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국의 시선과 식민지의 눈(들) -오태영의 『오이디푸스의 눈(2016)』을 통해 본 동아시아 연구의 향후 과제들-

        하신애 ( Ha Shin-ae )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6 사이 Vol.21 No.-

        식민지 말기 연구에 있어서 `동아시아`라는 지역주의적 의제가 대두된 지 벌써 여러 해가 지났다. 이러한 지역주의(regionalism)적 관점은 일국(一國) 혹은 단일법역(法域) 중심의 연구로부터 한발 더 나아가, 각 세력 간에 축적된 구조적 연관성 및 공간 내부에 함의된 다차원성/유동성/혼종성에 주목함으로써 제국주의로 인한 위계/분할선들을 탈각시키는 한편, 현 시점의 자본·지식·문화의 전지구화에 대응하는 새로운 지역적 사유를 모색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제안되었다. 이러한 관점은 단일 체제에 대한 협력/저항의 이분법적 구도로는 포착해 낼 수 없었던 다채롭고 역동적인 인식/행위성들을 가시화 한다는 측면에서, 그간 “지역 내 불화와 갈등”을 조장하는 트라우마의 진원지(震源地)이자 파시즘의 단일 이데올로기로 점철된 절연지대(絶緣地帶)로만 여겨져 왔던 식민지 말기 연구를 통시적이며 다원적인 관점에서 재조명할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은 이러한 지역주의적 관점에 입각하여 오태영의 『오이디푸스의 눈』을 분석함으로써, 식민지 말기 아시아/인식을 둘러싼 연구 과제들의 수행이 어느 지점까지 진전되었는지, 또한 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학술적 난관에 직면하게 되는지를 고찰하고자 하는 목적을 지닌다. 오태영의 저작은 당대 조선의 지식인·문학자들이 “지역과 지방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결과물들을 생산하고 그곳에 새로운 위상을 부여”함으로써 제국의 담론에 대응하여 변주(變奏)·분열을 일으키는 과정들을 살펴보는 한편, “동아시아 지역 질서의 재편 과정 속에 나타난 식민지 조선의 위상 변동에 대한 고찰”과 더불어 “한국의 문화지정학적 위상 변동이 동아시아지역 질서, 나아가 세계 체제의 변화와 어떠한 관련을 맺고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했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지닌다. 『오이디푸스의 눈』은 식민지 말기 조선 지식인·문학자들이 선보인 `어긋남` 및 `다중적 역학 관계`들이 어디까지 제국으로 수렴되는 것인지를 놓고 딜레마에 직면하기도 하지만, 당대 제국-식민지 공간이 담지했던 “다양한 관점들 및 존재 형식들”에 대한 고찰을 논의의 시작점에 놓고 있다는 측면에서 제국이라는 “지배적 결정 요소”에 대한 함몰로부터 한발 더 나아가, 향후 다원적/다중심적 아시아를 구성하기 위한 단초를 제공하는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위와 같이 오태영의 『오이디푸스의 눈』에 대한 고찰을 진행하는 한편, 이효석의 「은은한 빛(ほのかな ひかり」(1940)·김사량의 「향수(鄕愁)」(1942)에 대한 분석을 아울러 수반함으로써 『오이디푸스의 눈』에서 드러난 바 있는 동아시아 연구의 딜레마와 관련하여 향후 과제 및 전망을 제안하는 것을 부차적 목적으로 삼았다. 이를 통해 식민지 말기 아시아/인식을 둘러싼 차후의 연구들은 제국-식민지라는 거시적 단위들을 세분화된 역사적 행위자들로 다변화하고, 미국·중국·소련 등 당대 `아시아-세계`를 구성했던 다른 정치적 세력들을 논의의 내부로 끌어들임으로써 연구의 판도를 넓히는 한편, 제국-식민지의 정치지리적 경합을 규명하는 것에서 한발 더 나아가 자본·종교·예술·유흥 등에 의해 형성되는 문화지리적 공간성의 해명을 시도할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O Tae Young`s Eye of Oedipus (2016) based on regional perspective, to assess the progress of latest research tasks surrounding cognitions of Asia in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academic difficulties researchers often face in the process of carrying out that tasks. The work of O examined how Choseon`s intellectuals·writers made variations and divisions corresponding to Asian discourse produced by Japanese Empire that time. It obtains its significance by checking two important matters-changing of colonial Choseon`s cultural geographic status revealed from reformational process of the East Asian regional order and its relevance with whole regime change in the world that time. In addition to such analysis about O Tae Young`s Eye of Oedipus, this study also attempt to analyze Lee Hyo-Seok`s “Soft Light” (1940) and Kim Sa-Ryang`s “Nostalgia” (1942) to propose henceforth tasks and prospects associated with East Asian study`s dilemma, pointed out in Eye of Oedipus previously. Through these examinations, this study suggest that subsequent researchers surrounding cognitions of Asia in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need to diversify macroscopic units such as the Empire or the colony to subdivided historical performers, and extend academical territory by getting other political groups which had contributed to regime change in Asia/world such as USA, Communist China, Soviet Union involved in internal discussions, and examine the cultural geographic spatiality formed by Capital, entertainment, art and religion, to go one step further from investigating of geopolitical contention between the Empire-Colony, which had already been tried.

