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랴’ 소리 유래담에 나타난 거인설화적 특성과 전승의미

        한서희 남도민속학회 2018 남도민속연구 Vol.36 No.-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Giant Narratives Characteristics and Transmission Meaning in the Folk Tales of Origin of 'Iria' Sound. This story that a powerful woman succumbs by lifting a cow that does not tamed to above her head. The main motifs of the Giant Narratives are 'Giant Body', 'Gluttony', 'Excretion', 'Super Strength'. The genre of the Giant Narratives is transformed into the legend and folk tales as they are handed down in later generations. Orally transmitted derivations which appear in the process of decline of the giant fables, there are the 'Mountain Moving-Legend(<산이동 설화>)', the 'Brother and Sister's strength Contest-Legend.(<오누이힘내기 설화>)' The motifs of 'Super Strength' and 'Gluttony' appear in the Folk Tales of Origin of 'Iria' Sound, materials which demonstrate the mythical nature of the ccteation. In the Folk Tales of Origin of 'Iria' Sound, cows and women are symbols of abundance and production. Thus, tame and driving a cattle is a factor for telling the story in the sense that it means extreme abundance. However, there are only five data in the Folk Tales of Origin of 'Iria' Sound. This is the story of who originally used the traditional farming society as the basis of his tradition, and it can be seen that the tradition has greatly shrunk by the time of high industrialization. 본고는 ‘이랴’ 소리 유래담에 나타난 거인설화적 특성과 전승의미에 대한 연구다. ‘이랴’는 농부가 소를 이용해 논밭을 갈 때 소를 움직여 앞으로 나가게 하기 위해 내는 소리로, ‘이랴’ 소리 유래담은 소를 몰 때 ‘이랴’ 소리를 내게 된 이유와 유래를 담은 이야기다. 현재 전승되는 ‘이랴’ 소리 유래담은 힘이 센 여성이 말을 듣지 않는 소를 자신의 머리 위로 들어올림으로써 굴복시킨다는 단순한 구조의 이야기다. 여기에 각편에 따라 여성이 지닌 대식성과 초인적인 힘 때문에 시댁과 국가로부터 쫓김을 당한다는 내용이 추가된 형태로 전승되고 있다. 그간 선학들의 연구를 통해 거인설화의 특징이 논의된 바 있다. 거인설화에서 거인은 주로 여성거인신으로 상정되며 거구(巨軀)를 이용하여 지형지물을 완성한다. 따라서 거인설화를 이루는 주요 모티프로 거구와 대식(大食), 거근(巨根), 배설 등이 설정되며, 창조작업이 완성된 후 거인은 새로운 신격에 의해 교체된다. 거인설화는 후대로 전승되면서 전설과 민담으로 장르적 변이를 일으키게 되는데, 대표적으로 <산이동 설화>와 <오누이힘내기 설화>, <방귀쟁이 며느리담>을 들 수 있다. 이들 설화는 거인설화에서 보이는 거구와 그것에 의한 초인적인 힘과 대식, 배설 등의 모티프를 담고 있어 거인형 설화군으로 분류된다. ‘이랴’ 소리 유래담 또한 주요 모티프로 초인적인 힘과 대식 등을 찾아볼 수 있어서 거인설화의 후대적 전승양상으로 상정할 수 있다. ‘이랴’ 소리 유래담에서 소와 여성은 풍요와 생산의 상징이다. 따라서 여성이 소를 길들이는 것은 생생력의 극대화를 의미한다. 이것은 과거 농경을 기반으로 한 전통사회에서 설화 향유집단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왔을 것이고, 농사의 풍요를 바랬던 사람들에 의해 꾸준히 이야기되면서 후대로의 전승이 이루어졌을 것이다. 그러나 ‘이랴’ 소리 유래담은 현재 5편의 자료만이 확인되고 있어서 이야기의 전승력이 매우 약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이랴’ 소리 유래담이 본래 전통적 농경사회를 그 전승의 기반으로 삼고 있었기에 고도로 산업화가 진행된 현대사회에서의 전승은 상대적으로 위축될 수밖에 없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랴’ 소리 유래담의 전승이 완전히 단절되지 않은 데는 농경을 기반으로 한 우리의 오랜 역사적 경험이 산업화 시대를 살고 있는 지금까지도 설화를 향유하는 사람들의 정서적 토대가 되고 있기 때문일 것이며, 무엇보다도 풍요를 갈망하는 인간의 본능적 욕구는 시대를 초월하기 때문에 본 설화가 지금까지 전승될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경험담의 문학적 경계와 인식 -도깨비담을 중심으로-

