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RISS
RISS 처음 방문 이세요?
고객센터
RISS 활용도 분석
최신/인기 학술자료
해외자료신청(E-DDS)
RISS API 센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보조공학 서비스를 통해 지역사회에 복귀한 척수 신경 손상 장애인에 대한 사례연구
장우석(W. S. Jang),우성기(S. K. Woo),하소연(S. Y. Ha)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4 한국재활복지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11
부산광역시보조기구센터는 부산광역시장애인종합복지관에서 보건복지부로부터 운영을 위탁받아 2011년 4월 12일에 개소하여 현재까지 3년이 넘는 기간동안 지역 내에서 보조공학과 관련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이를 통해 지역사회 내 많은 장애인이 삶의 질이 향상되고 지역사회 참여가 많아지고 범국민 인식이 변화되고 있는 등 다방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도출하고 있다. 한편 등록 장애인의 대부분이 지체장애인이며 지체장애인 중 가장 높은 비율이 아마 척수신경이 손상된 장애인일 것이라 예측이 된다. 따라서 본 사례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보조기구센터에서 현재까지 서비스를 제공한 많은 사례 중에서 영역별로 제공받을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통해 지역사회에 복귀에 성공할 수 있었던 척수 신경 손상 장애인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일본 자원을 활용한 지역사회 장애인의 보조기구 서비스에 대한 사례연구
장우석(W. S. Jang),박혜리(H. R. Park),하소연(S. Y. Ha)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3 한국재활복지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10
지역사회 장애인, 특히 장애 아동의 경우 바른 착석 자세 영위, 이동, 활동 등 다양한 이유로 인해 휠체어의 사용빈도가 높은 것으로 여러 연구에서 발견할 수 있으나 성장을 고려하지 않은 내구연한과 높은 가격으로 인해 적합한 휠체어를 사용하지 못하고 있고, 보호자의 경제적 부담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부산광역시장애인종합복지관에서는 일본 내 도쿄도와 니이하마시의 지역사회 잉여자원인 중고 수동휠체어를 활용하여 부산 내 지역 사회 장애아동에게 후원하는 해외교류사업을 약 10년째 지속하고 있다. 부산광역시장애인종합복지관 내 부산광역시보조기구센터 개소 이후에 이루어진 2011년도부터 2013년까지의 해외교류사업을 살펴보면 총 65명에게 후원이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해외교류사업을 통해 장애아동의 이동권 향상을 통한 지역사회 참여 및 보호자의 경제적?노동 부담 감소 등의 성과를 가져왔다. 수동휠체어의 국내 도입 과정에서의 까다로운 절차로 인해 사업 확장에 어려움이 많으므로 이에 대한 제도 개선이 이루어진다면 사업을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