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백제 사비기 목제유물의 수종 식별과 분석

        한상효,박원규,Han, Sang-Hyo,Park, Won-Kyu 국립문화재연구소 2004 保存科學硏究 Vol.25 No.-

        This study was made to identify species of archaeological wood products excavated from three sites(Kwunbuk-ni, Gungnamgi, Wanggung-ni) of Sabi Era, Baekje. These sitesare presumably considered as capital areas of Sabi Era, Baekje. Total of 220 specimens were identified into five softwoods and eighteen hardwoods. Pinus densiflora(or Pinusthunbergii) and Quercus spp. are the most common and occupied 32%, 28% of totalspecimen, respectively. The others are follows : Torreya nucifera(1%), Abiesholophylla(3%), Cryptomeria japonica(4%), Thuja spp.(2%), Chamaecyparisobutusa(2%), Salix spp.(1%), Platycarya strobilacea (3%), Alnus spp.(1%), Carpinusspp.(0.5%), Castanea crenata(9%), Zelkova serrata (6%), Celtis spp.(0.5%), Prunusspp.(2%), Rhus verniciflua(1%), Rhus trichocarpa(0.5%), Meliosma oldhamii(1%),Hovenia dulcis(1%), Kalopanax pictus(0.5%), Cornus walteri(0.5%), Styrax japonica(1%),Fraxinus rhynchophylla (0.5%), F. sieboldiana(1%).Most of the identified species have been growing in this area until nowadays. However,a few species(Cryptomeria japonica, Thuja spp. Chamaecyparis obutusa, Torreyanucifera) didn’t grow natively around this area at that time. Two species(Cryptomeriajaponica, Chamaecyparis obutusa) are endemic species of Japan, indicating international trade or exchange of woods between Baekje Kingdom and Japan in 6-7th century. Torreyanucifera grows in limited areas in Korea (south of $35^{\circ}$10′N), however, is widely distributed in the southern Japan. Quercus spp. was identified the most in implements of Baekje and Pinus densiflora(orPinus thunbergii) was in the second place. Zelkova serrata was mainly used for raw materials of turnery products, e.g., wooden container. This species produces one of the hardest woods as 0.7 in specific gravity. It indicates that iron technologies have reached some high level in Sabi Era, Beakje.

