order to establish the advancement of precision medicine in the future, a lot of research by scientists, partner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civil society, patients, industry and policy makers will need cooperation.

      • KCI등재

        시민활동가의 정치참여에 대한 유권자인식 영향요인 분석

        한성민 ( Seongmin Han ),이숙종 ( Sookjong Lee )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16 국정관리연구 Vol.1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권자들의 시민활동가의 정치참여 지지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시민활동가의 국회진입에 대한 유권자 인식은 대체로 긍정적이었다. 야당성향으로서 시민단체에 가입하였거나 가입할 의사가 있는 여성의 경우 시민활동가의 국회진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매우 높았다. 여당성향 혹은 중도성향이면서 평화적 시위에 참여했거나 참여할 의사가 있는 경우도 긍정적 인식이 높았다. 반대로 여당성향 혹은 중도성향이면서 평화적시위에 참여할 의사가 없는 경우 긍정적 인식은 절반정도에 그쳤다. 야당성향으로서 정당에 대해 매우 불만족 할 경우도 긍정적 인식이 낮게 나타났다. 시민활동가의 국회진입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세웠던 가설 가운데서는 대통령신뢰로 측정된 정부신뢰는 유의미한 관계가 발견되지 않았고, 예상대로 정치참여가 활발할수록 시민활동가의 국회진입을 지지했다. 반면에 가설과는 달리 국회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시민활동가의 국회진입을 지지했다. 시민활동가의 국회진출은 시민사회가 국회를 비판하는 대안세력으로 남기 보다는 이들과 협력하여 책무성과 대응성을 높여 제도권 정치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때 더 가능하다는 시사점을 얻게 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affecting Korean voters` perceptions on for citizen activists becoming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According to the 2012 Survey data, overall perceptions were favorable. Women, who supported the opposition parties during the Lee Myung-bak Government and had the intention to become a member of a civil society organization, tended to support the citizen activists` entry to the Naional Assembly. Voters, who supported the ruling party or had participated or would be willing to participate in a peaceful protest, also showed the favorable attitude. On the contrary, only half of voters who supported the ruling party or did have no specific party to support and had no intention to participate in a peaceful protest, remain to support citizen activists becoming their representative. Opposition party supporters unsatisfied with political parties were also less favorable. Among the hypothesized factors that can affect voters` perceptions, government trust measured through the trust in President was irrelevant. As expected, voters` active political participation was positively related with their favorable attitude. Against our hypothesis, on the other hand, the more voters were satisfied with the National Assembly the more they supported citizen activists` entry to the National Assembly. This finding suggests that civil society organizations are better to collaborate with the Assembly, rather than simply criticizing and only monitoring its performance, if they want their activists become the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 국내 정밀의료의 현황과 방향성

