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전 체재에서 본 『국한문신옥편』의 한국자전사적 위상

        하강진(Ha Kang Ji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8 동양한문학연구 Vol.50 No.-

        이 글은 한국 자전의 역사를 통시적으로 서술하려는 장기적 목표 아래 일차적으로 근대 이후부터 광복 이전까지 출간된 자전들의 흐름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근대 자전의 시작은 1908년 편찬된 정익로의 『국한문신옥편』인데, 前史에 해당되는 『전운옥편』의 단점을 개선함으로써 새롭게 부상한 민중들의 요구에 부응했다. 표제자는 『전운옥편』에 비해 5자가 늘어났고, 일부 부수 배열을 달리해 독자성을 갖추었다. 발음정보로 현실음을 많이 채택했고, 특히 부록의 「음운자휘」 색인은 자전의 고유한 특색을 갖추게 했다. 초판의 부분적 오류나 미비한 내용은 그 이후의 판본들에서 수정했을 뿐만 아니라 『정정증보 신옥편』에 이르러서는 총 표제자 수가 「보유」 한자 6,012자를 합쳐 17,021자로 확대되었다. 이러한 판본별 체재변화는 우리나라 자전 출판의 後史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디딤돌이 되었다. 지석영의 『자전석요』(1909)는 『국한문신옥편』의 부수 배열 순서를 그대로 수용했고, 최초의 한일 대역자전인 박중화의 『일선대자전』(1912)은 표제자의 미시정보 제시 방식이 그것과 동일하다. 또 현공렴의 『한선문신옥편』(1913)은 『정정증보 신옥편』의 판식과 부수별 표제자 배열 방식이 같으며, 1918년에는 『국한문신옥편』과 흡사한 음부를 합편해 자전 체재를 개선했다. 또한 포켓판 초기 자전인 박건회의 『한일선 회중신옥편』(1914)과 이종정의 『한일선신옥편』(1916)도 부수 배열순서나 표제자의 의미정보가 매우 유사하다. 특히 대다수 한일 대역자전의 ‘부음고’ 체재와 부수배열 방식은 정익로의 『국한문신옥편』에 원천을 둔 것으로 일제강점기 때 출간된 자전 체재의 한전형을 이루었다. 최남선의 『신자전』(1915)은 별개이지만, 유한익의 『자림보주』 (1921)는 『국한문신옥편』과 같은 미시정보 제시방식을 취했다. 이처럼 광복 이전 여러 형태의 자전들은 출판 시대환경에 발 빠르게 대응해 정익로의 『국한문신옥편』에 내재된 자전적 결점을 개선하는 한편 그 체재의 장점을 다양하게 수용함으로써 독자들의 지식 욕구를 충족시키고 한자문화권의 원활한 언어 소통에 크게 기여했다. The paper aims investigate the flow of Sino-Korean dictionaries published in modern age until the liberation, with the bigger goal of unfold diachronic depiction of history of Sino-Korean dictionary. The beginning of modern Sino-Korean dictionary is a Gookhanmun-shinokpyeon, which was completed in 1908 by Chung Ik-Ro(鄭益魯). By improving previous version called Jeonun-okpyeon(全韻玉篇), it responded to the demands of newly emerging populace. Compared to Jeonun-okpyeon, Gookhanmun-shinokpyeon increased the number of title by 5 characters while equipping own identity by differentiating the arrangement of some radicals. A lot of real sounds is adopted as pronunciation information, and particularly the Phonetic Alphabet index of Appendix is featured with a unique dictionary characteristics. Although first edition had minor errors and limited contents, later editions not only revised them but also expanded the number of headings. When it came to the Jeongjeongjeungbo-shinokpyeon(訂正增補 新玉篇), the total number of titles was expanded to 17,021 by joining 6,012 characters of possessed . Each edition s change in format acted as an important stepping stone for forming the post history of Sino-Korean dictionary. Jajeonseokyo(字典釋要), which was written in 1909 by Ji Seok-young(池錫永) s, accepted the exact order of side-by-side arrangement of the Gookhanmun-shinokpyeon. Ilseondaejajeon(日鮮大字典), which was the first Korean-Japanese dictionary written by Park Joong-hwa(朴重華) in 1912, adopted the exact method of presenting micro-data for titles. Hanseonmun-shinokpyeon(漢鮮文新玉篇), which was written by Hyun Gong-ryeom(玄公廉) in 1913, uses the same title arrangement method for each radical with Jeongjeongjeungbo-shinokpyeon. Moreover, two pocket-sized dictionary Hanilseon-heijung-shinokpyeon(漢日鮮懷中新玉篇) written by Park Geon-hei(朴健會) in 1914 and Hanilseon shinokpyeon(漢日鮮新玉篇) by Lee Jongjeong(李鍾楨) in 1916 shares similar radical arrangement method and meaning contents of the title. In particular, Bueum Go(部音考) system and radical arrangement of Chung Ik-ro used in Gookhanmun-shinokpyeon were widely adopted, which later had formed a type of epitome for most Korean-Japanese dictionaries published in Japanese colonial era. Although Choi Nam-seon(崔南善) s Sinjajeon(新字典) published in 1915 was excluded, Jalimboju(字林補注) by Yoo Han-ik(劉漢翼) in 1921 adopts the same contents presentation method of Gookhanmun-shinokpyeon. These dictionaries emerging after the independence have been changing rapidly according to the fast-changing world of publication while improving the defects inherited from Gookhanmun-shinokpyeon by Chung, Ik-Ro, as well as while accepting the strengths of the system in various ways. By doing so, it not only satisfied the reader s need for literary comprehension but also made great contribution in facilitating communication in the cultural area of Chinese characters.

