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dvancing Korean Law and Society Studies: -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the Korean Legal Profession -

        패트리샤게디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22 성균관법학 Vol.34 No.4

        This essay commemorates the contributions of Professor Emeritus Yang Kun, founder of the Korean Law and Society Association. Professor Yang Kun originally called for the advancement of law-and-society studies in South Korea, emphasizing the need to (1) link law with other disciplines, (2) understand colonial and American influences on Korean legal development, and (3) study the role of the legal profession. This essay surveys the international scholarship that combines these elements. Part II provides a contextual survey of the beginning of Korean law-and-society studies from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Part III presents and critiques prominent scholarship on the Korean legal profession's role in relation to state and society. Part IV addresses a particular dimension of the legal profession, analyzing the understudied phenomenon of public interest lawyering across legal organizations such as public interest lawyer groups, the bar association, private law firms, and law schools. The essay concludes with a call to advance Korean law-and-society studies on this and related areas.

      • KCI등재
      • KCI등재

        Improving the Rights of Detained Asylum Seekers in South Korea

        패트리샤게디 한국학술연구원 2015 Korea Observer Vol.46 No.1

        In the two decades after South Korea acceded to the 1951 Convention relating to the Status of Refugees, South Korea has faced a growing number of asylum seekers. A minority of asylum seekers has been found in detention holding facilities for undocumented migrants. This article asks whether treatment of detained asylum seekers in South Korea complies with international legal norms and the domestic constitutional requirements of due process. Specifically, what is the legal framework governing detention of asylum-seekers in Korea? How are international and constitutional due process standards being applied? How can the rights of detained asylum seekers be improved through legal and practical means? And, what is the legal community doing toward this en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wo-fold. First, it seeks to expose the challenges facing migrant detainees in general and asylum seekers as a particular subset in South Korea. Second, it maps the international and domestic legal frameworks governing detention of asylum seekers and argues that the due process rights of detained asylum seekers must be protected by employing both international human rights norms and domestic constitutional standards.

