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공업계 특성화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사회적 기술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최윤희(Choi-Yun Hee),한경아(Han-Kyeong A) 한국발달장애학회 2018 발달장애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사회적 기술의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로, 집단미술치료가 참여자의 사회적 기술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와 집단미술치료 과정에서 나타난 사회적 기술 변화의 과정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공업계 특성화 고등학교 특수학급 2학년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 6명을 참여자로 선정하여 2017년 8월부터 2017년 10월 까지, 일주일에 1~2 회, 회기 당 80분씩 총 11회기에 걸쳐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효과 검증을 위해 교사용 사회적 기술 척도(SRSS)의 사전·사후 검사를 SPSS 25.0을 사용하여 t-검증 처리하여 비교하였다. 그리고 집단미술치료 과정에서 나타난 사회적 기술 변화의 과정을 보기 위해 동적학교생활(KSD)의 사전·사후 검사를 비교 하고, 회기별 관찰 내용, 축어록, 연구자의 연구일지를 수집하여 질적인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집단미술치료가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사회적 기술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었다. 또한 집단미술치료 과정에서 적응적인 의사소통 및 협력과 집단지향적인 행동을 하는 등 참여자들의 사회적 기술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공업계 특성화 고등학교특수학급 학생들의 사회적 기술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 그 변화과정을 밝힘으로써, 집단미술치료가 학교 현장에서 특수학습 학생들을 전체를 대상으로 적용 가능하다는 점과 교육적 가치를 입증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This is a case study on group art therapy to improve the social skills of special class students in a specialized high school for technical field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 if group art therapy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ocial skills of special class students in a specialized high school for technical fields and analyze the process of the changes in the skills. For this purpose, six disabled students who were eleventh-graders in a special class of a specialized high school for technical fields participated in group art therapy in a total of 11 sessions―1-2 sessions a week, 80 minutes per session―from August to October 2017. To test the effects, pretest and posttest were carried out by using the Social Skills Rating System (SSRS) for teachers and Kinetic School Drawing (KSD), and t-test was performed by using SPSS 25.0. The observations in each session, the list of abbreviations, and the researcher’s journal were collected to analyze the process of the changes made by group art therapy in the social skills of special class students in a specialized high school for technical fields. The study found that group art therapy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ocial skills of the special class students in the specialized high school for technical fields. In addition, changes in social skills of participants were observed, such as adaptive communication, cooperation and group- oriented behavior in group art therap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confirmed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social skills and behavior of special class students in a specialized high school for technical fields, analyzed the process of the changes in the skills, and proved the educational values of group art therapy as wells as its applicability to all the special class students at school.

      • KCI등재

        재한 중국인 유학생들의 자기이해를 위한 집단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매화(Li Mei-hua),한경아(Han Kyeong-a) 한국미술치료학회 2019 美術治療硏究 Vol.26 No.5

