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노후주택단지개조 과정 속 주민참여를 위한 서비스디자인 모형 제시 연구 -중국 정저우시(郑州市) 중심으로-
학효염,홍창기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2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0 No.-
In China, with rapid urbanizatio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re announcing policies to renovate old housing complexes one after another. The government's policy to renovate old housing complexes has become one of the core tasks of urbanization management to ensure that residents can live happily ever after. Based on this background, this study conducted joint construction and cooperative management of the aging housing complex renovation process for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in order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aging housing complex renovation project in the future and realize it as a correct policy. intended to be shared. The research method was first based on the results of field research at three sites designated as pilot projects by Zhengzhou City, China from October 2020 to April 2021, residents'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remodeling of old housing complexes, participation ability, participation path, and participation. The status of participation such as level was investigated. After that, for problem analysis, the service design methodology was applied to identify the actual participation status of residents in Zhengzhou, China. In particular, through a field survey on the representative old houses in Zhengzhou, the resident participation method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①Project preparation, ②Organizational execution, and ③Basic strengthening, and analyzed up to the current level of resident participation based on the resident participation theor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determined that the level of resident participation has been significantly low so far, so it must be improved and changes in the resident participation path and method are necessary. This study combines the theory of the ‘double diamond process’ and the policy requirements of China to improve these problems, and finally presents a service design model for resident participation in the remodeling process of old housing complexes. Aged housing is an important constituent part of China's new urbanization process, and since cities are constantly created as time goes by, residents can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remodeling old housing complexes, thereby enhancing the effect of the overall renovation work, and through this, residents' participation is also increased, which will help increase a sense of achievement. Through future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continuous improvement and supplementation of the model will be carried out to form a systematic service design closed loop, reduce social management costs, and increas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residents of old houses, thereby improving people's livelihood.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re is a precedent and theoretical significance of resident participation by establishing an equal dialogue path between stakeholders, strengthening the ability to participate in resident cooperation, and establishing a sustainable management system. 중국은 현재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중국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잇따라 노후주택단지개조를 위한 정책을발표하고 있다. 정부의 노후주택단지개조 정책은 주민들이 행복하게 잘 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도시화 관리 핵심과제 중 하나가 되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향후 노후주택단지개조 사업의 발전 촉진과 올바른 정책으로 실현시키기 위해 주민 참여를 위한 노후주택단지개조 과정을 공동건설과 협동관리 하고 그 후 실적·평가·성과 등의 결과를 공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은 먼저 2020년 10월부터 2021년 4월까지 중국 정저우시에서 시범사업으로 지정한 3곳의 현지 조사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후주택단지개조에 대한 주민들의 참여의지, 참여능력, 참여경로, 참여수준 등의 참여현황을 조사하였다. 그 후 문제점 분석을 위해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적용하여 중국 정저우시 실제 주민들의 참여현황을 파악하였다. 특히 정저우시의 대표적인 노후주택에 대한 현장조사를 통해 주민참여 방법을 ①사업준비, ②조직실행, ③기초강화 총 3단계로 나누어 주민참여 이론에 근거하여 현재 주민참여 수준까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현재까지는 주민참여의 수준이 현저히 낮기 때문에 반드시 향상되어야 하며 주민참여 경로와 방법에 변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더블 다이아몬드 프로세스’ 이론과 중국의 정책적 요구사항을 결합한 것으로, 최종적으로 노후주택단지개조 과정에서주민참여를 위한 서비스디자인 모델을 제시하였다. 노후주택은 중국의 새로운 도시화 과정에서 중요한 구성적 부분으로 시간이 흐를수록 도시는 끊임없이 생겨나기 때문에 주민들이 노후주택단지개조 과정에 참여함으로써 전면적인 개조 작업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주민들의 참여도, 성취감을 높이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향후연구를 통해 모델에 대한 끊임없는 개선과 보완을 진행하여 체계적인 서비스디자인 폐쇄루프를 형성하고 사회적관리비용을 절감하여 노후주택 주민들의 삶의 만족도를 높여줌으로써 진정한 민생 개선에 나설 수 있기를 기대한다. 또한 이 같은 연구결과는 이해관계자 간의 대등한 대화경로를 구축하여 주민협동 참여능력을 강화하고 지속가능한 관리체계를 구축하여 주민참여의 선행적, 이론적 의의가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서비스 터치포인트를 바탕으로 한 박물관 전시공간의 인터렉티브 디자인 연구
딩헝신,학효염,홍창기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5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90 No.-