        한서희 남도민속학회 2020 남도민속연구 Vol.40 No.-

        The Experience story is an indicator of the changing Storytelling-Site of modern times. Thus, although the mystery, legend, and folk tales have been included in the oral prose until now, it is time to study the Experience story as daily oral stories. The Experience story is mainly about the story of the narrator. When the essence of literature is the product of fiction and imagination, the Experience story cannot be literature because it is a story of fact. But in Storytelling-Site of modern times, increasing Experience story draw attention to its literary character. ‘Doggaebi stories’ is a typical fictional story in a folk tales tradition. But ‘Doggaebi stories’ is not a fiction but a story of fact. In the Storytelling-Site of modern times where the transmission of tales is weakened and the Experiences story is increasing, the story of the ‘Doggaebi-Fire Watch’ type, which is a story of fact, is actively transmitted because it is an Experience story. Nevertheless, the reason why ‘Doggaebi stories’ have been studied in the field of folk tales so far is that Experience stories are not included in the branch of the oral prose. It is the literality that is important for Experience story such as ‘Doggaebi stories’ to be studied in the field of the oral prose. Could it be literal, as Terry Eagleton argues, 'The essence of literature is not to be defined, anything can be literature, and anything that is considered unchanged and undoubtedly literary can no longer be literature' is not a question of the truthfulness of the content of the story, but of the perceptions of those who deal with it. Even if it is a story of the facts based on the narrator's experience, it can be a literary shaping and can be studied in the range of literature if it brings a literary image to the listeners. 경험담은 현대의 변화된 이야기판의 양상을 보여주는 지표다. 따라서 지금까지 구비 산문의 영역에서 신화․전설․민담으로 3분류되어온 설화 외에 일상 구술담으로서의 경험담에 대한 연구 역시 필요한 시점에 와 있다고 할 수 있다. 경험담은 화자 자신이 직접 보고 겪은 내용이 주가 되는 이야기다. 문학의 본질을 허구와 상상의 산물이라고 한 문학의 개념에 의하면 사실에 대한 구술인 경험담은 문학연구의 대상이 될 수 없었다. 하지만 이야기판에서 일상 구술담화인 경험담의 증가와 설화 전승의 약화는 경험담의 문학적 성격에 주목해야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도깨비담은 우리의 설화적 전통에서 허구의 민담을 대표하는 이야기 유형이다. 하지만 도깨비담은 허구의 이야기지만 오히려 사실의 경험담적 성격이 더욱 강하다. 설화 전승의 약화와 경험담의 구연이 증가하는 현대의 이야기판에서 사실의 이야기인 ‘도깨비불 보기’ 유형의 이야기가 활발히 전승되고 있는 것도 경험담으로서의 도깨비담의 특성을 여실히 보여주는 것이라고 하겠다. 하지만 이러한 특성에도 불구하고 지금껏 도깨비담이 민담의 영역에서만 연구되어온 것은 구비 산문의 갈래에 경험담이 포함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도깨비담과 같은 경험담이 구비 산문의 영역에서 연구되어지기 위해서 중요한 것은 그것의 문학성 여부다. ‘문학의 본질은 규정되어질 것이 아니기에 그 어떤 것도 문학이 될 수 있고, 변함없고 의문의 여지없이 문학으로 여겨지는 여하한 것도 더 이상 문학이 아닐 수 있다’는 테리 이글턴의 주장과 같이 문학일 수 있느냐는 이야기에 담겨진 내용의 진실성 여부가 아니라 그것을 대하는 사람들의 인식과 관련된 문제다. 화자 개인의 경험에 입각한 사실의 이야기일지라도 그것이 청자들에게 문학적 형상화를 불러일으킨다면 문학 작품이 되는 것이고 문학의 영역에서 연구될 수 있는 것이다.

