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폐경 후 여성의 우유 섭취에 따른 영양소 섭취 및 식품 섭취 다양성 평가 -2013~2015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하애화,김우경,김선효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1 No.9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dentify the nutrient intake and food variety by milk consumption amongst Korean postmenopausal women, using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5). A total of 1,952 postmenopausal women aged 40∼64 years were included in the survey. Milk consumption per week was determined for each subject using the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based on milk consumption/week: Q1, no milk (n=699); Q2, >0 to ≤1 cup (n=488); Q3, >1 to ≤3 cups (n=345); and Q4, >3 cups (n=420). Intakes and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INQ) of calcium, phosphorus, and riboflavin were increased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milk consumption amount, and both values were the highest in Q4. Dietary variety score (DVS) and dietary diversity score (DDS, P<0.05) were higher in the Q2∼Q4 groups as compared to the Q1 group, with Q4 having the highest scores. Considering the intake pattern by food group, insufficient milk and fruit intake were observed to be problematic. The total score of the Korean Health Eating Index (KHEI) was as low as 68.3 out of 100 in the Q1∼Q4 groups, although Q3 and Q4 groups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Q1 and Q2 groups (P<0.05). Milk intak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DS (r=0.24166, P<0.001) and KHEI (r=0.17482, P<0.001). We conclude that milk intake not only increases the intake of insufficient nutrients (such as calcium and riboflavin) but also increases the food variety consumed. Hence, milk intake needs to be appropriately emphasized to improve the nutritional status of postmenopausal women. 본 연구는 제6기(2013~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40~64세 폐경 후 여성(n=1,952명)의 주당 우유 섭취량에 따른 영양소 섭취와 식품 섭취 다양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반정량 식품섭취빈도조사를 바탕으로 폐경 후 여성을 주당 우유 섭취량에 따라 우유를 섭취하지 않은 Q1군(n=699), Q2군(0컵< 주당 우유 섭취량 ≤1컵, n=488), Q3군(1컵< 주당 우유 섭취량 ≤3컵, n=345), Q4군(주당 우유 섭취량 >3컵, n=420)으로 나누었다. 일반적인 특성에 있어 가구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주당 우유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P<0.0001), 연도, 연령, 교육 수준, 거주 지역, 비만도에서는 주당 우유 섭취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우유를 섭취하지 않은 Q1군에 비해 우유 섭취 군인 Q2군~Q4군에서 에너지, 탄수화물, 지질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칼슘, 인, 리보플라빈 섭취량은 우유를 섭취하지 않은 군과 우유를 섭취했지만 1컵 이하/주로 섭취한 Q2군보다 1~3컵/주인 Q3군과 3컵/주보다 많은 Q4군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특히 주당 우유 섭취량이 높을수록 칼슘, 인, 리보플라빈 섭취량은 증가하여 Q4군에서 이들 영양소 섭취량이 가장 높았다. 칼슘(0.60)과 리보플라빈(0.81)을 제외한 조사한 모든 영양소에서 INQ 점수가 1을 넘었으며 주당 우유 섭취량이 높아질수록 칼슘, 인, 리보플라빈의 INQ 점수가 높아졌고, 특히 Q4군에서 Q1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식품 섭취 다양성을 평가하는 총 식품 수는 우유를 섭취하지 않은 Q1군(42.0점)보다 우유 섭취 군인 Q2군(45.5점), Q3군(45.4점), Q4군(44.6점)이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총 식품군 점수(dietary diversity score, DDS)는 Q1군 3.8점, Q2군 4.0점, Q3군 4.1점, Q4군 4.4점으로 우유를 섭취하지 않은 Q1군에 비해 우유를 섭취한 Q2군~Q4군이 높았으며(P<0.05), 우유를 섭취한 군 중에서는 Q4군이 가장 높았다(P<0.05). 일반 환경요인별로 주당 우유 섭취량에 따라 DDS는 연령, 교육수준, 가구소득수준, 거주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P<0.05). 식품군별 섭취 패턴은 모든 군에서 식사 내 우유를 포함한 유제품과 과일군을 최소량 이상 섭취하지 않은 비율이 1~3순위를 차지하고 있어 우유 및 과일 섭취 부족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KHEI 총점수는 전체(Q1~Q4)에서 100점 만점 중 68.3점으로 낮았으며, Q1군과 Q2군에 비하여 Q3군과 Q4군의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주당 우유 섭취량에 따라 총 과일류 섭취, 생과일류 섭취, 김치 및 장아찌 제외 채소류 섭취, 고기, 생선, 달걀, 콩류 섭취, 우유・유제품 섭취, 탄수화물 에너지비, 지방 에너지비 점수는 Q1군에 비하여 Q4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반면에 포화지방산 에너지비, 나트륨 섭취, 당류・음료류 에너지비 점수는 Q4군이 Q1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주당 우유 섭취량은 DDS(r=0.24166, P<0.001), KHEI(r= 0.17482, P<0.001)와는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폐경 후 여성의 우유 섭취는 권장수준인 하루 1컵(200 mL)에 비해 크게 미치지 못하여 매우 부족하였으며 우유 섭취 증가는 영양관리에 바람직한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는 단면연구이므로 인과관계를 명확하게 밝힐 수는 없으며 반정량 식품섭취빈도조사로 우유 섭취량을 구해 실제 섭취량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했으나, 국가 규모의 조사를 연도별로 3년간 통합해 우유 섭취량에 따른 영양소 섭취, 식품 섭취 다양성, 식생활 지침 등의 준수를 평...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한국 성인의 가공식품으로부터의 식품 및 영양소 섭취량 평가 : 제 6기 (2013~ 2015)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하애화,김우경 한국영양학회 2019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2 No.5