      • KCI등재

        [서 평]권력도시의 행위자와 문화기술의 벡터(vector) : 토드 헨리 저, 김백영 역, 『서울, 권력도시』, 산처럼, 2020

        하신애 ( Ha¸ Shin-ae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21 민족문학사연구 Vol.76 No.-

        식민지 일상생활 연구의 동향과 전망을 파악하고자 할 때, 토드 헨리의 『서울, 권력도시』(2020)는 공공 공간을 둘러싸고 통치 권력· 조선인 엘리트· 민중들이 선보였던 충돌· 경합 양상을 추적한다는 측면에서 주목된다. 토드 헨리는 “식민 지배 전략의 강력함”을 가늠하고자 했던 선행 연구와 달리, “종속적인 신민의 의무와 참정권을 지닌 시민의 권리 사이에서 집행 유예 상태로 떠돌았던” 주변적 조선인들의 삶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통해 토드 헨리는 “총독부 회의실에서 동화(assimilation)라는 의제에 접근하는 대신, 개개인이 공간에 영향을 미치는 권력의 형식을 이해하려고 애쓰며 살았던 방식”들을 “모세혈관 수준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그렇다면 식민지 주변부의 행위자들은 실제로 공공 공간과 어떠한 관련을 맺었으며, 공공 공간에 어떠한 의미들을 부여함으로써 동화를 둘러싼 제국의 수사학(rhetoric)을 “창의적으로 구부러뜨렸는가?” 이 글은 식민지 일상생활 연구가 축적해 왔던 학술적 성과의 토대 위에서, 토드 헨리의 『서울, 권력도시』가 새롭게 획득한 연구사적 의의를 검토했다. 이를 통해 식민-피식민이라는 이항대립적 틀로 환원되지 않는 개개인의 ‘어긋난’ 삶을 포착했을 뿐만 아니라, 각기 다른 근대적 지향에 입각했던 식민지의 다(多)주체들이 생존· 이윤 · 유흥 등의 욕망을 공공 공간에 투사함으로써 제국의 규율을 넘어설 수 있는 어떠한 전망들을 생성했는지를 고찰했다. 이는 식민지 일상생활 연구가 달성하고자 했던 “최소 목표”를 넘어, 향후의 학술적 이정표 및 현 시점에서 사유 가능한 ‘최대 전망’을 확보하려는 시도라는 측면에서 의의를 지닌다. To understand the trends and prospects of research on daily lives in the colonial era, it is worth looking into Todd Henry’s Assimilating Seoul(2020) which traces the patterns of conflict and competition among the ruling power, Korean elites, and the public around public spaces found in the colonial era.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were focused on figuring out ‘the power of colonial rule strategies”, Todd Henry threw light on the lives of marginalized Koreans that were not much different from those of people put on probation and how they had to “float between obligations of subordinates and the rights of citizens”. Todd Henry aimed to analyze in-depth the way how individuals strived to understand how power impacted spatiality, instead of focusing on the agenda of assimilation conceived in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So what kind of relationships were formed between the outsiders in the colonial era and public spaces, and what meanings did they give to such spaces and bent the imperial rhetoric of assimilation in a creative, unexpected way? On the basis of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research on daily lives in the colonial era, this article examines the historical significance Todd Henry’s 『Assimilating Seoul』(2020) newly acquired. It not only captures the ‘misaligned’ lives of individuals that cannot be explained simply through the binary framework of colonizers and the colonized, but also examines how various actors with different modern orientations in the era found ways to overcome the colonial rule as their desires for survival, profit, entertainment of were reflected in public spaces. Such examination carries significance in that it goes beyond achieving the minimum goal of research on daily lives in the colonial era and aims to serve as the milestone of future academic studies and secure a maximum outlook conceivable at this point.

      • KCI등재

        바다와 고향 : 연대의 공간, 혈연의 장소-식민지 시기 한설야 소설을 중심으로-

        하신애 ( Ha Shin-ae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한국학연구 Vol.0 No.51

