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 · 도교육청에 의한 일반계고 학업성취도의 동태적 변화 예측에 관한 탐색적 연구: 시스템 다이내믹스의 적용

        하정윤(Jung-Youn Ha)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9

        본 연구의 목적은 단위학교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시 · 도교육청의 변인을 확인하고, 시 · 도교육청 지원에 따라 학업성취도가 동태적으로 어떻게 변화하는지 예측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6개 시 · 도교육청 총 606개 일반계고의 국가수준학업성취도(국어 · 영어 · 수학 교과의 보통학력 이상 도달 비율) 결과를 다층모형과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시 · 도교육청 수준의 지방교육재정 효율화 노력과 교원행정업무 경감 노력, 교원연수 활성화 노력이 단위학교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시 · 도교육청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정책 실험을 통해 단위학교 학업성취도의 동태적 변화를 예측한 결과, 교원연수 활성화 노력이 단위학교 학업성취도의 가장 큰 영향 요인으로 확인되었고, 지방교육재정 효율화 노력, 교원 행정업무 경감 노력 순이었다. 단위학교 학업성취도의 향상을 위해 시 · 도교육청의 기능은 교육책무성에 기반을 두어야 하며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다 강화된 정책을 수립 · 운영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variables of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that affect the academic achievement of unit schools, and to predict how academic achievements dynamically change with the support of offices of education. The results of academic achievement of 606 general high schools in 16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rates of attaining more than normal education in Korean, English, and mathematics subjects) were analyzed using a multi-level model and system dynamic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vincial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s effort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local education finance, the efforts to reduce teacher administration, and the facilitation of faculty training were the variables of the provincial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In addition, through policy experiments, efforts to revitalize teacher training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in academic achievement of unit schools, followed by efforts to streamline local education finances and to reduce the administrative work of teachers. In order to improve the academic achievement of unit schools, the functions of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based on the education accountability, and policies need to be established in the mid- to long-term perspective.

      • KCI등재

        분산적 리더십이 유치원 교사의 교직헌신에 미치는 영향

        하정윤(Jung-Youn Ha),김진화(Jin-Hwa Kim),정민진(Min-Jin Jeong),나민주(Min-Joo Rah)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분산적 리더십이 유치원 교사의 교직헌신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먼저 유치원 교사들이 인식하는 분산적 리더십과 교직헌신 수준을 확인한 후, 분산적 리더십의 하위 변인들이 교사의 교직헌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연구 대상은 전라남도 지역의 유치원 교사들로 2016년 7월 12일부터 26일까지 온라인과 우편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최종 143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유치원 교사들의 배경 변인에 따른 분산적 리더십 및 교직헌신의 인식 차이는 차이검정을 통해 확인하였고, 분산적 리더십과 유치원 교사의 교직헌신과의 관계는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분산적 리더십이 교사의 교직헌신에 미치는 영향은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유치원에서 분산적 리더십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교직경력과 학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교직헌신은 교직경력과 학력, 유치원 규모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둘째, 유치원에서 분산적 리더십 하위요인과 교사들의 교직헌신 하위요인은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분산적 리더십 하위요인 중 유치원 상황과 교사리더십이 교직헌신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유치원에서 분산적 리더십이 교직헌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원장의 리더십 보다는 교사 자신이 리더라는 생각과 책임과 영향력, 권한 등을 충분히 인식할 때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치원 교사들이 더 많은 리더십을 발휘하도록 원장의 각종 책임과 권한을 적절히 위임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distributed leadership upon kindergarten teachers commitment of teach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teachers recognition on the distributed leadership at a kindergarten was confirmed to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eaching career and the academic background. And the commitment of teachers perceived by the kindergarten teachers was identifie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eaching career, academic background, and scale. Second, the kindergarten situation and the teacher leadership among sub-factors of the distributed leadership were indica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ommitment of teachers. Especially, the teacher leadership was confirm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whole of professional consciousness, educational love, and passion, which are sub-factors in the commitment of teachers. What the distributed leadership has a positive influence upon the commitment of teachers at a kindergarten can be known to be ultimately the time when a teacher oneself fully recognizes responsibility, influence, and authority with thinking that a teacher oneself is a leader, rather than a directors leadership. Accordingly, a directors many responsibilities and authorities need to be properly entrusted so that the kindergarten teachers can display much more leadership.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K-CESA 및 IPA 분석