      • KCI등재

        한미동맹의 전략적 도전과 기회: 중국, 북한, 그리고 한미일 협력

        패트리샤킴 ( Patricia M. Kim ) 한국국가전략연구원 2022 한국국가전략 Vol.7 No.1

        2002년에도 미중간 경쟁과 대립은 계속될 것이며, 모든 분야에 걸쳐 탈동조화 현상은 더욱 심화될 것이다. 디지털 시대에 맞춘 새로운 질서와 규칙 설정, 인류 보편적 가치와 인권 추구를 모두 포함한 국제규범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미국(동맹국들)과 중국의 첨예한 경쟁은 양국 모두와 동등하게 관계를 유지하고자 하는 국가들에게 더 많은 도전과제를 안겨줄 것이다. 바이든과 시진핑은 양국관계가 전면적인 충돌을 피하면서 경쟁할 필요성을 강조해 왔지만, 양국 국익 충돌 규모와 국내정치 분위기를 고려할 때, 책임감 아래 이뤄지는 경쟁을 위한 '가드레일'을 어느정도까지 만들 수 있을지는 아직 미지수다. 바이든 행정부의 중국 관리 전략은 현재까지 크게 두 가지 노력에 중점을 두고 있다. (1)미국의 동맹을 강화하고 동맹 및 파트너와 단결해 중국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한다. (2)중국과 경쟁, 대결, 공동의 이익에 대한 협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는 다면적인 관계를 수립한다. 미국은 중국으로 인해 제기된 문제들을 총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동맹을 강화하고 동맹 및 파트너와 단결을 촉진한다는 첫 번째 전략에서는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었다고 할 수 있지만, 사실 미중관계 개선을 위한 실무적인 틀을 마련하는 부분에서는 별 진전이 없었다. 미국과 중국은 모든 영역에서 경쟁하고 있지만, 향후 몇 년 동안 주의깊게 지켜봐야 할 중요한 안보과제는 다음 세 가지라고 할 수 있다. 1. 대만해역의 불안정 2. 중국의 급속한 핵무기 현대화 및 확장 3. 중국이 주도하는 동맹체제의 부상과 대결 가능성이다. 북한 역시 이 지역에서 또다른 심각한 도전요인이다. 북한 비핵화을 위해서는 모든 주요 이해당사자들, 특히 한국, 미국, 중국 사이에서 협력이 필요하지만, 한반도에서 미중 갈등을 초래하는 변수들만 고려해도 양국 협력은 여전히 요원해 보인다. 게다가 북한은 지금까지 협상 테이블로 돌아올 의향이 없어 보인다. 일제강점기 강제징용자와 성노예에 대한 법적 책임과 배상 문제로 한일관계는 여전히 심각한 경색 상태에 놓여 있다. 한일 양국 지도자들이 처한 국내 정치적 상황을 고려할 때 올 봄 양국 사이에서 완전하고 즉각적인 새로운 관계 개선에 대한 희망은 없어 보인다. 한국과 일본이 미국과 쌍무적으로 협력하는 한국과 일본의 기존 역량과 각각 다자 간 연대에 동참할 수 있는 가능성을 판단해보면, 관계개선에 따른 잠재적인 이익보다 위험 가능성이 더 커 보인다. 한국, 미국, 일본이 공통적으로 이 지역에서 떠안고 있는 도전의 규모를 감안할 때 한일 간 동맹 및 상호 협력 부재로 기회는 없어졌다. 특히 한국은 미국 동맹국 및 파트너 간 지역 다자협력의 무게중심이 쿼드로 옮겨가면서 다른 국가들에 뒤처졌다. 한일 공동성명에 따르면 양국 지도자들은 역사적 갈등을 해결하기 경제적, 안보적 수단이 아닌 외교수단을 활용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그리고 실무자들이 이견을 줄이고 안보, 경제, 외교 분야에서 실용적이고 미래지향적인 협력을 추진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겠다고 약속했으므로 이 성명은 한일관계를 개선하는 데 있어 좋은 출발점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미국은 두 나라 사이에서 관계 개선을 지속적으로 권장하고 한미일 3국 협력의 동력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단도직입적으로 말하자면, 한미동맹은 중대한 도전에 직면해 있다. 한미 양국은 물론 일본처럼 공동의 가치를 추구하는 파트너들과 긴밀한 협력은 앞으로 수십 년간 맞닥뜨리게 될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매우 중요할 것이다. 미국은 인도-태평양 지역과 관련된 긍정적인 의제를 바탕으로 동맹국과 관계를 계속 심화시켜야 하며, 특히 지역 전략에서 경제적 요소를 확대하여 적절하고 경쟁력 있는 파트너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미국 정부는 또한 중국과 책임 있는 경쟁을 위해 광범위한 체계와 실질적인 메커니즘을 마련하는 데 힘써야 한다. 한국은 공동의 가치와 국가이익에 따라 이 지역 다자간 활동과 협력에 기여함으로써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 한국정부는 현실적이면서도 진보적인 판단과 우선적으로는 미국과 그리고 공동 가치를 수호하는 파트너들과의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한반도 평화 증진에 중요한 이해당사자들을 결집시키는 고유의 역할을 계속 수행해야 할 것이다. U.S.-China relations will continue to be characterized chiefly by competition and confrontation in 2022, and the further decoupling of the United States and China across all domains. The growing contest between Washington and its closest partners and Beijing to shape the international order-from writing the rules and norms for the digital age to defining universal values and human rights, will pose increasing challenges for states seeking to preserve equidistant ties with both sides. While leaders in Washington and Beijing have stressed the need to compete without veering into outright conflict, whether and to what extent the two sides will be able to erect “guardrails” for responsible competition remains an open question, considering the extent of their conflicting national interests and the domestic political climate in both countries. The Biden administration’s strategy for managing the challenges posed by China has been largely structured on two broad efforts to date: (1) strengthening U.S. alliances and rallying allies and partners to better compete with China, and (2) establishing a multi-faceted relationship with China that includes elements of competition, confrontation, and cooperation on common interests. Although the administration has found substantial success on the first pillar of strengthening alliances and boosting coalitional efforts to collectively manage the challenges posed by China, there has been little progress on establishing a working framework for U.S.-China relations. While U.S.-China competition spans across all domains, three immediate to long-term security challenges to watch closely in the coming years include: instability in the Taiwan Strait, China’s rapid nuclear modernization and expansion, and the potential rise of rival Chinese-led alliance system. North Korea presents another acute challenge to the region. While denuclearizing North Korea will require coordinated efforts among all major stakeholders, and especially the ROK, United States and China, cooperation between Washington and Beijing on the Korean Peninsula remains a distant proposition given the sheer number of other pressing challenges weighing the U.S.-China bilateral relationship, in addition to Pyongyang’s inward turn and its apparent lack of interest in returning the negotiating table thus far. ROK-Japan relations remain significantly strained due to disputes over legal accountability and reparations for forced wartime laborers and sexual slavery during Japan’s colonial rule over Korea. Hopes for a full and immediate reset of relations with new leadership in Tokyo and in Seoul this spring may be overly ambitious given the domestic political risks for leaders on both sides. The risks may be seen as outweighing any potential benefits of revitalized relations given Seoul and Tokyo’s existing ability to work bilaterally with the United States and to respectively plug into other multilateral regional groupings. The lack of inter-alliance cooperation and bilateral cooperation between Seoul and Tokyo is a missed opportunity, however, given the magnitude of the common challenges facing the three states in the region. Seoul, in particular, risks falling behind as the center of gravity for regional multilateral cooperation among U.S. allies and partners moves to the Quad. A joint statement by the two leaders of South Korea and Japan expressing a commitment to use diplomacy rather than unrelated economic and security levers to address historical grievances, and to empower working-level officials to resolve differences and advance pragmatic and future-oriented cooperation across the security, economic and diplomatic sectors could serve as a promising start for steadily improving the bilateral relationship. The United States should also continue to encourage the improvement of bilateral ties between its two allies and to provide impetus for trilateral cooperation. In conclusion, the U.S.-ROK alliance faces significant challenges in the region. Close coordin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allies, and with like-minded partners like Japan, will be critical for managing the diverse tasks that lie in the decades ahead. The United States should continue to deepen engagement with allies based on a positive agenda for the Indo-Pacific and should look to especially expand the economic component of its regional strategy to remain a relevant and competitive partner of choice. Washington should also work to establish a broad framework and practical mechanisms for responsible competition with China. South Korea can play a critical role in the region by contributing to multilateral initiatives and regional needs based on its values and interests. Seoul should continue to use its unique position to rally stakeholders to advanc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realistic, yet forward-looking assessments, and in close coordination first with the United States, and with like-minded partners.

