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명보험 해지환급금의 법적 규제에 관한 연구- 독일과 일본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

        한병규 한국경영법률학회 2014 經營法律 Vol.24 No.3

        Der Zweck dieses Aufsatzes forscht dem Charakter und Struktur über den Rückaufswert nach, der mit dem Kündigungsrecht als gesetzlichem Recht im Gesetz über den Lebensversicherungsvertrag verknüpft. Inzwischen mangelte es in Korea an der gesetzlichen Untersuchung trotz der zahlreichen Versicherungsstreite mit dem Anspruch auf den Rückaufswert. Zur weitgehenden Untersuchung steht die ausführlichen Debatten zur rechtlichen Regelung in Deutschland und Japan im Mitelpunkt, weil die rechtliche Struktur von den Staaten wie Deutschland und Japan der koreanicher Rechtstrktur ähnlich ist. In Deutschland wurde der rechtliche Anspruch auf den Rückaufswert nach langer Zeit diskutiert. Nach den Urteilen von Bundesgericht und Verfassungsgericht, die sich auf dem Prinzip der Transparenz für die Öffentlichkeit von Informationen basierten, d.h. Versicherungsnehmer sollen Rechte haben, damit verbundenen ausführlichen Informationen zu bekommen. Die Folge dieser Urteile bringt gerade die entgültige Festlegung vom Gesetz über den Versicherungsvertrag nit sich. In Japan wurde Im Jahre 1981 das erste Urteil von Tokyo Gericht über den Rückaufswert gefällt, das damals mit dem Bürgerlichen Gesetz im Widerspruch gegen ungerechtfretige Bereicherung stehte. Nach dieser Urteil war die Gesetzgebung über den Rückaufswert im Lauf der umfangreichen Bestimmung für den Versicherungsvertragsgesetz heutzutage wieder zur Geltung gekommen. Im Prozeß der Gesetzgebung für den Versicherungsvertragsgesetz war falls Deutschland die Transparez für die Öffentlichkeit von Informationen der Kern der Frage. Die japanischen Experten, wie z.B. Rechtsgelehrter, Professor usw. erkannten Probleme des Rückaufswertes richtig und auch nahmen an damit verbundenen Diskusionen aktive teil. In diesem Zusammenhang ist es in Korea notwendig, die umfassende Diskusion für die neue Gesetzgebung des Versicherungsgesetzes bezüglich der Rückaufswertes in der Richtung auf die Verhinderung der ungerechtfretigen Bereicherung und auch die Sicherung der Transparez für die Öffentlichkeit von Informationen durchzuführen.

      • KCI등재

        현행 암보험약관 해석 기조에 대한 비판적 재고 -경계성종양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한병규 전북대학교 부설법학연구소 2017 法學硏究 Vol.54 No.-