      • KCI등재

        <보리밥 장군>에 나타난 ‘대식’ 화소를 통해 살펴본 독립과 자아실현의 의미

        한상효(Han, Sang-hyo) 한국고전연구학회 2018 한국고전연구 Vol.0 No.41

        본 논의는 <보리밥 장군> 설화 속의 중요한 화소인 대식의 양상과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기존에 <보리밥 장군> 설화는 거인 신화와 전설을 계승한 민담이라는 측면에서 다루어져 왔으며, 민담 속의 대식 화소는 원형적 서사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고 신화 속의 신적 존재 또는 거인의 힘이나 능력만을 상징하는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화소에 있어 중요한 것은 의미적 개방성과 다의성이라고 할 수 있다. <보리밥 장군>에 관한 논의가 더욱 분명해지고 풍부해지려면 한국 서사 속에서 대식의 양상과 의미가 총체적으로 규명되어야 할 것이다. <보리밥 장군>에서는 대식 화소와 힘의 결핍 화소가 함께 나타난다. 보리밥 장군이 대식성을 가진 다른 존재들과 차별되는 특수한 지점이 여기에 있다. 이러한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 대식이 가진 양가적 의미를 밝히고 식욕을 통해 나타나는 관계의 문제에 대해 주목해 보았다. 그 결과 보리밥 장군의 힘의 결핍은 의존적인 구순욕구로 ‘개인성’과 ‘독립성’을 상실한 주인공의 모습을 상징한다고 보았다. 그러나 <보리밥 장군>은 그러한 의존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시련의 극복을 통한 자아의 성장과 자기실현의 모습을 보여준다. 여기서 중요한 것이 ‘길 떠남’과 ‘반복의 구조’이다. 주인공은 길을 떠남으로서 부모의 의존에서 벗어날 수 있었으 며, 새로운 사회적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한다. 또한 반복의 구조를 통해 본능적인 힘에서 지성적인 힘을 갖춘 더 큰 존재로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이 <보리밥 장군> 설화는 대식 화소에 대한 보편적인 사유를 수용하고 다른 화소와 변형·결합되면서 의존을 극복하고 성공한 삶을 이뤄낸다는 새로운 의미와 삶의 문제를 제공하고 있다. This argument has the purpose to clarify the aspect and significance of ‘Big eating’ which is an important motif in the narrative of <General Boribab>. Until now, the <General Boribab> has been dealt with in the aspect of giant myth and legend. A ‘Big eating’ motif is derived from a archetype that was restricted to symbolize power of the gods and giants. However, what is important to motif can be semantic openness and ambiguity. To further enrich the argument concerning <General Boribab>, the aspect of big eating and meaning should be globally investigated among narrative. In order to solve these questions, I tried to clarify the ambivalent meaning of the big eating and to pay attention to the problem of the relationship through appetite. clarifying the bilateral meaning with ‘Big eating’. As a result, lack of power symbolizes the appearance of a hero who lost personality and independence because of dependence on oral phase. However, <General Borobab> shows not only such dependence but also the growth of self and self-realization through the overcoming of trials. The important thing is leaving and structure of repetition . By leaving the way, the hero can get out of the dependence of the parent and establish opportunities to grow by forming a new social relationship. It also showed growing up to a larger presence, with the power to intelligence with instinctive power through a repeated structure. In this way, the story of <General Boribab> provides a new sence and life problem of overcoming the dependce of existence and achieving a succes life while accepts the universal reason for the motif.

      • KCI등재

        ‘분단감정어 사전’ 개발 연구

        한상효(Han, Sang hyo)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통일인문학 Vol.75 No.-

        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이용한 분단적대성 지표 개발을 위한 우선적인 작업으로 분단감정어 사전 개발과정을 설계하고 그에 따른 결과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단적대성’은 북한 혹은 좌파/빨갱이/종북 등으로 분류되는 자들에 대한 혐오, 분노, 불안 등의 집단감정이다. 이러한 집단검정을 분석하기 위해 빅데이터 기법 중 감정사전을 기반으로 한 감정분석을 이용하고자 한다. 그런데 이러한 감정분석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것이 감정사전이다. 본 연구에서는 분단적대성을 분석을 위한 감정사전을 ‘분단감정어 사전’으로 명명하였으며, 이를 구축하기 위해 분단감정어휘를 수집하고 이에 대한 감정범주 및 강도를 측정하였다. 우선 온라인 포털의 댓글텍스트를 형태소 단위로 나누어 분석하고 수집된 어휘들의 감정표현 여부를 판단하여 분단에 관한 감정어휘인 분단감정어를 선정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집단지성(200명)을 이용하여 감정어휘를 감정범주별로 분류하고 각 어휘의 감정강도(10점 척도)를 평가하였다. 최종적으로 연구진들의 검토를 거쳐 감정범주와 감정강도 정보가 담긴 분단감정어 사전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분단감정어 추출 방법을 체계화하였으며 분단으로 촉발되는 자극에 대한 사람들의 반응이라고 할 수 있는 언어적 표현을 평가하는 기준을 마련하였다. 이는 앞으로 진행할 지표 개발의 초석을 다지는 계기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the development process of segmented sentence dictionary as a priority work for the development of the segmentation hostility index using Big Data and to derive the result accordingly. ’Division Antagonism’ is a group emotion such as hatred, anger, and anxiety about those classified as North Korea or the Left / Red / North Korea. To analyze this group emotion, we use emotion analysis based on emotion dictionary among big data techniques. However, in order to analyze these emotions, the emotional dictionary is required first. In this study, the emotion dictionary for analyzing ’Division Antagonism’ is named as the ’segmented emotion dictionary’. In order to construct this, we divided emotional vocabulary and measured emotional category and intensity. First, the comment text of the online portal is divided into morpheme units and the emotional vocabulary of the divided vocabulary is selected. Next, the emotional vocabulary was classified by the emotional category using the collective intelligence (200 persons) and the emotional intensity (10 point scale) of each vocabulary was evaluated. Finally, the researchers have developed a segmented emotion dictionary that contains emotion categories and emotion intensity information. Through this process, we have systematized the method of extracting sentence segments and developed a criterion for evaluating verbal expressions, which is the response of people to the stimulation triggered by segmentation. This can be regarded as the cornerstone of the development of indicators to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 KCI등재