      • KCI등재

        대학 홍보요인의 인식경로가 대학의 지원과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하강진 ( Jang Jin Ha ),문재영 ( Jae Young Moon ) 한국품질경영학회 2013 품질경영학회지 Vol.4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at university advertising and PR which are five factors influence on prep students are choosing university. Methods: The collected data through the survey using causal effect relationship.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university advertising positive influence on choosing university. Especially, high school visiting and recommend of home room teacher are strong influence on the university choosing Conclusion: Today, regional universities are now intense competition between schools to attract students. Thus they must suggest short-and long-term strategy, vision of university, IEP,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international program and others for prep students through university advertising and PR.

      • KCI등재

        표제어 대역 한자어의 탄생과 『한불자전』의 가치

        하강진(Ha, Kang-Jin)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코기토 Vol.- No.80

        제6대 조선교구장을 지낸 프랑스 신부 리델(F. C. Ridel)의 『한불자전(韓佛字典)』은 최초의 본격적인 대역사전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사전은 1864년 착수해 1880년 일본에서 출간되기까지 무려 17년이나 걸렸다. 리델로부터 간행 위임을 받은 코스트(Costé) 신부가 도일(渡日)한 해가 1878년이었으니, 일본에서조차 두 해를 힘들게 보냈다. 사전 발행자는 레비(C. Lévy)로, 발행소는 그가 운영하던 ‘레코 듀 쟈퐁(L’Écho du Japon)’ 신문사였다. 그런데도 이제껏 사전 발행자를 발행소로 잘못 알고 학계에서 이를 재생산해 왔다. 사전학에서 일차문헌에 대한 실증 작업이 그만큼 중요함을 알게 한다. 『한불자전』은 사전 편찬사에서 또 다른 중요한 위상이 있다. 첫째, 대역(對譯) 한자어를 병기(竝記)한 ‘표제항 구조’는 근대기 이중어사전으로서는 최초의 시도이자 이와 같은 사전 발간 전통의 기원을 이룬다. 여타 사전과는 달리, 이 사전의 표제항은 ‘한글 표제어, 로마자 발음 정보, 한자어 정보, 프랑스어 뜻풀이 정보’ 순서로 배열되어 있다. 편찬자는 한글 표제어와 이에 대응하는 프랑스어 번역 사이의 의미 차이를 최대한으로 좁히기 위해 대역 한자어를 표제항에 병기한 것이다. 둘째, 표제항에 당대 생활세계의 특성을 반영한 어휘를 대거 수록하고 있다. 담배와 법률의 범주에 속하는 어휘가 대표적이다. 이는 편찬가가 천주교 신자를 포함해 기층 민중의 현실을 생생하게 묘사하고 선교사들이 처한 절박한 상황을 담아내려는 의도를 반영한 결과다. 셋째, 대역 한자어는 표제어가 한자어인 경우 그 한자를 그대로 가져오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의미나 발음 정보가 유사한 한자로 대체했다. 리델의 뛰어난 언어 감각과 문자 지식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비규범적 조어와 독자적 용법은 종래의 한자어는 물론 중국어와도 다른 자신만의 독특한 번역 행위였다. 넷째, 대역 한자어의 선택이 구어 외에 조선의 주요 문헌을 두루 참조한 결과라는 점에서 전문적이고 체계적이다. 이를 속담 자료와 조선후기 조재삼의 『송남잡지(松南雜識)』 사례로써 확인했다. 또한 리델은 한국 고유한자에 주목해 관련 어휘를 다수 등재해 대역사전의 개성을 더욱 확보했다. 마지막으로, 일부 대역 한자어에서 보이는 한자 표기 오류는 인쇄단계 직전까지 거르지 못한 데서 발생된 사소한 것이기는 하나 사전을 본격적으로 활용할 때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DICTIONNAIRE CORÉEN-FRANÇAIS(『韓佛字典』) from French priest Riedel(Felix-Clair Ridel) is the first full-fledged bilingual dictionary. This dictionary was launched in 1864 and it took 17 years to be published in Japan in 1880. Priest Costé received the delegation of the publication from Riedel went to Japan in 1878. In other words, even it took two years in Japan. Dictionary publisher was Levi(C. Lévy) and the dictionary publishing office was the record producer Echo of Japan(L’Écho du Japon) newspaper that he had been operating. But it had mistaken the dictionary issuer to the publishing office, even academic circles has been reproduced on this fact. It shows that empirical work on the primary literature in lexicography was so important. DICTIONNAIRE CORÉEN-FRANÇAIS is an important phase in the lexicography. First, the title structure is the written(竝記) bilingual edition(對譯) of Chinese character, which was the first attempt as a bilingual dictionary and it became the origin of the dictionary published. Unlike other dictionaries, dictionaries of this title structures are arranged in ‘Hangul headwords, roman pronunciation information, Chinese character information, the meaning of French’ order. Unlike other dictionaries, the title of the dictionary are arranged in Hangul Headwords, roman pronunciation information, Chinese character information, the French interpret information procedure. Compilers are meant to narrow the differences between the French translation corresponding to the Hangul Headwords to the fullest, the bilingual edition was recorded as Chinese character in the title section. Second, many vocabulary words are included in headwords and those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life in the world. In particular, the words have relevance to the category of tobacco and a legal. These results reflect lexicography’s intentions to depict the life of Catholics and people vividly and capture the desperate situation facing missionaries. Third, If Headwords a Chinese character, Chinese character in bilingual edition was recorded as Chinese. Otherwise, the meaning and pronunciation information was replaced by a similar Chinese characters. non-normative grammatical particle built on excellent knowledge of the language from Ridel was the act of translating the Chinese character and traditional Chinese in his own unique way. Fourth, the Chinese character in bilingual edition is professional and systematic as it referred to the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thoroughly. A major source of Chinese character in bilingual edition was Songnamjabji(『松南雜識』) of JoJaesam in the late Joseon period. And focuses on the specific Chinese character, it has a characteristic as it recorded many related vocabulary. Finally, the clerical error of Chinese character in bilingual edition requires careful attention when you use the dictionary.