      • KCI등재

        구술 생애담에서 ‘결핍’의 기억과 서사구연방식

        한서희 남도민속학회 2022 남도민속연구 Vol.44 No.-

        본고는 구술 생애담에서 결핍의 기억이 구술자의 서사구연방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글이다. 이를 위해 먼저 생애담 속 결핍의 구체적 양상과 그것을 통해 형성된 생애담의 서사구조에 대해 알아보았다. 1928년에 전북 고창의 죽도라는 작은 섬에서 삼대독자로 태어난 안성만은 병역을 기피하게 되면서 굴곡진 삶을 살게 되었다. 그의 생애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결핍은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는데, ‘학교교육의 부재’와 ‘군 기피자’로서의 삶, 그리고 그로 인해 겪어야했던 ‘가난’이 그것이다. 그리고 이 세 가지의 결핍을 통해 이루어진 안성만의 생애담은 ‘고난–고난의 극복’이라는 서사구조를 지니고 있고, 이 서사구조는 선학들의 연구를 통해 밝혀진 구술 생애담의 일반적 서사구조를 따르고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야기꾼의 경험이 그의 이야기 목록에 영향을 미치듯이, 생애담 구연자의 지난 삶의 경험은 생애담의 서사구연방식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안성만의 생애담에서 특징적인 서사구연방식으로는 먼저 고난의 상황에 대한 구체적 묘사를 들 수 있다. 특히 군 기피자로 숨어 살다가 군경에게 잡히던 순간의 구연은 상당히 구체적으로 묘사함으로써 듣는 이로 하여금 긴박감과 현장감을 함께 느끼게 해주고 있다. 또한 그렇게 살아야만 했던 자신의 심경에 대한 묘사 역시 ‘풍상에 노그라진 어머니의 마포치마’에 비유하는 등 문학적 형상화에 노력하고 있는 모습도 서사구연방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안성만 생애담의 두 번째 서사구연방식의 특징은 반복적 구연을 통해 아쉬움의 정서를 표출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두 번째 특징은 군 기피자라는 결핍이 만들어낸 서사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데, “내 호가 나이롱 기피자여.”라는 표현을 반복적으로 구연함으로써 군 기피자라는 자신의 부끄러운 과거와 그것을 자신의 의지가 아닌 외부의 힘에 의해 해결해야만 했던 아쉬움의 정서를 표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안성만 생애담을 통해 드러난 세 번째 서사구연방식의 특징은 자신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통한 자기애의 표출이라고 할 수 있다. 안성만은 하나의 주제에 대한 이야기가 끝날 쯤에는 늘 자기 자신에 대한 인정과 신뢰를 드러내는 구연방식을 취하고 있는데, 이는 결핍으로 인한 고난의 상황을 자기의 노력과 의지로 극복한 이가 가질 수 있는 여유일 것이며, 이러한 구연방식을 통해 안성만이 자기 삶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게 해준다. 생애담의 서사구연방식에서 보이는 특징은 구연자의 지난 삶의 지문과 같다. 따라서 생애담의 서사구연방식을 통해 드러나는 삶에 대한 인식과 스스로에 대한 판단 등은 적어도 그 자신에게 있어서는 진실일 수밖에 없다. 생애담의 서사구연방식은 연습을 통해 만들어지는 것이 아닌 무의식의 발현이라고 할 수 있기에, 앞으로도 생애담을 통한 인간이해의 심화를 위해서도 서사구연방식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the memory of deficiency on the narrative’s way of expression in The Oral Life Story. To this end, we first investigated the pattern of deficiency in the life story and the narrative structure. His deficiency in his life story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ese are the ‘absence of school education’, life as a ‘military evasion’, and the ‘poverty’ they had to endure.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Ahn Seong-man's life story, which was made through these three deficiencies, has a narrative structure of ‘hardship - overcoming hardship’, and that this narrative structure follows the general narrative structure of oral life stories. The narrator's past life experiences affect the narrative's way of expression of life stories. The first characteristic of the narrative's way of expression i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ifficult situation. In particular, the moment when he was caught by the police while hiding as a ‘military evasion’ is described very specifically, giving the listener a sense of urgency and presence.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he is forming a literary figure by describing in detail his feelings about his life, which he had to live like that. The second characteristic of the narrative's way expression is that it expresses the emotion of regret through repeated narratives. This characteristic is more prominent in the narrative created by the deficiency of a ‘military avoider’, and by repeating the expression ‘My nickname is a false-military evasion’, he expresses the emotion of regret for his shameful past. The third characteristic of the narrative's way expression is the expression of self-love through positive expressions. At the end of a story about a topic, Ahn Seong-man always takes a narrative style that reveals his acceptance and trust in himself, which is an opportunity that can be afforded to those who have overcome hardship due to lack through their own effor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rrative's way expression of the life story are the same as the fingerprints of the speaker's past life. Therefore, the perception of life and judgment about oneself, which are revealed through the narrative's way expression of the life story, must be true, at least for himself.