        이 글에서는 식민지 시기 발표된 사회주의 계열의 문학 작품-특히 한설야의 작품-에 ‘바다’로 대표되는 매끈한 공간에 대한 지향과 더불어 사회구성체의 일원으로서 그간 일궈왔던 ‘고향’-홈 패인 공간에 대한 향수(鄕愁)가 동시에 드러나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심훈의 『동방의 애인』을 비롯한 1930년대 전후 사회주의 문학작품에서는 “민족에 대한 전통적 애착심마저 버리고” 프롤레타리아 국제 연대의 ‘바다’로 나아갈 것을 결의했으나, ‘고향’에 대한 향수에 붙들려 기존 홈 패인 공간의 질서 속으로 회귀하고야 마는 사회주의자들의 면모가 드러나며, 이러한 사회주의자들의 면모는 식민지 말기에 이르러 다시금 대두된다. 식민지 말기는 총력전 체제의 강화 및 동아봉쇄주의로 인해 사회주의 투사들 대부분이 “구금되었거나 운동을 정지하고 어쩔 줄 모르는” 상황에 놓였으며, 이로 인해 해외 혁명 거점들로부터 단절되어 “절해고도(絶海孤島)”와 같은 위치에 놓인 사회주의자들에게 제국이 보낸 ‘전향’의 메시지가 도착한 시점이었다. 그렇다면 ‘고향’에 대한 향수에 붙들리는 한편, 식민지 말기 “절해고도”와 같은 경성의 ‘닫힌 공간’에 직면하여 제국의 전향 요구를 수취해야만 했던 조선의 사회주의자들은 위와 같은 민족ㆍ제국의 호명/향수를 뿌리치고, 다시금 ‘너른 바다’를 추구할 수 있었던 것일까? 이 글에서는 「과도기」ㆍ「씨름」ㆍ『마음의 향촌』ㆍ「피」 등 식민지 시기 한설야 소설에 나타난 바다/고향 표상을 분석함으로써, “너른 바다”로 표상되는 매끈한 공간성을 성취하고자 했던 당대 사회주의자들의 투쟁이 제국에 의해 포획되어 홈 패인 공간으로 조직된 식민지 조선의 지형에 어떠한 변화를 초래하는지, 나아가 식민지 말기 사회주의자들이 담지했던 사상적 전망이란 대동아공영권이라는 제국의 두터운 ‘홈’에 직면하여 어느 정도의 문화적 융해를 가능케 했는지 그 경합의 과정들을 가늠해 보고자 한다. 한설야 등 기존 식민지 말기 사회주의자들의 텍스트에 접근하기 위한 키워드가 “전향”이었다면, 이 글에서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좌절의 위기에 직면한 사상적 전망을 “살려 나가기” 위해 “바다”라는 매끈한 공간의 표상을 동원했으며, 이를 통해 여전히 “투쟁”의 흐름 속에 스스로를 위치시키고자 했음을 제시할 것이다. “바다”라는 공간적 표상에 입각한 이러한 문학적 상상은 비록 실현 불가능한 층위에 머무른다 할지라도, 그 자체로 당대 정치지리적 경계 너머로 나아가기 위한 문화적 도전이라는 측면에서 주목할 만한 시대적 의의를 지닌다. This paper tried to analyze representations of the sea/hometown revealed from Han Seol Ya’s fictions, 「Period of transition」ㆍ「Wrestling」ㆍ『A country village of mind』ㆍ「Blood」 in Japanese colonial period. Advanced researches focused on these fictions to investigate the problem of conversion, but this paper tried to suggest that Han used representation of the sea to spare his ideological prospect and situate himself in the context of the struggle. These literary imagination, based on spatial representation of the sea, have remarkable significance because they propose cultural challenges to proceed beyond the political and geographical boundaries in that time, even if they had to stay in unrealizable conditions.

      • KCI등재

        아나키스트의 눈과 탈식민적 국제 연대의 상상-박태원의 『약산과 의열단』 (1946)을 중심으로-

        하신애 ( Ha Shin Ae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9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76 No.-

        이 글의 목적은 박태원의 역사서사 『약산과 의열단』에 나타난 아나키즘의 사상성 및 탈식민적 국제 연대의 궤적에 초점을 맞추어 타 역사 서사들과의 비교 분석을 시도함으로써, 해방기 민족국가 건설을 둘러싸고 전개되었던 문화적 발화들을 다각적으로 가시화하는 것이다. 해방기는 “민족사 텍스트로서 역사서사”가 부상한 시기였으며, 건국사업에 이바지해야 한다는 시대적 사명 하에 역사서사들이 “민족주의와 같은 촉매에 반응”함으로써 단일화ㆍ위계화ㆍ심미화된 민족/국가의 형상을 주로 그려내었던 시기였다. 그러나 민족주의만으로는 해석해 낼 수 없는 다채로운 역사쓰기의 관점들이 해방 공간에서 각기 다른 동력들에 의해 촉발되고 있었음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주의나 민족주의 계열의 역사쓰기 이외에, 제 3의 진영인 아나키즘적 사상에 입각한 『약산과 의열단』이 어떠한 ‘건설’의 형태를 제안하고자 했던 것인지를 살펴보았다. 조선인 아나키스트들이 견지해 왔던 ‘개인의 자유 의지에 입각한 연합’이나 ‘권력에의 귀속 거부’라는 취지에 입각하여, 『약산과 의열단』은 위계적인 민족국가 건설의 명분을 모색하고자 했던 단일 영웅 중심의 타 역사서사들과는 달리 특정 위인이 아닌 개체 전체의 힘을 강조하며, 비영웅-민중이 각성하는 순간에 초점을 맞추어 수평적인 ‘집합’의 건설을 시도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주목을 요한다. 이러한 ‘집합’의 형태는 민족-국가라는 단일 정치권력으로부터 멀어져 아시아-세계를 둘러싼 초국경적 연대로 확장되는 바, 위와 같은 아나키스트들의 범세계적 연대의 상상을 조명하는 것은 해방기 조선인들이 선보였던 “탈식민의 시대정신(Zeitgeist)”의 가능성을 가늠하는 한편, 해방기 역사서사가 담지하는 지역/세계와의 연관성을 보다 심층적으로 고찰할 수 있도록 한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ocus on the orbit of anarchism thoughts and postcolonial international solidarities found in Park Tae-won’s historical narrative 『Yaksan and the Heroic Corps』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with other historical narratives in order to visualize cultural articulations that unfolded surrounding the construction of a nation-state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from various aspects. The liberation period was a time when ‘historical narratives as national history texts’ rose and under the mission that they must contribute to the founding of the nation, it was a period where historical narrators ‘responded to catalysts such as nationalism’ to draw the image of a unified, hierarchical and aestheticized nation / state. However, it is important to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various perspectives on writing history that cannot be interpreted only by nationalism were triggered by different driving forces during the space of liberation. In addition to history writing from the aspects of socialism or nationalism, this study examined what type of ‘construction’ the 『Yaksan and the Heroic Corps』 based on an anarchist belief, which was a third camp, was being proposed. Based on the purpose of ‘alliance based on individual free will’ or ‘denying reversion to power’, which were the opinions of Choseon anarchists, 『Yaksan and the Heroic Corps』 emphasized the power of the group instead of a single historical figure like other historical narratives that focused on a single hero to search for the justification of constructing a hierarchical nation-state. It should be given attention that it attempted to construct a horizontal ‘group’ focusing on the moment when non-heroic public masses are awakened. This type of ‘group’ fell away from the single political authority called nation-state and expanded to a trans-border solidarity surrounding Asia and the world. Therefore, focusing on the thoughts of the pan-global solidarity of such anarchists is significant in that it measures the ‘Zeitgeist of post-colonialization’ that the people of Choseon displayed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while also making an in-depth investigation on the correlation of liberation period historical narratives with the region and world.