        북한의 설화자료집 『조선민화집』의 수록 양상과 통일시대의 설화자료 통합방안 모색

        한상효 ( Han Sang-hyo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6 동방학지 Vol.176 No.-

        이글은 북한에서 출간된 설화자료집 『조선민화집』을 대상으로 거기에 수록된 작품을 통해 북한의 설화 자료 수록 양상과 밝히고 통일시대를 대비한 설화자료의 통합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북한은 구전문학, 특히 설화자료에 대한 많은 자료집을 발간하였는데, 설화에 대한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남북이 함께 공유하는 공통의 유산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남과 북은 그동안 각자의 방식으로 설화를 생산하고 그 연구를 진행시켜왔기에, 쉽사리 접점을 찾기 어려운 상황이 되었다. 이러한점은 북한의 설화자료집인 『조선민화집』을 통해 잘 드러난다. 이에 본 연구는 북한의 설화자료집 『조선민화집』에 나타난 장르 체계의 설정문제, 개작의 문제, 번안 동화와 창작 동화의 수용문제에 대해 다루었다. 남북이 설화자료를 다루는 차이는 남북이 공동으로 설화 연구를 하거나 설화자료집을 편찬한다고 할 때 층돌하거나 쟁점이 될 수 있는 지점이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는 어느 한 쪽의 왜곡이나 잘못이 아니다. 오히려 이런 차이는 보는 관점에 따라 앞으로의 설화자료의 발전적 통합방법을 마련하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설화 장르 체계에 다른 구성과 개작 설화의 허용 문제, 그리고 번안동화와 창작동화를 포함하는 특성은 설화의 장르론 및 문학적 정체성을 규정하는 중요한 사안이기에, 수록된 자료들을 통해서 북한의 입장을 면밀히 고찰해 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여기서는 크게 3가지 측면에서 통합 가능성에 대해 이야기하였다. 우리 현실에 맞는 독자적이고 체계적인 설화 장르체계의 구축, 개작에 대한 객관적의 이해의 필요, 현대 구전설화의 체계성 마련이 그것이다. 한민족의 정신과 문화가 함축된 구비문학이야 말로 남과 북의 소통 경로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또한 설화의 경우 아동문학으로 활용되는 빈도수가 높은 것이 남과 북의 공통된 특성이므로, 통일시대를 이끌어 갈 미래세대를 염두에 두더라도 설화자료에 대한 통합방안은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설화 자료의 통합방안 연구는 구비문학사 통합의 토대로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Targeting The Collection of Chosun Folk Tales, the collection of folktale materials published in North Korea, this paper is to reveal the aspect of folktale materials of North Korea through the works contained and search measures to integrate folktale materials in preparation for the unification era. The differenc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 dealing with folktale materials may come into conflict or be at issue when South and North Korea jointly study folk tales or compile folktale materials. However, such a difference is not the distortion or fault of either one of them. Rather, this difference provides important implications in preparing a progressive integrated way of folktale materials in the future depending on the perspective. Here, we talked about the integration possibility in three aspects: Establishment of independent and systematic folk tale genre system suitable for our reality, need for an objective understanding of adaptation, preparation for systemicity of modern oral tales. Oral literature containing the spirit and culture of the Korean people can play a major role as a communication path of South and North. Also, tales are used as children``s literature very frequently both in South and North and thus, measures to integrate folktale materials can be said to be an important task when keeping future generations to lead the unification era in mind. In this regard, a study on measures to integrate folktale materials has the important meaning as the foundation of integration of the oral literature history.

