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의 10년간 굴절이상과 난시 축 변화

        하나리,유정곤,김재민 한국안광학회 2010 한국안광학회지 Vol.15 No.4

        목적: 본 연구는 한국인 6~80세를 대상으로 10년 동안 굴절이상과 난시축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1999년부터 2009년까지 안과 병원을 내원한 220명(345안)을 대상으로 10년 동안 매년 조절마비 굴절검사를 포함한 현성 굴절검사를 실시하였다. 시력검사는 한천석식 시표를 사용하였다. 결과: 6~10세와 11~20세 그룹의 10 년간 구면등가 굴절력의 변화는 각각 -3.649D와 -2.165D였다. 21~40세 그룹은 굴절이상의 변화가 없었다. 41세에 서 69세까지는 근시 쪽으로 진행이 감소하다가 70세 이상에서는 약간 증가하였으며 원시 쪽으로 진행은 반대 경향 을 보였다. 6~10세와 11~20세 그룹에서는 10년 동안 굴절이상 분포가 근시 쪽으로 진행되었다. 6~10세 그룹에서 중 등도(>-3.01D) 이상의 근시 빈도가 4.8% 였으나 10년 후에는 62.5%를 보였다. 난시 축의 10년 동안 변화는 젊은 층은 직난시를 보였으나 나이가 들수록 도난시 쪽으로 진행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한국인의 굴절이상 변화가 6~20 세 그룹은 근시 쪽으로 진행하다가 70세 이전까지 원시 쪽으로 진행한 후 다시 근시 쪽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난시 축은 40대 이후 도난시 쪽으로 변하였다.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refractive error and astigmatism associated with age in Korean subjects between the ages of 6 and 80 years during 10-year period. Methods: 220 normal subjects (345 eyes) who visited ophthalmic clinic was recruited and followed for 10 years between 1999 and 2009, cycloplegic manifest refraction being performed annually. Visual acuity was tested on a Han's chart. Results: The mean 10-year change in the spherical equivalent refraction (SER) of age 6 to 10 years old and 10 to 20 years was -3.649D and -2.165D respectively. There was no change of refractive error in age 21 to 40 years. The myopic shift decreased with age from 41 up to 69 years but increased slightly in patients 70 years and older; the hyperopic shift showed the opposite trend. The distribution of refractive error over the 10 years in aged 6 to 10 and 11 to 20 years was shifted myopic. The incidence of medium (>-3.01D) to high myopia at age 6 to 10 years was 4.8% and after 10 years was 62.5%. The 10-year change of astigmatism axis was in "with the rule" direction for younger age group and in a "against the rule" direction for older subjects. Conclusions: This study has documented refractive error changes in Korean subjects and confirmed reported trends of myopic shift from age 6-20 years and hyperopic shift before age 70 years and a myopic shift thereafter. The axis of astigmatism turns to "against the rule" after 40's.

      • KCI등재

        일본의 아토피피부염 치료에 대한 최신연구 동향 -식품, 화한의학(和漢醫學) 중심으로-

        하나리,이장천,김기봉,Ha, Na-Lee,Lee, Jang-Cheon,Kim, Ki-Bong 대한한방소아과학회 2012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Vol.26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various treatments in Japan for atopic dermatitis. The treatments on atopic dermatitis from diet modification and kampo medicine were studied for 11 years (from 2001 to 2011). Methods The search database includes PubMed. To narrow the search, the following key search terms were used: 'atopic dermatitis, diet, japan', 'atopic dermatitis, kampo, japan'. The search was limited to the publication date from 2001 to 2011. Results 1. There are 16 studies on atopic dermatitis treatment by using diets - 2 clinical trials and 12 animal experiments. All researches have revealed that diet modification is effective for atopic dermatitis. 2. There are 6 studies on atopic dermatitis treatment by using kampo medicine - 2 clinical trials and 4 animal experiments. All researches have revealed that kampo medicine is effective for atopic dermatitis. 3. There are 4 studies on atopic dermatitis treatment by using herbs - 4 animal experiments. All researches have revealed that herb is effective for atopic dermatitis. Conclusions Most of the animal experiments were using mice, so the studies on safety and effectiveness are needed to be confirmed to human as well. In the future, systematic guidelines and protocols are necessary for clinical trials and development of successful treatments on atopic dermatitis is needed.