      • KCI등재

        금홍과 정희 : 이상 문학의 여성 표상과 재현의 정치학

        하신애(Ha, Shin Ae)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7 아시아여성연구 Vol.56 No.1

        이 글은 언어 혹은 발화라는 키워드에 초점을 맞추어 이상 문학에 등장하는 여성들을 포착함으로써 정치적 삶을 향한 당대 여성들의 도정을 밝혀내려는 시도의 일환이다. 이상에 관한 수많은 연구들 중에서도 여성과 관련된 연구는 비교적 많지 않은 편인데, 지금까지 이상 문학의 여성 표상에 대한 연구들은 이상 문학의 대표적인 여성상인 금홍과 정희 중 어느 한 쪽만을 비중 있게 다루거나, ‘신여성’⋅‘카페 여급’이라는 일관된 맥락으로 여성상 모두를 분석함으로써 이 둘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를 포착해 내는 데에는 다소 미흡했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발화’를 기점으로 하여 이상 문학에 재현된 각각의 여성 표상이 지니는 차이점을 부각시킨 후, 이러한 차이가 작품 내 서술기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또한 차이를 기반으로 이들은 이상 문학이 부여하는 재현의 프레임에 대하여 각각 어떠한 대응으로 나아가게 되는지를 분석했다. 금홍의 경우 “궁극적 본능만을 갖춘 무지(無知)의 원인(原人)”이라는 프레임 내부에 포섭/고착되는 과정을 살펴보는 한편, 자신의 신체에 부여된 ‘원시성’을 극한으로 끌어올려 표출함으로써 “장지문”으로 표상되는 원시/근대의 경계에 흠집을 내는 대응으로 나아가게 됨을 분석했다. 정희의 경우 ‘말하는 입’을 획득한 여성이 이상 문학 안팎을 둘러싼 담론의 장에 ‘언어적으로’ 뛰어듦으로써 남성 텍스트로 하여금 어떠한 균열을 겪게 하는지, 또한 응결된 재현의 프레임에 침투함으로써 어떻게 그 고정성을 흐트러뜨리는지를 살펴보았다. This paper focuses on comparing and analyzing two different female representations in Leesang"s literature-Geumhong and Jeonghui. Leesang"s literary works provide remarkable research points by capturing relationships between colonized male intellectuals and colonized female figures at the time. In Leesang"s literature, the female character, “Geumhong”, transforms from an uneducated local hostess into “Jeonghui”, a feminine intellectual with a college education. Each phase of alteration in this transformation is worthy of notice. Geumhong, or Jeonghui, has been discussed as an incarnation of erotic desire or a symbol of complicated dating relationships, but they are actually reflections on colonized female figures of the day who wanted to access social spheres, speak in pubic, and promote their political survival. It represents a real reflection on the journeys of females permitted to exist only through gestures or actions, not speech, from simple “material bodies” to political entities with voices they can use to express their intentions. This runs in contrast to the atmosphere of that period, in which only males could be a subject of speech in public.

      • KCI등재

        근대 서사의 성별 상징성과 식민지 추녀(醜女)들의 행보 - 이선희·임옥인의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하신애(Ha Shin-ae)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한국학연구 Vol.77 No.-

