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中國南朝都城과 百濟

        하운고(He Yun Ao)(賀云翺)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010 馬韓, 百濟文化 Vol.19 No.-

        백제와 중국에 있어 가장 왕래가 왕성한 시기의 하나인 梁代시기는 백제의 한성기 후기에서 시작하여 웅진시 기와 사비시기의 초중기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백제는 중국과 일본 사이에서 중개역할을 하였던 지리 적 특징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당시 동아시아지역의 서로 다른 국가의 교량적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는 백제 도성문화로써 특수한 의의와 위치가 존재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특히 궁성유적에 있어 익산 왕궁성 유적은 현재 유일한 백제 도성왕궁의 자료로, 백제 도성이 발전하던 최고수준에서 출현된 것으로 백제도성 건설의 훌륭 한 지혜를 엿볼 수 있다. 익산 왕궁성 건축의 완성이 무왕시기이지만, 이 시기는 남조의 가장 마지막 왕조가 수나라에 의해 이미 멸망 한 후이다. 그러나 익산 왕궁리의 설계는 오히려 남조도성의 건강궁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남조의 태성(台城) 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왕궁성의 평지는 남북으로 된 장방형으로 남쪽에서 북쪽으로 향하고 있는 정치영역, 생 활영역, 궁원(宮苑)영역 등이 분포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남조 태성(台城)기능의 공간적 구조를 모방한 것으로 이는 남조의 태성궁(台城宮)의 금원(禁苑)인 화림원(華林園)의 방법과 일치한다. 또한 익산 왕궁성에서는 대관사(大官寺)건축 유적지가 발굴되었는데, 이 사찰은 아마도 백제 무왕과 왕비의 능묘에 사용된 능사(겓寺) 로 추정된다. 이러한 능(陵)과 사(寺)가 한 곳에 모여 있는 능사합일(陵寺合一) 제도는 남조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여기서 우리는 익산 왕궁성과 불사유적에서 두 가지의 중요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첫째. 익산 왕궁성은 백제 도성의 핵심 건축군 즉, 궁 건축의 최상의 작품이며, 동아시아지역의 다른 문명과 교류 융화하면서 특히 백제의 변혁기에 창조된 문화의 결정체이다. 그 구조를 보면 전반적으로 보존과 재현이 잘 되어 있으며, 이러한 점은 백제 한성기와 웅진기, 사비시기 도성과 중국 남조도성 건강(建康)도성 유적에서는 발견하기 어려운 매우 독특하고 귀중한 가치가 있다. 둘째. 동아시아 3-7세기의 제왕의 능묘와 불교 사찰이 결합된 능사합일(陵寺合一) 제도의 전형적인 표본이 며, 불교가 중국 남북조시기에 완성되면서 다시 한국 백제왕조에 전해지면서 더 진보된 발전을 가져 왔다. 비록 중국문헌에 남조 양대에도 겓寺合一 제도를 기록하고는 있으나 현재까지 아직 실제 사례가 발굴된 바가 없다. 한국 익산의 陵寺合一 제도의 범례가 발굴됨에 따라 그 가치는 매우 크다 하겠다. The age of Liang Dynasty , a period when transactions were most bustling between Baekje Kingdom and China, is thought to correspond to the one that started from the latter era of Hanseong ranging to the beginning or middle part of Ungjin and Sabi time. Baekje Kingdom, particularly, was placed in a geographically favorable location as a mediator for China and Japan, performing thus an additional role as a bridge between other countries in the then East Asian region, a fact evidencing that the kingdom featured a special significance as well as a position with its culture of castle walls. The relics of Wanggung Castle excavated in Iksan are, among others, the only proof as of today to reveal information about the royal palace in the castle wall of Baekje Kingdom, demonstrating the peak level of technology and wisdom employed for building the castle walls during the kingdom era. The construction of Wanggung Castle in Iksan was completed during the reign of King Mu, equivalent to the period when the last regime of the South Dynasty was already destroyed by Sui (隋). The plan of Wanggung-ri, Iksan was, however, influenced rather more by the Jiankang Palace (健康宮) of the South Dynasty s castle walls and may therefore be better called as Taicheng (台城) or outer wall of the South Dynasty. The plain land of Wanggung Castle, shaped in rectangle that stretches from south to north, was divided into the quarters for politics, living and palace garden (宮苑) from south toward north. This structure is a mimic of spatial make-up of Taicheng , South Dynasty, equivalent to the way Hualinyuan (華林園), forbidden garden (禁苑) of Taicheng Palace (台城宮), was constructed. From the site of Wanggung Castle in Iksan, the relics of building of Daegwan Temple (大官寺) was unearthed, a fact leading to assumption that the temple was likely to have functioned as such for royal tombs of King Mu and his queen of Baekje Kingdom. This system of tomb and temple in the same compound is believed to have been affected by the South Dynasty. Two important significances could be detected from the relics of the Wanggung Castle and the Buddhist temple in Iksan as follows: First, the Wanggung Castle of Iksan was a masterpiece of palace found among the key structures of castle walls constructed during the Baekje era. It could be said to be a product of culture created especially during the period of revolution in Baekje following the transactions and fusion with other civilizations in East Asian region. Their structure has been generally well preserved and reproduced, extremely unique and valuable features which could hardly be found either in the relics of castle walls during the eras of Hanseong, Ungjin and Sabi in Baekje Kingdom or in the remains of Jiankang Castle of the South Dynasty, China. Second, it is a typical example for the system of tomb and temple in the same compound that united tombs of emperors and Buddhist temples in the East Asia in the 3-7th centuries and has made further progress in line with flourishing of Buddhism in the period of the South and North Dynasties in China as well as its transfer to Baekje Kingdom in Korea. Although the system of tomb and temple in the same compound was recorded in the literature of the South and North Dynasties in China, no excavation has been actually performed in this regard so far. This is why it is so significant that a type of the system of tomb and temple in the same compound was unearthed in Iksa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