      • KCI등재

        근거리 시각매체의 휘도에 따른 조절반응과 조절래그 비교

        하나리,정수아,김현정 한국안광학회 2018 한국안광학회지 Vol.23 No.4

        목적: 근거리 시각매체 주시 시 근시굴절이상 유무별 근거리 시각매체의 휘도가 조절반응과 조절래그에 미치는영향을 비교 분석 후, 조절반응과 조절래그의 관점에서 눈에 부담을 더 야기할 가능성이 있는 근거리 시각매체를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조절기능 이상이 없는 평균나이 22.57±2.07세인 성인남녀 40명(40안)의 대상자들은 11명의 정시안(평균 등가구면굴절력 –0.34±0.22 D)과 29명의 근시안(평균 등가구면굴절력 –3.86±1.69 D)이었다. 근거리시각매체(근거리 기준시표, 프린트용지, 신문용지, 잡지용지, 스마트폰, 모니터) 주시 시 조절반응은 양안 개방형 자동안굴절력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후 비교하였다. 결과: 발광체 시각매체(스마트폰, 모니터) 주시 시 비발광체 시각매체(근거리 기준시표, 프린트용지, 신문용지, 잡지용지)를 주시한 경우보다 조절반응은 낮았으며 조절래그는 높았다. 그리고 정시안에서 근거리 시각매체의 휘도에 따른 조절반응(F=2.622, P=0.033)과 조절래그(F=2.593, P=0.034) 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근시안에서 가장 높은 휘도와 넓은 화면크기를 갖는 모니터를 주시시 조절반응은 1.32±0.26 D(F=5.924, P=0.000)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가장 낮았고 조절래그는 0.90±0.24 D(F=6.007, P=0.000)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가장 높았다. 결론: 근시안이 휘도가 높고 화면크기가 넓은 발광체 시각매체를 주시 시 정시안이 발광체 시각매체를 주시한 경우보다 조절반응과 조절래그의 관점에서 눈에 부담을 더가중시킬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effect of near visual media luminance on accommodative response (AR) and accommodative lag (AL) between emmetropia and myopia, and found out the near visual media to be caused burdensome on eyes in terms of AR and AL. Methods: Forty adult men and women (40 eyes) with ages averaging 22.57±2.07 years, who were not accommodative function disorder. 11 adults were emmetropes (average spheric equivalent power –0.34±0.22 D) and 29 adults were myopes (average spheric equivalent power –3.86±1.69 D). AR was measured and compared by using both eyes open view auto refractometer in the case looking at the near visual media (near standard target, print paper, newspaper, magazine, smartphone, monitor). Results: AR was lower and AL was higher in the case looking at the luminous visual media (smartphone, monitor) than the non-luminous visual media (near standard target, print paper, newspaper, magazine). AR (F=2.622, P=0.033) and AL (F=2.593, P=0.034) among different luminance of near visual media in emmetropes wear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AR was the lowest as 1.32±0.26 D (F=5.924, P=0.000), AL was the highest as 0.90±0.24 D (F=6.007, P=0.000) in the case looking at the monitor with the highest luminance and the widest screen size in myopes. Conclusions: When the myopes looking at the luminous visual media which includes high luminance and wide screen size is considered to be more burdensome on eyes than the emmetropes looking at the luminous visual media in terms of AR and AL.