        Among sickness insurance, cancer insurance is especially the popularized insurance. However, in reviewing the dispute patterns of cancer insurance, it has lacked of discussion the issue in spite of finding the clue to the problem in institutional or judicial dimension. This article focused on the Contract interpretation relating to especially borderline malignancy among cancer insurance and suggested some guidelines for interpretation direction. In interpreting the insurance contract, understanding the consistent criterion of our Supreme court is very important point. On the other hand, it has been practically causing confusion among rather different conclusions about the same issue. For example, in case of clinical cancer(malignancy) by traditional analysis method, the foundations that considering a benign tumor or borderline malignancy as ‘cancer’ in cancer insurance contract is recently rocking. In addition, being developed the diagnostic technique, found early many kinds of tumors, and applying them to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Code causes problem considering tumors that was previously not malignancy as cancer. ‘Borderline malignancy’ literally means tumor is quite difficult to classify into a malignant and benign tumour. In interpreting cancer insurance contract, the important guidelines such as KCD(including ICD and ICD-O) is ultimately only the statistical information for cancer treatments, not the absolute standard for interpreting cancer insurance contract. The main reason that the average consumer buys cancer insurance is in order to provide against economic risk by cancer incidence. Therefore the traditional analysis considering borderline malignancy or benign tumour as cancer should be respected. In addition, an alarm bell should ring in payment of cancer insurance money by borderline malignancy(rectal carcinoid tumor, borderline malignant tumors of the ovary and so on) that is not longer traditional cancer by revising a classified table of ICD and the insured’ prognosis is good. 질병보험 중에서 특히 암보험은 상당히 대중화 된 보험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암보험의 분쟁양상을 살펴봤을 때, 충분히 제도적으로 또는 사법적인 차원에서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었음에도 그동안 이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였다. 본고는 암보험 중 특히 경계성종양과 관련한 약관해석에 포커스를 맞추고 그 해석 방향에 대해 나름의 기준을 제시하였다. 본래 보험약관을 해석함에 있어서 우리 대법원의 일관된 판단기준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사항이라 할 것이다. 그러나 동일 사안임에도 극명하게 결론이 바뀌는 판결이 나오고 있어서 실무적으로 매우 혼란을 빚고 있다. 예컨대, 전통적으로 이해되었던 임상학적으로 암(악성종 양)에 준하는 경우에는 양성종양 또는 경계성종양을 암보험약관상의 암으로 판단하였던 기 조가 최근 흔들리고 있다. 뿐만 아니라 진단기법이 발달되고 다양한 종류의 종양들이 조기에 발견되고, 이를 국제분류코드에 적용하자 기존에는 악성종양으로 해석할 수 없었던 분류의 종양까지도 암으로 취급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경계성종양은 말 그대로, 악성과 양성으 로 구분하기 모호한 분류의 종양을 말한다. 암보험약관을 해석함에 있어서 중요한 판단기준 이 되는 KCD(ICD 및 ICD-O 포함)와 같은 자료들은 궁극적으로 암의 치료 목적을 위해 제 작된 통계적 자료에 불과한 것이지, 암보험약관을 해석하는데 절대적인 기준이 되도록 만들 어 진 것이 아님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인 소비자가 암보험을 가입하는 주된 이유는, 암으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경제적인 위험에 대비코자 함이다. 따라서 경계성종양, 또는 양성 종양인 경우에도 임상학적으로 ‘암’에 준하는 경우에는 ‘암’으로 봐야 한다는 전통적인 해석 론을 존중하여야 한다. 뿐만 아니라, ICD의 분류표 개정으로 나타나는 기존의 암으로 인정할수 없었던 피보험자의 예후가 좋은 경계성종양(직장유암종, 대장점막내암, 경계성난소종양 등)에 대해서는 암보험금 지급에 경종을 울려야 한다.

      • 외상성 신동맥 색전증 1례

        한병규,김욱현,문기혁,송윤섭,박영호 순천향의학연구소 2004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0 No.2

        Renal artery thrombosis may result from external trauma of a blunt nature. Such injury is induced by rapid deceleration resulting in the stretching of the renal vasculature, disruption of the arterial intima-the least elastic layer of the arterial wall and eventual thrombosis. The treatment of renal artery thrombosis is controversial, with physician's options divided between prompt surgical exploration with vascular repair and clinical observation. We experienced 1 case of traumatic renal artery thrombosis and report that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 KCI등재
      • 29세 남자에서 발생한 Wilms' Tumor

        한병규,전윤수,오미혜 순천향의학연구소 2004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0 No.2

        Wilms' tumor is rarely found in adults and there are no established treatment guidelines for such tumors in adults. Here we describe a case of adult Wilm's tumor in a 29-year-old man, who was treated with laparoscopic radical surgery and on-going systemic chemotherapy.