      • KCI등재
      • KCI등재

        함경도 망묵굿에 나타난 자살의 서사 양상과 의미

        한상효(Han, Sang Hyo),김민수(Kim, Min Su),신동흔(Shin, Dong-Hun) 한국구비문학회 2020 口碑文學硏究 Vol.0 No.57

        본 연구는 서사무가에 나타나는 ‘자살’의 양상과 의미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죽음에 대한 대표적 의례라 할 만한 함경도 망묵굿의 굿거리 가운데 자살 모티프가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도랑선비 청정각시〉, 〈대감굿〉을 대상으로, ‘‘자살’이 갖는 신화적 의미를 새롭게 살피고 그 의례적 함의를 짚어내고자 했다. 우선 서사무가 <도랑선비 청정각시>를 분석하였다. 청정각시는 신혼초에 죽은 남편 도랑선비를 만나기 위해 갖가지 지난한 시도를 행하지만 뜻을 이루지 못하다가 ‘자살’을 통해 그와의 만남을 성취한다. 이승과 저승, 또는 삶과 죽음 사이의 본질적 엇갈림이라는 문제상황을 극복하는 핵심 역할을 ‘자살’이 수행하고 있다. 청정각시의 ‘자살’은 본인이 간절히 원하는 바를 이루기 위한 의지와 염원이 집약된 행동으로서 그 핵심적 의미는 상징적 죽음을 통해 기존의 자기자신을 버리고 경계를 넘어선 새로운 존재로 거듭나는 데 있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대감굿> 서사무가를 분석했다. 이 무가는 주인공 짐달언이 억울하게 패사한 아버지 짐미련의 원수를 갚은 뒤 스스로 목숨을 끊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서사무가에서는 아버지 원수갚기와 신으로 좌정하기라는 두 서사가 서로 단절돼 있는데 그 전환을 추동하는 것이 ‘자살’ 모티프이다. 짐달언의 ‘자살’은 아버지의 복수에만 매몰된 과거의 삶을 스스로 청산하는 상징적 죽음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도랑선비 청정각시>와 <대감굿> 두 서사무가를 통해 볼 때 망묵굿에 나타나는 ‘자살’은 자기 포기나 좌절과 같은 일반적인 의미와 질적으로 다른 신화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것은 주인공들이 적극적인 자기 선택을 통해 자신이 매몰돼 있던 지난 삶과 결별하고 존재적 거듭남을 추구하는 일로서 성격을 지닌다. 그 과정을 통해 주인공은 경계를 넘어선 영원의 존재로서 신격을 부여받는 것이 특징이다. 아울러 ‘자살’ 모티프가 갖는 제의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망묵굿은 죽음에 대한 굿이다. 망묵굿 굿거리들은 가족이나 이웃의 죽음을 앞에 두고 삶과 죽음 사이에 가로놓인 존재에 대해 전면적 성찰을 행하는 과정으로서 의미를 지닌다. 서사무가는 망자의 죽음을 음미하는 동시에 의례적 죽음을 통해 굿 참가자 자신이 죽음을 간접경험하는 과정으로서 성격을 지닌다. 두 죽음의 만남을 통해 삶과 죽음의 경계를 넘어선 제의적 소통이 이루어진다. 아울러 굿 참여자들은 언젠가 맞이할 스스로의 죽음을 미리 경험하는 가운데 그것을 받아들이고 넘어서는 경험을 하게 된다. 삶과 죽음의 아득한 경계를 경험하면서 그것을 넘어서는 의례적 몸짓의 극점에 ‘스스로를 죽이는 일’로서 자살이 놓인다고 할 수 있다. 망묵굿의 ‘자살’은 죽음을 통해 죽음을 극복하는 역설적이고도 초월적인 몸짓이라고 할 수 있다. In this study, it was examined the aspect and meaning of Suicide in shamanic narratives. To this end, it was focused on the motif of suicide shown in <Dorang-Seonbi Cheongjeong-gaksi> and <Daegamgut>, the main songs of <<Mangmutgut>> in Hamgyeong-do. It intended to examine the symbolic meaning of suicide in the mythical context, since this Gut is a ritual to honor the souls of the dead, and suicide is emerging as an important element of the process of the god’s taking seat on. First of all, it analyzed <Dorang-Seonbi Cheongjeong-gaksi>, a shamanic narrative. Cheongjeong-gaks went through many attempts and hardships to meet Dorang-Seonbi. Chengjeong-gaksi had a different result from his previous attempts through suicide , but it was verified that her suicide was playing its role to bring the most essential and dramatic change in terms of that she was able to be with Dorang-Seonbi. It was analyzed that Chengjong-gaksi s suicide was to embody herself who was newly reborn, abandoning her own nature in order to pursue what she wants and to be reborn to be right woman to him at the same time. Next, it was analyzed <Daegamgut>. Daegamgut has a story of Jimdaleon paying back the enemy for his father, Jimmiryeon who died in the war. In this shamanic narrative, it was cut off each other from the revenge for father and the process of gods taking seat on, and it is the suicide motif that drives this changeover. Jimdaleon s suicide can be understood as a symbolic death to end his past life which was solely hung up on the revenge for his father. As such, it can be explained that the suicide in Mangmutgut has a literary meaning as a symbol showing that the main characters of shaman songs are pursuing their existential change and breaking with their subordinate lives through self-selection In addition, the ritual meaning of the “suicide” motif was analyzed. <<Mangmutgut>> symbolizes a suicide as an image of person, who boldly forsake one s former self in order to pursue a new self. And it reminds people of the meaning of reflection and communication about themselves through the narratives of the main character who committed suicide becoming gods. Also, the changeover of mythical characters into new beings through self-selection is consistent with the wishes of the audience who participating in Gut for the dead. It may also reflect the audience s desire for their dead to do so through the characters who chose to die on their own, dreaming of a new changeover. Through this, the participants of Gut can overcome the rite of passage of death while purifying the death of the deceased. <<Mangmutgut>> has also a ritualistic meaning.