        유럽의 문화 텍스트에 있어서 개인은 부르주아 및 노동계급 남성으로 주로 표상되었으며, 이들의 이야기는 근대 주체로서 성장하기 위해 지배/초월해야 하는 자연적인 관계성의 세계-여성성의 세계-와 대조를 이루었다. 그러나 여성적 자연/남성적 근대라는 성별 상징성은 “논쟁과 개정(改定)”의 과정-중에서 요동하고 있었다. 특히 근대와 식민지라는 제약에 의해 ‘미적(美的) 자연’으로 정위되었던 조선의 여성 작가들은 문화 텍스트에 새로운 성별 상징성을 스며들게 함으로써, “근대의 역사 자체가 지배적인 성별 규범에 문제를 제기하고 이와 대결하는 전통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을 상기시켰다. 이 글에서는 이선희의 「가등(街燈)」 (1934), 임옥인의 「후처기(後妻記)」 (1940)에 나타난 추녀들의 표상을 분석함으로써, 여성 작가들이 제국-식민지 남성에 의해 부여되는 성별 상징성을 둘러싸고 어떠한 도전들을 선보였는지를 고찰했다. 이선희의 「가등」은 남성적 질서가 선사한 문화 텍스트를 통해 자연적 품성 뿐만 아니라, ‘미지의 자연’에 도전하는 근대인의 욕망까지 체득하는 신여성의 면모를 가시화했다. 「가등」에서 제국-식민지 남성은 식민지 여성에게 『집없는 아이(Sans Famille)』(1878)라는 유럽의 문화 텍스트를 선사함으로써, 현모양처로서의 자연적 품성을 계발하려 했다. 그러나 미적 자연으로서 가족 관계에 충실할 것으로 기대되었던 「가등」의 여성은 성별 상징성을 거슬러 스스로를 “자연 지배의 욕망”을 담지한 주체로 위치시켰다. 한편 임옥인의 「후처기」는 전시체제기 제국의 토대가 되어야 했던 총후부인이 지성 및 경제행위를 통해 미(美)/추(追)의 경계를 넘나듦으로써, 사회 질서와 무관한 ‘다른 공간(hétérotopies)’을 창출하는 과정을 형상화했다. 스스로를 “내 세계”의 미(美)/추(醜)를 규정할 수 있는 주체로 성장시키고, 자연과 근대 어느 한 편도 규제하거나 배제시키지 않는 「후처기」의 면모는 여성들의 “자기주장”을 문화텍스트에 새롭게 스며들게 했다는 측면에서, 당대 성별 상징성을 넘어서는 근대적 추녀들의 행보를 시사하는 것이다. In European cultural texts, individuals were mainly represented as bourgeois and working-class men, and their stories contrasted with the world of natural relationships - the world of femininity - that must be dominated/transcended to grow as modern subjects. However, the gender symbolism of feminine nature / masculine modernity was fluctuating in the process of "controversy and revision". Female writers in Choseon, who were positioned as "aesthetic nature" due to the constraints of modernity and colonialism, infiltrated cultural texts with a new gender symbolism, and reminded that "Modern history itself raises questions with the dominant gender norms, and its nature is to confront them." In this article, by analyzing the representations of ugly women in Lee Sun-hee"s "Streetlamp" (1934) and Im Ok-in"s "A tale of the second wife" (1940), the challenges of female writers against the gender symbolism given by the imperial-colonial males. Lee Sun-hee"s "Streetlamp" visualized the aspect of a modern woman who acquires nature"s characteristics and the desire of modern people to challenge the "unknown nature" through the cultural text provided by the male order. In "Streetlamp", the imperial-colonial male tries to develop colonial women into a good mother and wise wife by granting them the European cultural text of "Nobody"s Boy (Sans Famille)" (1878). However, a woman expected to devote herself to her family in "Streetlamp" oppose the gender symbolism and positioned herself as a subject carrying the "desire to dominate nature". On the other hand, Im Ok-in"s "A tale of the second wife" showed the process the second wife is creating heterotopies isolated from the social order by crossing the boundaries of Beauty and Ugliness with her intelligence and economic behaviors. In "A tale of the second wife," the second wife shows the aspect that develops herself into a subject that can define herself as the beauty/ugliness in "her world" and exclude neither nature nor modernity. This feature suggests the crossing move of the modern women, who go beyond the gender symbolism of their time, in that this text newly spread women"s "self-assertion" into the cultural texts.