        본 연구는 중국인 미술치료사가 진행한 집단미술치료에서 재한 중국인 유학생들이 어떠한 경험을 하며, 그 경험의 본질이 무엇인지를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집단미술치료 경험이 있는 재한 중국인 유학생 8인을 대상으로 2018년 11월부터 2019년 5월까지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 방법 절차에 근거하여 6개의 본질적 주제와 15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재한 중국인 유학생들은 타국에서 같은 언어를 사용하는 집단원들과 함께 하는 미술활동과 나눔을 통해 위로를 받고 그 안에서 소속감을 갖게 됨으로써 유학생활의 적응을 높이는 정서적 지지체계를 확장하게 되었다. 둘째, 재한 중국인 유학생들은 자신을 지지해주는 안전한 공간에서 미술을 매개로 솔직한 감정을 탐색하고 자신도 미처 알지 못했던 새로운 알아차림은 유학생활의 적응을 높일 뿐만 아니라 미래를 계획하는 자원이 되었다. 셋째, 재한 중국인 유학생들은 집단미술치료에서 자기 생각을 정리하는 시간을 통해 생각을 변화하여 더 나은 삶을 위해 노력을 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재한 중국인 유학생들이 집단미술치료 안에서 상징적인 이미지 탐색을 통해 자기이해를 높임으로써 대학생 시기에 성취해야 하는 진로와 미래에 대한 계획을 세우고 희망을 갖는 경험을 보여주었다는 데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during the group art therapy carried out by a Chinese art therapist and to explore the essence of such an experience. For the research, this study collected data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from November 2018 to May 2019 on eight Chinese students in Korea with experience of group art therapy. After in-depth interviews, 6 essential themes and 15 sub-themes were derived based on the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suggested by Max van Manen. Results indicated that Chinese students in Korea received comfort and grew sense of belonging during art activities and sharing with group members using same language in a foreign country. As a result, art therapy expanded emotional support systems helping students adapt to studying abroad. In addition, Chinese students in Korea explored their honest feelings through art with a safe space supporting them. Such new awareness promoted adaptation methods for studying abroad and it became a resource for planning future. Also, Chinese students in Korea had a time to organize their thoughts in group art therapy. This brought changes in thoughts and caused students to seek a better life.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as it demonstrates how Chinese students in Korea explore symbolic images, promote self-understanding, think about career choices during college life, plan for the future, and grow hopes while experiencing group art therapy.

      • KCI등재

        미술치료 전공 석사과정생의 치매안심센터에서의 현장실습 체험연구

        김혜주(Hye-Joo Kim),한경아(Kyeong-A Han) 한국문화교육학회 2019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미술치료 전공 석사과정생이 치매안심센터의 현장실습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며, 그 경험의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지를 탐구하여 그들의 체험을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위해 치매안심센터 미술치료 현장실습 경험이 있는 석사과정생 7명을 참여자로 선정하고,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 절차에 근거하여 6개의 본질적 주제와 18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 석사과정생은 치매노인에 대한 경험적 이해가 부족한 상태로 현장실습을 나가기 때문에, 현장에서 시행착오를겪으며 이론과 실제를 통합한다. 둘째, 미술치료 석사과정생은 기능이 퇴화되는 치매노인들에게정말 필요한 미술치료적 접근과 미술치료사로서의 자질을 터득함으로써, 미술치료에 대한 이해를 확장한다. 셋째, 미술치료 석사과정생은 치료적 접근은 발달이라는 맥락 안에서 접근되어야하는 것을 깨닫고 치매노인의 경험에 대한 이해 속에서 자신의 역전이를 탐색하면서 개인이자전문가로서의 성숙에 이르게 된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what experiences that master’s degre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had field practice of Dementia Center, and what the meaning and essence are. For the study, 7 master’s degree students who have the field practice experience of art therapy in the Dementia Center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also 6 essential topics and 18 sub-topics have been worked out based on Max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Study Metho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ose participants go through trials and errors in the process of merging theory and practice since they are having lack of empirical understanding about the elderly with Dementia. Second, those participants experience that extend the concept of art therapy by finding the art therapeutic approach and the quality of an art therapist that are indispensable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whose function is degenerating. Third, those participants realize that therapeutic approaches should be approached within the context of development and are led to their maturity as an individual and expert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 KCI등재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집단미술치료 현장실습에 참여한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에 대한 체험연구