        한성민(Seongmin Han) 마인드교육융합학회 2022 마인드 교육 Vol.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정밀의료에 대한 현황 고찰과 더불어 미래에의 전망을 살펴보고자 함이다. 더불어 향후 정밀의료의 방향성에 대한 논의를 위한 탐색연구로서의 의의를 가진다. 빅데이터 기술과 정보통신 기술이 결합한 바이오 의료 산업은 의료산업에서 고부가치적인 분야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 3년 동안 의료 산업에서 화두가 되고 있는 분야는 정밀의료(precision medicine)이다. 전 세계는 차세대 의료 산업에서 정밀의료를 1순위로 뽑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미국, 캐나다, 중국과 비교하면 첫 단계를 시작하는 수준이다. 현재까지 정밀의료에 대한 개념과 의미, 정밀의료의 기능과 활용 등에 대한 국내 정보가 제한적이다. 의료계에서는 정밀의료가 고평가되고 있으나 정밀의료의 현황과 방향성에 대해 조사한 문헌은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밀의료에 대한 개념과 정밀의료 산업에 대한 현황을 정리하였으며 향후 개인 맞춤형 정밀의료를 실현하기 위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정밀의료는 우리의 건강과 건강 관리에 대한 생각과 사고 방식을 바꿀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정밀의료가 보편화하기 전 우리는 의사와 의료 제공자는 최신 과학 및 복잡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환자를 이해하고 정확한 치료를 맞춤화 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과 도구를 배워야 할 것이다. 복잡한 생각을 환자들에게 전달하기 위한 도구가 필요할 것이다. 환자들은 유전학과 생물학에 대한 환자의 개인 데이터를 어떻게 보호되는지 그리고 그것들이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를 알고 싶어 하므로 개인 정보를 강화하기 위한 견고한 플랫폼이 필요할 것이다. 향후 정밀의료 발전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과학자들의 많은 연구와 정부와 민간의 파트너십, 시민 사회, 환자, 산업 및 정책 입안자의 협력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precision medicine and the prospects for the future. In addition, it has significance as an exploratory study to discuss the future direction of precision medicine. The biomedical industry, which combines big data technology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s drawing attention as one of the high value-added fields in the medical industry. The field that has become a hot topic in the medical industry for the last three years is precision medicine. The world ranks precision medicine first in the nextgeneration medical industry. However, compared to the US, Canada, and China, Korea is at the level of starting the first stage. To date, domestic information on the concept and meaning of precision medicine and the functions and uses of precision medicine is limited. Precision medicine is highly evaluated in the medical field, but the literature on the current status and direction of precision medicine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summarizes the concept of precision medicine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precision medicine industry, and proposes a direction for realizing personalized precision medicine in the future. Precision medicine is likely to change the way we think and think about health and health care. Before precision medicine becomes prevalent, we will need doctors and healthcare providers to learn new technologies and tools that can use the latest science and complex data to understand patients and tailor precise treatments. You will need tools to communicate complex thoughts to patients. Patients want to know how to protect their personal data about genetics and biology and how they are being used, so they will need a robust platform to enhance their privacy. In order to establish the advancement of precision medicine in the future, a lot of research by scientists, partner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civil society, patients, industry and policy makers will need cooperation.

      • KCI등재

        소셜 네트워크 이미지의 조형적 표현에 관한 연구

        오서현(Seohyun Oh),한성민(Seongmin Ha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2

        이 연구의 목적은 바쁜 현대인의 인간관계 어려움과 타인과의 소통 부재에서 오는 현상과 혼란을 극복하려는 과정을 탐구하는 것이다. 소통의 부재를 경험한 개인을 대상으로 하며, 이러한 현상에서 벗어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한다. 소셜 네트워크 이미지인 노드와 타이의 요소에 착안해 작품으로 표현되며, 실의 꼬임과 매듭은 소통의 어려움을 상징한다. 배꼽 형상은 엄마의 자궁과도 같은 지극히 안전한 개인의 공간을 의미한다. 또한 배꼽 형상은 현실에서 나를 보호해 주는 공간이자 자아의 존재감을 나타낸다. 연구 결과, 작품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현대인의 소통에 미치는 영향과 의미를 살펴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연구자는 SNS를 통한 소통의 의미와 관계의 본질에 대한 통찰을 얻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phenomenon and confusion that arises from the interpersonal difficulties of busy modern people and the lack of communication with others. It targets individuals who have experienced a lack of communication, and seeks ways to escape this phenomenon. The work is expressed based on the elements of nodes and ties, which are images of social networks, and the twists and knots of the thread symbolize the difficulty of communication. The shape of the belly button symbolizes an extremely safe personal space, like a mother's womb. Additionally, the shape of the navel represents the space that protects me in reality and the presence of the ego.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work was able to examine the impact and meaning of social network services on modern people's communication. Through this, the researcher gained insight into the meaning of communication through SNS and the nature of relationships.