      • KCI등재

        시표의 유형에 따른 상대가독성이 교정시력에 미치는 영향

        하나리,최장호,김현정 한국안광학회 2015 한국안광학회지 Vol.20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f the relative legibility of optotypes affects the corrected visual acuity in visual acuity test. Methods: After measuring the relative legibility of ‘Landolt ring target’, ‘arabic number target’, ‘alphabet target’ by showing as a single-letter-target in 24 subjects without specific ocular diseases and ocular surgery experience, the relative legibility of 0.8, 1.0, 1.25 row of vision according to type of target in 7 types of chart were compared. After then we compared by measuring the corrected visual acuity according to type of target by using binocular MPMVA test (#7A) in 60 myopic subjects. Results: In 3 types of target the worst relative legibility target was ‘Landolt ring target’ with legible distance of 98.97±4.57 cm and the best relative legibility target was ‘alphabet target’ with legible distance of 108.42±3.46 cm. There was no difference of the relative legibility according to type of chart or visual acuity level in the row of vision if other conditions are the same. In 1.0 and 1.25 row of vision the difference of relative legibility according to type of target was shown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andolt ring target’ and ‘alphabet target’ as −0.07±0.06 (p=0.02) and −0.06±0.06 (p=0.04) respectively. In myopia the difference of corrected visual acuity according to type of targe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andolt ring target’ and ‘arabic number target’ as −0.04±0.02 (p=0.02) and it was especially remarkable in the low myopia. Conclusions: Measuring visual acuity with different optotypes could cause the errors in best vision measurement value because there was difference of the relative legibility according to type of target even though visual acuity level is same in the row of vision. 목적: 본 연구는 시력검사 시 시표의 유형에 따른 상대가독성이 교정시력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특별한 안질환 및 안과 수술 경험이 없는 24명을 대상으로 ‘란돌트 고리시표’, ‘숫자시표’, ‘영문시표’를 단일문자시표로 제시하여 상대가독성을 측정한 후 7종류의 시시력표에서 시표 유형에 따른 0.8, 1.0, 1.25 시력의 시표열의 상대가독성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60명의 근시를 대상으로 양안원용굴절검사(#7A)로 시표 유형에 따른 교정시력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3가지 시표 유형 중에서 상대가독성이 가장 나쁜 시표는 가독거리가 98.97± 4.57 cm인 ‘란돌트 고리시표’였고, 상대가독성이 가장 좋은 시표는 가독거리가 108.42±3.46 cm인 ‘영문시표’였다. 그리고 다른 조건이 동일할 경우 시시력표의 종류 또는 시표열의 시력 수준에 따른 상대가독성 차이는 없었다. 1.0 과 1.25 시력의 시표열에서 시표 유형에 따른 상대가독성 차이는 ‘란돌트 고리시표’와 ‘영문시표’에서 각각 −0.07± 0.06(p=0.02)과 −0.06±0.06(p=0.04)으로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가장 큰 차이가 있었다. 근시에서 시표 유형에 따른교정시력의 차이는 ‘란돌트 고리시표’와 ‘숫자시표’로 측정한 경우에서 −0.04±0.02(p=0.02)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가장 큰 차이가 있었고, 특히 약도근시에서 그 차이가 두드러졌다. 결론: 시표 유형에 따른 상대가독성 차이가 존재하므로 시력검사 시 동일한 시력 수준의 시표열이라도 여러 유형의 시표를 혼용하여 제시할 경우 최고시력 측정값의오차를 유발할 수 있다.

