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중도,중복장애 학생을 위한 통합교육 현장에서의 건강관리(Health Care) 지원체계

        한경근 ( Kyoung-gun Han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5 No.3

        중도·중복장애를 가지고 있는 학생들은 그들 장애의 특성에 의하여 일반적 수준의 건강관리가 필요한 학생들에 비하여 좀 더 복잡하고 전문화된 건강관리 서비스 요구를 가지고 있다. 그러한 서비스 요구들은 일상적인 것일 수가 있기 때문에 학교의 의료지원 전문인력 뿐만 아니라 학급 교사에게 일정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생기게 된다. 특히, 장애 관련 의료 및 건강 전문가가 부족할 수 있는 통합교육 현장을 감안한다면 학교 및 학급 차원의 중도·중복 장애학생, 그리고 특별한 건강관리의 요구를 지니는 학생들에 대한 서비스 요구에의 부응은 학생 교육권 보장의 측면과 더불어 교육 실제의 중요 요소로 간주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통합교육 현장을 중심으로 하여 특수교육 현장에서 중도·중복 장애 학생들에게 필요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학교 지원체계를 논의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는 구체적인 학교지원 체계와 더불어 현직 및 예비 특수교육 교사들의 필수 소양,그리고 건강관리 지원서비스 제공에 있어서의 쟁점들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Students who have severe or multiple disabilities often require more extensive and complex health care in school settings than others due to the nature of their disability condition. Further, their health care service needs have school medical staff and classroom teachers provide them with related services. Providing related health care service should be regarded as a vehicle to guarantee the educational rights of students with such needs as well as a critical practice. The present study, therefore, discuss school health care system for students with severe/multiple disabilities in inclusive schools. The discussion would provide practical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school-based health care system and for pre-and in-service training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as well.

      • KCI등재
      • KCI등재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체계 중재 원리의 실제적 적용 방안 탐색

        한경근 ( Kyoung Gun Han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0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2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중도·중복장애학생에게 의사소통 수단으로 AAC 체계를 적용하고자 하는 교사에게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0년부터 2010년 상반기까지 국내·외에서 이루어진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AAC 중재 연구들을 선정하여, 어휘 선정 방법, 중재 방법, 그리고 평가 방법을 분석하고 각 영역별로 주요 원리와 구체적인 적용의 사례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AAC를 위한 의사소통 어휘 선정 시에는 면담, 관찰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사회적 맥락에서 필요한 어휘, 학생의 흥미와 선호를 반영한 어휘, 발달적 수준 및 교육과정을 고려한 어휘를 선정한다. 중재 방법으로는 의사소통을 촉진하는 환경을 계획적으로 조성하고, 직접 교수, 적절한 반응과 촉진, 대화상대자 중재를 실시한다. AAC 적용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의사소통 행동의 향상 정도뿐만 아니라 언어적, 심리·정서적, 사회적 발달 정도를 함께 평가한다. 이와 같이 도출된 일반적 원리들은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provid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th practical intervention strategies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ho need AAC system for communication. A total of 28 experimental studies on AAC intervention published between 2000 and 2010 were selected, and major principles were established by analyzing the way of vocabulary and communication contents, intervention strategies, and evaluation factors. Findings indicated that students` interests and preference as well as developmental level were considered in selecting communication contents. For the intervention strategies, planned communication facilitated environment, direct instruction, appropriate response and prompting, and communication partner instruction were necessary. Communication capabilities and linguistic, affective, and social developmental level were evaluated for AAC intervention effects. These principles were then interpreted into more concrete techniques for teachers to apply them into real classroom situation.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efforts were suggested with discussion on the results.