      • KCI등재

        From Domestic to Global : Recent Trends and Dilemmas in U.S. Public Interest Law

        패트리샤게디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10 성균관법학 Vol.22 No.3

        Law practitioners and scholars have usually discussed U.S. public interest law in a purely domestic context,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legal aid, pro bono, and legal education. Recently, academic scholarship has begun to focus on the global dimension of U.S. public interest law and how some of its attributes are being exported abroad. While public interest law in the United States has been promoted as an ideal, it has also been criticized for its shortcomings. The problems inherent in U.S. public interest law continue: shortage of funding for legal aid programs,pro bono apathy in the legal profession, and the marginalization of the public service ethicin legal education. These factors call into question the export/import value of the U.S. public interest law model. The practical question is whether there can be local sustainability of an externally -derived model with its own deficiencies? This article first reviews the concept of public interest law as it has evolved in the United States. It then provides an overview of various areas of U.S. public interest law today(e.g., legal aid, pro bono, legal education) before moving on to analyze U.S. public interest law as it is represented globally. This article concludes that if U.S.-style public interest law is being exported abroad as a universal model for achieving social justice, then a more critical look at its “grassroots” level is necessary to prepare local actors for the problems that accompany U.S.-style public interest law.

      • KCI등재

        Global Trends in Clinical Legal Education

        패트리샤게디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13 성균관법학 Vol.25 No.2

        5년 전 한국에서 법학전문대학원 제도가 시작된 이후, 전국적으로 법률 상담소가 확산되기 시작하고 있다. 사회적 정의와 학생들의 실무 교육이라는 이름으로 시작된 법률 상담소 교육은 1960년대와 1970년대부터 국제적으로 싹이 트기 시작하였다. 세계적인 법률 상담소 운동이 일어나려 한다는 최근의 주장들을 볼 때, 한국의 법학전문대학원들이 전 세계적으로 존재하는 법률 상담소 교육의 발전과 범위를 이해하는 것이 시의 적절하다. 구체적으로, 법률 상담소 교육은 이중적 목적이 있다: 무료 또는 저가가 아닌 한 법률 서비스를 감당할 여유가 없는 취약 계층에게 그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법학 학생들의 장래 전문적 업무를 위해 그들에게 실질적인 변호사 실무 기술을 배양하는 것이다. 이 글의 목적은 세계의 법률 상담소 교육, 특히 법률 상담소들이 어떻게 또한 왜 여러 나라에서 시작되었는지 그리고 어떻게 이들이 세계적으로 퍼지게 되었는지에 대한 간단한 조사를 소개하면서 동시에 그들이 세계적으로 발전하는 데 있어서의 공통적 특성과 과제를 밝히는 것이다. 이 글은 기부에 의한 자금과 네트워크가 어떻게 법률 상담소 교육이 세계적으로 성장하는 것이 용이하게끔 도와주었는지, 그리고 과연 국제적 법률 상담소 운동이 진정 일어나려 하는 것인지에 대한 더 넓은 질문을 제시한다. 나아가, 이 글은 한국의 법률 상담소 교육이 국제적으로 어느 위치에 와있는지, 그 미래 궤도가 사회적 정의와 변호사 실무 교육에 있어서 무엇인지에 대해 묻는다. 이 글은 한국의 법학 교육자들이 법률 상담소 교육의 이러한 세계적 자원과 네트워크에 몰두하기를 요청한다.