      • KCI등재

        전염병과 재난 대응의 모빌리티(Mobility) -해방기 북한소설에 나타난 콜레라 방역을 중심으로-

        하신애 ( Ha Shin-ae ) 국제어문학회 2021 국제어문 Vol.- No.90

        1945년의 해방은 이동을 촉발시킨 역사적 사건이었다. 해방 공간에서의 급격한 교통(交通) 증가는 한반도 유입자와 정주자(定住者) 간의 접촉을 유발했으며, 육로ㆍ해로ㆍ공로(空路)를 통해 세균과 바이러스를 확산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때 전염병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남북한 정권의 방역 정책은 해방기라는 무중력의 시공에 질서를 수립하기 위한 시도를 보여준다는 측면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해방기라는 국가가 사라진 시공간에서, 방역은 누구에 의해/어떠한 방식으로 진행되었던 것일까? 국가의 기본 임무가 “세계 공간을 가로 지르는 흐름의 총체에 대해 법이 지배하는 지대가 군림”하도록 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집단의 유동성이나 침입해 들어오는 무리들의 힘에 대비한 필터(filter)”를 구축하는 것이라면, 채 자리 잡지 못했던 신생 정권은 무엇으로 전염병 침입에 대비하기 위한 방벽(防壁)을 세웠던 것일까? 나아가 재난에 대응하기 위한 남북한 주체들의 사투(私鬪)는, 식민지 시절 겪었던 강압적 통제와 탈식민 시대정신이 표방하는 인도주의 사이에서 머뭇거리던 통치 권력으로 하여금 무엇을 중심에 둔 채 방역을 수행하도록 추동함으로써, 구(舊) 제국의 속박으로부터 풀려난 “새 세계”의 면모를 가시화했는가? 이 글에서는 해방기 북조선에서 발표된 이춘진의 단편소설 「안나」(1948)를 주요 연구 대상으로 선정했다. 이를 통해 사회주의 민주 건설 와중에 발생했던 콜레라 방역의 문학적 형상화를 식민지 및 남한 방역 정책과의 비교 하에 분석함으로써, (1) 임시인민위원회로 대표되는 북조선 통치 권력이 재난에 대응하여 인구ㆍ상품 등의 유동적 흐름을 포획했던 과정 및 (2) 개별 주체들이 생존을 위해 국가적 통제를 넘나드는 사적 이동성을 선보였던 과정을 검토했다. 이러한 공적/사적 모빌리티(mobility)가 생성하는 알력ㆍ상호 침투의 지점들에 대한 고찰은 북조선 통치 질서의 공고화 과정을 포착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이동의 권리”를 둘러싼 사회 집단의 대응을 가시화함으로써 대중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비로소 현실화될 수 있었던 신생 국가의 탈식민 전망을 가늠할 수 있도록 한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지닌다. 아울러 전염병과 재난 대응을 둘러싼 위와 같은 고찰은, 현대에 이르기까지 제기되는 개개인의 보건 및 생존을 둘러싼 권리를 사유하는 계기가 된다는 측면에서도 중요하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The liberation in 1945 was a historical event that sparked mobility. The rapid increase in traffic in the liberation space caused contact between immigrants and settlers on the Korean Peninsula, resulting in the spread of bacteria and viruses through land, sea, and air routes. It is worth noting that the quarantine policy of the South and North Korean governments to prevent intrusion of infectious diseases at that time shows an attempt to establish order in space with zero gravity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However, in space where the country disappeared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by whom/how was the quarantine carried out? Where the basic task of a country is to ensure that the land dominated by the law reigns over the total flow across the world space and to build a filter for the liquidity of the group or the force of the invading group to this end, what did the new governments, which had barely established their footholds, set up a barrier to prepare for the invasion of infectious diseases? Furthermore, with what at the center did the struggl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s responding to disasters urge the ruling powers that hesitated between coercive control and humanitarianism advocated by the spirit of decolonization to perform quarantine and visualize the aspect of the “new world” liberated from the bondage of the old empire? In this article, Lee Chun-jin’s short story Anna(1948), published in North Korea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was selected as the main research object. Through this, the literary embodiment of cholera quarantine that occurred during the construction of socialist democracy was analyzed in comparison with colonial and South Korean quarantine policies to review (1) the process in which the North Korean ruling power represented by the Provisional People’s Committee captured the liquidity of population and goods in response to the disasters and (2) the process in which individual subjects showed private mobility across national control for survival. The consideration of the points of conflicts and mutual penetrations created by public/private mobility is significant in that it not only captures the solidification process of the North Korean ruling order but enables the estimation of the prospect of decolonization of a new country that could only be realized in “interaction” with the public by visualizing the responses of various social groups surrounding the right of mobility. In addition, it also needs to be treated importantly in that the above consideration surrounding the responses to infectious diseases and disasters serves as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individual health and survival rights raised from decolonization to contemporary times.

      • KCI등재

        한반도 전쟁 서사의 모빌리티와 여성/자연의 (초)시간성 -최인훈의 『태풍』(1973), 4·15 문학창작단의 『피바다(血海)』(1973) 간 비교를 중심으로-

        하신애 ( Ha Shin-ae ) 한국문학연구학회 2024 현대문학의 연구 Vol.- No.82

        이 글의 목적은 7·4 남북 공동 성명(1972)·6·23 평화통일 외교정책 선언(1973) 직후 남한에서 출간된 최인훈의 장편소설 『태풍』(1973), 북한에서 출간된 4·15 문학창작단의 장편소설 『피바다(血海)』(1973)의 전쟁 서사에 형상화된 남성 주체와 여성/자연 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가상 역사’의 기법이 창출하는 경계 횡단과 시공간 변형의 양상들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남북한 남성 주체의 이동이 초시간적/비역사적 과거로서 부동하는 것으로 위치지어졌던 여성/자연과의 교섭을 통해 타자의 역사성과 모빌리티 역량을 인지하는 한편, 남성적 근대/여성적 자연이라는 대립항을 횡단하여 타자의 시간적 침투를 수용함으로써 공현존을 실험했던 과정을 검토했다. 최인훈의 『태풍』은 태평양 전쟁의 역사 다시쓰기를 통해 남성 주체의 근대적 위상에 가려졌던 여성/자연의 모빌리티 역량을 수용함으로써 타자들의 이동을 통해 생성되는 연대의 가능성을 선보였다. 한편 『피바다』는 남성 주체의 물적·정서적 기반으로 부동(不動)하던 여성들이 “항일유격대원”으로 성장하여 모빌리티 역량을 발휘하는 과정을 형상화함으로써, 문명/야만, 남성/여성, 근대/자연이 ‘동행’하여 유격전을 수행할 수 있는 변형된 시공간의 가능성을 부각시켰다. 최인훈의 단독저작인『태풍』이 남성 주체가 타자의 궤도에 동참하는 과정을 형상화했다면, 집체창작의 산물인 소설 『피바다』는 항일유격전에 참여하는 다양한 인물 군상들을 조명하고 ‘공산주의 인간’의 보편적 위상하에 여성/자연의 모빌리티 역량을 서사화했다는 측면에서 차이점을 보였다. 아울러 소설 『피바다』는 1936년의 희곡·1969년의 영화·1971년의 혁명가극과 비교할 때 1972년·1973년의 선언으로 인한 인식적 변화를 수렴함으로써, “봉건적 억압과 인습에서 해방”된 여성의 이미지를 강조하여 역사 다시쓰기를 수행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1970년대 남한과 북한에서 각각 시도되었던 ‘식민지 전쟁사 다시쓰기’의 흐름들을 총체적으로 포착하는 한편, 여성/자연이라는 타자로부터 공통적으로 유래하는 한반도의 공현존 가능성을 모색했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aspects of boundary crossing and space-time transformation created by the technique of “virtual history,”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le subjects and women and nature in the war narrative of Choi In-hoon’s novel “Typhoon” (1973) and the novel “Sea of blood” (1973) published shortly after the July 4 Inter-Korean Joint Statement (1972) and the June 23 Foreign Policy Declaration (1973). To this end, this article is to recognize the historical and mobility capabilities that were positioned in the first time of the two Koreas, which was positioned by considering the nature and mobility capabilities. The attempts of this study is completely captured from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nd North Korea, while looking at the flow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was attempted to find the possibility of Women/Nature.