      • KCI등재
      • KCI등재

        중복발달장애인 고용서비스 개발을 위한 기초 탐색 연구 : 전문가 패널 델파이 조사를 중심으로

        한경근(Kyoung-Gun, Han),김원호(Won-Ho, Kim),박다원(Da-Won, Park) 한국발달장애학회 2022 발달장애연구 Vol.26 No.1

        이 연구는 중복발달장애인의 고용서비스 제공을 위한 고용지원 모델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에 정책대상, 실행방안 등을 구체화하는 목적에 따라 전문가 패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사회복지, 직업재활, 특수교육 분야 등에서 전문가 19명으로 전문가 패널을 구성하여 총 4회의 델파이 조사를 실행하였다. 전문가 패널 델파이 조사를 통한 고용지원 모델 및 실행방안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용서비스 모델의 정책대상자는 필수적으로 발달장애를 갖으며, 인지적 장애로 인한 의사소통의 제한 등의 기준을 확인했다. 둘째, 고용서비스의 방향성은 새로운 고용의 패러다임을 통해 사회참여를 강조했다. 셋째, 고용모델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거버넌스 즉, 국가기관 및 시도지자체 기관 등의 연계 및 협업을 통한 통합체계의 구축을 주장했다. 넷째, 그동안 전통적으로 논의되던 생산성 기반의 고용이 아닌 당연한 권리로서의 근로자성에 대한 접근을 논의했다. 다섯째, 중복발달장애인 고용모델 적용 방안에 있어 전 생애에 따라 특성 및 요구가 반영된 다양한 지원이 필요하다. 끝으로 이를 위한 구체적인 제언을 제시했다. This study proposes an employment support model for providing employment service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and Multiple Disabilities. Accordingly,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by an expert panel for the purpose of specifying policy targets and implementation plans. To form the expert panel, expert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special education were recruited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survey was conducted in a total of 4 round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to November 2021. The results of the employment support model and implementation plan through the Delphi survey by the expert panel are as follows. First, policy targets of the employment service model necessarily have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criteria such as communication limitations due to cognitive disabilities were confirmed. Second, the direction of employment service emphasized social participation through a new employment paradigm. Third,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employment model, they insisted on new governance, that is, the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system through linkage and collaboration with national and provincial and local government agencies. Fourth, the approach to worker characteristics as a natural right rather than productivity-based employment, which has been traditionally discussed, was discussed. Fifth, in the application of the employment model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various support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people throughout their lives are needed. Finally, specific suggestions for this are presented.

      • KCI등재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성과 활동 특성

        한경근(Kyoung-Gun Han),노용주(Yong-Ju Roh) 한국발달장애학회 2022 발달장애연구 Vol.26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과정 문화예술교육 방향성과 활동 구성을 위한 중요 요인들을 탐색하여 평생교육 교재 개발을 위한 제안을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관련 전문가 8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교육 방향은 발달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문화예술 체험과 배움의 기회를 동시에 제공하며 과정 자체를 향유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문화예술교육 활동은 평생교육기관의 현실을 감안하여 학습과정에서 유연성을 허용하고 발달장애인의 실제 삶에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과정에서 문화예술교육을 활성화하고 평생교육기관과 학습자 모두에게 필요한 교재를 개발하기 위해 예산 확보와 법적·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rection and activity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the lifelong education curriculum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8 experts in lifelong educati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irection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should provide opportunities for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s and learning at the same tim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enjoy the process itself. Second, cultural arts education activities should allow flexibility in the learning process in consideration of the reality of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be usable in the real lif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budgeting and legal support to vitaliz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in the lifelong education process were discussed.

      • KCI등재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발달장애 특수학교 교사의 인식

        한경근(Kyoung Gun Ha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1 사회과교육 Vol.60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 특수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민주시민교육 현황과 내용 및 방법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 일대 발달장애 특수학교 10곳의 초·중·고(전공과 포함) 과정 특수교사 10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학교에서의 민주시민교육 현황에 대한 인식은 높았으며 특히 민주적이고 인권친화적인 학교 문화 형성을 위한 노력에 대한 인식이 더 높았다. 그러나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학생에게 필요한 민주시민교육 내용의 중요도 및 교육 방법 차원에서는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념보다는 실천적 행동양식으로써 민주시민교육과 수동적 적응행동 중심 교육을 넘는 능동적 시민교육이 필요하며, 민주시민교육의 장으로써 창의적 통합교육을 실행하는 특수학교와 같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current status, contents, and methods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special schools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103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cluding majors) at 10 special schoo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awareness of efforts to form a democratic and human rights-friendly school culture was high. The importance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required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autistic disorders and the educational method were perceived as relatively low. Results also showed the need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s a practical behavior rather than an ideology and the need of an active civic education that could go beyond passive adaptive behavior-centered education. Implications of implementing creative inclusive education to overcome limitations of special schools as a venue fo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