      • KCI등재

        필사본 「조생원전」의 이본 유형과 담론 변이의 특징

        하강진(Ha, Kang-Jin) 한국문학회 2020 韓國文學論叢 Vol.84 No.-

        계모형 가정소설의 대표 작품의 하나인 필사본 「조생원전」에 대한 연구가 여러 방면으로 진행되었지만, 이본에 대한 심층적 연구는 미흡한 점을 발견했다. 이러한 문제 시각에서 총 43종 이본을 대상으로 선본을 결정하고, 종결부가 아닌 중심사건을 중심으로 이본 유형의 재설정과 작품 분위기나 서사 전개에 영향을 주는 담론 변이의 주요 양상에 주목했다. 이를 위해 작품 9편을 입력해 통계 처리하는 방식을 택했다. 「조생원전」의 이본들은 19세기부터 1962년 사이에 생산되었고, 작품 배경은 1830년대로 추정했다. 실제 입력한 9편의 작품을 기준으로 최다 분량은 박순호 54장본이고, 최소 분량은 율곡기념도서관 32장본(갑인본)으로 배 이상의 차이가 난다. 또 텍스트의 물리적 성격과 서사 담론 비교를 통해 장서각 40장본, 김광순 62장본, 박순호의 40장본(임인본)·50장본·54장본·55장본, 박태상본, 하강진 29장본, 율곡기념도서관의 25장본·28장본·31장본·32장본(갑인본)·42장본·74장본이 선본임을 알 수 있었다. 중심 사건의 담론 변이를 기준으로 서사 구조는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분류 기준은 조생원의 꿈속에 망처가 등장해 가사를 잘 처리하라는 화소와 조천행이 조부를 찾아 나선 길에 한양에서 봉사를 만나 예언을 듣는 화소의 병치 유무이다. Ⅰ유형은 봉사가 등장하지 않는 경우이고, Ⅱ유형은 봉사가 등장하는 경우이다. 동일 유형의 이본들도 서사담론의 특징에 따라 더 세분화된다. 작품 분위기와 서사 전개에 영향을 주는 담론 변이는 필사자의 서사 의식이나 언어 지식에 기인하는데, 이본의 분량 차이가 발생하는 주된 요인이 되었다. 그 특징을 사건 전개의 합리성 추구, 세부 장면의 사실성 강화, 지역 명소의 장소감 표출, 고전 지식의 이해도 편차, 서민 계층의 해학적 정서 등으로 나눌 수 있었다. 이본의 변이 양상은 동일한 저본이나 다른 이본, 인접 갈래의 작품을 복합적으로 수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했다. 이러한 상호텍스트성은 이본의 계보를 설정하고, 텍스트를 정밀하게 읽는 근거를 제공한다는 사실이다. 이본 연구는 한 작품을 치밀하게 분석하거나 다른 고소설과 비교할 때 합당한 작품을 선택하는 기초가 됨을 강조하고자 한다. The Different versions(異本) of manuscript version(筆寫本)’s Josaengwon-jeon(조생원전) were produced between the 19th century and 1962, and the content of the work was set in the 1830s. As a result of actually entering the work, the difference between the largest and the smallest is about 13,000 characters. The Reliable version(善本) could be selected by comparing the physical nature of the text with the narrative discourse. The discourse variation of the central event was divided into two types based on the analysis. And the discourse variation affecting the mood of the work and the development of the narrative is due to the narration consciousness or language knowledge of the scripter, and it has become the main factor that causes the difference in volume of the book. The characteristics could be divided into pursuit of rationality in the development of events, strengthening the realism of detailed scenes, expressing a sense of place in local attractions, deviation in understanding of classical knowledge, and humorous emotions of the common people. Different version s pattern of transformation occurred in the process of accepting works of the same or different versions and adjacent branches. This intertextuality establishes the genealogy of different version and provides the basis for reading the text precisely. This study intends to emphasize that it is the basis for selecting a suitable work when analyzing one work closely or comparing it with other novels.

