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극권 국가의 석유・가스자원 개발현황 및 개발전략에 관한 고찰

        한반석,이정환,장호창,김대형,신창훈 한국자원공학회 2013 한국자원공학회지 Vol.50 No.2

        Russia, USA, Denmark, Norway, and Canada are Arctic neighboring countries which are engaged in the development of Arctic oil and gas. Especially, Russia has the largest Arctic Exploration and Production (E&P) market, and its Arctic shelf holds large oil and gas potential. The other countries also make efforts to develop oil and gas in the Arctic circle, improving a policy and system, bidding an oil and gas field, and accelerating E&P activities. As of 2011, South Korea depends on oil imports by 100% as the 5th oil importing country and 10th oil consumer in the world. There is until considerable uncertainty about future energy supplies. One of the methods to overcome this situation is to participate in polar E&P. In this paper, an analysis of E&P strategies of each country is presented, and the current status of oil and gas development in the Arctic Circle is investigated. It will be utilized in establishing development strategies in the Arctic region. 북극권 주요 석유‧가스자원 개발국으로는 러시아, 미국, 덴마크, 노르웨이, 캐나다 등이 있으며, 모두 북극권 내에 자국의 육상 및 해상 영토를 가지고 있다. 특히 러시아의 북극 석유 ‧ 가스자원은 상당한 잠재력을 지니고 있으며, 현재 북극 주변국 중에서 가장 활발한 자원개발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이 밖에 러시아를 제외한 기타국가에서도 정책 및 제도적 개선, 광구 입찰 등 각종 활동을 통해 북극권 자원개발에 힘쓰고 있다. 우리나라는 2011년 기준 세계 5위의 석유수입국이며 10위의 소비국으로 석유 수입 의존도가 100%에 이른다. 따라서 국가적 미래 에너지 공급에 대한 불확실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북극 석유‧가스자원과 같은 극지 석유 개발사업 참여를 통한 에너지자원의 확보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북극 석유·가스자원 확보를 위한 전략방안에 활용하기 위하여 북극권 환경의 특성 및 북극권에 부존하고 있는 석유·가스자원의 개발현황을 조사하고 러시아, 미국을 비롯한 주변 연안국들의 자원개발전략을 분석함으로써 북극권 개발전략에 관해 고찰하였다.

      • KCI등재

        CO2-EOR 기술특성 및 현장사례 분석

        한반석,이정환 한국자원공학회 2014 한국자원공학회지 Vol.51 No.4

        CO2-EOR (carbon dioxide enhanced oil recovery) is one of the EOR (enhanced oil recovery) techniques, and since the early 1970s, numerous researches have been made about pilot tests and field-scale CO2-EOR projects. Injection schemes of CO2-EOR can be classified as continuous CO2 injection, WAG injection, cyclic CO2 injection,and hot CO2 injection, and analyses on main characteristics and field applications for each injection scheme were performed in this study. Among analyzed field cases, all cases except for Bati Raman field are in operation on miscible CO2-EOR, and they have a huge difference in the source of CO2. Therefore, it is needed to analyze CO2 supply conditions in identifying CO2-EOR application possibility, and investigation on the field cases technically categorized will be utilized in designing a CO2-EOR project. CO2-EOR은 원유회수증진법(enhanced oil recovery, EOR) 중 하나로 1970년대 초부터 파일럿 테스트 및 현장 규모의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여러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CO2-EOR은 크게 CO2 연속주입공법, WAG 공법, cyclic CO2 자극법, 그리고 hot CO2 주입법으로 분류되며, 이에 대한 각 기술별 주요 특성 및 현장사례 분석이 수행되었다. 분석된 현장사례 중 Bati Raman 유전을 제외한 모든 유전에서 혼화 CO2-EOR을 실시하고 있으며, 사용되는 CO2의 공급원에 있어서도 큰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CO2-EOR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현장별 CO2 공급 조건에 대한 분석이 요구되며, 본 연구에서 수행된 CO2-EOR의 기술 분류에 따른 현장사례 분석은 향후 CO2-EOR 프로젝트의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초음파 진단기기 사용자의 작업 스트레스 정량화 연구

        공용구(Yong-Ku Kong),김재경(Jae-Kyeong Kim),심현호(Hyun-Ho Shim),조민욱(Min-Uk Cho),박채원(Chae-Won Park),하길수(Kilsu Ha),임성원(Sungwon Lim),문준필(Junpil Moon),오병모(Byung-Mo Oh),최준희(Jun Hee Choi),한반석(Ban-Seok Han),최경희(Kyeo 대한인간공학회 2019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9 No.10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the newly designed (new) ultrasound device by comparing it with conventional (old) device through electromyography (EMG) signals, grip force and task time. Background: The prevalence rate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WMSDs) among sonographers is approximately four times higher that that of normal people. The awkward posture and over-exertion of upper extremities are the main risk factors for WMSDs. To reduce these risk factors, ergonomic designs such as adjustable control panels and transducer stations have been introduced for new ultrasound device. Method: A total of 10 obstetrician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o compare the scan stress between two devices (old and new), two types of experiments were performed: (1) Scanning task was carried out to measure muscle activity and grip force during scanning operations. (2) Positioning task was performed to quantify the load while obstetricians were moving the devices. Results: The new device showed significantly less muscle activities and grip forces than old device in scanning task. The task time of the new device was significantly shorter than that of the old one. Conclusion: Overall, the performance of the new device was evaluated more positive than that of old device. Application: Methods and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to evaluate existing and newly developed ultrasound dev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