      • KCI등재

        원님놀이[太守戱] 설화에 나타난 소통의 양상과 놀이의 역할

        한상효(Han, Sang Hyo) 한국구비문학회 2020 口碑文學硏究 Vol.0 No.59

        이 논문에서는 단편의 설화를 미시적으로 검토하면서 설화의 구조를 커뮤니케이션 과정으로 이해하고 소통의 역할과 의미를 탐색한다. 이 설화의 주인공들은 자신들의 욕망에 대해 침묵할 수밖에 없는 여성들이며, 이들의 놀이는 결혼에 대한 의사를 발화할 수 있는 중요한 매개로 나타난다. 이 설화에서의 놀이는 욕망을 가진 여성 주체가 말하고자 하는 메시지(message)를 전달할 수 있게 하는 소통의 경로라고 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적인 관점에서 원님놀이는 송-수신자가 공간이면서 메시지를 전달하는 연쇄구조를 통해 개인의 목소리가 의사소통 과정에 참여하는 다른 청자들에게 인지되고 확산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또한 원님놀이에 내재하는 속성들이 의사소통 과정에 연관이 있음을 밝혔다. ‘모방성’, ‘창조성’, ‘집단성’, ‘지속성’과 같은 특성들이 놀이가 소통의 매개로서 작동할 수 있게 계기를 마련하며, 자매들이 가진 욕망을 소통할 수 있게 하는 요소이다. 이러한 놀이의 소통적 성격을 볼 때 설화 속의 자매들은 특정 인물의 은혜를 받는 수동적 인물이 아니라 주어진 환경 속에서도 자신들이 ‘인간적인’ 욕망을 지닌 존재이며, 욕망의 실현을 원하는 주체적인 인물이라 할 수 있다. This article explored the role and meaning of communication in play while examining the story of a short story microscopically, therefore,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the story as a communication process. Since the protagonists of this story are set as female subjects who have to be silent about their desires, play appears to be an important medium conveying their thoughts and intentions about marriage. Thus, play is a path of communication that enables the female subject with desire to deliver the her message. From a communication point of view, Wonnimnori depicts a process in which an individual s voice is perceived and spread to other listeners participating in the communication process through a chain structure in which the sender and the receiver spaces to which messages are delivered. By examining the pixels of Wonnimnori, it was revealed that the attributes inherent in play are related to the communication process. Consequently, characteristics such as imitation, creativity, collectivity, and persistence enabled the communication of the sisters desires that enabled play to function as a medium of communication. In view of the communicative nature of this play, the sisters in the narrative are not passive characters who receive the grace of a specific character but are beings with human desires even in a given environment and are subjective characters who intensely desire to realize their desires. In conclusion, the story of Wonnimnori is meaningful by showing various levels of communication. This discussion enables the process in which meaning is formed and communicated in pla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peaker and the various senders and receivers who are involved in the situation and context of the play. By considering the communication and purpose of various subjects, it is possible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e function of the play.