        하정윤(Ha, Jung-Youn),김성재(Kim, Sung-Ja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핵심역량을 교육과정에서 효과적으로 강화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도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K-CESA를 활용하여 예비유아교사의 핵심역량을 진단하고, IPA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핵심역량은 대인관계, 자기관리, 종합적사고력, 글로벌역량, 의사소통역량,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핵심역량 수준을 전국 4년제 대학생과 비교한 결과, 예비유아교사가 4년제 대학생에 비해 대인관계역량과 자기관리역량에서 더 높은 수치를 보였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학년별 핵심역량은 학년별로 상이했다. 넷째, IPA 분석을 통해 핵심역량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한 것은 정서적 유대였고, 토론과 조정이 가장 낮았다. 실행도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인 것은 직업의식이었고, 낮은 값을 나타낸 것은 글로벌화 이해였다. 학년별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중요도에서는 토론과 조정 등 9개 하위요소, 실행도에서는 듣기 등 4개 하위요소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수준을 IPA매트릭스로 구현한 결과, 유연성 및 적극성 등이 2사분면에 위치하였다. This study is conducted to draw the information required for effectively improving pre-service teachers’ core competence in the curriculum. To achieve the goal of the study, this study diagnosed their core competence utilizing K-CESA and investigated their perceptions about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IP) of the core competence. As a result of analysis, first, the pre-service teachers’ core competences included personal relations, self-management, comprehensive thinking skills, global compet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application ability of resources, and information and technology. Second, comparing levels of the pre-service teachers’ core competences with that of four-year college students nationwide, the pre-service teachers had higher level in the competence of personal relations and the competence of self-management compared to the four-year college students. Third, the pre-service teachers’ core competences were different by students’ year. Fourth, as a result of an investigation on per-service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IP of core competences through an IPA analysis, they perceived emotional connection as the most important competence of the core competence whereas taking discussion and mediation the least important competence. Job consciousness was at the highest level in the performance while globalization understanding was at low values.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y students’ yea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nine sub-factors such as discussion and mediation in the importance and four sub-factors such as listening in the performance. Fifth, as a result of realizing and IPA Matrix analysis of the per-service teachers’ perceptions level shown through the IPA analysis on core competences, flexibility and activeness were located on Quadrant II(effort for priority correc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시,도교육청의 정책 지원 노력이 중학교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하정윤 ( Jung Youn Ha ),나민주 ( Min Joo Rah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6 중등교육연구 Vol.64 No.1

        본 연구는 단위학교를 지원하는 시·도교육청의 정책 지원 노력이 중학교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EDSS를 통해 제공받은 학교정보공시 및 교육기본통계 자료와 교육부의 시·도교육청 평가 자료를 활용하여 단위학교와 교육청의 2수준 HLM 모형을 설계하였다. 분석결과, 중학교 학업성취도의 시·도교육청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교육청의 정책 지원 변인 중, 교원연수활성화 노력과 교육환경개선 사업비 투자실적 비율이 유의한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도교육청은 지방교육의 주체이자 단위학교의 상급교육행정기관으로서 단위학교의 학업성취도 제고를 위해 정책적, 재정적 지원을 안정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effects of academic achievement in middle schools and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supporting schools. Based on materials in EDSS, we specifically used the data of official school information system, educational statistics and evaluation material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empirically analyzed the level 2 of unit schools and education offices in HL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fference of academic achievement in middle schools between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he factors in education offices, the revitalization of teacher training system and the investment of project expenses for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environment showed a significant effect in academic achieveme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s a principal agent of local education and upper organization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needs to provide the unit schools with politic and financial support.