      • KCI등재

        근거리 시각매체의 재질과 글자크기에 따른 조절시스템의 비교

        하나리,김창진,정수아,최은정,김현정 한국안광학회 2014 한국안광학회지 Vol.19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accommodative system (accommodative response andaccommodative lag) according to the material and font size of near visual media that we often encounter in dailylife. Methods: Forty adult men and women aged 20 to 30 who not had specific ocular diseases and refractivesurgery experience were examined to measure and compare the accommodative response according to thematerial of near visual media (print paper, newspaper, magazine, the I-Phone, LCD monitor) and font size (6, 8,10, 12) by using both eyes open-view auto-refractometer. Results: The accommodative stimulus was 2.28±0.11D and the accommodative response was 1.66±0.30 D. The accommodative lag namely the difference betweenaccommodative stimulus and accommodative response was 0.62±0.28 D. The accommodative response accordingto material of visual media using LCD monitor was 1.35±0.26 D (p=0.00) and using the I-Phone was 1.55±0.25 D(p=0.04). Both of them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lower. The accommodative lag using LCD monitor was 0.93±0.24 D (p=0.00) and using the I-Phone was 0.73±0.25 D (p=0.04) and the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higher. The accommodative response and accommodative lag according to font size were not statisticallysignificant (p>0.05). Conclusions: During near working, the accommodative system was more affected bymaterial than font size of visual media. Especially, visual media of non-luminous material (print paper,newspaper, magazine) are considered fewer burdens on eyes than luminous material (I-Phone, LCD monitor) interms of accommodative system. 본 연구는 일상생활 속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근거리 시각매체의 재질과 글자크기에 따른 조절시스템(조절반응과 조절래그)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특별한 안질환 및 굴절교정 수술경험이 없는 20~30세 성인남녀 40명을 대상으로 시각매체의 재질(프린트용지, 신문용지, 잡지용지, 스마트폰, LCD 모니터)과 글자크기(6, 8,10, 12)에 따른 조절반응을 양안 개방형 자동굴절계를 사용하여 측정 후 비교하였다. 결과: 실제 조절자극 유효굴절력은 2.28±0.11 D이고 실제 조절반응 유효굴절력은 1.66±0.30 D로 그 차이인 조절래그는 0.62±0.28 D였다. 시각매체의 재질에 따른 조절반응은 LCD 모니터를 사용한 경우 1.35±0.26 D(p=0.00), 스마트폰을 사용한 경우 1.55±0.25 D(p=0.04)로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조절반응을 보였고 조절래그는 LCD 모니터를 사용한 경우 0.93±0.24 D(p=0.00), 스마트폰을 사용한 경우 0.73±0.25 D(p=0.04)로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큰 조절래그를 보였다. 글자크기에 따른 조절반응과 조절래그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결론: 근거리작업 시 조절시스템은 시각매체의 글자크기보다는 시각매체의 재질에 따라 더 큰 영향을 받으며, 특히 비발광체 재질의 시각매체(프린트용지, 신문용지, 잡지용지)는 발광체 재질의 시각매체(스마트폰, LCD 모니터)보다 조절시스템의 관점에서눈에 부담을 더 적게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 KCI등재

        안과 병원을 내원한 소아 청소년의 10년간굴절이상도 변화 추적연구

        하나리,김현정 한국안광학회 2011 한국안광학회지 Vol.16 No.4

        Purpose: For better understanding refractive error in Korean children and teenagers, a follow-up study on the changes of refractive error was performed in 1~13-year-old subjects for ten years. Methods: Among the people who had visited an ophthalmologic hospital in Seoul to examine the visual acuity and to correct refractive error from 2000 to 2010 years, 223 subjects (364 eyes) having the corrected visual acuity over 0.7 had been investigated the changes of spherical equivalent power of the cycloplegic clinical refraction and manifest clinical refraction from the accumulated medical record data for ten years. Results: The changes of spherical equivalent power for ten years in 1 to 13 years old were shown the highest change at 7-year-old. And annual change of spherical equivalent power was shown the highest change at from 9-year-old to 10-year-old (-0.64±0.64 D) followed by from 8-year-old to 9-year-old (-0.64±0.81 D). Conclusions: The changes of refractive error for Korean children and teenagers aged 1 to 13 years in an optometric practice were shown the tendency to proceeding to myopia with age, especially the largest increase at from 7-year-old to 10-year-old, and this period is important for vision care. 목적: 1~13세를 대상으로 10년간 굴절이상도 변화를 추적연구 하여 한국 소아 및 청소년의 굴절이상에 대한 이해 를 높이고자 하였다. 방법: 2000년부터 2010년 말까지 서울 소재 안과 병원에 시력검사 및 시력교정을 원하여 내원 한 피검사자들(2000년 당시 1~13세) 중 교정시력이 0.7 이상인 223명(364안)을 대상으로 10년 동안 조절마비 굴절 검사 또는 현성 굴절검사를 실시하여 축적된 의무기록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등가구면 굴절력의 변화를 조사하 였다. 결과: 1~13세의 10년간 연령에 따른 굴절이상도 변화는 7세에서 가장 큰 변화를 보였고, 연간 굴절이상도 변 화량은 9세에서 10세가 되는 시점에서 -0.64±0.64 D로 가장 큰 변화를 보이고 그 다음으로 8세에서 9세가 되는 시점에서 -0.64±0.81 D의 근시 쪽으로의 변화를 보였다. 결론: 안과 병원을 내원한 1~13세의 한국 소아 및 청소년 의 10년간 등가구면 굴절이상도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근시 쪽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7세에서 10세까지 가장 크 게 증가하여 이 시기에 관리가 특히 중요하리라고 판단된다.

