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산(茶山)의 고거학(考據學)에 관한 시론(試論)

        펑린 ( Lin Peng ) 다산학술문화재단 2005 다산학 Vol.- No.6

        고거학考據學은 중국학술사에서 매우 독특한 학문분야로서 명말·청초明末淸初에 발생하여 18세기 청나라 건가乾嘉 시기에 가장 왕성하였으며, 그 이후의 학술의 진행방향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 중국과 인근隣近한 조선에서 고거학의 상황은 어떠하였는가? 이 글에서는 단지 조선시대 고거학의 대표적 인물인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1762-1836)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양국兩國 고거학의 동이同異를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고문상서古文尙書』가 위작(僞作)이라고 본 『매씨서평梅氏書平』에 대하여 다산은 염약거의 뒤를 이어 전면적으로 매씨의 『고문상서』를 정밀하게 고증하여 종합적으로 부정하였다. 그리고 다산은 『상서』학을 깊이 연구하여 『상서고훈 尙書古訓』 7권과 『상서고훈서례尙書古訓序例』를 저술하였으며 29편의 금문으로 된 『상서』에 대해서 일찍이 그 편에 따라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종합적으로 말해서 매본梅本에 대한 다산의 고거考據방법은 염약거와 완전히 일치하며, 이 점은 건가乾嘉시대 학자들의 범위를 넘어서지는 않는다. 다산은 『상서』학을 깊이 연구하여 『상서고훈 尙書古訓』 7권과 『상서고훈서례尙書古訓序例』를 저술하였으며 29편의 금문으로 된 『상서』에 대해서 일찍이 그 편에 따라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다산은 정현鄭玄의 학문에 대해서도 비판하였다. 정현은 건가乾嘉시대의 고거학考據學에서 최고권위의 지위를 지니며 건가시대의 학술은 정현을 중심으로 삼는다. 그러나 정현의 주에 대한 다산의 공격은 문자의 訓?훈고에서부터 경문의 대의大意에 이르기까지 미치지 않은 곳이 없다. 그의 『경세유표經世遺表』와 『흠흠신서欽欽新書』는 모두 정현에 대한 힐난하고 꾸짖는 것이다. 정현의 주에 대한 다산의 비평은 정확한 견해가 많지만, 정현에 대한 다산의 비평에 오독誤讀과 오판誤判의 현상도 적지 않다. 한편 다산은 문자의 고정考訂에도 힘썼다. 유가의 경전은 상고시대의 작품으로 언어환경은 청대淸代와는 매우 다르며, 경적經籍의 문자는 모두 고음古音·고의古義를 사용하였다. 이른바 고거학考據學이라는 것은 곧 고대문헌의 문자의 형태·소리·의법儀法과 전장제도를 고증하여 경전의 뜻을 발명하는 것이다. 다산은 분명히 금문과 고문의 문제를 의식하여 경중輕重을 충분히 비교하였으며, 경문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깊이 있는 경학연구를 촉진하기 위하여 반드시 독자들로 하여금 한대漢代의 문건들의 동이同異를 분명하게 이해하도록 하였다. 다산처럼 금문과 고문에 충실한 학자는 조선시대에 결코 많지 않았는데, 여기서 그의 경학에 대한 심후한 수양이 반영된 것이다. 이상의 내용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고거학 연구의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명나라가 망한 후에 조선정부와 지식인들은 청나라 사람을 호로胡虜(야만인)로 보아, 청나라의 학문을 중시하지 않았다. 따라서 중원에서 학풍이 크게 변하여 고거학이 대대적으로 발흥하여 일어날 때 조선의 학술계는 성리학이 여전히 주류를 이루어 조선성리학의 특색을 유지발전하고 있었다. 그러나 다산과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등은 고거학의 연구에 몰입하여 조선의 고거학考據學 발전에 중요한 공헌을 하였으나 동시에 그 한계도 있었다. The Evidential Learning of the Ching which appeared in the late Ming and early Ching is a unique field in the Chinese academic history. It was flourishing in the 18th Qian-Jia period, had an influence on the academic course after that. Then, how was the Evidential Learning in Chosun neighboring in China? Through analyzing on Tasan Cheong yagyong(1762~1836)`s Evidential Learning we can understand how different they were. First of all, Tasan made a thorough investigation of MaeSsi(梅색)`s KoMunSangSo(古文尙書) and presented in MaeSsiSoPyong(梅氏書平) that MaeSsi`s SangSo(尙書) was forged, which was same view with Yan ReQu(閻若거) argued that KoMunSangSo made up. Tasan deeply studied SangSo, wrote SangSoGoHun(尙書古訓) seven volumes and SangSoGoHunSoRye(尙書古訓序例). Though the method of evidential proof used by Tasan was totally the same with Yan`s, at this point Tasan was not superior to Qian-Jia scholars. Tasan criticized on Cheong Xuan(鄭玄)`s scholarship. In the Ching Evidential Learning Cheong Xuan was the best scholar. But on the commentary of Cheong Tasan thoroughly disclosed of truth from the commentary of letters to the gist of the classical text. KyongSeYuPyo(經世遺表) and HumHumShinSo(欽欽新書) wrote by Tasan aimed at Cheong Xuan. Tasan`s critique about Cheong`s commentaries relatively corrected, but there were not a few mistakes. In other hands Tasan took pains on the KoJung(考訂- deeply think and correct) of letters. The language of Confucian Classics written in the ancient times is very different with Ching`s. The letters of Classics used old sound and meaning. So Evidential Learning shows up the true meaning of Classics through studying historical evidences like as the form, sound, and style of ancient letters. Tasan clearly was aware of the problems between KumMun(今文) and KoMun(古文), sufficiently compared relative importance and made account of understanding the text. To accelerate the Classical learning he asked for understanding on the differences archives of Han period. Scholars like as Tasan are scarce in Chosun. Especially he was very devoted himself to study Classical Learning. To sum up the characteristics of the Evidential Learning of the Chosun, after the Ming perishes Chosun government and scholars made little account of the Ching`s learning regarding the Ching people as the savages. Consequently when the Evidential Learning made a rise in China, the academic tendency of Chosun still was the Neo Confucianism. Tasan, Chusa(秋史) Kim JungHee(金正喜), and others studied the Evidential Learning, having a contribution to the growth of the Chosun`s, and also they had limi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