본 연구는 박물관 전시 공간 내 서비스 터치포인트 디자인이 관람 경험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기반으로, 효과적인 디자인 전략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30개 박물관을 대상으로 한 조사와 심층 인터뷰를 통해 주요 서비스 터치포인트와 그 인터랙티브 방식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박물관 전시 공간에서 터치포인트 간의 연계 부족, 인터랙티브 방식의 단조로움, 정보 전달의 단절 현상 등 몇 가지 주요 문제가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들은 관람 경험의 질을 저하시켜 관람객의 만족도를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세 가지 주요 디자인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다층적 터치포인트 체계 구축"은 사용자별 관심과 필요에 맞춘 단계적 접근을 통해 관람객의 참여를 유도하고 경험의 연속성을 보장한다. 둘째, "상황 기반 인터랙티브 전략 설계"는 전시 콘텐츠와 관람객 간의 몰입적 상호작용을 강화하며, 서사적 요소와 기술적 요소를 결합하여 더 매력적이고 감동적인 관람 경험을 창출한다. 셋째, "정보 흐름 통합 및 최적화"는 물리적 전시 공간과 디지털 플랫폼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관람객이 정보를 쉽게 접근하고 이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디자인 방법은 실증적인 사례와 데이터를 통해 그 효과가 입증되었다. 터치포인트 통합을 통해 관람객의 체류 시간이 평균 23% 증가하였으며, 정보 흐름 통합을 통해 정보 검색 시간이 65% 단축되었다. 또한, 인터랙티브 전략 도입 이후 관람객의 몰입도와 전시 콘텐츠 기억 유지율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 연구 결과는 박물관 전시 공간의 상호작용 품질과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기 위한 실질적이고 혁신적인 지침을 제공하며, 서비스 디자인 관점에서 박물관 공간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관련 이론적 연구를 확장하였다. 향후에는 메타버스와 인공지능 등 신기술이 박물관 터치포인트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 사용자 연구와 평가 도구를 더욱 정교화하여 구체적인 디자인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The design of service touchpoints is a key element in enhancing the museum visiting experience. This study applies service design theory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key service touchpoints and their interaction modes in the spatial display system of museums through research and in-depth interviews with 30 domestic and foreign museums. Research has found that there are problems with fragmented touchpoints, single forms of interaction, and fragmented information transmission in current museum exhibition spaces. Based on this, innovative design methods such as "multi-level touchpoint system construction, scenario based interaction strategy design, and information flow integration optimization" have been proposed. The research results have important practical guidance significance for improving the interactive quality of museum exhibition space and enhancing user engagement experience.
리얼리즘 영화<인생>에서 색채의 서사적 역할과 심리적 기능 연구
장정호,김해태,학효염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5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90 No.-
본 연구는 리얼리즘 영화에서 색채가 단순한 시각적 장식을 넘어 서사 전달과 관객의 심리적 몰입을 강화하는 핵심 매개체로 작용함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장예모 감독의 영화 <인생>을 사례로 여섯 개의 주요 장면을 선정하여, 색채의 명도, 채도, 대비가 인물의 심리 상태와 감정적 여정, 서사적 전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색채가 단순히 미적 요소를 넘어 영화의 서사와 감정을 전달하는 데 주요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어두운 색조에서 밝은 색조로의 전환은 절망에서 희망으로 나아가는 인물의 내적 여정을 상징하며, 관객이 영화의 메시지에 감정적으로 몰입하도록 돕는 역할을 하였다. 빨간색, 파란색, 노란색과 같은 주요 색채는 각각 긴박감, 안정감, 희망 등의 다양한 심리적 반응을 유도하며, 서사적 긴장감과 감정적 전환을 시각적으로 부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또한, 색채 대비는 서사의 주요 전환점을 강조하며, 관객이 인물의 심리와 영화의 메시지에 더 깊이 공감하도록 유도하였다. 장예모 감독은 색채를 정교하게 활용하여, 중국 현대사의 변화와 인물의 감정적 여정을 심층적으로 전달하였다. 색채는 단순한 상징성을 넘어 리얼리즘 영화의 사회적·역사적 맥락을 시각적으로 반영하고, 관객의 정서적 몰입과 영화의 주제 이해를 돕는 핵심 요소로 기능하였다. 본 연구는 리얼리즘 영화 제작에서 색채 심리학의 실질적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며, 색채가 영화 서사와 감정 전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을 탐구하였다. 이를 통해 색채는 단순히 인물의 심리 상태를 표현하는 데 그치지 않고, 서사의 전개와 메시지 전달을 시각적으로 강화하는 핵심 매개체임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리얼리즘 영화에서 색채가 서사 전달과 감정 표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탐구하며, 색채가 다양한 영화 장르에서도 서사와 정서를 강화하는 데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color in realism films functions as a core medium that goes beyond mere visual decoration to enhance narrative delivery and audience psychological immersion. For this purpose, the film To Live by Zhang Yimou was analyzed through the selection of six key scenes, focusing on how brightness, saturation, and contrast of colors influence the characters' psychological states, emotional journeys, and narrative transitions. The analysis revealed that color serves as a vital tool for conveying the film’s narrative and emotions, rather than merely acting as an aesthetic element. The transition from dark tones to bright tones symbolizes the characters' internal journey from despair to hope, helping the audience emotionally engage with the film’s message. Key colors such as red, blue, and yellow elicit various psychological responses—urgency, stability, and hope, respectively—while emphasizing narrative tension and emotional transitions through visual contrast. Furthermore, color contrasts highlight pivotal narrative points, encouraging the audience to deeply empathize with the characters' psychology and the film’s message. Zhang Yimou masterfully utilizes color to intricately portray the shifts in modern Chinese history and the emotional journeys of the characters. Beyond simple symbolism, color visually reflects the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 of realism films, serving as a critical element that aids audience immersion and understanding of the film’s themes. This study proposes practical possibilities for applying color psychology in the production of realism films and examines how color plays a significant role in delivering narrative and emotions. It demonstrates that color not only expresses characters’ psychological states but also enhances the progression of the narrative and the delivery of the film’s message as a central medium. The study also explores the significant role of color in conveying narrative and emotional expression within realism films, suggesting that color can be a valuable tool to enhance storytelling and emotional depth across various film genres.