      • KCI등재

        안과 병원을 내원한 소아 청소년의 굴절이상과안광학 성분간의 상관관계 연구

        하나리,김현정 한국안광학회 2012 한국안광학회지 Vol.17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evaluate visual acuity and refractive state and measure and analyze the components of eye's optical system in children and teenagers. Methods: With subjects of 124 (230 eyes) children and teenagers who had no eye diseases, correlation between the correlation between refractive errors and component's of eye's optical system was investigated. The spherical equivalent power of cycloplegic clinical refraction or manifest clinical refraction(SE), corneal power(CP), corneal radius(CR), axial length(AL), anterior chamber depth(ACD) and axial length to corneal radius (AL/CR) ratio were measured and analysed. Results: the S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AL(r = −0.80, p = 0.00), the ACD(r = −0.35, p = 0.00) and the CR(r = −0.11,p=0.00)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CP(r = +0.11, p=0.00). The A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AL/CR ratio (r = +0.84, p = 0.00), the ACD(r = +0.47, p=0.00) and the CR(r = +0.38, p = 0.00)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CP(r = −0.38, p=0.00). The CR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P(r = −1.00, p = 0.00), the AL/CR ratio(r = −0.19, p = 0.00) and the ACD(r = −0.06, p = 0.39). The CP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AL/CR ratio(r = +0.19, p = 0.00) and the ACD(r = +0.06, p = 0.39). The AC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AL/CR ratio(r = 0.53, p = 0.00). Conclusions: the highest change of refractive errors was shown that the AL/CR ratio was a very important indicator for diagnosing the refractive errors of the children and teenagers. 목적: 4~17세의 소아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굴절이상과 안광학 성분간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여 한국인의 소아 굴절이상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방법: 2010년 10월부터 2011년 2월까지 서울 소재 안과 병원에 내원한 교정시력이 0.7 이상으로 4~17세인 124명(230안)을 대상으로 조절마비 굴절검사 또는 현성 굴절검사를 실시하여 축적된 의무기록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등가구면 굴절력으로 굴절상태를 조사하고 IOL Master를 이용하여 안광학 성분을 측정하였다. 결과: 굴절이상도와 안광학 성분의 상관관계 연구에서 굴절이상도는 AL/CR(axial length/corneal radius) 비와 −0.92 음의 상관관계(p=0.00)를, 안축의 길이와는 −0.80 음의 상관관계(p=0.00)를, 전방 깊이와는 −0.35음의 상관관계(p=0.00)를, 각막 굴절력과는 −0.11 음의 상관관계(p=0.12)를, 각막 곡률반경과는 +0.11 양의 상관관계(p=0.11)를 보였다. 안축의 길이는 AL/CR 비와 +0.84 양의 상관관계(p=0.00)를, 전방 깊이와는 +0.47 양의 상관관계(p=0.00)를, 각막 굴절력과는 −0.38 음의 상관관계(p=0.00)를, 곡률반경과는 +0.38의 양의 상관관계(p=0.00)를 보였다. 각막 곡률반경은 각막 굴절력과 −1 음의 상관관계(p=0.00)를, AL/CR 비와는 −0.19 음의 상관관계(p=0.00)를,전방 깊이와는 −0.06 음의 상관관계(p=0.39)를 보였다. 각막 굴절력은 AL/CR 비와 +0.19 양의 상관관계(p=0.00)를,전방 깊이와는 +0.06 양의 상관관계(p=0.39)를 보였다. 전방 깊이는 AL/CR 비와 +0.53 양의 상관관계(p=0.00)를 보였다. 결론: AL/CR 비는 안광학 성분들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눈의 굴절이상을 예측하는데 AL/CR 비가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Morphological and molecular finding of Longicollum pagrosomi (Acanthocephala: Pomphorhynchidae) in cultured red sea bream from Korea