      • KCI등재
      • KCI등재

        생명보험전매제도의 도입에 관한 한 · 중 · 일의 비교연구

        한병규(Byung-Kyu Han) 한국기업법학회 2014 企業法硏究 Vol.28 No.4

        한국과 중국, 일본에서는 주요 보험선진국과는 다르게 생명보험전매제도를 도입하고 있지 않다. 인접국이면서 동일 금융권역이라 할 수 있는 한국과 중국, 일본은 법리적으로 사회적으로 차이를 두고 있고, 생명보험 전매제도의 도입에 관한 논의과정 또한 다르게 진행되었다. 먼저 한국의 도입논의 과정을 평가해보면, 저가의 생명보험 해지환급금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됨에 따라 미국식의 생명보험전매제도를 도입하자는 입법안이 18대 국회에서 제시되었는데, 당시 보험관련 단체 및 법조계 등 사회적으로 극명한 반대여론이 형성되어 최종 입법까지는 진행되지 못하였다. 이어서 일본에서는 우리보다 일찍이 생명보험의 재산적 기능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였고, 2004년에는 미국식의 보험매입회사가 설립되어 보험계약자 변경에 관하여 실제 소송으로 비화된 사례가 있다. 당시의 재판부에서는 전매제도의 순기능을 인정하였으나 사회적으로 이 제도를 받아들일 인프라가 부족하다는 일본의 사회 환경론적 입장에서 보험계약의 전매를 부정하는 판결을 내리게 된다. 당시 일본의 판결로 2008년 보험법 개정회의에서도 ‘보험계약자 변경’이 관심 있게 다뤄지기도 하였다. 최근의 동향은 업계 및 학계에서 동제도의 도입논의가 거론되지는 않고 있다. 다만 증권가에서 미국 전매펀드의 홍보가 이뤄지고 있는 정도이다. 결론적으로 이제도의 도입 불가 입장은 우리와 비슷한 것으로 판단된다. 끝으로 중국은 한국과 일본에서와 같이 사회적으로 공론화 되지는 않았다. 다만 중국의 보험시장환경은 금융의 융합현상이 일어나고 있어 금융 환경적으로 전매제도의 도입을 기대할 정도로 전매제도 도입의 분위기는 무르익었다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중국 본토가 아닌 대만과 특별행정구역인 홍콩에서는 실제 전매사업이 이뤄지고 있고, 이들과 동일경제권역인 광동지역에서는 음성적으로 전매사업이 이뤄지고 있다. 또한 학계에서도 우리와 일본과 같은 강한 반대의 견해보다는 비교적 이 제도를 수용해야 한다는 연구물이 주를 이루는 것을 볼 때에 전매제도의 도입논의는 한국, 일본과는 분명히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Korea, China and Japan, unlike other developed countries, have not yet introduced Life Settlement institution. Though Korea, China and Japan are of the same financial world and are geographically adjacent to each other, the discourse concerning the introduction of Life Settlement institution varies, due to their different legal and social background. In Korea’s case, the problem of low surrender value has been presented consistently. As a result, a motion to introduce an american style Life Settlement institution was tabled at the 18th National Assembly, but it was later blocked, since it has stirred up fierce oppositions from insurance related organizations and other legal communities. In case of Japan, there have been much progress in the research of life insurance’s property value. In 2004, a company which deals with the transaction of insurances policies was founded, and a lawsuit was filed concerning the insurance contract transfer. In the case, the judiciary acknowledged the advantages of Life Settlement institution, but from the social environment perspective it has denied the legitimacy of such institution. The court’s ruling stimulated the discourse about “insurant status transfer” in 2008 Insurance Act amendment session, but lately the introduction of Life Settlement institution is not much of an issue among business communities or in academic circles. However, there are some promotions of american Life Settlement Funds in stock market. Bottom line is that the introduction of Life Settlement institution in Japan is unlikely, as in Korea’s case. Lastly, in China, Life Settlement institution has not been much discussed in contrast to Korea and Japan. However, as one can now witness certain convergence in China’s insurance market environment, it is possible to say the atmosphere for the introduction of Life Settlement institution has heightened. Moreover, in Taiwan and in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 of Hong Kong, such institution has already been implemented, and even in Guangdong province the Life Settlement business is running, yet illegal. Also, the ambience among academic circles is much more relaxed, most of the research rather supports the introduction of such institution, unlike in Korea and in Japan.