      • KCI등재

        시스템 사고에 기반한 「지역교육청 기능 및 조직개편」 정책의 문제 및 원인 분석

        하정윤 ( Jung Youn Ha ),나민주 ( Min Joo Rah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 2014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functional changes of local educational authority policy based on the systems thinking perspective using causal loop diagrams. In the past, the main function of the local educational authority was to manage and supervise schools. Through this policy, local educational authority would be transformed into a support agency. However, this policy did not achieve the goal, was to cause confusion and require improvement. This study shows structured causes of the problem based on systems thinking. These diagrams make it possible for educational policy makers to provide ideas, although they have some complicated environment. The findings indicate that based on systems thinking in this policy can help those who related to policy decision than existing diagnosis method.

      • KCI등재

        시·도교육청의 학교스포츠클럽 지원이 중학교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 예비적 분석

        하정윤(Jung-youn Ha)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6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시·도교육청의 학교스포츠클럽 지원이 중학교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EDSS에서 제공하는 학교알리미와 교육기본통계, 그리고 교육부의 시도교육청 평가 자료를 사용하였고, 2수준의 위계적 선형 모형(HLM)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중학교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교육청 간 변량은 13.538%로 나타나 교육청 수준 변인으로 학업성취도 차이를 설명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단위학교 수준의 변인을 통제한 후에도 중학교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교육청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본 연구에서 주목한 교육청의 학교스포츠클럽 지원요인인 학교스포츠클럽등록률이 중학교의 학업성취도 차이에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성공적인 운영과 성과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학교스포츠클럽에서 지속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교육청 차원의 각종 행․재정 지원 노력이 단위학교에 제공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교육청의 학교스포츠클럽 지원 노력에 대한 구체적인 성과를 종합적이고도 체계적으로 확인하고,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중장기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olicy of school sports clubs, which is part of “the efforts to promote sports in school” by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o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middle school. Data sets such as school alerts for the year of 2013, basic education statistics, evaluation reports of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were analyzed using HLM.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enrollment rate of school sports clubs selected as a policy variable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middle scho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variety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efforts at the level of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should be offered by the Office of Education to promote sports in school.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synthetically and systematically confirm the outcome of the efforts that the Office of Education has made to promote sports in school. Moreover, they would have to establish more specific policy directions to promote sports in school at the level of the Office of Education and continue to carry them forward.

      • KCI등재후보

        국립대의 경쟁력 : 대학정보공시자료를 활용한 탐색적 분석

        하정윤(Jung-youn Ha),나민주(Minjoo Rah)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2014 한국교육논총 Vol.35 No.1

        본 연구는 대학정보공시자료를 활용하여 국립대의 경쟁력을 체계적으로 평가하려는 예비적이고 탐색적인 분석이다. 대학의 핵심사명인 교육과 연구를 투입과 산출의 두 측면으로 구분하였고, 또한 국립대와 사립대를 규모별로 세분하여 분석한 결과, 교육 영역에서 국립대는 1 인당 학생수와 학생 1 인당 교육비, 신입생 충원률, 입학 최종 등록률 등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영역에서는 전임교원 1 인당 논문실적이 많고, 논문 1편당 연구비는 낮아 더 효율적으로 연구를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국제적인 대학순위, 언론의 대학평가 등에 의해서 대학의 경쟁력을 판단하는 것은 매우 손쉬운, 그러나 너무나 위험한 일이다. 국립대 발전을 위해서는 국립대의 운영현황과 경쟁력에 관한 체계적인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This study is a preliminary and exploratory analysis to systematically evaluate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national universities with higher education information system data. In this study, training and research, which are the core missions of universities, are analyzed into the two viewpoints, inputs and outputs. The results of the subdivided analysis on national universities and private universities according to the size are as follows; (1) In training sector, national universities performed better in the number of students i:aprofessor, the education expenditure per student, freshmen recruitment, final enrollment, etc. In research sector, national universities produced more papers per full-time faculty and spent less money per paper, which means they perform research more effectively. It is very easy, but too dangerous, to judge competitiveness from some international university rankings and evaluation of university education by the press. For the sake of the development of national universities, it is necessary that the systemic analysis on the operation status and competitiveness of national universities precede.

