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권 해체를 향한 아감벤의 예외상태론

        표광민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1 社會科學硏究 Vol.37 No.1

        본 연구는 아감벤의 예외상태론을 그가 인용하는 두 사상가, 슈미트와 벤야민을 통해 분석한다. 슈미트가 말하듯 예외상태란 개념은, 주권자가 체제의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특단의 조치를 취하는 일시적인 상황으로 정의되어 왔다. 그러나 아감벤은, 현대 정치에서 예외상태는 더 이상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며, 근대 생체권력이 헐벗은 삶을 지배하게 만드는 배경이 되었다고 말한다. 그는 예외상태가 가져오는 무질서 속에서 생체권력이 해체될 수 있다고 생각하며 이 가능성을 벤야민이 제시하는 신적폭력에서 찾고 있다. This article analyzes G. Agamben’s theory of the state of exception by examining the thoughts of C. Schmitt and W. Benjamin. The state of exception has been defined as a temporary situation which demands the significant decision of the sovereign. But Agamben asserts that it is not any more a temporary phenomenon, but became the permanent condition of biopower. He supposes that the chaos, which the state of exception brings, makes possible dissolution of the sovereign power through Bemjamin’s divine violence.

      • KCI우수등재

        정치기획으로서의 미래 : 기대지평들의 융합을 통한 미래의 도출

        표광민 한국정치학회 2022 한국정치학회보 Vol.56 No.5

        이 연구는 미래가 중립적인 시간 개념이 아닌, 정치기획들 사이의 투쟁으로부터 도출되는 정치적 개념임을 주장하려 한다. 정치적 기획이 미래를 도출시키는 과정을 파악하기 위해, 이 연구는 코젤 렉(Koselleck)의 ‘기대지평’ 개념과 가다머(Gadamer)의 ‘지평의 융합’ 개념을 교차시킨다. 기대지 평으로서 하나의 정치기획은 특정한 미래의 모습을 상정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현재의 행위들을 선택한다. 그리고 이러한 정치기획들 사이의 상호 투쟁적 융합을 거쳐 미래의 모습이 형성된다. 이 러한 관점 아래 본 연구는 현재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세 가지 주요 기대지평인 진보적 기대지평, 근대국가적 기대지평, 멸망의 기대지평의 내용과 구조를 분석한다. 이들 기대지평들은 세계화, 정치 적 올바름, 국가주권의 반발, 포퓰리즘, 기후변화, 감염병 위기 등의 구체적인 사안들을 통해 갈등적 융합과정을 거치며 오늘날의 세계정치를 구성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 가운데 진보적 기대지평이 근대국가적 기대지평과 멸망의 기대지평이 제기하는 문제들을 진지하게 성찰할 때, 반성적 재(再)세 계화로서의 미래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한다.

      • KCI등재

        아렌트의 플라톤 비판에 대한 고찰: 목적-수단 논리를 중심으로

        표광민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9 社會科學硏究 Vol.27 No.2

        This study aims to assert that Hannah Arendt's critique on Plato is fundamentally due to the means-end logic of Plato's philosophy. Whereas the existing researches on Arendt have focused her critique mainly on the context of philosophical history, this article focuses on the means-end logic. Human beings have not stopped trying to build utopias on the ground. Plato, who designed the ideal State system with the philosopher-king, is a pioneer in utopia planning. Arendt, however, attempts the emancipation from the truth by founding the essence of politics in the dialogues between citizens. It is because she refuse the penetration of the means-end logic, whose end is the truth, into the political realm. Arendt, instead of the truth, defines the plurality of humans, that they have different ideas, as the essence of politics. This is, in contrast to Plato, an attempt to secure the sphere of politics by liberating politics from the truth. She is trying to find the peculiarity of the politics in the dialogues between different people. 이 연구는 한나 아렌트가 플라톤을 비판한 근본적 이유가 목적-수단 논리에 대한 거부 때문임을 주장하려 한다. 기존의 아렌트 연구가 그녀의 플라톤 비판을 철학사적 맥락에 집중해 설명해 온 것에 비해, 이 글은 목적-수단 논리에 주목한다. 인간은 특정 가치를 목적으로 하여, 지상에 유토피아를 건설하려는 시도를 멈추지 않아 왔다. 철학자 왕을 정점으로 하는 이상적 국가체계를 설계한 플라톤은 유토피아 기획의 선구자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아렌트는 정치의 본질을 대화에서 찾음으로써 진리의 지배로부터 탈피할 것을 요청한다. 진리를 목적으로 하는 목적-수단 논리가 정치 영역에 진입하는 것을 거부하기 때문이다. 인간은 진리의 구체적 내용을 알 수 없다는 절대적 한계를 안고 있다. 아렌트는 진리가 아닌, 인간이 서로 다른 생각을 갖고 있다는 다양성을 정치의 핵심적 특징으로 이해했다. 이는 플라톤과 달리, 정치를 진리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정치의 영역을 확보하려는 시도이다. 그녀는 서로 다른 사람들 사이의 대화 속에서 정치의 본질을 찾으려 하는 것이다.