      • KCI등재

        초엄선사 「三花傳」의 작중인물과 공간의 실체

        하강진(Ha, Kang-Jin) 한국문학회 2011 韓國文學論叢 Vol.59 No.-

        초엄선사가 지은 「삼화전」은 불가(佛家)의 전 문학의 양상을 고찰하는 과정에서 최근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등장인물들의 성격을 의인화된 대상물로 규정하거나 공간배경을 초엄의 실제 삶과는 밀착되게 해석하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지금까지 잘 알려지지 않은 초엄선사의 생애를 재구성하고, 이를 연결고리로 삼아 작품 내적 세계의 성격을 새롭게 규명하고자 했다. 초엄선사는 1828년경 영남의 고성에서 박씨 가문의 아들로 출생했는 데, 적어도 1843년 출가하여 이듬해 고성 옥천사에 득도(得度)했다. 그리고 늦어도 1852년 이후 박치복과 강위에게 시문을 익혀 명성을 얻었다. 하지만 세상에서 제대로 인정받지 못했고, 불교 경전을 철저히 강학하고 무주(無住)의 참선을 수행하여 심오한 불교 진리를 깨달았으며, 말년에는 전국 산천을 주유하며 무아(無我)의 대 자유를 누리다가 1880년대 이후 변방의 사막에서 입적한 것으로 보인다. 「삼화전」은 작가가 삼화로 대칭된 탁전(托傳)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주인공 삼화와 이를 둘러싼 여러 보조인물이 모두 역사적 실존인물들임을 주목해야 한다. 이를 간과할 경우 「삼화전」을 가전(假傳)적 성격으로 보고 인물들을 의인화된 학, 소나무, 화초, 대나무 등의 자연물로 치환해 버리는 논리에 이르기 때문이다. 작품 내에 설정된 공간도 모두 실재한 현장으로서 삼화가 계기적으로 구도한 장소라는 사실이다. 「삼화전」은 평범하고 완고했던 개인이 원숙한 불교 각성자로 변모하기까지의 내면 변화를 묘사하고 있다. 삼화의 각고의 구도 과정에 매개된 실재 인물과 공간을 차례로 나열함으로써 내면 체험의 진실성을 독자들에게 제공하고자 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new interpret the world figured in the work of the Samhwajeon(三花傳) which reflected reality and to standpoint lifetime of Choeomseonsa(草广禪師) who is self-praise the Samhwajeon. The Choeom who was born about 1828 Park’s family in Gohseung(固城), Young Nam(嶺南). He had became a Buddist monk at the Okcheonsa(玉泉寺) in 1843. When he was young, he learned poetry and prose from Park, Chi-Bok(朴致馥) and Kang, Ui(姜瑋). But he was unappreciated and undervalue. The Choeom realized the truth of Buddhist his latter year after that he make a trip around the country to enjoy the enduring spirit of freedom and pass away enter Nirvana 1880s in desert of rural outpost. The seokjeonjeonho(石顚鼎鎬) praised Choeom highly for one of the poets of monk then he was regulation to equalized level of Choiseonsa(草衣禪師). He was gathered Choeomyugo(草广遺稿) to catch Choeom’s who was contribution of the latter part of the Choseon Dynasty inner space attention. The Samhwajeon which is the front part of Choeomyugo was nominated as a main character. However we watched secondary characters who were historical characters. If we passed over, secondary characters simply awareness natural objects which are crane, pine tree, flower, and bamboos pace of book as well. And spaces as a religious life in the work are real existence. The Samhwajeon was described individual who is main character from conventionalist to reached nirvana. The motivation of autography of Choeom is provide inner honest and to find characteristic which is type of writing Buddhism.