      • KCI등재

        해방기 여성/신체의 이동성과 (피)난민 연대의 건설 - 임옥인의 『월남전후(越南前後)』(1956)를 중심으로

        하신애(Ha, Shin-ae) 한국현대문학회 2020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62

        해방 이후 임옥인 문학 연구는 민족국가의 자기동일성이나 남북 간 이념갈등이라는 범주 우선성에 입각하여 주로 수행되어 왔다. 이 글은 임옥인 문학연구에 신체성·이동성·개체성 등의 의제를 가미함으로써, 월남전후의 문화적 함의를 보다 풍부하게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글에서는 특히 해방기 개별 신체에 입각하여 전개되었던 피난민 여성들의 사적 이동성에 주목했다. 이를 통해 『월남전후』의 여성들이 공공 이동성에 입각하여 새 국가의 정주(定住) 편제 및 균질적 상(像)를 구축하고자 했던 통치 권력과 변별되는 사적 연대성을 지향했음을 밝혔다. 해방 직후는 공공 이동성의 공백기였으며, 피난민 여성들의 사적 이동성은 통치 권력의 폭력으로부터 피신하고 생활을 도모하며, 이동 불가능한 난민들의 생존·교류까지 책임질 수 있는 수단으로 부각되었다. 이때 『월남전후』의 여성들은 전쟁으로 인해 상실된 “내 환경과 소유와 개성”을 이동을 통해 복구함으로써 개개인의 독자성을 확보하는 한편, 통치 권력의 고정된 방향성에 포획되지 않은 (피)난민들 간의 사적 연대를 구축했던 해방기의 또 다른 ‘건설적 주체’로 독해될 수 있다. 이처럼 사적 연대의 건설이라는 관점에 입각하여 피난민 여성들의 신체적 이동을 포착하는 것은 해방기 주체와 통치권력 간의 길항을 분석하기 위한 새로운 문화적 독법을 제시한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지닌다.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bring out the cultural implications of 『Before and After the defecting to South Korea』 by adding agendas such as physicality, mobility and individuality to literary research of Im Ok-in, which was conducted based on category priority of nation-state‘s identify or ideological conflict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This article focused on the aspects of female refugees who embodied periodic changes by using their bodies as a medium for movement and transportation to escape from the violences of ruling power and plan their lives and taking responsibility for the survival and exchange of refugees who were unable to move. Directly after liberation, it was a period of inactivity of public mobility, and the private mobility of female refugees that were developed based on individual bodies stood out as a means to preserve relatives and rebuild post-war society. Female refugees appeared in 『Before and After the defecting to South Korea』 restored "mine" that was lost due to the war or placed under requisition as a national asset based on the mobility of individual bodies. On the other hand, they can be interpreted as another "constructive subject’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who tried to build private solidarity between local refugees. While the frame of main analysis on 『Before and After the defecting to South Korea』 so far was based on the anti-communist context, understanding physical mobility of female refugee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the construction of private solidarity as above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s a new cultural reading method that is to analyze rivalry between individual subject and ruling power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 KCI등재

        박태원 방송소설의 아동 표상 연구 -전시체제기 일상성과 프로파간다 간의 교차점을 중심으로-

        하신애 ( Shin Ae Ha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1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5