      • KCI우수등재

        세계내전 개념과 미중갈등: 칼 슈미트의 세계내전 개념이 지닌 현재적 함의에 관하여

        표광민 한국국제정치학회 2023 國際政治論叢 Vol.63 No.3

        본 연구는 칼 슈미트의 ‘세계내전(Weltbürgerkrieg)’ 개념을 고찰함으로써, 세계내전 개념이 미중 갈등에 대한 비판적 접근법으로서의 현재적 함의를 지님을 주장하려 한다. 슈미트의 세계내전 개념은 911테러와 테러와의 전쟁 시기 동안 내전이 세계적 차원의 모순을 응축하고 있다는 점을 드러냄으로써 관심을 모은 바 있다. 그러나 슈미트의 세계내전 개념은 본래 자유주의와 공산주의 등 보편주의 이념에 대한 비판을 목적으로 했다는 점에서, 세계정치의 새로운 문제로 부상한 미중 갈등이야말로 세계 내전 개념을 통한 고찰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미중 갈등에 대한 포괄적 패러다임으로서 세계내전 개념을 제시함으로써, 미국과 중국이 각각 표방하고 있는 보편주의적 담론들이 지닌 잠재적 위험성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키려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우선 내전 개념에 대한 검토를 통해 내전이 한 국가 내부에서 일어나는 투쟁이라는 지리적 의미만을 지니는 것이 아니라, 한 정치공동체의 정당한 시민은 누구인가라는 질문을 제기한다는 점을 살펴볼 것이다. 또한 근대 역사철학에 의해전 인류를 포함하는 개념적 공동체로서의 세계가 등장한 과정을 추적함으로써, 세계 내전 개념이 등장한 배경을 재구성할 것이다. 다음으로 이러한 배경 속에서 등장한 슈미트의 세계내전 개념을 보편주의에 대한 비판이라는 관점에서 검토하려 한다. 슈미트의 세계내전 개념은, 한편으로 보편주의 이데올로기가 스스로의 확산을 역사의 정당한 진행방향으로 여기는 양상에 대한 기술(記述)이며 동시에 보편주의 확산이 역사의 올바른 방향이라는 관념에 대한 비판이다. 자유주의와 공산주의 등 보편주의적 이념이 지구적 차원에서 전체 인류를 정당한 인간과 그렇지 않은 인간으로 구분 하고, 양자 사이의 전쟁인 세계내전을 초래하고 있다는 것이 슈미트의 분석이었다. 이와 같은 세계내전 개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미국과 중국이 각자 제시하고 있는 보편주의 이념의 대립양상을 살펴보고, 미중 갈등이 두 보편주의 사이의 충돌인 세계내전으로 격화될 수 있음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려 한다. This study argues that the concept of world civil war has current implications for critically understanding? the US-China conflict, by examining Carl Schmitt's concept of 'Global civil war (Weltbürgerkrieg)'. Schmitt's concept of global civil war drew attention by revealing that the civil war was condensing contradictions on a global level during the period of the 9/11 terrorism and the war on terrorism. However, given that Schmitt's concept of global civil war originally intended to criticize universal ideologies such as liberalism and communism, the US-China conflict, which has emerged as a new problem in world politics, requires our consideration through the concept of global civil war.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s to raise awareness of the potential dangers of the universal discourses of the United States and China, respectively, by presenting the concept of global civil war as a comprehensive paradigm for the US-China conflict. To this end, this study will first examine the concept of civil war to understand that civil wars not only have a geographical meaning as struggles that take place inside a state, but also raises the question ‘who is a legitimate citizen in a political community?’ In addition, by tracing the emergence of the ‘World’ as a conceptual community that includes all humankind against the backdrop of modern historical philosophy, the background of the concept of global civil war will be reconstructed. Then, we will examine Schmitt's concept of global civil war as a critique of universalism. Schmitt's concept of global civil war is, on the one hand, a description of universal ideology as it regards its own proliferation as the legitimate course of history. Global civil war is, on the other hand, a critique of the idea that the spread of a specific universalism is the right direction of history. Schmidt's analysis was that universal ideologies, such as liberalism and communism, divided the entire human genre into just humans and unjust humans on a global level and led to a global civil war, a war between the two. Based on this understanding of the global civil war, this study examines the universal ideologies of the United States and China that are in conflict?, and criticizes the possible intensification (exacerbation?) of the US-China conflict into a global civil war.