        이수빈(Su-Bin, Lee),한경아(Kyeong-A, Han) 한국문화교육학회 2020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field practice experience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by focusing on how they experience group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For this study, 8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who experienced group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ASD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6 essential themes and 15 sub-themes were derived by applying Max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 The essential themes derived are ‘Struggling and confused by not being able to approach the world of children’, ‘Trying various things to understand the world of each child as an individual’, ‘Finding clues to communicate with children by putting down my prejudice’, ‘Amazed and joyful by noticing changes of children and me while keeping pace with them’, and ‘Becoming a bridge to promote communication for children in a group’. The fact that I and children have met here now through art therapy comes to a meaningful way. 본 연구는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이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를 진단받은 아동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현장실습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가에 집중하고 그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ASD를 진단받은 아동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현장실습을 경험한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 8명으로부터 수집된 심층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6개의 본질적 주제와 15개의 하위 주제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본질적 주제는 ‘치료사로서 아동의 세상에 다가가지 못하고 어려움을 느낌’, ‘집단보다 먼저 아동 각 개인의 세상을 이해하기 위해서 다양한 시도를 해 봄’, ‘편견을 내려놓고 아동의 마음과 소통하는 실마리를 찾음’, ‘함께 발맞추어가며 느껴지는 아동과 나의 변화가 놀랍고 즐거움’, ‘집단 속 아동들의 소통을 촉진하는 다리가 되어 줌’, ‘미술치료를 통해 나와 아동이 지금 여기에서 만난 것, 그 자체가 의미로 다가옴’이다. 이처럼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ASD를 진단받은 아동을 집단미술치료에서 만나며 대상에 대한 이해와 경험에 부족함을 느끼지만, 더 깊은 공부를 하면서 아동 각 개인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고, 집단의 촉진자로서 자신의 역할을 깨달으며 집단의 역동을 경험하고 아동의 발전과 함께 결국 한 층 성장한 자신을 발견한다.

      • KCI등재

        생태학적 체계이론으로 본 경증 치매노인을 위한 미술치료에 관한 고찰

        문리학(Moon Lee-hak),한경아(Han Kyeong-a)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9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Bronfenbrenner의 생태학적 체계이론을중심으로 경증 치매노인을 둘러싼 환경과 상호작용을 포함하여 이들을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효과적인 치료적 중재로서 미술치료를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생태학적 체계이론의 미시체계, 중간체계, 외체계 개념을 기반으로 하여 치매노인에 관련된 지원 서비스 및 정책과 함께 치매노인 및 가족 돌봄자를 위한 미술치료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각 체계들 간에 연계되어 있는 치매노인의 환경과 서비스들 속에서 미시체계와 중간체계의 역할과 의미에서 그 중요성을 모색하였다. 그리고 경증 치매노인 미술치료의 역할 및 치매노인과 가족 돌봄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의 필요성을 맥락 속에서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경증 치매노인의 개인과 환경에 대한 맥락적 이해를 토대로 치매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중재로서의 미술치료 의미를 탐색하고, 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을 위한 미술치료 현장에서 필수 프로그램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과학 기반의 연구를 활발하게 함으로써 그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centered on the model ofBronfenbrenner s Ecological Systems Theory was to approach from the contextual point of view including environment and interaction surrounding elders with mild dementia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elders with mild dementia and examine art therapy as an effective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ocused on concepts of microsystem, mesosystem, and exosystem of the Ecological Systems Theory and explored support services and policies related to elders with dementia and art therapy for elders with dementia and family carers. In the meantime, this study sought the significance in the role and meaning of microsystems and mesosystems in the environment of elders with dementia and services connected between these systems. The role of art therapy for elders with mild dementia and the need for art therapy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elders with dementia and their family carers were confirm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s the meaning of art therapy as an effective and systematic interven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s with dementia based on a contextual understanding of the individual and environment of elders with mild dementia, confirming that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effect by activating active science‐based research in order for art therapy to become a mandatory program in the field of art therapy for elders with dementia.

      • KCI등재

        탈북청소년의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서안나(Seo Anna),한경아(Han Kyeong-a) 한국미술치료학회 2020 美術治療硏究 Vol.27 No.6