국제 브랜드의 재생 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 디자인의 전략 -Patagonia, Nike, Adidas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리우샹,홍창기,황디,학효염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5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90 No.-
본 연구는 자원 부족, 환경 오염, 생태계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고자 패션 산업에서 재생 폐기물 활용의 효과와 가능성을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연구의 주요 목적은 재생 소재의 디자인 적용, 생산 공정, 시각적 전달 전략이 자원 효율성, 환경 보호, 그리고 브랜드 이미지 구축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글로벌 브랜드인 Nike, Patagonia, Adidas를 사례로 선정하여 각 브랜드의 재생 소재 활용 방식과 이를 통해 이루어진 성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재생 폐기물의 활용은 탄소 배출 감소와 자원 낭비 절감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브랜드의 지속 가능성 이미지를 강화하는 데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Nike는 "Move to Zero" 캠페인을 통해 재활용 플라스틱을 고성능 스포츠 제품에 적용하여 탄소 배출을 줄였고, Patagonia는 Worn Wear 프로젝트를 통해 플라스틱 폐기물을 재활용하여 책임 있는 소비를 촉진했다. Adidas는 Parley 시리즈를 통해 해양 플라스틱을 활용한 친환경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전달하였다. 또한, 이들 브랜드의 시각적 디자인 전략은 색상, 질감, 형태 등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친환경 가치를 직관적으로 전달하며, 지속 가능한 브랜드 이미지 구축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러나 재생 소재 활용에는 몇 가지 도전 과제가 존재했다. 첫째, 초기 비용이 높아 중소 브랜드에 제약이 될 수 있으며, 대규모 생산을 통해 비용 효율성을 확보해야 한다. 둘째, 재생 소재는 전통적인 소재에 비해 성능이나 내구성에서 차이가 있어 기술적 개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재생 소재의 성능 향상, 생산 공정 혁신, 공급망 최적화, 다른 산업과의 협력을 통한 융합적 접근을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재생 폐기물이 패션 산업에서 환경 보호, 자원 효율성 증대, 그리고 브랜드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 자원임을 입증하였다. 또한, 지속 가능한 디자인 전략과 시각적 전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향후 연구가 재생 폐기물의 경제적, 기술적 가능성을 확장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 모델을 구축하는 데 기여할 것임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the effects and potential of utilizing recycled waste in the fashion industry to address issues such as resource scarcity, environmental pollution, and ecological imbalance. The primary objective of the research is to specifically examine how the application of recycled materials in design, production processes, and visual communication strategies impacts resource efficiency,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brand image building. For this purpose, global brands Nike, Patagonia, and Adidas were selected as case studies to analyze their approaches to using recycled materials and the outcomes achieved.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use of recycled waste plays a crucial role in reducing carbon emissions and minimizing resource waste while significantly contributing to strengthening the sustainability image of brands. Nike, through its "Move to Zero" campaign, applied recycled plastics to high-performance sports products, thereby reducing carbon emissions. Patagonia promoted responsible consumption by recycling plastic waste through its Worn Wear project. Adidas successfully communicated an eco-friendly message by utilizing marine plastic waste in its Parley series. Furthermore, the visual design strategies employed by these brands—through elements such as color, texture, and form—effectively conveyed the environmental values of their products to consumers, playing a vital role in building sustainable brand images. However, there are several challenges associated with utilizing recycled materials. First, the high initial costs pose constraints for small and medium-sized brands, necessitating large-scale production to achieve cost efficiency. Second, recycled materials often differ from traditional materials in terms of performance and durability, requiring technological improvement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e study proposes approaches such as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recycled materials, innovating production processes, optimizing supply chains, and fostering cross-industry collaboration. In conclusion,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at recycled waste serves as a critical resource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increased resource efficiency, and strengthening brand competitiveness within the fashion industry. It also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sustainable design strategies and visual communication, suggesting that future research should expand the economic and technological feasibility of recycled waste and contribute to building sustainable development mod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