      • KCI등재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 학습민첩성,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최진숙(Jin-Sook Choi),하정윤(Jung-Youn Ha),김대명(Dae-Myung Kim),강지연(Jiyeon Kang)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 학습민첩성, 긍정심리자본 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보육교사의 긍정적인 직무 수행에 필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남 지역의 보육교사 28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보육교사들이 전문성 인식과 긍정심리자본에 있어서 높은 수준을 보여주었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전문성 인식, 긍정심리자본, 학습민첩성의 순으로 높은 상관을 보였다. 셋째,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 학습민첩성, 긍정심리자본은 직무만족도를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어린이집에서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전문 연수과정과 컨설팅 등을 지원하여 스스로 전문직업인이라는 인식을 갖도록 하고 나아가 교사들에게 보다 많은 자율성을 부여하며 수직적인 어린이집의 운영 시스템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professional recognition, learning agility,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job satisfaction in order to suggest policies that required for child care teacher’s positive performance.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283 in-service nursery teachers in Jeonnam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with more than five years of experience showed higher levels of professional recognit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cond, the job satisfaction of child care teachers was highly correlated in order of professional recogniti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learning agility. Third, the professional recognit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the childcare teacher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ir job satisfact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fessional recognition, learning agility,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the childcare teachers were significant variables in explaining job satisfaction.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in daycare centers, it is necessary to firmly recognize that they are professional workers by providing training courses and consulting supports. Furthermore, there is a need to allow teachers more autonomy and to reform the hierarchical system in day care places.

      • KCI등재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학습전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교수자 중심 수업과 학습자 중심 수업 비교

        이지혜(Lee, Ji-Hye),하정윤(Ha, Jung-Yo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5

        이 연구는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관심을 갖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 관련 변인인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학습전략 간의 구조적 관계가 교수자 중심 수업 상위 집단과 학습자 중심 상위 집단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이 연구는 경기교육종단연구(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3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였다. 3차년도 자료는 경기도교육연구원에서 2014년도 7월에 조사한 자료이며, 이 연구의 분석기간은 자료가 공개된 2015 년 8월부터 12까지였다. 분석 결과, 첫째,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 관련 변인인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학습전략의 직․간접적인 영향 관계에 대한 타당성이 확보되었다. 따라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 요인은 학업을 지속하려는 ‘의지’를 제공하며, 인지전략은 학습행동을 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기술’을 제공하여 학업성취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둘째, 이상의 구조방정식모형을 교수자 중심 수업 상위 집단과 학습자 중심 수업 상위 집단의 모형을 분리하여 분석 한 결과, 두 모형 모두 적합도 지수 기준에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수자 중심 수업 상위 집단과 학습자 중심 수업 상위 집단 모형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교수자 중심 수업 집단이나 학습자 중심 수업 집단에서는 학습 동기가 학업성취에 직접적인 영향력이 유의하지 않은 반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전략의 직접적 영향력이 더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수자 중심 집단과 학습자 중심 집단 모두 교수 장면에서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높여주기 보다는 학업에 대한 효능감과 전략에 대한 직접적인 효과를 높여줄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concerned with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to reveal how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learning-related variables that affect academic achievement —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y — differ for the instructor-centered high achievement group and the learner-centered high achievement group. To this end, the present study used the third year data from the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 that the hypothesized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learning-related variables that affect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met all criteria for goodness-of-fit. Therefore, there appears to be enough support for the validity of direct and indirect effect relationships among learning-related variables that affect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y. Second, separate analyses of the above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the instructor-centered high-achievement group and the learner-centered high-achievement group showed that both models met the criteria for goodness-of-fit indic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overall model tested in this study is appropriate for both the instructor-centered high-achievement group and the learner-centered high-achievement group.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model for instructor-centered high-achievement group and the learner-centered high-achievement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