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종합병원 외래진료부 진로인지계획 모형에 관한 연구

        한기중,이특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2007 의료·복지 건축 Vol.13 No.2

        Recently, hospital patients experience anxiety, confusion, and stress about wayfinding as the spacial layout and treatment circulatory system of hospitals have become complicated due to their oversized and complex structure. As part of finding a solution to the problem, this study seeks to examine what are the essential elements of the wayfinding planning of O.P.D. in general hospitals, to develop the model of wayfinding, and to suggest the methods of improving the wayfinding system. The research methods of this study adopted were literature review in wayfinding cognition, plan analysis of ten general hospitals, space analysis of these hospitals through space syntax, analysis of the system of visual-perceptual information through a field study, and analysis of surveys and follow-up surveys conducted to support the resul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proposals for finding decision points, providing the information, and developing a model planning are listed as follows. 1)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O.P.D. spacial layout and the visual-perceptual information system is necessary to find the essential elements of wayfinding. 2) The decision points are found through the full understanding of spacial functions, circulation systems, and facility configuration, considering the spacial layout, the bound of the visual-perceptual information system, and the circulatory system. Furthermore, the information decision points could be confined by space syntax. 3) The checklist and color compound & color codes, developed through the planning of signage system and color system could be applied to the methods of providing the information. 4) The planning of wayfinding system according to the whole process of practices for outpatients was mentioned above. The system of visual-perceptual information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 of this study should be integrated in the spacial layout of the whole O.P.D.

      • KCI등재

        Increased Risk of Diabetes Development in Subjects with the Hypertriglyceridemic Waist Phenotype: A 4-Year Longitudinal Study

        한기중,이신영,김남희,채현범,이태훈,장철민,유경모,박해정,이민경,전원선,박세은,박철영,Won-Young Lee,오기원,박성우,이은정 대한내분비학회 2014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29 No.4

        Background: The hypertriglyceridemic waist (HTGW) phenotype is a simple and inexpensive screening parameter to identify people at increase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We evaluated whether the HTGW phenotype predicts diabetes in urban Korean adults. Methods: A total of 2,900 nondiabetic subjects (mean age 44.3 years), comprising 2,078 males (71.7%) and 822 females (28.3%) who underwent annual medical check-ups at our center between January 2005 and December 2009, were recruite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baseline serum triglyceride (TG) level and waist circumference (WC): normal WC-normal TG (NWNT) level, normal WC-high TG level, enlarged WC-normal TG level, and enlarged WC-high TG (EWHT) level. High serum TG level was defined as ≥150 mg/dL and enlarged WC was defined as ≥90 cm for men and ≥85 cm for women. New cases of diabetes were determined according to questionnaires filled in by participants and the diagnostic criteria of th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analysis was used to assess the association of HTGW phenotype with the incidence of diabetes. Results: A total of 101 (3.5%) new diabetes cases were diagnosed during the study period. The EWHT group had a higher incidence of diabetes (8.3%) compared with the NWNT group (2.2%). The adjusted hazard ratio for diabetes for subjects with the EWHT phenotype at baseline was 4.113 (95% confidence interval [CI], 2.397 to 7.059) after adjustment for age, and 2.429 (95% CI, 1.370 to 4.307) after adjustment for age, sex, total cholesterol, systolic blood pressure, and alcohol drinking history. It was attenuated by inclusion of baseline fasting glucose level in the model. Conclusion: Subjects with the HTGW phenotype showed the highest risk of incident diabetes. This tool could be useful for identifying individuals at high risk of diabetes.

      • LA-MC-ICPMS를 이용한 괘불탱에 사용된 안료의 납 동위원소 분석

        정연,김숙주,한기,김효진,김소진,이은우 한국분석과학회 2021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1

        회화문화재인 우리나라 괘불탱에 대한 연구는 유물의 보존 · 복원 자료 확보를 목적으로 과학적인 분석을 통해 안료의 재료 분석, 채색 기법연구 및 제작방법 등을 규명하는데 있다. 특히 동위원소 분석은 유물의 제작에 사용된 원료의 산지를 추정하는데 대표적인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괘불탱 제작에 사용된 채색 안료 중 연백색 안료에 대한 납 동위원소 분석을 바탕으로 안료의 산지 추정 및 괘불탱에 사용된 안료의 동일성 판별 등에 대해 검토하였다. 괘불탱에 사용된 안료는 수십 ㎛ 내외의 두께로 사용되어 기존의 습식분석으로는 채색 안료별로 구별이 어려워 공간분해능이 큰 LA-MC-ICPMS를 이용한 in-situ 분석법을 개발하여 이용하였다. 안료의 납 동위원소 분석에 사용된 LA-MC-ICPMS는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의 NWR193<SUP>UC</SUP>와 Nu Plasma II를 결합된 장비를 이용하였다. 안료의 spot 분석에 이용된 spot size는 10 ~ 15㎛, ablation time은 30sec이며, 안료의 line analysis에는 analysis distance가 100㎛이고, scan speed는 5㎛/sec를 이용하였다. 분석법의 신뢰도 확보를 위해 참고물질로 확보한 연백색 및 연적색 시료에 대한 습식분석(TIMS)과 표면분석(LA-MC-ICPMS)의 정확도와 정밀도를 비교 검증한 결과 99% 내외의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다. 조선시대 제작된 만연사, 법주사, 통도사, 금탑사 등의 괘불탱에 사용된 연백색안료의 납 동위원소 분석을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각 사찰의 괘불탱에 사용된 안료들의 동일성 판별 및 한반도 납동위원소 분포도를 활용하여 국내 안료 산지를 추정하였다.