      • KCI등재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서의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법적 고찰

        한서희 한국증권법학회 2023 증권법연구 Vol.24 No.3

        특정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이하 ‘특정금융정보법’)에 가상자산사업자 신고제가 도입되었고 이로써 가상자산에 대한 규제가 시작되었다. 그리고 2024. 7. 19.부터는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 및 불공정거래행위 금지를 규정하고 있는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이 시행될 예정이다.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의 불공정거래행위 규제체계는 자본시장법상의 규제체계와 유사하게 만들어졌다. 그런데 가상자산의 경우 발행인을 특정할 수 없는 경우가 있고 내재가치를 측정하는 것이 어렵다는 점에서 자본시장과 차이점이 있다. 또한 가상자산시장의 경우 주식시장과는 다른 특성 즉, 국내에 여러 개의 가상자산시장이 존재한다는 점, 국내 가상자산거래소에서 거래되는 가상자산이 해외의 가상자산거래소에서도 거래된다는 점 등의 특수한 사정이 존재한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해외 가상자산 불공정거래행위 규제를 살펴본다. 우선, 미국에서는 가상자산에 대하여 폭넓게 증권규제를 적용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에는 가상자산을 대상으로 하는 시세조종 및 부정거래행위를 금지하고 있으나 가상자산의 발행자를 특정하기 어렵다는 점 등을 고려하여 미공개중요정보 이용행위에 대한 규제는 도입하지 않고 있다. 유럽연합(EU)는 암호자산시장에 관한 규칙(Markets In Crypto Asset Regulation, 이하 ‘MICAR’)을 통해 불공정거래행위를 금지하고 있다. 이처럼 세계 각국에서 제도화가 진행 중이기는 하나 가상자산시장과 가상자산산업 전반에 대해 국제적으로 합의된 기준이나 규율체계는 부재한 상황이다. 한편 우리나라의 경우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제10조에서 불공정거래행위를 규제하고 있고, 미공개중요정보 이용행위, 시세조종행위, 부정거래행위, 자기발행 가상자산 거래 금지 및 입출금 차단 금지 등을 규정하고 있다. 미공개중요정보 이용행위 및 시세조종행위, 그리고 부정거래행위의 경우 기본적으로 자본시장법상 불공정거래행위 금지규정과 매우 유사하게 제정되었다. 그런데 가상자산시장에서 발행인의 범위를 특정하기 어렵다는 점, 내부정보의 범위를 정하기 어렵다는 점, 부정거래행위에서의 중요사항의 범위를 확정하기 어렵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법 적용상의 어려움이 예상되는 측면이 있다. 따라서 향후 2단계 입법이 될 경우에는 현재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의 규제체계에 더하여 불공정거래행위와 관련된 시장 범위의 확정 및 미공개중요정보 이용행위에서의 중요정보 범위의 명확화, 시세조종행위에서의 ‘시세’에 대한 정의규정 추가, 부정거래행위에서의 ‘중요사항’의 명확화 등이 필요해 보인다. 그리고 불공정거래행위 규제체계와 함께 연동되어 작동할 수 있는 발행규제체계의 도입 역시 필요할 것이다. 나아가 가상자산시장의 경우 국내 시장과 해외 시장을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으므로 탈중앙화거래소나 해외 시장에서의 거래를 규제할 필요성도 분명 존재한다. 다만 이를 위해서는 해외 시장에서의 불공정거래행위가 국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하게 판단하고 해외 시장에서 이루어지는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감시체계를 구축하는 노력도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조각투자를 둘러싼 법적 쟁점에 관한 연구