      • KCI등재

        백산 안희제의 가학 전통과 유람시

        하강진(Ha, Kang-Jin) 부산경남사학회 2017 역사와 경계 Vol.102 No.-

        『나라사랑』19집에 수록된 『백산시초』는 백산(白山) 안희제(安熙濟)가 구국운동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기 전에 지은 한시(漢詩) 모음집이다. 그의 자찬 문헌이 희소한 실정에 비추어 귀중한 사료로 평가된다. 백산 문헌에 대한 실증적 검토가 아직도 미흡하다는 문제 시각에서 『백산시초』의 원전비평적 연구를 처음으로 시도함과 아울러 한시의 의미를 고찰했다. 백산은 20세기 초 전후로 활발했던 가문의 문집 출판 분위기 속에서 대대로 전수된 충효정신의 가학(家學)을 내면화하며 성장했다. 1903년 백산은 결혼한 지 만 4년째인 19세 때 사돈집안의 어른인 장석신(張錫藎)이 주도한 두 차례 유람에 참여했다. 당시 동행자들의 한시가 장석신의 『남유록(南遊錄)』에 두루 실려 있는데, 1975년 외솔회에서 그중 백산 시만을 뽑은 것이 『백산시초(白山詩抄)』이다. 기존 연구에서 편집자 <해설>을 그대로 수용한 탓에 유람 여정, 여행단의 규모, 백산 시의 총량 등의 오류를 답습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이는『남유록』의 텍스트 성격을 미처 파악하지 못한 결과로, 『남유록』에 합편된 「동범록(同泛錄)」과 「두류산동유록(頭流山東遊錄)」(「쌍계동유록」 포함)을 분리하지 않고 연속적인 유람 기록으로 인지한 까닭이다. 두 차례 유람은 장석신이 주도했지만 여행 주체와 여행 장소가 상이하고 한 달 여 간격으로 따로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백산의 유람시(遊覽詩)를 순차적으로 재구성해 보았다. 장석신이 유람 때마다 백산을 대동한 것은 그가 호연지기를 함양하고 참된 선비 모습을 체득하게 하려는 배려였다. 백산은 유람단 일행으로 적극 동참해 시재를 능숙하게 발휘했고, 한시 창작을 통해 학문 탐구의 근본 자세와 결기 있는 선비 정신을 가슴 깊이 새기는 계기로 삼았다. 이는 전통 가학의 문학적 실천이다. 백산의 기행 한시는 을사늑약 이전 사회적 성취를 진지하게 모색하던 그의 수학기 생애를 추적하는 데 상징적 문헌이 된다는 사실에 더욱 주목해야 할 것이다. 백산 안희제 연구에서 중요한 과제는 새로운 자료 발굴이다. 이에 못지않게 기존 텍스트에 대한 철저한 원문비평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Baeksan Sicho〉 is a Korean Hansi, the Korean poetry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collection of Ahn Hui-je, pen name Baeksan, written before he actively take a part in the Korean resistance movement. This is included in the 19th book of 〈Narasarang〉. Due to the scarcity of Baeksan’s literature, it is evaluated to be a valuable data. In light of the problem that empirical examination on Baeksan’s literature is still insufficient, this paper aims to critically examine the original text of 〈Baeksan Sicho〉 for the first time while contemplating the meaning of the Hansi. Baeksan grew up internalizing the family philosophy, which was the spirit of loyalty and filial piety, in the atmosphere of the literature publication family who were active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1903, Baeksan participated in two journeys organized by Jang Seo-ksin, one of the elders in the family of his wife. He was 19 years old and 4th year of his marriage at the time. Jang Seok-sin’s 〈Narasarang〉 contains many poetry of the members of the journey and Oesolhoe selected poems of Baeksan and published 〈Baeksan Sicho〉 in 1975. In the preceding researches, editor’s commentary was taken in as the facts and therefore followed editor’s errors in excursion itinerary, size of the members, and the total number of Baeksan’s poems. It was the result of inadequat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Narasarang〉 which is failing to separate 〈Dongbumrok〉 and 〈Dyuryunsandongyurok> (inluding 〈Ssaynggyedongyurok〉) and took them as the continuous records of a journey. Two trips were indeed organized by Jang Seoksin but the members and place were different and trips were about a month apart. This paper reconstituted Baeksan’s travel poetry with these analysis on the basis. It was Jang Seok-sin’s care for Baeksan when he accompanied Baeksan in every one of his trips. He wanted Baeksan to develop a great spirit and acquire the true figure of classical scholar, Seonbi. Baeksan was actively involved as themember of the trip while exhibiting his poetic genius. Through composing Chinese poems, he engraved in his hearts the proper attitude of academic exploration, and the righteous mind of a seonbi. This is the literary practice of the family philosophy. Animportant task left in the study on Baeksan, Ahn Hui-je is discovering new data. As importantly, close examination of the existing texts and thorough criticism of the original text should be preceded as well.

