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보만재(保晩齋) 서명응(徐命膺) 산문(散文)의 일고찰(一考察) -역학(易學) 중심의 학문관과 연관하여-

        한민섭 ( Min Sub Han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7 漢字 漢文敎育 Vol.18 No.-

        이 논문은 보만재(保晩齋) 서명응(徐命膺)의 학문 특징과 그 학문 특징을 보여주는 문학 세계의 일면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는 『보만재총서(保晩齋叢書)』 등 거질의 저술을 남긴 것으로도 유명하며, 그의 학문은 여러 학문의 전분야에 걸친 박학(博學)의 특징을 보인다. 그런데 그의 학문의 중심에는 역학(易學)이 놓여있다. 그는 역학 중에서도 상수학(象數學) 계열인 소옹(邵雍)의 선천역(先天易)을 중시하였다. 그의 선천역(先天易)에 대한 관심은 그의 박학(博學)의 학풍과 학문 본연에 대한 탐구 및 16·17세기 이래 조선 사회에서 주목받고 발전되어온 상수학(象數學) 연구의 전통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는 선천역(先天易)에 기반하여 총서(叢書)의 4部 및 각 저서의 수와 권수를 안배하였다. 이렇듯 서명응의 학문의 중심은 역학(易學)이었고 다른 학문도 역학(易學)에 바탕하여 저술하였다. 또한 서명응의 저술은 역학에 바탕을 하면서 경세적(經世的)이고 실용적(實用的)인 특징을 보인다. 서명응의 역학 중심의 학문관은 문학 작품에서도 그대로 투영된다. 서명응의 학문적인 관심은 일상적으로 보는 사물에 대해서도 역학(易學) 중심의 시각을 갖게 하여, 세상의 일반적인 통념도 역학(易學)의 시각으로 재해석하였다. 대표적으로 「유영춘기(遊永春記)」와 「구룡정기(九龍亭記)」에서 이 같은 모습을 볼 수 있다. 서명응은 민간 전설 등의 기이하고 흥미로운 이야기는 부정을 하고 자신의 역학 중심의 시각에서 사물을 재해석하였다. 서명응은 선천역에 기반하여 자연 경관을 바라보았고, 지명(地名) 등에 새로운 해석을 하였고 아울러 그의 경세(經世) 사상까지 담아내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tudies of Bomanjae(保晩齋) Seo Myeong-ung(徐命膺) and an aspect of his literary world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his studies. He is famous for writing a great masterpiece such as Bomanjaechongseo(保晩齋叢書), characterized by erudition throughout all fields of various scientific studies. By the way, in the center of his studies, lies Ichingxue(易學). Among Ichingxue(易學), He attached importance to Xiantianyi(先天易, Before heaven divination made by Fuxi 伏羲) of Shao Yung(邵雍), a kind of Xiangshuxue(象數學, Images and Number Learning). His interest in Xiantianyi(先天易) can be said to have originated from his academic tradition of erudition and studies on Xiangshuxue(象數學) which had been noted and developed in the Joeseon Dynasty Society since the 16 and 17 centuries. Based on Xiantianyi(先天易), he determined 4 chapters of the chongseo(叢書). Like this, Seo Myeong-ung`s studies focused on Ichingxue(易學) and he written other books based on Ichingxue(易學). Seo Myeong-ung`s viewpoint of studies focused on Ichingxue(易學) can be verified in literary works. Seo Myeong-ung`s interest in scientific studies led to seeing ordinary objects which are seen in everyday life from the point of view centered on Ichingxue(易學), and a common idea in the world was reinterpreted from the viewpoint of Ichingxue(易學). As a typical example, such a trend can be ascertained from 「Yuyoungchungi(遊永春記: the description of sightseeing in Youngchun)」 and 「Guryong- jeonggi(九龍亭記: the description of a pavilion where nine dragons are)」. Seo Myeong-ung denied curious and interesting stories such as folklore legends and reinterpreted objects from his viewpoint focused on Ichingxue(易學). Seo Myeong-ung, based on Xiantianyi(先天易), viewed natural scenery, newly interpreted a place name, etc., simultaneously, even expressing his idea of administration of the world.