        본 연구의 목적은 탈북청소년이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고, 그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 A 대안학교에 재학 중인 만 15세 여자 탈북청소년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2020년 2월 13일부터 2020년 5월 16일까지 주 2회 90분간 총 16회기의 미술치료 사례를 진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미술치료 전 회기의 녹취와 축어록, 작품 촬영 이미지, 연구자의 관찰일지, 연구 참여자 및 담임 선생님과의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회기 분석 및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결론은 첫째, 연구 참여자는 감각적인 미술 활동을 통해 있는 그대로의 감정을 정화하고 인식함으로써, 자기조절능력을 갖게 되었다. 둘째, 참여자는 미술을 매개로 외상 기억을 안전하게 처리하고 이를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되었다. 셋째, 참여자는 치료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경험한 신뢰감을 토대로 대인관계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켜 외적 자원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넷째, 연구 참여자는 미술치료를 통해 경험한 성취감과 유능감이 원동력이 되어 긍정적 자기개념을 형성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가 탈북청소년의 외상에 대한 긍정적인 대처를 도왔을 뿐 아니라 개인의 자원과 긍정적인 역량을 강화하여 심리적 성장을 이루는 과정을 밝혔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is experienced in the art therapy to enhance resilience for a North Korean Refugee Youth and what the experience meant for her. For this purpose, 15-year-old female youth who defected from North Korea was selected. She was attending an alternative school located in Seoul. The case proceeded twice a week, 90 minutes per session, and for a total of 16 sessions from Februdary 13, 2020 to May 16, 2020. Data collection was done through art therapy sessions, photographs of the art works, the researcher’s observation journal and in-depth interviews. Al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nstant comparison method.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 improved her self-regulation by relieving negative emotions and experiencing purging of emotions. Second, the participant positively could cope from the trauma by reexamining the traumatic events and inferring the meaning of adversity. Third, the participant rebuilt her trust in others and changed her perception of social resources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art therapist. Lastly, the participant was able to build up self-identity by accumulating positive emotions which had been experienced through art therap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art therapy that can enhance resilience not only helped North Korean refugee youth to cope with trauma but also explore the process of achieving psychological growth by strengthening potential resources.

      • KCI등재

        장애형제가 있는 비장애 아동과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경험한 석사학위과정생의 체험연구

        이경화(Lee, Kyoung-Hwa),한경아(Han, Kyeong-A)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21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미술치료 석사과정생이 장애를 진단받은 형제자매가 있는 비장애 아동의 현장실습 경험과 그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근거하여 장애를 가진 형제자매가 있는 비장애아동과 미술치료 실습을 경험한 석사과정생 6명을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이후 수집된 자료들은 van Manen의 분석과정을 거쳐 본질적 주제 7개와 하위 주제 19개로 도출되었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석사과정생들은 비장애 아동과의 미술치료 현장실습에서 장애아동의 가족체계 내에서 아동과 부모를 이해하는 동시에, 아동을 독립된 존재로 바라보려는 노력을 하였다. 둘째, 석사과정생들은 장애형제가 있는 비장애 아동과의 미술치료에서 미술로 깊숙한 내면 표현을 촉진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 안에서 미술 활동과 이미지가 지닌 치유적 의미를 발견하였다. 셋째, 석사과정생은 장애형제가 있는 비장애 아동과의 실습에서 자신에게 올라오는 감정과 생각을 지속적으로 탐색함으로써, 미술치료사가 반드시 갖추어야 할 자기각성을 실천하였다. 본 연구는 장애형제가 있는 비장애 아동과의 미술치료 실습에 대한 석사과정생의 경험을 분석하여 실제적인 이해를 제공함으로써 장애형제가 있는 비장애 아동 미술치료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conduct onsite practice and experiences with non-disabled children who have disabled siblings and identify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experience. To achieve these aims, this study selected six master’s cours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with non-disabled children with disabled siblings through art therapy based on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s of Max van Manen. Afterwards, the collected data led to the derivation of seven themes and 19 sub-themes through the analytic method of van Man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aster’s course students tried to see children as independent persons while understanding children and parents within the family system with disabled children on the site of art therapy given to non-disabled children. Second, the master’s course students not only promoted in-depth internal expressions through art in art therapy for non-disabled children with disabled siblings but also discovered the meaning of healing rather than art activities and images. Third, the master’s course students practiced self-awakening that must be held by art therapists by continually exploring the emotions and thoughts that occurred to them during practice with non-disabled children with disabled sibling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provided basic data that can be used on the site of art therapy for non-disabled children with disabled siblings by analyzing the experiences of the master’s course students and providing practical understanding.