        Purpose: The consumption of processed foods has recently been increasing due to changes in the living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ntribution of processed food to the nutrient intake of adult Koreans. Methods: A total of 15,760 adult people in the 6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5)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s classification criteria for processed foods, the 24 hour dietary recall data of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as processed food or natural food. The processed food intake, nutrient intake and major processed food sources by food groups were analyzed. Results: Men consumed more processed foods than did the women. Consumption of processed foods decreased with age, but it increased with the education level and the income level. The total daily processed food intake accounted for 68.1% of the total food intake. The food groups with high processed food intake were beverage, vegetables, cereals and grain products, fruits, and milk and dairy products in this order. The top food source of each food groups were beer, kimchi, bread, processed apple products, and milk. After adjusting for age, gender, and energy intake, all the nutrient intakes and percentage of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except carbohydrat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rocessed foods than in natural foods. The sodium intake from the processed food was 96.3% of total daily sodium intake. The intakes of nutrients from processed foods, excluding vitamins C, dietary fiber, iron, and vitamin A, were higher in men than in women. The intake of sodium from processed foods was highest for people of 30~ 49 years of age, and the intake of sodium from processed foods decreased for people over 50. Conclusion: Korean adults consumed more processed food than the natural food, consuming more calories and most of the nutrients from the processed food overall total daily intakes. The intake of processed foods is expected to further increase in the future, and nutritional education and research on the ingestion and selection of healthy processed foods are necessary.