      • KCI등재후보

        주행거리·운전성향연동형 자동차보험(UBI)의 도입에 관한 논의 - 영국보험협회의 실무지침서(Practice Guide)를 중심으로 -

        한병규(Han Byung Kyu) 한국보험법학회 2016 보험법연구 Vol.10 No.1

        최근에 우리나라에서도 주행거리·운전성향연동형 자동차보험(Usage Based Insurance; 이하 UBI)이 출시된다는 보도가 있었다. UBI는 영국, 이탈리아, 미국 프랑스, 독일등 전통적으로 자동차보험 환경이 성숙되어 있는 주요 국가에서는 이미 상당한 대중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다. 통계에 의하면 2020년에는 전세계 자동차보험시장의 15% 이상을 UBI가 점하게 된다고 한다. 이들 국가에 비해 우리는 여러 사정상 도입이 늦어졌다. 본고에서는 이들 국가 중, 특히 영국, 미국, 일본의 도입 상황과 시장현황에 대하여 주목하였다. 영국은 본격적으로 UBI가 판매된 2009년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영국이 짧은 기간 동안에 성장세를 이룬 것은 자동차보험료가 비교적 높은 청년층에 마케팅을 집중하였고, 대형손해보험회사의 직접 판매보다는 보험브로커, 가격비교웹사이트에 의한 판매방식이 주요한 이유로 꼽힌다. 이러한 시장형성에 힘입어 영국보험협회에서는 2013년 4월 UBI에 관한 업계 실무지침서(Practice Guide)라 할 수 있는 “Seling Telematics Moter Insurance Policies(A Good Practice Guide)”를 발표한다. 동 지침서는 UBI와 관련하여 소비자 보호에 주된 중점을 두고 보험회사, 정보제공자, UBI판매자, 브로커, 가격비교웹사이트 등 UBI를 제공하고 유통시키는 모든 관련종사자 등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특징이다. 주요 내용인 데이터보호법(Data Protection Act 1998)의 준수, 제3자의 텔레매틱스 정보 이용 절차, 소비자에 대한 계약조건의 명확한 설명, 투명하고 객관적인 보험의 판매 및 관리 등은 이제 막 UBI를 태동하는 우리에게 관련법규, 모델약관을 제정함에 있어서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는 점을 확인할수 있었다. 또한 미국에서는 UBI를 세계최초로 개발한 Progressive사의 선도적 역할에 힘입어 최근에는 중소형손해보험회사부터 대형손해보험회사에 이르기까지 자동차보험을 판매하는 대부분의 손해보험회사에서UBI를판매하고 있을 정도로 상당한 대중성을 이뤘다. 상품의 트렌드는 초창기의 PAYD방식에서 PHYD방식으로 진화 하였고, 사생활 침해의 논란으로 GPS 기능이 탑재되지 않은 상품, OBD포트에 의하지 않은 스마트폰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상품 등 다양한 텔레매틱스 상품이 개발·출시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영국과 미국의 현황 외에 일본의 도입논의와 최근의 상황 또한 비중 있게 다루었다. 아베내각은 2013년 6월14일 발표한 ‘세계최첨단IT국가창조선언’을 기치로 하여 ‘세계에서 가장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경제적 교통사회의 구현’의 일환으로 UBI를 적극적으로 도입·운영하기로 결정하였다. 일본 정부의 정책적지원과 규제완화에 따라최근 들어 아이오이손해보험(あいおいニッセイ同和損保), 소니손해보험(ソニー損保), 손보재팬닛폰코아(損保ジャパン日本興亜)사 등 일본에서도 대형 손해보험회사를 중심으로 다양한 UBI상품을 개발·출시하고 있다. 아직 영국과 미국에 비해서는 시장인지도와 상품구성에 있어서 초기 단계라 평가할 수 있다. 얼마전 우리나라에서도 특정 통신사와 결합한 UBI상품이 출시되었고 잇따라 대형손해보험회사와 외국계손해보험회사를 중심으로 UBI의 출시가 임박했다는 언론보도가 이어진다. 이러한 상황에서 UBI에 관한 도입논의는 시의적절하다고 본다. 