      • KCI등재

        신카이 마코토, 애니메이션으로 돌아온 칼 슈미트 : 슈미트의 카테콘 개념을 통한 신카이 마코토의 재난 3부작 분석

        표광민 한독사회과학회 2023 한독사회과학논총 Vol.33 No.4

        이 연구는 주권자의 비극적 결단이라는 관점에서 독일 정치학자 칼 슈미트의 정치사상과 일본의 영화감독 신카이 마코토의 작품들이 오늘날 인류 위기의 시대에 정치적 함의를 내포하고 있음을 주장하려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신카이 마코토의 영화, 특히 그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재난 3부작 <너의 이름은.>, <날씨의 아이> 그리고 <스즈메의 문단속>을 슈미트의 개념인 예외상태와 카테콘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이를 통해 슈미트의 정치사상이 지닌 현재적 의미를 고찰하려 한다. 20세기 초중반에 등장한 슈미트의 정치사 상 개념과 21세기 초반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감독의 주제의식을 관통하는 것은 세계가 멸망해 간다는 위기의식이다. 슈미트는 적그리스도에 맞서다 패배함으로써 역설적으로 그리스도의 재림을 준비하는 카테콘(저항하는 자)의 형상을 통해 멸망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주권자의 분투를 정당화한다. 예외상태와 주권자의 결단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신카이 마코토는 애니메이션으로 돌아온 칼 슈미트라 할 수 있다. 오늘날 생태위기는 인간 종 전체의 삶을 위협하는 근원적 예외상태가 되고 있다. 지구적 예외상태를 극복할 대안 모색의 한 방편으로서 슈미트의 카테콘 사상이 신카이 마코토의 애니메이션으로 부활한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rgue that German philosopher Carl Schmitt's political thought and Japanese director Shinkai Makoto's films,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ragic decisions of sovereigns, contain political implications in the contemporary era of human crisis. To accomplish this, the study analyzes Shinkai Makoto's films, particularly his notable works, disaster trilogy, Your Name, Weathering with You, and The Garden of Words, utilizing Schmitt's concepts of the state of exception and Katechon, to retrospectively ponder the contemporary significance of Schmitt's political thought. The common perception of global catastrophe permeates both the political concepts of Carl Schmitt emerging in the early to mid-20th century and the thematic concerns of the Japanese anime film director in the early 21st century. Schmitt justifies the sovereign's struggle to overcome the crisis of destruction through the image of the katechon (the withholding one), paradoxically preparing for the return of Christ despite being defeated by the Anti-Christ, accentuating the state of exception and the decision of the sovereign. In emphasizing the state of exception and the sovereign's decision, Shinkai Makoto can be considered as a Carl Schmitt returned in the form of animation. The ecological crisis of today has become a fundamental state of exception that threatens the lives of the entire human species. As a means to seek alternatives to overcome the state of exception, Schmitt's katechon theory has been revitalized through Shinkai Makoto's animations.