      • KCI등재

        비경제활동 발달장애인의 문화·여가활동 경험, 자기효능감, 취업의사와의 관계 : 사회인지 진로이론의 적용

        이선우(Lee Seonwoo),한성민(Han Seongmi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Lent, Brown과 Hackett(1994)의 사회인지진로이론(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SCCT)에 근거하여 비경제활동중인 한국의 성인발달장애인(지적장애, 자폐성장애)의 문화·여가활동 경험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취업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데 있다. 분석자료는 한국장애인고용패널조사(Korean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2차 웨이브 1차년도 조사(2016년)를 사용하였으며, 현재 비경제활동중인 만 19세 이상 발달장애인 223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경제활동중인 성인발달장애인이 경험하는 문화·여가활동 경험의 양은 경제활동중인 성인발달장애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경제활동중인 성인발달장애인의 문화·여가활동경험은 취업의사에 정적 관계로 나타났다(b=.420, p<.001). 셋째, 문화·여가활동경험은 자기효능감에 정적 관계로 나타났다(b=.075, p<.05) 넷째, 자기효능감은 취업의사에 정적 관계로 나타났으며(b=.755, p<.05), 부트스트래핑을 통한 매개효과 검증결과 성인발달장애인의 문화·여가활동경험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취업의사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비경제활동중인 성인발달장애인의 진로개발과 취업을 위해서는 다양한 문화·여가활동 경험의 확대가 필요함이 검증되었으며, 또한 문화·여가활동경험을 통한 자기효능감의 향상이 성인발달장애인의 취업의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성인발달장애인의 취업과 진로개발을 위해서는 평생 교육의 차원에서 지원해야 하며, 이를 위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의 설립 확대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present study employed the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SCCT) (proposed by Lent, Brown and Hackett, 1994) as a base for using self-efficacy as a mediator in order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and leisure activity experiences and the intention to seek employment of non-working Korean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tellectual disability, autism spectrum disorder). Data from the second round of the first year of the Korean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2016) was used for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223 non-working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were over 19years). Results revealed that the proportion of cultural and leisure activities experienced by non-working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much less as compared to what was experienced by working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urthermore, the cultural and leisure activities that non-working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xperienced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ir intention to seek employment (b=.420, p<.001). A positive relationship was also seen between cultural and leisure activity experiences and self-efficacy (b=.075, p<.05). Self-efficacy, in turn,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intention to seek employment (b=.755, p<.05). Testing the mediating effects with the bootstrap method showed that cultural and leisure activity experience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fluenced their intention to seek employment through the use of self-efficacy as a mediator. The findings of this study not only confirm the need for increasing the range and variety of cultural and leisure activities for non-working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order to facilitate better career development and employment opportunities but also confirm that improved self-efficacy through these experiences can positively influence these adults’ intention to seek employment. It is thereby proposed that life-long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 employment and career development. The need to expand the establishment of life-long education center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s therefore been highlighted.

      • 기계학습을 위한 의료영상 데이터 표준화 및 응용 소프트웨어

        김지언 ( Ji-eon Kim ),한성민 ( Seongmin Han ),박민기 ( Minki Park ),김승진 ( Seung-jin Kim ),노시형 ( Si-hyeong No ),전홍영 ( Hong-yong Jun ),이충섭 ( Chung Sub Lee ),김태훈 ( Tae-hoon Kim ),정창원 ( Chang-won Jeo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6 No.1

        의료영상은 환자의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방침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도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최근 의료영상을 인공지능 연구가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특히 대규모의 의료영상들을 학습시켜 질병과 상태를 정밀 진단할 뿐만 아니라 예측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 하는 상황이다. 그러나 의료영상은 DICOM 표준에 따르고 있지만 태그정보의 사용은 의료기기와 의료기관마다 상이하다. 따라서 의료영상에 대한 메타 데이터의 표준화에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의료영상 데이터를 표준화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제안한 표준화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는 ETL 소프트웨어의 수행결과를 보이고, 조건에 따라 머신러닝 학습 데이터셋을 생성하는 결과를 제공한다. 향후 제안한 의료영상 표준화와 ETL 소프트웨어는 다양한 수요자 중심의 표준화된 데이터셋을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의 주요기능으로 활용 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