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강화도 약쑥(Artemisia princeps Pampanini) Callus로부터 Sterols의 생산
한민우,방면호,유종수,백남인,김세영 경희대학교식량자원개발연구소 2007 硏究論文集 Vol.26 No.1
강화약쑥의 기내배양을 통하여 유효활성물질의 대량생산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Callus 유도는 auxin계의 대표적인 물질인 2mg/ℓ, 2,4-D가 첨가된 고체배지에서 17일 정도에 유도되어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육도 양호하였다. 또한, 2mg/ℓ, 2,4-D와 sucrose 5g/ℓ 을 첨가한 MS 배지에서 callus의 생육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배양 10일부터 20일 까지는 완만한 생장을 보였고, 배양 20일후부터 30일 까지 왕성한 생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화약쑥의 callus 추출물을 TLC분석한 결과 강화약쑥의 전초에서 발견된 steroid 화합물인 β-sitosterol과 daucosterol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식물체와 기내 배양한 세포사이에는 많은 대사물질의 차이를 나타내었고 callus에 존재하는 유용하고 다양한 대사물질을 기내배양을 통하여 대량생산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ass production potential of activie compounds by in vitro culture of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The plant has been known as a crude medicine and used for treatment of colic pain, cardiotonic and antiphlogostic. The callus was induced and cultured in a agar medium containing 2 mg/ℓ 2,4-D, 5g/ℓ sucrose. TLC analyses of the callus extract showed that it contained β-sitosterol and daucosterol, which were reportedly detected in the leaves of the plant. TLC analyses suggested tha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metabolites between the callus in vitro and intact plant, yet in vitro culture had a potential for a mass production of secondary metabolites from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한민우,방면호,송명종,양혜정,류하나,조진경,정해곤,이윤형,백남인 慶熙大學校 食糧資源開發硏究所 2007 硏究論文集 Vol.26 No.2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Sahabalssuk) was extracted with 80% aqueous MeOH, and the concentrated extract was partitioned with EtOAc, n-BuOH and H20, successively. From the EtOAc fraction, two chlorophylls were isolated through the repeated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From the results of physico-chemical data including NMR, MS and IR, the chemical stmctures of the chlorophylls were determined as chlorophyll a (1) and pheophorbide a methyl ester (2). They were the first to be isolated from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Sajabalssuk).
초미세습식분쇄공정의 공정변수에 따른 해조칼슘의 입자크기 분석
한민우,윤광섭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09 산업 식품공학 Vol.13 No.4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optimum condition of wet-grinding process for manufacturing microparticulated seaweed calcium. Process parameters such as concentration of forming agent, rotor speed, bead size, feed rate, and grinding time were adapted during wet-grinding of seaweed calcium. The particle size range of the raw seaweed calcium was 10-20 μm. The calcium particles were reduced to under 1 μm as nano scale after grinding. Gum arabic was suitable for forming agent and 5%(w/v) concentration was the most effective in grinding efficiency. A wet-grinding process operated at 4,000 rpm rotor speed, 0,4 mm bead size, and 0.4 L/hr feeding rate, respectively, produced less than 600 mm(>>90%)-sized particles. In batch systems, 8 cycles of grinding showed higher efficiency, but 20 min of grinding time in continuous processing was more efficient to reduce particle size than the batch processing. Based on the result, the optimum conditions of the wet grinding process were established: operation time of 20 minutes, rotor speed of 4,000 rpm, bead size of 0.4 mm, feed rate of 40 mL/min and 30% mixing ration with water. The size of the resulting ultra fine calcium particles ranged between 40 and 660 mm. 습식분쇄의 최적조건을 얻고자 부형제 종류, 농도, 습식 분쇄시 rotor speed, bead size, feed rate, 분쇄회수를 달리 하여 분쇄한 결과, 부형제로는 gum arabic을 사용하여 5% 의 농도로 첨가할 때 가장 좋은 분쇄효과를 나타내었다. Rotor speed를 달리하여 습식분쇄한 결과, rotor speed가 증 가할수록 좋은 결과를 나타내어 4,000 rpm에서 가장 우수 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료와 직접 부딪혀 분쇄를 하게 되 는 bead는 0.4 mm의 크기를 사용하였을 때 가장 작은 사 이즈로 분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쇄가 이루어지는 chamber내에 원료를 공급하는 비율에 따른 결과에서는 40 L/h 의 속도로 공급했을 때 가장 작은 입도분포를 보였 다. 분쇄회수에 따른 영향은 횟수에 따라서는 8회 이상으로 분쇄하였을때 0.6 μm이하의 입도분포가 90% 이상으로 나 타나 10회를 분쇄하였을때 가장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연속운전과 비연속운전의 비교에서는 연속운전이 더 효율 적이었으며 부형제 종류에 따른 영향은 gum arabic을 첨가 하여 분쇄하였을때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 서 적절한 농도와 종류의 부형제 사용과 rotor speed, bead size, feed rate, 용매와의 혼합비의 최적공정을 수립한 습식 분쇄기술로 초미세액상칼슘의 제조가 가능하였고, 습식분 쇄기술을 식품가공기술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보하 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