      • KCI등재

        한국 최초의 근대 자전 『國漢文新玉篇』의 편찬 동기

        하강진(Ha Kang-Jin) 한국문학회 2005 韓國文學論叢 Vol.41 No.-

        The first edition of the new dictionary of Chinese Characters explained in Korean, Gookhanmun-shinokpyeon(1908), written by Chung, Ik-Ro(鄭益魯, 1863-1928) and introduced into the academic world in the first place through this article, has a very important position in the history of the compilation of wordbooks of Chinese characters explained in Korean. this dictionary was published at first in Korea among dictionaries of Chinese characters. Therefore, the study finds out about characteristics of this dictionary through the analysis of bibliography, complier's life and character, and the motive of complication. The new dictionary of Chinese characters explained in Korean, Gookhanmun-shinokpyeun(國漢文新玉篇), succeeded to the old Chinesecharacter dictionary, Jeonunokpyeon(全韻玉篇). However, it overcame the limitation of Jeonunokpyeon which didn't suggest information about Korean pronunciation and meaning of each Chinese character. It was a modern dictionary of Chinese characters in terms of explaining the pronunciation and meaning of each Chinese character in Korean after arranging title characters according to radicals, and making an index of pronunciation at first in the history of complication of dictionaries of Chinese characters. It was also evaluated as a modern type of dictionary in that it was published by a new printing method to distribute largely. The motive of the compilation of the dictionary could be found out through the compilator's lifetime achievements and evidential data. The compilator expected the popularization of modern new knowledge and the expansion of Christianity by the standardization of the Korean pronunciation and meaning of each Chinese character in order for many Korean people to read various books, written in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together, which were published to meet the demand of educatee who were increased in number suddenly. He also compiled the dictionary to enlighten the ignorant people and inspire patriotism of Korean people for national independence. This indicated that the compilation of the dictionary met the needs of the ages. If the dictionary has a position as a first Korean modern dictionary of Chinese Characters explained in Korean, people should analyse the substantial contents overcoming and succeeding to the traditional Chinese-character dictionaries. In addition, people should analyse the influence of the dictionary to the later dictionaries such as Jajeonseokyo(字典釋要), Hanseonmun-shinokpyeon(漢鮮文新玉編) and Shinjajeon(新字典) in detail. This is a very important assignment in the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dictionaries of Chinese characters explained in Korean. Therefore, further studies will be continued about this.

      • KCI등재

        외래 도서가 한국한문학의 발전에 끼친 영향의 탐색 중국 자전의 수용 양상과 그 의미

        하강진 ( Kang Jin Ha ) 동방한문학회 2016 東方漢文學 Vol.0 No.66

        The author investigated effect of Chinese dictionaries on development of Chinese literature and social culture in Korea. Representative Chinese dictionaries are Seolmunhaeja, Okpyeon, Yonggamsugyeong, Jahui, Jahui-bo, Jeungbo-jahui, Jeongjatong, Gangheejajeon. Among those dictionaries, Jahui-bo supplemented pronunciation and meaning of an entry missed in Jahui. Especially, newly written entry in Jahui-bo had been included Gangheejajeon. This means it should be described as meaningful in history of development of Korean dictionary. Jeungbo-jahui restored original footnotes, which Jang Ja-Yeol(張自烈) had eliminated in Jahui, and got distinctive characteristic in terms of footnote in dictionary by quoting Buddhism, Taoism, and astronomical information. However, Jeungbo-jahui never mentioned in history of Korean dictionary, even though it was published several times in China. Moreover, it is assumed that Jeongjatong is written depends on manuscript, which Jang Ja-Yeol enlarged 『Jahui』, rather than improve rough information on Jahui. Imported Chinese dictionaries were spread widely, and utilized to research literature, and create poetry and prose. 『Yonggamsugyeong』is shown on journal of researchers, like Kim Jang-Saeng(金長生) who study ritual protocols(禮學). There is unusual case that Daegwangikhoe-okpyeon published in Gimhae Prefecture(金海府). Jahui used intensively to explain concept, because it is easy to search Chinese characteristics. Jahui-bo, which is supplemented version of Jahui, was mostly quoted to interpret Chinese characteristic, which has unique form. In addition, it is identified that Jeungbo-jahui accepted in Korean literature, though it is hardly known in China. Gangheejajeon was recognized as the most authoritative dictionary, but not accepted unques- tioningly. Therefore, this study reveals that Chinese dictionaries were used as a foundation to enhance practical science(實學) in latter period of Chosen, provided grounds to edit Korean dictionary, sourced to the book which organizes confusing shape of a character, and became the standards to decide the way of using Chinese characters in Korean.