      • KCI등재

        우리나라 성인의 식물성 대체우유 소비성향과 국내 시판 제품의 영양성분 함량 조사

        하애화,이명희,김선효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2 No.6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sumption propensity and nutrient contents of plant-based milk alternatives (PBM)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appropriate use of PBM. Consumption propensity of PBM was identified through an online survey targeting soy milk consumers (SMC) (n=350) and other PBM consumers (OPBMC) (n=150). The subjects enrolled were male and female adults (18∼64 years). Nutrient contents of milk (n=41), soy milk (n=69), and other PBM (n=53) were collected by nutrition labeling. Compared to the SMC group, the ratio of subjects in their 20s and 30s was high and subjects aged 50∼64 years were low in the OPBMC group (P<0.0001). Positive acceptance of soy milk factors, including taste, nutrition, and health efficacy, was moderate among SMC. The rate of recognizing that cow’s milk and soy milk are similar or same in nutrient contents was 42.9%, and this rate was higher in males than in females (P=0.003). On the other hand, degree of positive acceptance for OPBM taste, nutrition, and health effects was moderate among subjects. Comparing cow’s milk and OPBM, there was a high rate (38.7%) of recognizing that the nutrient contents are similar or same. Cow’s milk provided a certain level of nutrients without any different by-products; however, soy milk or other PBMs varied greatly depending on raw material or br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and provide more information on PBM actively. Furthermore, our results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choose a PBM with a nutrient composition suitable for one’s specific needs. 최근 채식 확산에 따라 식물성 대체우유 소비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지만, 국내 소비실태나 제품의 영양 특성에 관한 보고는 거의 없어 정확한 이해 없이 소비가 이루어지고 있는 경향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식물성 대체우유의 소비성향 및 영양성분을 조사하여 국내 자료를 바탕으로 식물성 대체우유에 대한 바른 이해와 이용을 돕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식물성 대체우유 소비성향은 전국의 만 18~64세 성인 남녀에 해당하는 두유 주 섭취자(35명)와 기타 대체우유 주 섭취자(150명)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로 파악하였다. 설문조사 시점을 기준으로 6개월 이내에 두유나 기타 식물성 대체우유(두유를 제외한 아몬드우유, 귀리우유 등)를 직접 구입하여 섭취한 사람 중 중복 섭취 시에는 주로 섭취한 것 한 가지를 고르도록 하여 두유 주 섭취자와 기타 대체우유 주 섭취자로 구분하였다. 식물성 대체우유와 우유의 영양성분 차이를 알아보고자 국내 주요 온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되는 매출 실적 상위 제품을 대상으로 우유(41개 제품), 두유(69개 제품), 기타 식물성 대체우유(53개 제품)의 영양성분표시 자료를 조사하고 비교하였다. 본 연구 결과 두유 주 섭취자에 비해 기타 식물성 대체우유 주 섭취자에서 20대와 30대 비율은 높고 50~64세 비율은 낮았다(P<0.0001). 두유 주 섭취자에서 맛, 영양, 건강효능, 신체성장, 위생과 안전, 친환경의 속성에서 긍정도는 각각 보통 수준이었다. 두유와 우유의 영양성분에 대한 인식은 전체에서 ‘비슷하거나 같다’가 42.9%로 높았으며 남자가 여자보다 이 비율이 높았다(P=0.003). 앞으로 두유 소비량 변화 정도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여자가 남자보다 이 비율이 높았다(P=0.004). 전체에서 평소 가장 많이 마시는 두유는 검은콩두유가 48.6%로 가장 높았으며, 두유 섭취 빈도는 1주일에 1~2일이 30.9%로 가장 높았다. 1일 기준 두유 섭취량은 101~190 mL 이하(소형팩 1/2~1개 이하)가 41.4%로 가장 높았으며 남자가 여자보다 많았다(P=0.006). 두유를 마시는 주목적은 ‘영양보충’이 35.1%로 가장 높았으며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P=0.003). 두유 선택 시 주요 고려사항은 ‘맛 타입(콩, 검은콩, 검은깨 등)’이 50.0%로 가장 높았으며, 두유에 대한 주요 정보 급원은 ‘온라인 쇼핑몰의 제품 소개’가 23.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기타 식물성 대체우유 주 섭취자에서 기타 식물성 대체우유 속성별 긍정도는 맛, 영양, 건강효능, 신체성장, 위생과 안전, 친환경의 속성에서 각각 보통 수준이었다. 기타 식물성 대체우유와 우유의 영양성분에 대한 인식은 ‘비슷하거나 같다’ 38.7%, ‘모른다’ 8.0%로 이들 비율이 높아 관련 교육이 필요해 보였다. 앞으로 기타 식물성 대체우유의 소비량 증가 예상이 56.0%로 높게 나타났다. 평소 가장 많이 마시는 기타 식물성 대체우유는 아몬드우유가 62.7%로 가장 높았으며, 섭취 빈도는 1주일에 1~2일이 36.0%로 가장 높았고, 1일 기준 섭취량은 101~190 mL 이하(소형팩 1/2~1개 이하)가 40.7%로 가장 높았다. 기타 식물성 대체우유를 마시는 주목적은 ‘영양보충’이 28.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P=0.004). 기타 식물성 대체우유 선택 시 주요 고려사항은 ‘맛 타입(아몬드, 귀리, 쌀 등)’이 48.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P=0.014). 기타 식물성 대체우유에 대한 주요 정보 급원은‘TV/라디오...