      • KCI등재후보

        『중용경위(中庸經緯)』를 통해 본 서명응(徐命膺)의 『중용(中庸)』 해석 특징(1)

        한민섭 ( Min Sub Han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09 漢城語文學 Vol.28 No.-

        이 논문은 保晩齋 徐命膺의 학문 특징과 그 학문 특징을 보여주는 『中庸經緯』의 한 국면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는 『保晩齋叢書』 등 거질의 저술을 남긴 것으로도 유명하며 여러 학문의 전분야에 걸친 博學의 특징을 보인다. 그런데 그의 학문의 중심에는 역학(易學)이 놓여있다. 그는 역학 중에서도 象數學 계열인 邵雍의 先天易을 중시하였다. 그의 先天易에 대한 관심은 그의 博學의 학풍과 학문 본연에 대한 탐구 및 16·17세기 이래 조선 사회에서 주목받고 발전되어온 象數學 연구의 전통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는 先天易에 기반하여 叢書의 4部 및 각 저서의 수와 권수를 안배하였다. 이렇듯 서명응의 학문의 중심은 易學이었고 다른 학문도 易學에 바탕하여 저술하였다. 서명응의 역학 중심의 학문관은 『中庸』의 해석에서도 그대로 투영된다. 서명응은 『중용』의 大本과 達道는 朱子의 『中庸章句』와 『中庸或問』이 있어 사람들이 알 수 있지만, 그 안에 담긴 언어의 經緯는 잘 알지 못하기 때문에 『中庸經緯』를 짓게 되었다고 서술 경위를 밝혔다. 『中庸은 性·道·敎가 책의 첫머리에 經緯로 놓여 있고, 한 章에는 한 章의 性·道·敎가, 한 句에는 한 句의 性·道·敎가 있으며, 性이 經이 되면 道가 緯가 되고 道가 經이 되면 敎가 緯가 된다고 하며 상호 연관성을 중시하였다. 서명응은 이 설명을 위해 자신만의 독특한 分節 및 해석을 내놓았으며, 특히 『중용』의 구조에 대해 어조사 하나까지 세밀히 탐구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서명응의 구조 분석은 『중용』 이해에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였고, 당대 유행한 象數學의 학문을 새로운 학문에 접목한 시도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정밀한 구조 분석은 經學뿐 아니라 문학 연구에도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tudies of Bomanjae(保晩齋) Seo Myeong-ung(徐命膺) and an aspect of his Zhongyongjingwei(中庸經緯). He is famous for writing a great masterpiece such as Bomanjaechongseo(保晩齋叢書), characterized by erudition throughout all fields of various scientific studies. By the way, in the center of his studies, lies Ichingxue(易學). Among Ichingxue(易學), He attached importance to Xiantianyi(先天易, Before heaven divination made by Fuxi 伏羲) of Shao Yung(邵雍), a kind of Xiangshuxue(象數學, Images and Number Learning). His interest in Xiantianyi(先天易) can be said to have originated from his academic tradition of erudition and studies on Xiangshuxue(象數學) which had been noted and developed in the Joeseon Dynasty Society since the 16 and 17 centuries. Based on Xiantianyi(先天易), he determined 4 chapters of the chongseo(叢書). Like this, Seo Myeong-ung`s studies focused on Ichingxue(易學) and he written other books based on Ichingxue(易學). Seo Myeong-ung`s viewpoint of studies focused on Ichingxue(易學) can be verified in Zhongyongjingwei(中庸經緯). Seo Myeong-ung`s interest in scientific studies led to seeing ordinary objects which are seen in everyday life from the point of view centered on Ichingxue(易學), and a common idea in the world was reinterpreted from the viewpoint of Ichingxue(易學). Seo Myeong-ung, based on Ichingxue, viewed The doctrine of the mean(中庸; Zhongyong), newly interpreted a proses, etc., simultaneously, even expressing his idea of administration of the world.

      • KCI등재

        楓石 徐有榘의 散文에 대하여

        한민섭(Han Min Sub)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4 동양한문학연구 Vol.20 No.-