      • LA-MC-ICPMS를 이용한 탄산염광물의 Sr 동위원소 분석과 reference materials 개발

        정연(Youn-Joong Jeong),김하(Ha Kim),박채원(Chaewon Park),김효진(Hyojin Kim),송윤구(Yungoo Song),한기운(Giun Han),정원석(Wonseok Cheong) 대한지질학회 2021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0

        LA-MC-ICPMS (레이저삭박 다검출기 유도결합플라즈마 질량분석기)에 의한 in situ Sr 동위원소 분석은 많은 연구분야에 광범위하게 적용되는 강력한 추적자 기술이다. 이 분석법의 장점은 빠른 데이터 수집, 높은 공간 분해능, 많은 시료 처리량 그리고 전처리 실험 없는 분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탄산염광물의 정확도와 정밀도가 높은 in situ Sr 동위원소 분석을 위해 KRNC, UKC, DGC 등의 새로운 탄산염광물 reference materials을 제시한다. 이들 탄산염광물의 Sr 함량은 300 ~ 1,000 ㎍/g이며 천연물질이다. 이들 물질의 주요 및 미량 원소는 EPMA(electron probe microanalyzer)와 ICPMS에 의해 조사되었으며, <SUP>87</SUP>Sr/<SUP>86</SUP>Sr 동위원소비는 TIMS(열이온화질량분석기)에 의해 분석되었다. LA-MCICPMS장비는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Nu Plasma II(MC-ICPMS)와 결합된 NWR193uc 레이저 시스템을 사용하였으며, 분석된 Sr 동위원소비는 습식분석에 의한 TIMS 분석값과 잘 일치하였다. 이번에 개발된 reference materials을 이용한 탄산염광물의 Sr 동위원소비 분석은 정밀도 높은 결과를 나타냈으며, 시료내 동위원소비의 균질도도 확인 가능하였다. 분석된 시료 중 일부 시료에서 Sr 동위원소비가 불균질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미세분석 영역에 대한 Sr 동위원소 분석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LAMC-ICPMS를 이용한 in situ Sr 동위원소 분석은 지질학적 추적자 및 고고학적인 기원의 지시자 연구를 위한 표면 분석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

      • KCI등재

        선종 발견율과 진행성 선종 발견율의 연관성

        이신영 ( Shin Yeoung Lee ),김남희 ( Nam Hee Kim ),채현범 ( Hyun Beom Chae ),한기중 ( Ki Joong Han ),이태훈 ( Tae Hoon Lee ),장철민 ( Choel Min Jang ),유경모 ( Kyung Mo Yoo ),정윤숙 ( Yoon Suk Jung ),박정호 ( Jung Ho Park ),김홍주 대한소화기학회 2014 대한소화기학회지 Vol.64 No.1