본고에서는 외국의현황, 특히 영국보험협회의 실무지침서를 중심으로 UBI에 대한 이해와 이에 부합하는 규제·감독의 기본적 기틀을 다지는데 있어서 고려해야 할 여러 쟁점을 고찰하였다. UBI의 올바른 제도정착을 위한 도입논의를 함에 있어서 ①사생활 침해(개인정보보호와 위치보호의 문제), ②보험요율의 투명성의 제고, ③모델약관의 정비를 우선적인 논의 대상으로 하였다. In recent years it reported that UBI(Usage Based Insurance) is released in korea. UBI already enjoys considerable popularity in the major countries such as England, Italy, US, France, Germany, etc. car insurance situation is traditionally mature. Statistics indicate that UBI will control more than 15 percent of the world's auto insurance market in 2020. In korea the introduction was delayed by varying circumstances in comparison with those countries. This article focused on the introduction circumstances and market conditions of England, USA, Japan of these countries. England shows the fastest growth since 2009 UBI sold until recently. The reason England achieved the highest growth in a short period of time is targeting the youth that pay relatively more for auto insurance, using the insurance brokers than direct sales of large insurance companies and using the sales method by the price comparison web-site. On the strength of these markets forming the British Insurance Association released “Seling Telematics Moter Insurance Policies(A Good Practice Guide)” such as a guide to UBI April 2003. The guide features that focusing on consumer protection with regard to UBI and targeting all workers provide and distribute UBI such as insurance companies, information providers, UBI sellers, brokers, price comparison web-sites. It confirmed that main details such as compliance with the Data Protection Act (Data Protection Act 1998), a third party telematics information available procedures, A clear description of the contract terms for the consumer, the sales and management of transparent and objective insurance, etc. is full of suggestions to Korea UBI is just dawning in enacting the rules and the terms. Recently on the strength of Progressive's an initiating role, most insurance company sale UBI from small and medium-sized insurance company against loss to large-sized insurance company against loss in the USA. Trends of the product has evolved from PAYD mode to PHYD mode and the various products such as the controversial invasion of privacy that is not equipped with a GPS function products and products by smart phone applications that are independent of the OBD port, etc. are being launched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일시배상금에서 생명보험연금으로의 전환적 논의