        한서희 한국금융법학회 2023 金融法硏究 Vol.20 No.3

        조각투자 상품이 출현한 이후 증권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문제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금융당국에서는 2022. 4. 28. “조각투자 등 신종증권 사업관련 가이드라인”을 발표하였고 일정한 요건하에서 증권에 해당하며 그중에서도 특히 투자계약증권에 해당할 수 있다는 판단을 내렸다. 투자계약증권은 자본시장법 제정 시 도입되었으나 최근 조각투자와 관련하여 주목받고 있다. 또 다른 형태의 조각투자상품은 비금전신탁형 수익증권으로 발행된 경우이다.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된 일부 사업의 경우 부동산 등의 기초자산을 신탁하여 수익증권을 발행하고 있다. 투자계약증권은 “특정 투자자가 공동사업에 투자하고 타인이 수행한 사업의 결과에 따른 손익을 귀속받는 계약상의 권리”로 정의된다. 투자계약증권은 전통적인 증권과 비정형 간접투자 지분을 포괄하며, 비정형 간접투자의 규제 공백을 메우기 위해 도입되었다. 투자계약증권의 도입은 미국의 '하위 기준'을 차용하여 신종 증권에 대응하기 위함이라고 볼 수 있고 이러한 전제하에서 투자계약증권과 집합투자증권의 차이점과 적용 범위에 대한 구분이 필요하다. 한편 최근 들어 발행되고 있는 미술품 조각투자상품도 투자계약증권으로 발행되고 있다. 이러한 미술품 조각투자의 경우, 투자계약증권은 기초자산에 대한 공동사업 구조와 수익배분 청구권을 포함한다. 미술품 조각투자의 구조는 투자자가 사업자의 기초자산 매각 수익에 참여하는 형태이다. 아직까지 투자계약증권에 대한 법적 논의는 정리되지 않았으나 공동소유물과 수익배분청구권이 하나의 상품으로 발행된다는 점에서 법률관계를 파악해야 한다. 다음으로 비금전신탁형 수익증권과 관련하여 금융위원회에서 2022. 10. 13. 신탁업 혁신방안을 발표하였고 최근 2023. 12. 15. “신탁수익증권 발행을 위한 기초자산 요건 등 가이드라인”을 발표하였다. 신탁수익증권 발행 방식은 기존 자산유동화 문제점을 해결하며 다양한 자산을 활용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는 것은 사실이나 아직까지 기초자산 평가 방법의 불명확성 등으로 인해 제한적으로 활용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존재한다. 하지만 새로운 기초자산 평가 방법이 더 발전된다면 더 다양한 신탁수익증권이 시장에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ince the emergence of fragmented financial investment product, the question of whether they constitute securities has arisen, and financial authorities have determined that they may be securities under certain requirements, most notably investment contract securities. Investment contract securities were introduced when the Capital Market Law was enacted, but have recently gained attention in the context of fragmented financial investment product. Another form of fragmented investment product is issued as a non-monetary trust-type return security. In the case of some businesses designated as innovative financial services, yield bonds are issued in trust for underlying assets such as real estate. The scope of investment contract securities is defined as “the contractual right of certain investors to invest in a common business and receive profits or losses from the results of the business conducted by others.” These securities cover traditional securities and atypical indirect investment interests, and were introduced to fill a regulatory gap in atypical indirect investments. The introduction of investment contract securities can be seen as a response to new securities by borrowing the US 'Howey standard', and under this premise,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 difference between investment contract securities and collective investment schemes and their scope of application. On the other hand, art sculpture investment products that have been issued in recent years are also issued as investment contract securities. In the case of these art sculpture investments, the investment contract securities include a joint business structure and profit-sharing claims on the underlying assets. The structure of the art sculpture investment is that the investor participates in the profits from the sale of the underlying assets by the business operator. Although the legal discussion of investment contract securities has not yet been summarize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legal relationship in that the joint ownership and profit sharing rights are issued as one product. Next, regarding non-monetary trust-type yield securities,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announced a plan to innovate the trust industry on October 13, 2022, and recently announced the “Guidelines on Basic Asset Requirements for Issuing Trust Yield Securities” on December 15, 2023. While it is true that the method of issuing trust income securities has the potential to solve the existing asset securitization problem and utilize various assets, there are still limitations due to the unclear underlying asset valuation method. If new underlying asset valuation methods are further developed, it is expected that a wider variety of regarding non-monetary trust-type yield securities will appear in the market.

