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환자 요양보호사 직무스트레스 질문지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한명선,서경현,최인 한국건강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7 No.1

        As a preliminary study in efforts to developing the Geriatric Caregivers' Job Stress Questionnaire, researchers investigated factors of job stress among professional geriatric caregivers, and compared its accountability for stress responses with accountability of common job stress. The participants were mainly 240 geriatric caregivers, who were employed at a geriatric hospital, whose ages ranged from 35 to 68. Researchers developed items of job stresses directly from geriatric care works, through focused group interview (FGI). I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even factors were finally retained. Each of 7 factors described emotional difficulties, low salary and poor benefit/working condition, sexual inconvenience, nurse's scolding and poor treatment, lack of recess, the difference between job description and reality, and 3D works. These 7 factors were accounted for 59.7% of the variance in stress responses of geriatric caregivers, while factors from Karasek's Job Content Questionnaire accounted for 7.9% onl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job stresses of geriatric caregivers should be explored continuously. 본 연구는 노인환자 요양보호사 직무스트레스 질문지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로서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탐색하고 일반적인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반응에 대한 설명력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노인전문병원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204명을 주 대상으로 하였으며. 참여자의 연령 분포는 만 35세에서 68세 사이였다. 노인환자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직접적으로 묻는 문항들을 표적집단면접을 통해 개발하여 요인을 분석한 결과, 7개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검증되었다. 7요인은 각각 정서적 곤란, 열악한 처우/근무환경, 성적 불편감, 간호사의 질책/부당한 대우, 휴식시간 부족, 직무교육 내용과 다른 실무 그리고 3D 직무를 묘사하고 있었다. Karasek의 직무내용질문지로 측정한 직무스트레스가 스트레스 반응을 7.9%가량만 설명하는데 반해, 이 연구에서 실증적으로 검증된 일곱 가지 요인은 스트레스 반응을 59.7%나 설명하였다. 이런 결과는 노인환자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지속적으로 탐구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실시간 예보 시스템을 위한 우량자료 보정 기법 연구

        한명선,김충수,김형섭,김휘린 한국수자원학회 2009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2 No.2

        지구 온난화의 영향에 따른 기상 이변이 전세계적으로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를 포함한 많은 나라에서 홍수예보 시스템과 수문자료를 저장하는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시스템에서 운영하고 있는 결측우량 보정방법을 알아보고 더 효과적인 보정방법을 찾아내어 제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한강권역 194개 TM 우량관측소 10분 자료 이용하였다. 보정방법은 실시간 우량자료 보정시스템에서 사용이 용이한 산술 평균법, 역거리 가중법 The weather accidents by global warming effect are increasing rapidly whole world. Flood forcasting system and hydrological database are operated by almost all the countries in the world. A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revised methods of missin

      • MAPLE과 KLAPS에 의한 豫測降雨의 水文學的 補整과 評價

        한명선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지 Vol.14 No.6

        기상선진국을 중심으로 집중호우로 인한 재난대비와 안정적 수자원 관리를 위해 다양한 강우예측 모형을 개발하고 성능 개선에 힘쓰고 있다. 국내의 경우 기상청에서 강우예측 모형을 외국에서 도입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독자적으로 예측 모형을 개발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강우예측 결과를 실시간으로 다른 방재기관에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예측모형의 과소 강우예측으로 인해 방재업무 실무자들이 예측강우를 홍수예측 목적으로 활용할 때에 많은 어려움을 격고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정량적 예측강우 활용효과가 높은 도시유역인 한강 4개 지천(중랑천, 안양천, 탄천, 왕숙천)을 선택하였으며, 정량적 예측 모형은 MAPLE과 KLAPS를 선정하였다. 적용 유역을 대상으로 정량적 강우예측 평가의 기준이 되는 관측우량의 강우사상을 분리하고, 분리된 강우사상의 동일시간 대의 예측강우 자료를 분리하였다. 그리고, MAPLE과 KLAPS의 예측우량에 관측우량을 자료동화하여 효과적으로 보정할 수 있는 세가지 방법을 제안하였다. 세가지 방법은 과거자료 회귀분석(통계적 기법)을 통한 고정형 보정방법과 실시간 현업 보정을 적용한 변동형 보정방법, 고정형과 변동형을 절충한 혼합형 보정방법이다. 이 방법들을 적용하여 관측우량를 기준으로 예측우량의 보정 전·후 자료와 비교하였고 예측자료 개선정도를 RMSE와 ME를 통해 평가하였다. 또한, 예측 모형별로 시스템 지체시간이 예측강우 정확도에 얼마나 영향이 미치는지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예측우량의 선행시간이 길수록 예측값이 작아지는 경향을 보여 고정형 보정계수는 예측 선행시간이 길수록 값이 증가하였다. MAPLE은 1.5에서 3.2까지 증가하였고, KLAPS는 1.0에서 1.6까지 증가하였다. 변동형 보정방법의 경우 MAPLE은 관측우량과 예측 선행시간이 1.5시간까지 상관성을 보여 과거 예측자료 활용기간을 1.5로 결정하였다. KLAPS는 40분정도까지 상관성을 보였으나 시스템 지체시간과 예측 시간간격을 고려하여 과거 예측자료 활용 기간을 1.5시간으로 동일하게 결정하였다. 또한, 변동형 보정계수의 경우 관측이나 예측우량의 0값으로 산정이 불가능할 때는 고정형 보정계수를 이용하여 초기값을 결정하였다. 또한 보정 시스템의 안전성을 위해 변동형 보정계수를 초기값의 상하 1.5배 범위로 제한하였다. 혼합형 보정계수 산정을 위해 우선 변동형 1차 계수 산정해야 하며 이때 관측우량 및 예측우량 0값으로 산정이 불가능할 경우 초기값을 1로 정하였다. 또한 계산된 변동형 1차 계수의 값은 초기값의 1.5배로 제한하였다. 이 결과를 이용하여 기존의 고정형 보정계수에 반영하여 실시간으로 고정형 보정계수를 증폭하여 혼합형 보정을 적용하였다. MAPLE은 선행 1시간 예측 누계우량의 경우 혼합형이 10.7%, 선행 2시간 누계예측우량의 경우 변동형이 7.5%의 가장 좋은 개선효과를 보였다. 변동형의 경우 전체 선행 예측시간에 고르게 개선효과를 보였다. KLAPS는 선행 1시간 및 2시간 누계예측의 경우 변동형이 2.5%, 6.4%의 개선효과를 보였다. MAPLE과 KLAPS의 경우 예측 자료 구조가 약간 다르나 이를 보완하는 변환작업을 진행한 후 모형별 시스템 지체시간을 고려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MAPLE이 원자료의 RMSE가 더 양호했으며, 개선율은 KLAPS가 더 높았다. 실제 두 모형을 비교한다면 변동형 보정방법을 적용한 MAPLE 자료를 활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이와는 별개로 KLAPS의 예측강우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모형 자체의 성능을 높이는 것 뿐만 아니라, 시스템 지체시간을 줄이는 것 또한 필요하다. 보정기법 적용을 통한 예측우량의 정확도 향상은 홍수예보 능력 향상과 연관된다. 또한, 예측모형의 정량적 비교평가는 예측모형의 신뢰도를 높이는 역할을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