      • KCI등재

        창경궁 통명전 목부재의 연륜연대 측정 -방에서 마루로 변형된 시기규명을 중심으로-

        박원규,손병화,한상효,Park, Won-Kyu,Son, Byung-Wha,Han, Sang-Hyo 한국건축역사학회 2003 건축역사연구 Vol.12 No.3

        Tree-ring chronologies can be used to date historical buildings by matching them with the chronologies of living trees or previously dated samples. Tree-ring dating gives a calendar year to each tree ring and produces the felling dates of logs or woods which had been used for buildings. In Korea, several chronologies of Japanese red pine(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sonamu' in Korean), a major species for the wooden building material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for dating historical buildings. In this study, Tongmyungjeon Hall of Changkyung Palace in Seoul was dated by tree rings. The present Tongmyungjeon Hall was known to be reconstructed in A.D. 1834 after burned-out in A.D. 1790. We sampled total of 122 wood samples which were replaced during the repair process in 2002-2003. Felling dates of the samples were determined by the dendrochronological crossdating method. Crossdating method employs graphic comparison of the master patterns (ring-width chronologies of known dates) with those of the sample chronologies of unknown dates. Tree-ring dates confirmed that the reconstruction of 1834 utilized second-handed timbers as well as fresh-cut ones. The felling dates of wooden floor frames were mostly A.D. 1913, indicating the 'Ondol' floors were changed to the wooden floors around 1914 when the Japanese rulers brutally destroyed the royal Korean Palaces and transformed palace buildings to their offices or exhibition halls after occupying Korea in 1910. This study proved that tree-ring dating was a useful and accurate method to identify the critical dates for the history of Korean traditional buildings.

      • KCI등재

        설화 <해와 달이 된 오누이>에 대한 북한의 현대적 수용 방식 고찰

        박재인 ( Park Jai-in ),한상효 ( Han Sang-hyo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6 고전문학과 교육 Vol.32 No.-