      • KCI등재

        주권의 정치와 대화의 정치

        표광민(Kwang-Min Pyo) 한국현상학회 2018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78 No.-

        이 글은 슈미트와 아렌트의 정치사상을 각각 주권중심 정치와 대화중심 정치로 정의내리며, 양자 사이의 비교를 통해 대화가 정치의 본질임을 주장한다. 냉전 종식 이후 신자유주의 경제 질서는 보편가치의 지위를 획득하며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으나, 테러와의 전쟁, 금융위기 사태 등으로 인해 곧 그 한계에 다다르게 되었다. 신자유주의 세계질서를 대체하기 위한 대안 가운데 칼슈미트와 한나 아렌트의 사상이 이론적으로 관심을 모으고 있다. 두 학자는 모두 이데올로기가 추구하는 세계 보편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며, 정치의 본질을 제한된 영역에서 나타나는 공간성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두 사람은 이 정치적 공간을 구성하는 원리를 각각 주권과 대화로 다르게 제시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정치와 인간 공동체의 본질 역시 서로 다르게 바라보게 된다. 이 글은 슈미트와 아렌트가 말하는 정치의 공간성 및 이로부터 각자 전개되는 주권정치와 대화정치의 내용을 살펴보려 한다. 단순 비교를 지양한 비판적 독해를 통해, 이글은 적과 동지의 구분에 기초한 슈미트의 주권정치는 국내정치의 소멸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는 점과 아렌트의 대화정치는 주권정치에 대한 직접적 대안으로 제시되었다는 점을 밝히려 한다. 그리고 이로부터, 정치의 본질은 결국은 폭력이 아닌 대화일 수밖에 없음을 주장하려 한다. This paper defines Carl Schmitt’s political thoughts as sovereignty-politics and Hannah Arendt’s as dialogue-politics, and argues that the dialogue is the essence of politics through a comparison between two authors.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the neoliberal economic order gained universal value and spread worldwide, but it soon reached its limit with the war on terrorism and the financial crisis. Among the alternatives to the neoliberal World order, the ideas of Schmitt and Arendt are of theoretical interest. Both authors question the universality of the World pursued by abstract ideas, and explain the spatial dimension of politics which appears in a limited sphere. However, the two present the different principles of the political sphere : sovereignty and dialogue. This article seeks to examine the spatiality of Schmitt’s and Arendt’s politics, and their sovereignty-politics and dialogue-politics. Through the critical reading beyond a simple comparison, this article argues that Schmitt’s sovereignty-politics, based on the distinction between friend and foe, will lead to the disappearance of domestic politics, and that Arendt’s dialogue-politics is presented as a direct alternative to sovereigntypolitics. And from this, it would be elucidated that the essence of politics is the conversation, not violence.

      • KCI등재

        주권 해체를 향한 아감벤의 예외상태론

        표광민 ( Kwang Min Pyo ) 慶熙大學校 社會科學硏究院 2011 社會科學硏究 Vol.37 No.1

        본 연구는 아감벤의 예외상태론을 그가 인용하는 두 사상가, 슈미트와 벤야민을 통해 분석한다. 슈미트가 말하듯 예외상태란 개념은, 주권자가 체제의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특단의 조치를 취하는 일시적인 상황으로 정의되어 왔다. 그러나 아감벤은, 현대 정치에서 예외상태는 더 이상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며, 근대 생체권력이 헐벗은 삶을 지배하게 만드는 배경이 되었다고 말한다. 그는 예외상태가 가져오는 무질서 속에서 생체권력이 해체될 수 있다고 생각하며 이 가능성을 벤야민이 제시하는 신적폭력에서 찾고 있다. This article analyzes G. Agamben's theory of the state of exception by examining the thoughts of C. Schmitt and W. Benjamin. The state of exception has been defined as a temporary situation which demands the significant decision of the sovereign. But Agamben asserts that it is not any more a temporary phenomenon, but became the permanent condition of biopower. He supposes that the chaos, which the state of exception brings, makes possible dissolution of the sovereign power through Bemjamin's divine violence.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