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Anchor Text 정보와 링크 정보를 이용한 정보 검색 모델
한기덕(Gi-deok Han),정성원(Sung-won Jung),허희근(Hee-keun Heo),이교운(Kyo-woon Lee),권혁철(Hyuk-chul Kwon) 한국정보과학회 200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B
90년대 이전에 정보 검색에 대한 연구는 문서의 내용을 기반으로 한 연구가 주류였으며, 90년대에는 링크를 이용한 연구가 활발하였다. 90년대 말에 Page Rank와 HITS가 링크를 이용한 연구의 대표적 사례이며, 최근에는 문서의 내용과 링크 정보를 같이 이용하는 연구가 많이 발표되고 있다. 본 논문도 문서의 정보와 링크 정보를 이용한 새로운 검색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사용하는 링크 정보는 수집된 문서에서 추출한 Page Rank의 가중치와 한 페이지를 가리키는 링크들의 목록이며, 사용하고자 하는 문서의 정보는 본문 내용과 Anchor Text이다. 링크 정보와 문서 정보를 이용하여 Anchor 벡터와 문서 벡터를 만들고, 각각 질의어 벡터와 Cosine Measure를 하여 값을 구한 후, 더한 값을 해당 문서의 가중치로 하여 검색에 이용한다.
XML 기술과 스트링 매칭 기법을 이용한 구조 기반 정보 검색 알고리즘
한기덕(Gi-deok Han),권혁철(Hyuk-chul Kwon) 한국정보과학회 2007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4 No.1C
Parsing 작업의 결과인 Parse Tree 정보는 문장에 관한 구조적 정보를 가지고 있는 Tree 정보로 이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 검색에 활용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XML 기술과 스트링 매칭 기법을 이용하였으며, 사용한 스트링 매칭 기법은 Approximate String Matching 기법이다. Query 정보와 문서 정보를 Parsing하여 얻은 Parse Tree를 XML 형태의 정보로 변환한 후, 두 정보를 가지고 Approximate String Matching 기법을 적용하여 Query 정보와 문서 정보 간의 유사도를 계산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의 장점은 구조 기반의 정보 검색 기능이 가능하고 비슷한 정보에 대한 검색 기능이 가능하며 비슷한 구조에 대한 검색 기능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EPC Network에서 온톨로지를 이용한 XML 정보의 접근 제어 기법
한기덕(Gi-deok Han),권혁철(Hyuk-chul Kwon) 한국정보과학회 200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2B
EPC Network는 EPC 관련 정보를 수집, 처리, 저장, 제공하는 Network를 말하며 EPC Network에서의 정보 접근 제어는 다양한 접근 방법, 다양한 플랫폼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접근 및 분산 환경이라는 상황을 고려해야만 한다. 본 논문에서는 온톨로지를 이용한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정보 접근 제어 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정보 접근 제어 기법을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EPC Network를 구성하는 요소 중 하나인 EPC IS로 전송되는 SOAP 전송 메시지 내부에 정보 접근 제어를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온톨로지를 이용하여 기술한다. EPC IS는 온톨로지를 이용하여 기술된 SOAP 전송 메시지 내부에 포함된 정보 접근 제어와 관련된 정보를 정보 접근 제어 처리에 사용한다. 온톨로지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와 EPC IS 간의 개념 및 용어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추론 기능을 이용하여 정보 접근 제어에 있어서의 요구 사항들을 쉽게 처리할 수 있다.
차세대 웹에서 XML과 RDF 문서를 처리하는 XML&RDF 검색 에이전트
한기덕(Gi-deok Han),권혁철(Hyuk-chul Kwon) 한국정보과학회 200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1
차세대 웹을 표현하는 단어로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과 시맨틱 웹(Semantic Web)을 꼽을수 있다. XML은 1996년 W3C (World Wide Consortium)에서 제안한 데이터 표현 능력이 높은 언어이며, 시맨틱 웹은 사람이 읽고 해석하기에 편한 현재의 웹 대신에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의 새로운 언어로 표현해 기계들끼리 서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지능형 웹을 말하는 것으로써, 현재 XML을 기반으로 하는 RDF(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나 온톨로지 기술을 통해 시맨틱 웹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웹에서의 정보 공유를 위한 검색 에이전트의 역할 및 에이전트 간의 구조에 관한 설명, XML&RDF 검색 에이전트의 설계 모델 및 현재까지 구현된 시스템의 개요를 보여준다.
RFID/USN 인프라 구축을 지원하는 XML 기반 정보 관리 시스템
한기덕 ( Gi-deok Han ),조이현 ( Yi-hyon Cho ),권혁철 ( Hyuk-chul Kwo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3 No.1
최근 들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및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기술개발과 응용에 대한 국내외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RFID 기술 및 USN기술은 미래 핵심기술로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음은 물론, 모든 산업에 접목하여 새로운 정보화 혁명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본 논문은 RFID Middleware가 구축되었다는 가정 하에 RFID/USN 인프라를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 및 RFID/USN 기술 중 RFID/USN 인프라 구축을 지원하는 정보 관리 시스템에 대한 소개, 역할 및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한다.
Anchor Text의 단어 정보를 이용한 자동 문서 범주화
허희근 ( Hee-keun Heo ),한기덕 ( Gi-deok Han ),정성원 ( Sung-won Jung ),임성신 ( Sung-shin Lim ),권혁철 ( Hyuk-chul Kwo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1 No.1
최근의 웹 문서는 텍스트뿐만 아니라 이미지, 사운드 등 다른 여러 형태로 표현되고 있어서 텍스트의 비중이 낮아지고 있다. 그래서 문서 내에서 일정량 이상의 단어 추출이 어려운 문서들에 대해서 기존의 단어 정보만을 이용한 문서 범주화 방법은 좋은 성능을 기대할 수 없다. 그래서 본 논문은 Anchor Text 단어 정보의 자질 적합성 판단에 의한 새로운 자동 문서 범주화 모델을 제안한다. 문서 범주화 모델로는 베이지언 확률 모델을 이용하였으며, 카이제곱 통계량을 사용하여 자질을 선정하였다. 문서 내에서 추출된 단어 자질들이 해당 문서를 판단하는데 부족하다고 판단되면 문서의 링크정보를 이용하여 연결된 문서의 단어 자질과 Anchor Text의 단어 자질을 반영함으로써 성능을 향상시킨다.
임성신(Sung-sin Lim),한기덕(Gi-deok Han),권혁철(Hyuk-chul Kwon) 한국정보과학회 200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Ⅰ
인터넷 정보의 축적량이 증가함으로 인해 사용자는 원하는 정보를 찾기가 더욱 어려워졌다. 따라서 수많은 문서들 중에서 원하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찾아주는 정보검색 시스템의 중요성이 증가하게 되었으며 이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었다. 인터넷 문서에서 추출할 수 있는 정보들은 링크 정보, Anchor Text 정보, Title Text 정보, 본문 Text 정보 등이 있으며, 이런 정보들을 이용한 수많은 정보검색 시스템이 개발되거나 모젤이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이용되어 왔던 일반적인 추출 정보들을 정제 및 처리를 통해 성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연구했던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한 실험 결과 및 사이트 가중치를 추가한 모델을 제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