        하나리,홍의주,류시윤,심철호,채준석,김현철,박진호,최경성,유도현,박배근 한국동물위생학회 2017 韓國家畜衛生學會誌 Vol.40 No.3

        Acanthocephalan worms were harvested from the posterior intestines of the cultured marine fishes from January to July 2016 in a fish market located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Republic of Korea. Totally 450 cultured fishes (rock fish 100, olive flounder 250, red sea bream 100) were surveyed. Of the 100 red sea bream fish, 37 fishes (37%) were diagnosed as positive for Longicollum pagrosomi by light, electron microscopic and molecular examination. The number of worm was 25∼78 (mean 51±13). However, we can’t found any worm from the cultured rock fish and olive flounder. After sequencing, none of Pomphorhynchidae family are not identical based on 18S rRNA gene, and this data were identified with the first report for 18S rRNA gene sequence of L. pagrosomi. Furthermore, we confirmed that L. pagrosomi of the cultured red sea bream in Republic of Korea is very common parasite.

      • KCI등재

        서울 시내버스 노선도에 관한 연구

        송민정 ( Min Jung Song ),하나 ( Ha Na Gu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6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4 No.-

        대중교통 수단인 버스는 노선도를 통해 정보를 주고 받으며, 짧은 시간에 정확한 정보를 이해하기 쉽게 제공하여 이용자들의 편의를 고려해야한다. 본 연구에서 서울 시내버스 노선도 문제점 여부와 개선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국외사례로 대중교통 시스템이 체계화되어있는 국외나라 중 미국 뉴욕, 프랑스 파리, 영국런던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서울 시내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검증하고 현재 서울 시내버스 노선도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법을 알아보았다. 이용자들이 노선도를 이해하기어려운 요소로 하나의 노선에서 두 개의 노선으로 나뉘어졌다 다시 합쳐지는 레이아웃을 꼽았고, 타이포그래피의 여백, 크기에 대한 가독성 결여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했다. 시내버스 노선도에 주변지명을 표기하면노선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또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노선도 U자형과 I자형에 대한 차이점은 과반수이상의 사람들이 모르고 있음을 알 수있었다. 현재 서울 시내버스 노선도 개선을 위해 하나의 노선도 유형으로 통일시키고, 하나의 노선 레이아웃으로 하고 타이포그래피의 가독성을 높여 시각적 정보혼란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서울 시내버스 노선도 개선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바람이다. A bus as public transportation is a means of transport, exchanging information through the bus route map; the providers need to consider the convenience of users with providing precise information and data the users can easily understand in a short period of time. In this study, the city of New York the United States, Paris France, London England where they have systematized public transportation had selected as foreign cases and analysed the cities in order to look into the problem of Seoul’s city bus route map and the improvement way for the problem.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rough the survey had verified targeting on the users who take Seoul``s city bus and figured out the problem of the current route map of Seoul’s city bus and the improvement way. The users pointed out the layout, which one line is divided into two lines and the lines are combined later, as the difficult element when they try to understand the map. And they mentioned the problem on the lack of legibility of the size and margin of typography. The marking area information on the route map of the city bus will help the users to understand the route. In addition to that, The majority of users don’t know the difference between the route map of Type U and Type I which are currently used. In order to improve the current route map of Seoul’s city bus, the providers have to unify them into a single route map type and a single route layout and minimize the visual information confusion with enhancing the legibility of the typography. Hope to help with the improvement of the route map for the Seoul’s city bus later through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