      • KCI등재

        『자전석요』의 편찬과정과 판본별 체재 변화

        하강진(Ha, Kang-Jin) 한국문학회 2010 韓國文學論叢 Vol.56 No.-

        개화 사상가이자 국어학자인 지석영이 편찬한 『자전석요』는 애국계몽기를 대표하는 한자자전 중의 하나로, 근대국어의 발전 단계나 근대 자전의 성립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주목받아 왔다. 하지만 그가 자전을 집필한 동기, 자전 간행의 구체적 과정, 자전의 출판 현황과 현존 실태, 판본별로 발생한 자전의 체재 변화, 구성요소별 변화의 내용 등에 대해 심층적인 접근이 미비했다. 이러한 핵심 주제는 여태 학계에서 논의된 적이 거의 없었다. 본고를 통해 현존하는 판본을 실증적으로 검토하여 새로운 결론을 도출함으로써 『자전석요』 문헌 연구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했다. 19세기말 독서계층이 재편성되자 국가의 공식 문체로 국한문혼용체가 등장하였다. 이 무렵 지석영은 국문의 표기법을 제대로 익힐 수 있는 도구서적으로 자전을 저술하였는데, 자전 편찬은 근대 국가를 성취하는 기획물로서 의의를 부여할 수 있다. 『자전석요』는 1892년 전후 시점에 착수하기 시작하여 1904년 겨울에 초고를 완성할 수 있었으며, 이후 1년이상 세심한 보완 과정을 거쳐 1906년 8월 최종 탈고하였다. 곧바로 인쇄를 위해 정서한 등재본을 학부에 제출하여 1907년 12월 검정을 받은 뒤, 드디어 1909년 7월 중국에서 공식 출간하여 국내에 보급하였다.『자전석요』는 41년간 총 21회 발간되었고, 모든 판본은 대체로 동일한 크기를 유지했다. 수록된 표제자의 경우 초판~14판은 ‘16,306자’이고, 15판~1950년판은 ‘16,310자’임을 새로 밝혔다. 7판부터 검자(檢字)를 삽입했고, 15판부터 권말에 삽도(揷圖)를 첨부하여 독특한 체재를 갖추었다.그리고 판본별로 서문, 저자 사진, 범례, 목록, 발문, 판권지에서 문헌 변화가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인 변화 양상은 시대적 추이, 독자들의 요구, 출판 환경 등을 반영한 결과인데, 각각의 특징적 내용은 유포되고 있는 판본의 종류를 구분할 때 중요한 단서가 된다. 현존하는 『자전석요』는 간행 연혁이나 유통 실적에 비해 수량이 의외로 적고, 이마저도 대부분 서지 상태가 완전하지 않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실태 현황을 처음으로 일일이 조사하여 일목요연하게 제시하였다.본고에서 밝힌 새로운 주제나 기존의 관점을 수정한 내용들은 경우에 따라 보완할 여지가 있을 수 있겠지만, 앞으로 『자전석요』의 내용 고찰이나 자전 편찬의 역사를 기술할 때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The author examined uninvestigated matters in precedent study as a subject in JaJeonSeokYo made by Ji Seok-Young such as written motivation, concrete process of dictionary publication, publishing and present status, format changes generating from editions, componentwise changes, etc. The type of use Chinese characters with Korean appeared as an official format style when reading layers were reorganized in the late of 19th century. Ji made a dictionary that enable people to learn a Korean alphabet properly; this compilation has a great meaning as a monument of modern nation achievement. It is presumed that starting time to set about JaJeonSeokYo was around 1892, a draft was made in 1904 and completion of a manuscript in September 1906. Through the neat writing and official approval in December 1907 it was brought out officially in July 1909. JaJeonSeokYo had been published 21 times for 41 years and its volume was almost same. The author finds that the first editions through 14th edition contain 16,306 entries and 16,310 entries in 15th ~ 1950th edition. Tested-word(檢字) and JeonJa(篆字) was inserted from 7th edition and it had unique features by adding figures from 15th edition. Bibliographical changes occurred in preface, writer’s photo, introductory remarks, contents, epilogue, and colophon. Concrete changes is based on the result of shift of times, reader’s voice, publication environment, this is crucial clue to classify the kind of editions. The number of JajeonSeokYo edition is few surprisingly compared to its publishing achievement and to make matter worse copyright’s condition is not complete. In this article we handle the topic as an actual object and this work will be a great help to study further and explain a bibliography for JaJeonSeokYo.