      • KCI등재

        Acute and Subacute Toxicity Evaluation of Corn Silk Extract

        하애화,강현정,김선림,김명환,김우경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8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Vol.23 No.1

        Many studies have reported therapeutic efficacy of corn silk extract. However, research on its toxicity and safe dose range is limited. Thu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acute and subacute toxicity of corn silk extract in ICR mice. To determine acute toxicity, corn silk extract containing high levels of maysin was orally administered to mice at a dose of 0 or 2,000 mg/kg. Clinical symptoms, mortality, and body weight changes were recorded for 14 days. To determine subacute toxicity, corn silk extract was orally administered to mice over a 4-week period, and then body weight, water and food consumption, and organ weight were determined. In addition, urine and serum analyses were performed. In the acute toxicity study, no death or abnormal symptoms was observed in all treatment groups during the study period. Body weight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Lethal dose of corn silk extract was estimated to be more than 2,000 mg/kg. In the 4-week subacute toxicity study, there was no corn silk extract related toxic effect on body weight, water intake, food consumption, urine parameters, clinical chemistry, or organ weight.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showed no abnormality related to the administration of corn silk extract at 500 mg/kg. The maximum non-toxic dose of corn silk extract containing high levels of maysin was found to be more than 500 mg/kg.

      • KCI등재

        Ethanol Extract of Peanut Sprout Lowers Blood Triglyceride Levels, Possibly Through a Pathway Involving SREBP-1c in Rats Fed a High-Fat Diet

        하애화,강남이,김우경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Journal of medicinal food Vol.18 No.8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was that peanut sprout extracts (PSE) could reduce fat accumulation through activating the transcription of SREBP-1c genes. Sprague–Dawley (SD) were randomly assigned into two groups and fed the following diet for 4 weeks; 10 normal fat (NF, 7 g of fat/100 g diet) and 30 high fat (HF, 20 g of fat/100 g diet). After 4 weeks, the HF group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HF, HF with 15 mg of PSE/kg diet (HF + low PSE, 0.025% resveratrol), and HF with 30 mg of PSE/kg diet (HF + high PSE, 0.05% resveratrol) and fed for an additional 5 weeks. The HF + high PSE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weight gain than the HF group. Plasma triglyceride (TG) level and the hepatic total lipid level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HF + high PSE group compared to the HF group. Fecal excretions of total lipids, cholesterol, and TG in the HF + high PSE group tended to be higher than in the HF group, but thes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The mRNA expressions of fatty acid synthase,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and 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c (SREBP-1c)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HF + high PSE group than in the HF group. The mRNA expressions of hydroxy-3-methylglutaryl coenzyme A reductase and acyl-CoA cholesterol acyltransferas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HF + high PSE groups compared to the HF group. The mRNA expression of cholesterol 7a-hydroxylase1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HF group in both the HF + low PSE and HF + high PSE groups, with much greater increase observed in the HF + high PSE group. In conclusion, consumption of PSE was effective for improving blood lipid levels, possibly by suppressing the expression of SREBP-1c, in rats fed a high-fat diet.

      • 일부 사립 초등학교 아동의 비만 실태와 그 정도 변화에 관한 종단 연구

        박혜련,김사름,하애화 명지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1996 자연과학논문집 Vol.13 No.-

        비만은 건강상의 위협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성장과 발달에 장애 요인이 되고 있어 소아 비만의 예방과 이들 비만아에 대한 적절한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서울 시내 사립학교 4-5학년 아동 361명을 대상으로 지나간 4년 간 성장 유형의 변화를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신장에서보다는 체중에서 그 증가폭이 두드러져(P<0.001> 실제적으로 비만이 확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WL1 값에 의한 분류에 의하면 조사대상아의 15%가 과체중에, 13%가 비만에 속하였다. 또한 1학년 때 비만 군에 속했던 아동만 따로 추적한 결과 4년 후 남아의 경우 100%, 여아의 경우 82.4%가 여전히 비만군 속해 있어서 이들 비만도가 높았던 아동의 체중 감량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여아보다는 남아의 경우가 비만 관리에 더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결론적으로 소아 비만의 문제는 비만의 확산 추세도 문제가 되고 있지만 일단 비만이 된 경우 이들에 대한 체중감량 지도가 적절히 이루어 지지 않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어 사춘기 전 아동을 대상으로만 영양 교육이 강조되어야 한다고 보여진다. The growth patterns of 361 primary school children, 4th and 5th grade in Seoul, were assessed longitudinally for four years in July 1994. Compared to the 1985 Korea Children's Growth Standard valuse, the surveyed children have shown remarkable increase in every representive percentile values of weigh-for-age and height-for-age, which is the secular trend of Korean children accompanied with rapid economic growth and changes in diet patterns after 1970s. The incremental weight was relatively far larger than that of height (p<0.001) especially for children of over 50th percentile. This trend gets more obvious as the children were in larger percentile group. Among 361 surveyed children 15% were overweight and 13% were obese currently. Among the 33 boys of overweight or obese group by WLI index at 1st grade, only 12.1% was in normal weight at 4th grade and among 37 girls of overweight or obese at 1st grade only 37.8% was in normal weight group at 4th grade. Moreover all of the obese boys at 1st grade were still obese at 4th grade and 82.4% of obese girls at 1st grade was still obese at 4th grade.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asserts the importance of nutrition education focused on children heading puberty to ensure better physical fitness.