        목적: 대장내시경 검사의 질 관리에 전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선종 발견율과 임상적인 유의성이 높은 진행성 선종 발견율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9년부터 2010년까지 강북삼성병원에서 건강검진을 위해 대장내시경을 시행한 45세 이상, 75세 이하의 환자군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제외 기준으로는 연구 기간 중내시경 의사의 내시경 시행 횟수가 10회 이하인 경우, 이전 대장폴립의 병력이 있는 경우, 부적절한 장 정결도를 보인 경우로 하였고, 최종 56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진행성 선종과 관련된 변수에 대하여 독립표본 T검정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고, 진행성 선종 발견율을 기준으로 내시경 의사군을 나누어 선종 발견율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내시경 의사들의 선종 발견율과 진행성 선종 발견율을 변수로 Spearman``s rank order correlation을 사용하여 유의성을 검토하였다. 결과: 총 561명의 환자군 및 18명의 내시경 의사가 선정되었으며, 전체 의사군의 선종 발견율은 38.86%로 18명 중 17명이 20% 이상의 적절한 선종 발견율을 보였다. 전체 의사군의 진행성 선종 발견율은 4.46% 로 최소 0%에서 최대 14.29%의 변이를 보였으며, 내시경 의사의 시술 건수 500회를 기준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1.51% vs. 5.56%, p=0.019). 진행성 선종은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연령(교차비 1.07; 95% CI 1.009-1.133, p=0.023) 및 회수시간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교차비 1.191; 95% CI 1.094-1.296, p<0.001), 성별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교차비 1.860; 95% CI 0.764-4.529, p=0.171). 진행성 선종 발견율 5%를 기준으로 의사군을 나누었을 때, 진행성 선종 발견율이 5% 이상인 군의 선종 발견율은 46.77%로 진행성 선종 발견율이 5% 미만인 군의 선종발견율 34.72%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09). 내시경의사들의 선종 발견율과 진행성 선종 발견율을 변수로 하여 Spearman``s rank-order correlat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을때 Rho=0.463, p=0.053으로 두 값 사이의 유의성을 찾을 수 없었다. 결론: 이번 연구는 적절한 선종 발견율을 가진 의사라도 진행성 선종 발견율이 낮을 수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내시경 의사들의 진행성 선종 발견율과 선종 발견율 간의 연관성이 없어 현재 대장내시경의 질 지표로 사용되는 선종 발견율의 한계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Background/Aims: Adenoma detection rate (ADR) is widely used as an index of colonoscopy quality management. Although advanced adenomas can be found less frequently than non-advanced adenomas, advanced adenomas have a higher clinical significance during screening for colorectal canc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advanced and non-advanced ADR among colonoscopists. Methods: This study is an observational study of a cohort of patients undergoing screening colonoscopy between 2009 and 2010. We collected the data on patients` characteristics and colonoscopic findings. The detection rates of adenoma and advanced adenoma were calculated.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variables on advanced adenoma detection, and spearman`s rank-order correlation was us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dvanced ADR and ADR. Results: A total of 561 patients underwent screening colonoscopy by 18 experienced colonoscopists. Most colonoscopists had adequate (>20%) ADRs. Logistic regression showed that increased patient age (OR 1.07 per 1 year increase, 95% CI 1.009-1.133, p=0.023) and male gender (OR 1.860, 95% CI 0.764-4.529, p=0.171) were associated with advanced ADR. When colonoscopis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 the basis of advanced ADR of 5%, ADR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having higher level of advanced ADR. However,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advanced ADR and ADR among colonoscopists as an individual. Conclusions: Colonoscopists` advanced ADRs were independent of their ADRs, indicating that advanced ADR could\ be quite low even among colonoscopists with acceptable ADRs. Thus, there seems to be a limitation in using ADR as an adequate index of colonoscopy quality management. (Korean J Gastroenterol 2014;64:18-23)

      • SCOPUSKCI등재
      • KCI등재

        Comparison of Serum Adipocytokine Levels according to Metabolic Health and Obesity Status

        이태훈,전원선,한기중,이신영,김남희,채현범,장철민,유경모,박혜정,이민경,박세은,오형근,박철영,이원영,오기원,박성우,이은정 대한내분비학회 2015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30 No.2

        Background: Metabolic health is an emerging concept that is highly correlated with various metabolic complications, and adipocytokines have been causally linked to a wide range of metabolic diseases. Thus, this study compared serum adipocytokine levels according to metabolic health and obesity status. Methods: Four hundred and fifty-six nondiabetic subjects (mean age, 40.5 years) we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metabolic health and obesity status: metabolically healthy nonobese (MHNO), metabolically healthy obese (MHO), metabolically unhealthy nonobese (MUHNO), and metabolically unhealthy obese (MUHO). Being metabolically healthy was defined as the presence of fewer than two of the following five metabolic abnormalities: high blood pressure, high fasting blood glucose, high triglyceride, low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being in the highest decile of the homeostatic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index. Obesity status was assessed using body mass index (BMI), with obesity defined as a BMI higher than 25 kg/m2. Levels of serum interleukin-6 (IL-6),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MCP-1), tumor necrosis factor α (TNF-α), and adipocyte fatty acid binding protein (A-FABP) were also evaluated. Results: Of the 456 subjects, 247 (54.2%) were in the MHNO group, 66 (14.5%) were in the MHO group, 66 (14.5%) were in the MUHNO group, and 77 (16.9%) were in the MUHO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IL-6 or MCP-1 levels among the groups, but levels of TNF-α and A-FABP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UHNO group compared to the MHNO group. Conclusion: High TNF-α and A-FABP levels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etabolically unhealthiness in nonobese Korean individu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