          이 논문은 ??楓石鼓?集??과 ??金華知非集??에 수록된 산문작품을 검토하여 풍석 서유구의 산문 문학세계를 고찰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표현기법 면에서는 ‘細事의 기술로부터 議論의 도출’과 ‘비유를 통한 의론 강화와 생동적 묘사’, 碑誌·哀祭類에 나타난 ‘집중 서술을 통한 사상감정의 응축’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서유구 산문의 문예성은 立論의 방식과 논의 전개의 견실성 같은 특성으로 드러나며, 세부기술의 생동적묘사도 그러한 특징에 봉사한다. 碑誌·哀祭類의 글에서는 亡者와 교유하였던 특정한 사건이나 시간만을 집중적으로 묘사하고 서정성을 드러내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주제의식 면에서는 ‘객관적 인식의 중시’와 ‘상투적 시각의 거부’가 특징이다. 서유구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개방적인 사고를 강조하였고, 상투적ㆍ인습적 관념을 거부하고 새로운 시각에서 객관대상을 바라보고 그 의미를 새롭게 찾아내고자 하였다. 그의 이러한 노력은 한 개인에 국한될 수 있는 문제를 화두로 삼아 人倫이나 敎化 등 경세적인 담론을 이끌어내는 글에서 나타났다. 서유구의 위와 같은 문학실천은 바로 經世나 敎化에 관심을 둔 經世家의 그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Pungsuk Seo Yu-gu(1764~1845)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scholars in the late 18th and early 19th century Chosun period. This paper examined Pungsuk Seo Yu-gu"s literatures by reviewing proses collected in ??PungsukJeonjib??.   In terms of expression technique, it can be said that the literatures are characterized by ‘deduction of an argument from expression of trifling matters", ‘reinforced arguments and lively representation through a simile", and ‘condensation of an idea and emotion through concentrated description" indicated in a funeral oration. Seo Yu-gu"s proses show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in terms of a method of an argument and soundness of unfolding an argument as well as lively detailed description. In writings for a funeral oration, the proses focus on description of specific events or time he associated with the deceased, showing lyrical characteristics.   With regard to subject consciousness, the proses are characterized by ‘laying emphasis on objective recognition" and ‘rejection of a conventional viewpoint". Seo Yu-gu stressed escaping from stereotypes and an open thought, trying to reject a conventional and orthodox idea and see an objective subject from a new standpoint to newly find the meaning. His effort like this is showed in the writing in which discussion of administration of world such as humanity and enlightenment is deduced from a problem limited to an individual. It can be said that Seo Yu-gu"s practices through literatures was those of an administrator of world who had an interest in administration or enlightenment.

      • KCI등재

        김재로(金在魯) 『김석록(金石錄)』의 구성과 그 특징

        구자훈 ( Ja Hun Koo ),한민섭 ( Min Sub Han ) 한국실학학회 2011 한국실학연구 Vol.0 No.21

        이 논문은 김재로(金在魯, 1682~1759)가 편집한 거질의 탁본집인 『금석록(金石錄)』의 전체 구성을 소개하고, 그 구성 특징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김재로가 편집했다고 하는 『금석록』은 원편 226책, 속편 20책, 총 246책이라고 전해지는데, 현재 실물이 온전히 전하지 않아 전체 구성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고려대학교 도서관 육당문고에는 필사본 『금석록』이 있는데, 이것이 바로 김재로 『금석록』의 목록으로 그 전체 구성 및 규모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필사본 『금석록』을 통해 전체 규모를 살펴보면 『금석록』은 속편 20책을 포함하여 전체 226책의 규모이다. 원편은 김재로가 수집한 것이고, 속편은 김재로 사후 후인이 수집한 것이다. 그리고 탁본집 『금석록』 책 등에 ``흠흠헌(欽欽軒)``이 적혀있어, 그 편자의 서재 이름으로 추정된다. 『금석록』은 ``천조(天朝)``부터 ``석사(釋寺)``까지 34개 항목으로 구성되었고, 2,265점의 탁본이 수록되어 있다. 이 『금석록』은 당대까지 우리나라 지역에 위치한 전 방면의 금석문을 수집한 거질의 금석첩이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introduce the total composition of 『Jinshilu (金石錄)』, collected huge rubbings edited by Kim Jaero(金在魯, 1682~1759), and to look into the constitutive characteristics. As to 『Jinshilu』 that is said to have been edited by Kim Jaero, a total of 246 volumes - the original 226, sequels 20 - are handed down, and at present the real objects are not completely handed down, so the total composition is not known yet. There is 『The list of Jinshilu』, a manuscript, in Korea University Yukdang Library(六堂文庫), which is the very list of Kim Jaero 『Jinshilu』 that allows us to estimate the total composition and scope. To examine the total scope through 『The list of Jinshilu』, the 『Jinshilu』 consists of 226 volumes including 20 volumes of sequels. The original edition was collected by Kim Jaero, and sequels are collected by persons after Kim Jaero died, the compiler of the sequels are estimated to be ``Heumheumheon(欽欽軒)``. The 『Jinshilu』 was composed of 34 items from ``Cheonjo(天朝)`` to ``Seoksa(釋寺)``, and includes 2,265 rubbings. This 『Jinshilu』 is the collected huge amount of epigraphy located in the region of Jose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