      • KCI등재

        진주 촉석루 제영시의 제재적 성격

        하강진(Ha, Kang-Jin) 한국문학회 2008 韓國文學論叢 Vol.50 No.-

        촉석루 제영시는 진주 지역의 문학성을 대표하는 문학 갈래로서 인정받고 있다. 촉석루는 역사적으로 흥폐를 반복했고, 누각 존립의 실태에 따라 형상화된 시적 의미도 다양한 편폭을 지니고 있다. 이는 촉석루 시를 이해할 때 치밀한 제재 분석이 전제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제재로서의 촉석루는 누각들의 변천 과정, 누각의 배치 형태, 누각의 심미적 요소 등의 특징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기존의 연구에서도 이를 검토했지만, 결과가 불충분하거나 역사적 실체와 합치되지 않은 점이 더러 있다. 따라서 여러 문헌과 자료를 통해 본고에서 규명한 새로운 결과는 제재 접근에 있어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촉석루는 여러 차례 중수를 거쳤는데, 기존의 경우 일곱 번으로 보고 있으나 1786년과 1887년 두 차례 더 중수가 있었던 사실을 추가로 밝혔다. 이로써 18세기 이후 200여 년간의 중수 공백을 채울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1593년 제2차 진주성 전투에서 성이 함락될 때 촉석루는 전소되지 않았고, 일부가 훼손된 것으로 보는 것이 실제에 부합함을 알았다. 촉석루는 단독 건물로 존재한 것이 아니라 서각과 동각을 부속 누각으로 거느린 웅장한 건물 구조였음을 구체적으로 밝혔다. 흔히 이를 간과하고 있지만, 임란 전까지만 해도 촉석루는 쌍청당과 임경헌을 서각으로, 함옥헌과 청심헌을 동각으로 거느렸다. 부속 누각은 임란 때 모두 소실되었는데, 서각은 끝내 복구되지 않았고, 동각은 곧바로 중수되었다. 이중 청심헌은 적어도 1757년 이전에 벌써 훼철되었고, 함옥헌만 유일하게 존속되다가 20세기 초에 사라졌다. 이는 촉석루 본루만 기억되는 현재의 고정 관념과는 아주 다름을 보여준다. 촉석루는 부속 누각의 존재로 승경에 대한 심미적 흥취가 더욱 배가되었다. 한편 임진왜란의 특수한 경험은 촉석루의 제재 영역을 확장하고 주제의식을 전환시켰다. 즉 왜적에 대한 집단적 적개심, 전후 누각 중건에 따른 희열과 민족 자부심 등은 촉석루 제재에서 발견한 새로운 인식 내용이다. 특히 임진 사적을 대표하는 의암, 의암사적비, 의기사 등에 상징화된 충의 정신은 근대에도 여전히 촉석루 제영시에 적극적으로 수용되었다는 점이다. 의암사적비는 의암 위 언덕의 비각 안에 세워져 있다. 하지만 이 비석은 원래 촉석루의 부속 누각인 동각 위에 건립되었는데, 옛 지도나 개인 일기를 통해서 그 실재를 최초로 입증했다. 이보다 약간 뒤에 나라로부터 사액을 받아 의암 위에 정려각을 건립했는데, 19세기 이후 어느 때에 현 위치로 비석을 이전함으로써 지금과 같은 의외의 형태로 되었을 뿐이다. 이로써 의기 정표로서 의암사적비는 거의 동시대에 정려각과는 따로 존재했고, 애초의 위치는 지금의 장소가 아닌 촉석루 위쪽이었음이 새롭게 드러났다. 촉석루가 역사적으로 변천한 실체에서 보듯이 제재에 대한 치밀한 분석은 작품 해석과 감상의 기초적 단계로서 의의가 있는데, 본고를 통해서 충분히 다루지 못한 부분은 앞으로도 계속 논의할 필요가 있다. The Chok-seok Pavilion(矗石樓) was a subject material of many poems because the Chok-seok Pavilion, located on a cliff beside the Nam River(南江) in Jin-ju(晉州), had an excellent view and historicity at various time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transition process of the Chok-seok Pavilion to appreciate highly literary poems on the Chok-seok Pavilion which is representative of Jin-ju. The Chok-seok Pavilion has been rebuilt nine times since it was founded about the middle of the time of Gor-yeo(高麗) dynasty at first time. Most literatures have described that the Chok-seok Pavilion was totally destroyed by fire during the second Jin-ju castle combat in 1593. It was adequate that the Chok-seok Pavilion was destroyed in part at that time. The Chok-seok Pavilion was a huge scale with annexes. The annexes in the east werethe Harm-ok Pavilion(涵玉軒) and Chungsim Pavilion(淸心軒).There were the Ssang-chung House(雙淸堂) and the Im-kyeong Pavilion(臨景軒) in the west at different periods. The pavilions in the west destroyed by fire during the Im-jin war(壬辰亂) have never rebuilt. The Harm-ok Pavilion continued to exit for about 400 years and, however, was disappeared at the beginning of the 20 century. This fact was mentioned in the article for the first time. The main themes of the poems on the Chok-seok Pavilion were the gusto of refined taste due to the aesthetic characteristic of the Pavilion and the pride of Jin-ju.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3, many poems expressed the collective hostility against the enemy Japan, the delightful feelings about the reconstruction of the Chok-seok Pavilion, and the ethnical pride. This characteristic change of the topics diversified the subjects of the works. The representatives of the characteristic change were specific None-Gae's historical relics(論介事蹟) such as the Public-spirited Rock(義巖),the Monument of the Public-spirited Rock(義巖事蹟碑),the Shrine of Public-spirited Gisaeng(義妓祠). They became the symbolic spaces giving literary men deep impression. Owing to this, the topics of the Chok-Seok Pavilion extended to the integrated image of a beautiful scenery and fidelity to the country and deepened the subjects of the poems on the Chok-Seok Pavil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