      • KCI등재

        연령에 따른 경기 지역 종합검진 영양 상담자의 식습관과 식이 섭취 패턴 -2007 건강증진센터 자료 분석-

        하애화 ( Ae Wha Ha ),류혜숙 ( Hye Sook Ryu ) 한국식품영양학회 2010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etary habits and food intake by age, based on the nutrition counseling data of medical health examination. The subjects were 5,511 adults(3,139 males and 2,372 females) who took comprehensive medical test in Gyeonggi area, and they were evaluated from January 1, 2007 to December 31, 2007. Survey samples were divided by age groups: 30>, 30~39, 40~49, 50~59, 60~69, 70≤ years.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57% male and 43% femal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etary habits of ≥50 group were relatively good. On the other hand, in 30> yrs group had more dietary habit problems, they had irregular meals and the ratio of skipping breakfast was high. And they frequently had meals out. regularity of meals, eating breakfast was higher in ≥70 yrs groups than in other groups(p<0.001). frequency of overeating was higher in 30>, 30~39≥yrs groups than in other groups(p<0.001) and speed of eating meal were fast in 50~59 yrs groups than in other groups(p<0.01). For foods with high cholesterol and fat, it was shown that the older the subject, the fewer the frequency of consumption(p<0.001). For kimchi and salty foods, food intake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age(p<0.001), whereas for fresh vegetables and high-calcium fish, it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p<0.001). All in all, it was shown that as the people get older, their dietary habits tend to get more appropriate. In conclusion nutrition education based on their dietary habit by age should be taught, so that people have a healthy dietary habit and food intake for the rest of their life.

      • KCI등재

        2007~2015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한 초등학생의 연도별 가당음료 섭취량 변화와 가당음료 섭취 수준에 따른 영양상태 평가

        하애화(Ae Wha Ha),이재현(Jae-Hyun Lee),김선효(Sun Hyo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0 No.8