        북한에서는 한민족의 전통 구비설화를 개작하여 아동들을 위한 동화로 활용한다. 한민족의 대표적인 설화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역시 그들의 사관에 따라 변형되었다. 북한 애니메이션 <오누이와 나무군>은 본래의 설화 형태에서 오누이가 하늘로부터 구원되고 해와 달이 되는 결말이 다른 모습으로 대체되어 있다. <오누이와 나무군>의 각색은 북한의 문예사관이 반영된 형태이자, 북한의 옛이야기 수용문화를 잘 이해하게 한다. 이에 본고는 분단이전의 설화자료를 통해 이 설화의 원형을 파악하고, 남북의 현대적 매체로 재창작된 작품들을 대상으로 그 서사 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북한의 독특한 관점이 발견되는 애니메이션의 개작 범위와 그로 인해 전환된 의미에 대해 분석하여 서사적 가치에 대해서 논하였다. 이 애니메이션은 오누이가 위압적인 호랑이의 공격을 이겨내고 승리하는 과정을 충실히 담아내어, 여타 남북의 현대적 창작물에 비해 이설화의 본래 의미를 풍요롭게 구현하고 있다. 다만 본래 설화의 결말 속 하늘의 상징성이 축소되어, 아무도 지켜주지 못할 때 오누이의 내면에서 긍정적 신념이 발동되는 가능성의 정도가 약화되는 한계점을 보인다. 그럼에도 구체적인 성공과정으로 오누이의 역량에 대해 사실적으로 이해하게 하는 특장을 지녔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으며, 오누이 성공의 또 다른 형상으로 본래 설화의 의미를 잘 담아내고 있는 색다른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통일된 미래사회에서 이 애니메이션은 당시 북한의 사회문화를 이해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자료이자,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핵심을 잘 담고 있으면서도 오누이의 성공을 실제 삶과 가까운 범위로 이해하고 능동적 실천력을 공감하게 하는 아동문학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North Korean animation < Brother, Sister and Woodcutter > is a puppet movie that is adapted The Brother and Sister Who Became the Sun and the Moon, a traditional Korean lore. The quality of this animation is acknowledged because of not only North Korea’s considerably advanced animation technology but also the animation’s retention of the folklore’s traditional essence rather than intention to disseminate ideological propaganda. Nevertheless, the animation reveals the trasformation of its original purpose from general educative intentions for children to the educative concept of salvation by heaven is replaced by salvation by people and cultural education insteadof salvation by heaven. The appearance of the hero Jangsoe is the key adaptation of this animation, and it suggests the main principal of salvation lies in man rather than in heaven. Such adaptation complies with the requirements of children's literature suggested by the North Korea's literary history office. Furthemore the hero Jangsoe as the examplary figure of revolutionary self-reliance ideology and as a leader. Theory of self-reliance literature stipulates that children's literature is used for ideological education that develops people to be successors of revolutionary feats and become active workers for the construction of socialism and communism, therefore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purpose of the adaptation to reflect the educational aim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nge in meaning form the original folktale through such adaptation, and highlights problems related to limiting the meaning implied in “heaven's salvation” in the original story only to the vague meaning of religious hope. This vague implied meaning is considered as “an awareness activity to examine their own existence in the universe”. With regard to this, the concept of heaven's salvation that is prevalent in the classic stories can be interpreted as a positive self-belief that enables the use of rationality in any helpless situation that cannot be understood with existing empirical knowledge. It considers that heaven expresses the power that exists in the human mind through self-viability and self-belief. This creates the power of reason in the character to fight against the evil disguised as the mother, in the absence of the real mother.

      • KCI등재후보

        선릉 정자각 목부재의 연륜연대 분석

        손병화(Byung-Hwa Son),한상효(Sang-Hyo Han),박원규(Won-Kyu Park) 한국가구학회 2012 한국가구학회지 Vol.23 No.2

        Seonreung is the tomb of Seong-jong (A.D. 1457~1494), the 9th king of Joseon Dynasty (1392-1910) and his second queen Jeonghyeon-wanghu (1462~1530). We obtained dendrochronological dates of Jeongjagak (ceremonial hall) of Seonreung. It was known first built in 1495 and reconstructed in October 1706, We obtained tree-ring dates of 20 wood elements (beams, pillars, truss posts, cant strips, roof boards and roof loaders). Their outermost rings were dated from 1630 to 1705. The dates of bark rings in four elements were A.D. 1705 with completed latewoods, indicating that these woods were cut some time between the autumn of 1705 and spring of 1706. The results confirmed the reconstruction date Jeongjagak of Seonreung in 1706, suggesting that there was not so long period for wood drying or storage, i.e., less than 6 months. The dates of outermost rings prior to 1705 in other elements indicated that some outer rings of these elements were removed during wood processing. Tree-ring dating proved that the present Jeongjagak of Seonreung had been well preserved for more than 300 yea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