      • KCI등재
      • KCI등재

        비대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COVID-19 상황에서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최아린(Arin Choi),이매화(Li Mei-hua),한경아(Han Kyeong-a) 한국미술치료학회 2021 美術治療硏究 Vol.28 No.2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n online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enhancing the resilience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online group art therapy program, comprising a total of eight 90-minute sessions, was developed based on a systematic program development model, along with surveys and experts consultations, to enhance the resilience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program was verified by testing the program with an experimental group(N=5) and a control group(N=5), which together included 10 Chinese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in Korea, from April 28th to June 16th, 2020. The states of each group,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ere compared and quantitatively analyzed. The Wilcoxon test, a nonparametric statistical method, was used to compare the states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ithin each group. The results showed noticeabl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led groups in their resilience(p=.009), in which self-control abilities(p=.009), interpersonal skills(p=.008) and positivity(p=.008), were included. Notably these results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the online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enhancing the resilience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during the COVID-19 pandemic. Based on the findings,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상황에서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비대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비대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체계적 프로그램 개발 모형에 따라 요구 조사와 전문가의 자문을 거쳐 총 8회기, 회기당 90분으로 구성되었다. 비대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은 2020년 4월 28일부터 6월 16일까지 국내 대학교에 재학 중인 재한 중국인 유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N=5)과 통제집단(N=5)을 운영하여 검증하였다. 이후 프로그램 처치 사전-사후 시점에 따른 비교를 통해 양적 분석하였으며, 활동 보고서 및 개인별 면담자료를 통해 양적 분석 결과를 보완하였다. 비모수 통계 방법인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을 통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변화량의 차이를 그룹 간에 비교한 결과, 회복탄력성 전체(p=.009), 하위 자기조절능력(p=.009), 대인관계능력(p=.008), 긍정성(p=.008) 모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비대면 집단미술치료가 COVID-19 상황에서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회복탄력성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논의를 제시했으며, 향후 비대면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발전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녹차추출물의 넙치 어병세균, Edwardsiella tarda에 대한 항균 효과

        김선준(Seon-Jun Kim),채송아(Song-A Chae),김두운(Duwoon Kim),황재호(Jae-Ho Hwang),한경호(Kyeong-Ho Han),오명주(Myung-Ju Oh),조정용(Jeong-Yong Cho),마승진(Seung-Jin Ma),문제학(Jae-Hak Moon),박근형(Keun-Hyong Park),김선재(Seon-Jae Kim) 한국차학회 2009 한국차학회지 Vol.15 No.3

        녹차의 EtOH 추출물과 중성획분, 산성획분을 이용하여 넙치 에드워드병의 원인균 E. tarda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EtOH 추출물과 중성획분 그리고 산성획분을 액체배지에 첨가하여 E. tarda를 10?CFU/mL 되게 접종하여 35℃에서 24시간 배양하여 추출한 genomic DNA의 감소로 항균성을 측정하였고, 6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생육억제활성을 측정하였다. E. tarda에 대한 녹차 추출물의 전체적인 항균력의 크기는 EtOH 추출물>중성획분>산성획분이었으며, EtOH 추출물 1500, 2000 ppm에서 E. tarda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저해하였으며, 이에 대한 MIC와 MBC는 1000~2000 ppm 범위에서 측정되었다. Green tea extract was tested to determine the antimicrobial effects against Paralichthys olivaceus pathogenic bacteria, Edwardsiella tarda. The antimicrobial effect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change of genomic DNA concentration level of E. tarda, which was obtained after treatment of green tea ethanol extract, EtOAc-soluble neutral and acidic solvent-fractionation, respectively. Green tea extract showed the concentration dependent killing against E. tarda, where the green tea extract significantly inhibited the growth of E. tarda in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of 1000~2000 ppm and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of 1500~2000 pp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