      • KCI등재

        바이든 행정부의 동아시아 외교정책

        패트리샤킴 ( Patricia M. Kim ) 한국국가전략연구원 2021 한국국가전략 Vol.6 No.1

        바이든 행정부는 민주적 가치와 범세계적 관여, 동맹국 및 파트너와 협력을 미국 대외정책에 중심으로 둘 것이라고 공언하면서 지난 트럼프 행정부와 전략적으로 다른 길을 걷겠다고 했다. 지난 트럼프 정부 4년 동안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 정책은 외교에 있어 거래적 접근법을 추구했고, 국제사회에서 미국의 동맹관계와 영향력을 약화시켰다. 그러나 새로운 비전을 가진 미국 행정부가 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과 중국 간 경쟁이 격화되고 당분간 미국이 기존 대외정책을 추진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국제적이고 지역적인 전략의 상당 부분은 이전 정부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바이든 행정부가 동아시아에서 가장 큰 도전 과제인 중국과의 경쟁 관리와 한반도 비핵화 및 평화추구에 대한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미국이 현재 중국을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설명하는 것으로 시작해 트럼프 행정부부터 바이든 행정부까지의 정책 중에 지속될 것과 바뀔 것을 예측하고, 동맹관계에 대한 미국 대외 정책의 시사점 등을 논의할 것이다. 그 다음으로 북핵 문제, 대북 외교, 계속되는 북한 핵능력 확대 위협, 그리고 핵 협상을 가속화시킬 수 있는 방안들을 요약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북중동맹과 협력이라는 도전과 그로 인한 기회, 그리고 미국과 한국이 이러한 이중적 도전에 맞서 양자 및 다자간 협력을 어떻게 증진시킬 것인가에 대한 제언을 강조하는 것으로 마무리할 것이다. The Biden administration has vowed to adopt an approach to foreign policy that differs strategically and tactically from the previous Trump administration by placing democratic values, global engagement and coordination with allies and partners at the center of U.S. foreign policy, rolling back four years of an “America First” policy that privileged a transactional approach to diplomacy, and undercut the United States’ alliance relationships and its influence in international bodies. Despite the entrance of a new U.S. administration with a fresh vision, however, much of the global and regional strategic contexts remain largely unchanged from the previous administration, with U.S.-China competition looming large and likely to drive many aspects of U.S. foreign policy for the foreseeable future. This paper will focus on two of the Biden administration’s greatest challenges in East Asia: managing competition with China and advancing denuclearization and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It will begin by describing the current state of American perceptions of China and discuss the implications for U.S. foreign policy, including potential areas of policy continuity and change from the Trump to Biden administrations, and the implications for U.S. allies. The essay will then turn to the North Korean nuclear challenge, outlining the state of diplomacy with Pyongyang and the threat of its ever-expanding nuclear capabilities, as well as potential ways to restart momentum on nuclear negotiations. Finally, the paper will conclude by highlighting th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allied cooperation on China and North Korea, and recommendations on how the United States and Republic of Korea (ROK) might enhance bilateral and multilateral coordination on these dual challenges.

      • KCI등재

        Determining Refugee Status for North Korean Escapees under International and Domestic Laws

        패트리샤게디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2011 Sungkyun Journal of East Asian Studies Vol.10 No.2

        This article asks how the Refugee Convention applies to North Korean escapees, specifically whether North Koreans who leave their country without government permission qualify as refugees in the first instance, and whether refugee status is negated by the fact that the South Korean Constitution confers South Korean nationality to anyone born on the Korean Peninsula, which thus gives dual nationality to North Koreans. This article addresses how states and other actors interpret the Refugee Convention in handling North Koreans settling or seeking asylum in various jurisdictions and probes how the availability of South Korean dual nationality can complicate the determination of refugee status for North Koreans globally.

      • KCI등재
      • KCI등재

        Protecting Attorney-Client Privilege in the Context of U.S. National Security

        패트리샤게디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15 성균관법학 Vol.27 No.4

        In the past five years, the American Bar Association has twice had to request the U.S. government to respect attorney-client privilege. The first instance concerned the representation of detainees at Guantanamo Bay, and the second addressed the National Security Agency's mass surveillance of online communications. This article essentially asks under what legal authority the U.S. government can monitor attorney-client communications. This article first explains the basis of the attorney-client privilege in common law and the professional code of ethics regulating the legal profession. It then reviews the exceptions to this privilege, including the crime-fraud exception and the laws allowing monitoring of attorney-client communications, such as Title III of the Omnibus Crime Control and Safe Streets Act of 1968, the Foreign Intelligence Surveillance Act, and special administrative measures implemented in federal prisons. It analyzes whether legal authority exists for U.S. government surveillance of attorney-client communications relating to the representation of Guantanamo detainees and mass online surveillance. This article's purpose is to explain the legal framework for protecting or exempting attorney-client privilege from government surveillance so that it may serve as an instructive reference for Korean institutional and legal actors deliberating the balance of national security and civil liber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