        한병규(Byung Kyu Han) 한국보험법학회 2015 보험법연구 Vol.9 No.1

        우리나라 불법행위법의 손해배상금 지급방법은 일시금배상으로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일시금배상방식은 장래의 손해평가에 대해서는 그 예측상의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정기금배상방식에 비해 합리성이 결여된다고 하겠다. 이는 피해자의 보상에 있어서 과소보상 또는 과대보상으로 밖에 이어질 수 밖에 없는 문제로, 손해배상의 근본이념인 손해의 공평·타당한 분담이라는 손해배상제도의 원 취지와 목적에 부합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인신사고의 일시금배상방식 문제점에 착안하여 주요국가의 배상법리를 비교하였을 때, 우리나라와 일본의 상황은 대체적으로 원고 측에서는 일시금배상방식으로 손해배상을 청구하고 법원도 원고 측의 주장을 받아들여 일시금배상을 명하는 판결이 많았다. 독일은 민법(BGB)과 민사소송법(ZPO)에 정기금배상에 관한 자세한 지급규정을 정하고 있지만, 법규정과는 다르게 실무적으로 정기금배상방식보다는 일시금배상방식이 선호되고 있다. 우리와 일본, 독일과는 조금 다른 양상으로, 프랑스에서는 판례상으로 다양한 정기금배상 방식이 운용되고 있고, 교통사고의 경우에는 특별법상에 물가연동제 방식을 채택하기도 하는 등 정기금배상에 관한 다양한 운용례를 보여주고 있다. 본고에서는 대륙법 체계에서 운용되는 정기금배상의 방식과는 또 다른 형식의 정기금배상 방식인 미국의 생보방식배상연금제도(Structured Settlement)를 소개하여 우리의 도입 시사점을 찾아보았다. Structured Settlement는 각종 배상사고로 인한 원자(통상적으로 손해보험회사의 보험금)를 채무인수회사가 인수하여(대부분의 경우 생명보험회사의 자회사) 최종적으로 생명보험회사가 피해자에게 연금을 지급토록 하는 방식이다. 동 제도가 미국에서 널리 통용될 수 있었던 이유는 재무건전성이 우수한 생명보험회사에만 동 사업을 영위할 수 있게 하였고, 미국 국내세법을 개정하여 Structured Settlement를 통해 보상금을 수령할 때에는 과세대상에서 제외(소득세의 면세)하도록 하는 면세정책을 뒷받침 하였기 때문이다. 동제도는 일시금배상의 단점인 보상금의 조기소진의 문제점과 손해평가의 불확실성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도의 언더라이팅과 금융기법을 활용하여 물가상승을 반영하고 피해자나 유족의 자금계획에 부응할 수 있는 다양한 연금설계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제 우리도 기존의 여러 문제를 야기한 일시금배상방식을 탈피하는 노력을 가져야 한다고 본다. 그러한 시도에서 미국의 Structured Settlement 제도는 적절한 시사점을 안긴다. Lump sum compensation is generally accepted for the payment of damages in Korea according to its tort law. However, this lump sum compensation can be unreasonable compared to periodic payment due to its uncertainty in estimation of future damages. It leads to an under-estimation or an over-estimation of compensation which is awarded to victim, therefore does not accord with original intention and purpose of compensation system for damages, which is fair and right apportionment of loss. This problem can be taken into consideration by comparing other nations’ legal practices. In Korea and Japan, the plaintiff would mostly claim damages in lump sum and the court would accept the claim as such, ruling the compensation to be paid accordingly. In Germany, a detailed regulations about periodic payment of damages are prescribed in BGB and in ZPO, however, lump sum compensation is preferred to periodic payment in practice. Unlike in Korea, Japan and Germany, a more diversified periodic payment options are available by precedents in France. Especially in the case of traffic accidents, index-linked compensation is adopted by a special law. This article introduces structured settlement and reviews its application to korean legal system. Structured settlement is another type of periodic payment that is different from other periodic payment methods in continental law. In structured settlement, a company (most of time, a subsidiary of life insurance company) would take over the capital (normally, benefits from an insurance company) and it would eventually provide annuity to victims. The system could have prevailed in USA because only the life insurance companies of financial soundness were allowed to run such business and because it was supported by tax-free policy which excluded such compensation from taxation (that is, an income tax exemption). Not only can the system overcome the problems of lump sum compensation (the problem of early exhaustion and the problem of uncertainty in estimation), but also it can enable a various pension plans which could reflect inflation and meet the plans of the victim or his/her family by using highly developed underwriting and other financial skills. It is time to break from lump sum compensation system which stirs up many different problems. And the structured settlement system in USA has many implications for such an attempt.