        본 연구는 2007~2015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초등학생(만 6~11세) 5,123명을 대상으로 가당음료 섭취량 변화 추이를 파악하고 가당음료 섭취 수준에 따른 영양상태를 분석하였다. 가당음료는 첨가당 위주의 가공음료인 탄산음료(콜라, 사이다, 기타 탄산음료 포함), 스포츠음료, 카페인음료(커피, 에너지음료, 홍차, 코코아류)로 정하였다. 24시간 회상법으로 1일간 실시된 식이조사 자료로 구한 1일 가당음료 섭취량에 따라 대상자를 가당음료를 섭취하지 않은 가당음료 1군, 가당음료 섭취자 중 섭취량이 50 백분위수인 200 g/d 미만인 가당음료 2군, 섭취량이 50 백분위수인 200 g/d 이상인 가당음료 3군으로 나누었다. 이 결과 전체 대상자에서 전체 음료에 대한 1일 섭취량은 2007년 50.3±6.6 g/d에서 2015년 111.7±12.8 g/d로 약 2.2배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001). 종류별로는 과일/채소음료(P=0.0021), 탄산음료(P=0.0002), 카페인음료(P=0.0005), 전통음료(식혜, 수정과, 율무, 한방차 등)(P=0.0004) 섭취량이 연도별로 유의적으로 증가 추세였으며, 스포츠음료와 기타음료(홍삼음료 등) 섭취량은 연도별 차이가 없었다. 성별에 따라서는 전체 음료에 대한 1일 섭취량이 남자 79.4±3.7g/d, 여자 68.1±3.9 g/d로 남자가 여자보다 많았다. 음료종류별 1일 섭취량은 남녀 모두 탄산음료> 과일/채소음료>기타음료> 스포츠음료> 카페인음료> 전통음료의 순으로 많았다. 연도에 따라 남녀 모두 가당음료 1군의 비율이 감소하고 가당음료 3군의 비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였다(P<0.0001). 가당음료 3군의 비율은 남자에서 2007년 5.6%에서 2015년 15.3%로 약 2.7배 증가하였으며 여자에서 2007년 5.1%에서 2015년 11.9%로 약 2.3배 증가하여 남녀 모두 가당음료 3군의 비율이 빠르게 증가하였고 남자에서 더 두드러졌다(P<0.0001). 나이는 가당음료 3군이 가당음료 1군과 가당음료 2군보다 유의적으로 많았으며(P<0.05), 가당음료 섭취 수준에 따른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의 차이가 없었다. 가당음료 섭취 수준에 따른 1일 영양소 섭취량은 남자에서 에너지 및 철 섭취량, 지질에 의한 에너지 섭취 비율이 가당음료 3군으로 갈수록 높아졌으며(P<0.05), 칼슘, 비타민 A, 비타민 C 섭취량이 가당음료 3군에서 낮거나(P<0.05)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여자에서는 에너지, 지질 및 철섭취량, 지질에 의한 에너지 섭취 비율이 가당음료 3군으로 갈수록 높거나(P<0.05) 높아지는 경향이었으며, 칼슘, 비타민 A, 비타민 C 섭취량이 가당음료 3군에서 낮거나(P<0.05)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1일 영양소 섭취량의 영양소 섭취기준에 대한 비율은 남녀 모두 칼슘을 제외한 영양소를 섭취기준과 같거나 그 이상으로 섭취하고 있었다. 칼슘 섭취량의 권장섭취량에 대한 비율은 가당음료 1군~가당음료 3군까지 남자 68.4±2.9~74.4±2.8%, 여자 54.8±2.6~64.5±2.6%로 나타나 매우 낮았으며 여자가 남자보다 더 낮았다. 가당음료 섭취 수준에 따라 남자는 가당음료 3군으로 갈수록 철이 높아졌으며(P<0.05), 칼슘, 비타민 A가 낮아졌다(P<0.05). 여자는 가당음료 3군으로 갈수록 에너지, 철이 높아졌으며(P<0.05), 칼슘, 비타민 A, 비타민 C가 낮아졌다(P<0.05). 영양섭취 부족자 비율은 가당음료 섭취 수준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에너지/지방과잉 섭취자 비율은 남자(P=0.0031), 여자(P=0.0019)에서 각각 가당음료 3군으로 갈수록 유의적으로 높아졌다. 나트륨 목표섭취량 이상 섭취자 비율도 남자(P=0.0333)에서 가당음료 3군으로 갈수록 유의적으로 높아졌으며 여자에서도 유의적이지는 않으나 같은 경향이었다. 따라서 가당음료 섭취량이 많으면 성장기의 영양상태가 불량해지므로 가당음료 섭취를 줄인다면 성장기의 바른 식습관 형성 및 영양상태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examined yearly trend of sugar-sweetened beverage (SSB) intake and compared nutritional status by SSB intake level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aged 6∼11 years (n=5,123) using the 2007∼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The SSB included in the study was carbonated drinks, sports drinks, and caffeinated drinks containing added sugars.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y SSB intake level obtained using the 24-hour recall method: SSB 1 (SSB intake 0 g/d), SSB 2 (0 g/d< SSB intake< 50th percentile) and SSB 3 (SSB intake≥ 50th percentile). The daily intake of total beverages in all subjects increased significantly, 2.2 times from 50.3±6.6 g/d in 2007 to 111.7±12.8 g/d in 2015 (P<0.0001). The daily intake of fruit/vegetable juices (P=0.0021), carbonated drinks (P=0.0002), caffeinated drinks (P=0.0005), and traditional drinks (P=0.0004) in all subjects significantly increased year on year. The daily intake of total beverages was higher in males at 79.4±3.7 g/d compared to 68.1±3.9 g/d for females. The daily intake of energy and iron and the ratio of energy from fat increased, but the daily intake of calcium, vitamin A, and vitamin C decreased toward the SSB 3 group (P<0.05). The ratio of excess intake of energy/fat increased significantly for males (P=0.0031) and females (P=0.0019) toward the SSB 3 group. The ratio of the excess intake of sodium increased toward the SSB 3 group for males (P=0.0333) and females. Efforts should be made to reduce the SSB intake in order to prevent inappropriate nutritional status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