        본 논문은 박태원의 방송소설 연작 「꼬마 반장」·「어서 크자」를 텍스 트로 삼아 전시체제기 프로파간다 매체에 나타난 일상-규율 간의 연속 과 불연속을 고찰해 보고자 했다. 1941년 12월 태평양전쟁의 발발 이후 제국은 전쟁의 장기태세에 대비하여 통제경제와 군인 양성의 실질적 수 행을 담당할 공간으로서 ``가정``이라는 일상생활 영역의 재조직을 시도하 게 되었으며, 이 때 영화·방송·문학·강연 등의 형태를 띤 프로파간다 란 총동원의 규율을 아동 혹은 가정주부들에게까지 전파할 수 있도록 하 는 효과적인 선전수단이자 매개체가 되었다. 특히 1930년대 설거지 하든 여염집부인들로 하여금 눈을 껌벅껌벅하며 라지오통엽으로 달려오고 야 말게 할 정도의 파급력을 입증한 바 있던 라디오 매체는 전시체제에 접어들어 일상의 혁신-전쟁과 건설이라는 양면을 서로 연계, 회전시키 는 축으로서 잘 정제된 ``기름`` 역할을 하는 것이라는 사명을 부여받고 있 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면모를 지닌다. 이 시기 식민지 조선인들의 일상 생활과 총동원의 규율을 마찰 없이 연속시키는 회전축 혹은 윤활유와 같 은 역할을 하게끔 상정된 라디오에서는 시국을 배경으로 한 프로파간다 적 성향의 방송소설들을 공모·제작함으로써 실제로 청취자들의 일상생활을 전시체제에 걸맞게 포섭/혁신해나가고자 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나날의 일상적 사건들을 흥미롭게 그려내어 청취자 들의 공감 및 매체적 흡인력을 유지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를 변화시키 기 위한 규율을 주입해야만 했던 방송소설의 양가적인 속성을 생각할 때, 프로파간다를 통해 일상과 규율이 연속·조화된 지점을 보여주고자 했던 라디오의 목적이란 과연 얼마만큼 달성 가능한 것이었을까? 또한 나날이 영위하는 일상적 삶과 전장의 규율을 매개, 회전시키기 위한 윤활유로서 방송소설은 과연 얼마나 잘 정제(精製)되어 있었던가? 일상적 삶의 기저 에 그 어떤 정책/규율로도 회수/재조직되지 못할 습속화된 보수성이 자 리 잡고 있음을 상기할 때, 전장의 규율로 인한 혁신을 자연스러운 과정으로서 받아들이게끔 했던 방송소설 내부에도 의식적/무의식적으로 그간 영위해 왔던 일상적 삶의 ``관성``을 추구하고자 하는 불순물들이 존재하여 ``일상생활과 전쟁이라는 양면``을 연계시키는 회전축인 프로파간다를 일시 정지시켜 버리는 효과들이 예기치 않게 등장할 가능성이 있음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위 질문들에 대한 해답을 규명하기 위하여, 국민정신 총동원을 위해 만들어진, 총후봉공의 실상을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아 동의 목소리를 빌려 시국에 동조하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은 바 있는 박태원의 방송소설 연작 「꼬마 반장」·「어서 크자」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삼아 전시체제기 프로파간다 매체에 나타난 일상-규율 간의 연속과 불연속을 고찰해 보았다. 이를 통해 박태원이 무관심·회피 ·유흥·향락 등의 소소한 실천/위반으로 대표되는 일상적 대응에 대한 포착을 바탕으로 이 시기 제국의 규율을 전파하고자 하는 프로파간다적 의도와 불균형·불연속을 일으키는 지점들을 연달아 형성하고 있으며, 또한 제국의 의도에 동조하기보다는 오히려 ``불순한`` 것들을 향한 일상적 욕망의 가시화 및 전파에 보다 비중을 둠으로써 일상을 군율(軍律)로서 재조직하고자 했던 ``회전축``으로서의 프로파간다에 일시정지를 가할 수 있 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음을 밝혔다. This article aims at researching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between dailiness-discipline on propaganda media in war basis period with Park Tae Won`s radio broadcasting novels, 「The little captain (꼬마 반장)」·「Let`s Grow (어서 크자)」. After the outbreak of the Pacific War in 1941, the Empire of Japan tried to reorganize daily area such as a family home by infiltration of discipline, to give charges about actual performances served on controlled economics or fostering the young soldiers. And propagandas - Films, broadcastings, literatures, speeches- became very effective method or medium at this time to spread disciplines of national mobilization to children or housewives at home. Especially, the radio media had some appreciable aspects, because it was entrusted with an important mission to be an axis of rotation or lubrication to connect innovation of everyday life and war itself. So radio invited public contests and manufactured some radio broadcasting novels, which had a tendency of propaganda to win listeners everyday life to war footing`s side. But on the considering of conflicting attributes of broadcasting novelson the one hand they was expected to describe direct dailiness to gain listeners sympathy, on the other hand they was expected to inject empire`s discipline to change unfeigned dailiness-, the radio`s goal to show a place that dailiness and discipline became very connected and harmonized was really that attainable? And broadcasting novels as a lubricating oil to go between everyday life and disciplines of war was really that refined? on the recalling of daily life`s conventionalized conservatism, wasn`t there some impurities in broadcasting novels to seek ``inertia`` of life consciously/unconsciously and caused to pause the axis of rotation of propaganda unexpectedly? To investigate answers of above questions, this article analyzed Park Tae Won`s radio broadcasting novels, which has been reviewed like this: it sympathized with current war basis situation and showed some actual pictures of public duty. But through the investigation, this article rather found that Park formated some discontinuous points with the intention of propaganda by capturing of daily responses such as trivial violationsindifference, evasion, entertainment, enjoyment, etc-, and suggested possibility of ``pause`` to propaganda`s axis by exposing and spreading some daily desires for impur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