      • KCI등재

        일본보험법상 ‘폭력단면책’ 법제의 최근 동향 - 약관의 효력을 중심으로 -

        한병규 ( Byung Kyung Han ) 안암법학회 2016 안암 법학 Vol.0 No.51

        일본정부는 날로 증가하는 폭력단 위험에 대응하고자 근본적인 대책수립에 착수한다. 이른바 폭력단과의 전쟁을 선포한 것이다. 그 첫 번째 대응으로 폭력단과 금융권의 관계를 완전히 차단시켜 은행·증권·보험 등금융권 전 영역에서 음성적으로 활동하는 폭력단을 색출하였다. 이어서 지방자치단체들로 하여금 자체적으로 폭력단배제 조례를 정하게 하여 폭력단의 사업 전 분야의 근간을 흔들고, 나아가 일본금융청 주도로 ‘정부지침’과 ‘감사지침’을 제정토록 하여, 보험회사를 포함한 금융권 전 영역에 폭력단과의 근본적인 관계 정리를 요구하였다. 본고에서는 일본보험법상의 폭력단면책 법제의 최근의 동향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국가의 최고회의기구라 할 수 있는 ‘범죄대책각료회의’의 논의로 촉발되어 일본금융청의 정부지침과 감시지침에 따라 생명·손해보험협회의 모델약관의 배부, 일선 보험회사에서의 폭력단을 배척하는 실무로 신속하게 전달되는 체계가 매우 인상적이라 할 만큼 일사천리로 진행되었다. 동 법제는 기존의 보험약관상의 규정된 ‘중대사유의 해제권’을 보험법을 개정하면서 명문화하였다. 조문의 간략화를 위해 폭력단면책조항을 동 조문상의 포괄조항으로 적용함으로서 해당 법조문 구성을 간략히 한 것 또한 전반적인 법체계와 균형을 이룬다. 이러한 일본에서의 폭력단배제정책에 따른 보험법제의 정비와 약관상의 폭력단면책조항의 개정은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할 것이다. 물론 일본의 폭력단과 비교할 때 우리의 조직폭력배의 범죄율은 그양적으로 또는 사회적인 파급력에 있어 차이가 있으나 분명한 것은 보험의 원리에 비추어 볼 때 이들의 위험을 다수의 선량한 보험가입자 단체에서 수용하도록 하는 것은 근본적으로 문제가 있다고 본다. 차제에 우리도 일본의 사례를 참고하여 해당 법제와 약관을 정비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룬 일본보험법상 ‘보험자에 의한 중대사유 해제법리’와 ‘약관상의 폭력단면책조항’은 우리의 법제로 차용하기에도 큰 무리가 없어 보인다. 다만 폭력단면책법제의 운영에 있어서 중대사유 해제권의 남용우려와 소급권 제한의 문제, 일부 약관상의 면책조문 구성 등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한 사항이라 할 것이다. The Japanese government starts fundamental countermeasures to respond the growing risk of organized crime groups. It means that the government has declared war on organized crime groups. The first reaction which intercept the relation between organized crime groups and financial world completely ferreted out organized crime groups in the financial world such as banks, securities and insurance, etc. Soon after, the Japanese government let local government enact organized crime groups exclusion ordinance, whereupon undermine a foundation of whole business of organized crime groups and let the Financial Services Agency set up the government guidelines and the audit guidelines, whereupon push the financial world including insurance company for the fundamental relationship liquidation with organized crime groups. This article dealt with the recent trend of organized crime groups exclusions legislation in Japanese Insurance Law. Sparking a debate of ‘crime countermeasures ministers conference’ as the National Supreme Conference Organization, it progressed quite fast that delivery system from model contract terms distribution of General Life · Insurance Association to the practice excluding organized crime groups in the insurance company according to the government guidelines and the audit guidelines of the Financial Services Agency. The legislation stipulated ‘the cancellation right by crucial reason’ in an existing insurance terms by revising the insurance law. Applying the organized crime groups exclusion article to the blanket clause in the provisions in order to the provisions simplification also balance with the general legal system. In Japan, these the consolidation of insurance law by organized crime groups exclusion policy and the revision of the organized crime groups exclusion article in terms has great implications for us. Of course, in comparison to the organized crime groups of Japanese, the crime rate of our organized crime groups has a quantitative difference in social influence. But what is clear though is that we require the effort improving the legislation and contract terms in comparison to principles of insurance. Because it is fundamentally issues that the good insurance policy holders accept their danger. It seems acceptable to be derived our legislation from legal principles of the crucial reason cancellation by insure and organized crime groups exclusion article of the insurance terms in Japan. In operating the organized crime groups exclusions legislation, the discussion about abuse concerns of the cancellation right by crucial reason’ and the organization of exclusion article in some contract terms, etc. is still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