      • KCI등재

        ‘춘향이 놀이’의 무속적 연원과 세시놀이로서의 의미

        한서희 남도민속학회 2014 남도민속연구 Vol.29 No.-

        Chunhyang Play is a Seasonal play that women played around the 15th of first Luner month. Considering the facts that this play may have derived from “Chunhyang-jeon Salpurigut”, written in the book “History of Traditional Opera of Chosun” by Nohsik, Jeong, and having the 4-beat of the gut, we can conclude that it originated from Shamanism. Also, this play would have started with strong incantational characteristics and transformed to more of a entertainment play. We can also check that it has the characteristics of seasonal play that prays for richness by women, by observing that it was played during 15th of first Luner month. ‘춘향이 놀이’는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주술적 강신 놀이로, 충청도의 ‘꼬댁각시 놀이’와 강원도의 ‘봉아봉아 천지봉아’ 놀이와 놀이 방법이 매우 흡사하다. 정월 보름을 전후하여 부녀자들이 방에 모여앉아 춘향이 신이 내리기를 기원하고, 신이 내리면 춤을 추고 노래를 부르면서 논다는 이 놀이는 놀이방법에서 이미 무속과의 연관성을 내포하고 있다. 그리하여 정노식의 조선창극사에 기록된 ‘춘향전 살풀이굿’을 통해 춘향이 놀이가 무속에서 출발하고 있음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이와 함께 놀이의 구조가 ‘청신-강신-오신-송신’의 전형적인 굿의 4단 구조를 보이는 것 또한 춘향이 놀이의 무속적 연원을 확인할 수 있는 충분한 근거가 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춘향이 놀이를 하는 목적으로, 잃어버린 물건을 찾거나 혼인 날짜를 물어보기 위해 놀이를 행하였다는 주술적 특성을 띄고 있는 자료가 있는가 하면, 단지 노래 부르고 춤을 추기 위해 놀이를 행했다는 자료로 이분화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볼 때 춘향이 놀이는 애초에는 강신 주술적 성격의 놀이에서 출발하여, 이후 전승되는 과정에서 주술적 성격은 약화되고 오락적 성격이 강화된 방향으로 전승되었을 것으로 추정해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춘향이 놀이가 정월에 부녀자들이 노는 놀이라는 측면에서 강강술래와 더불어 한 해의 풍요를 기원하는 세시놀이적 특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