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픽모델링으로 본 한국 가족연구 동향 분석: 2000년대 이후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추주희,오승원 한국가족관계학회 2020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4 No.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family research in domestic academic fields by using topic modeling. To this end,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topographical changes of Korean family research by grasping the research trends by time, academic field, and each topic subject.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topic modeling and regression analysis on 1,376 abstract articles and key words. Pre-treatment for analysis of target papers was performed using Excel and using regression analysis R program, Topic modeling analysis was conducted with Python(v3.8.0). Results: First, four topics were finally decided. Topic 1 was categorized as a business management and family-friendly system, Topic 2 as a family environments and family functioning, Topic 3 as a family relationship and family care, and Topic 4 as a familism and family narrative. Also, an analysis of the changing trends of Topics showed that Topic 1 and Topic 2 were Hot topics that were still being handled until recently, while Topic 4 was Cold topics. Conclusions: In order to understand the rapid changes caused by narrative of family and the change of family structure in the post-modern society, it seems necessary to reflect on the topic development and policy linkage strategies of Topic 3 and Topic 4. Also, To understand the rapid changes caused by Narrative of family and the change of family structure in the post-modern society, it seems necessary to reflect on the topic development and policy linkage strategies of Topic 3 and Topic 4.

      • KCI등재

        좌절과 불안을 마주하는 지역청년들의 대응과 전략: 구직 중 ‘자기반성’ 서사를 중심으로

        추주희,김지영 한국인문사회질학회 2020 한국융합인문학 Vol.8 No.1

        이 연구는 취업준비/구직활동을 하면서 취업을 유예하고 있는 지역청년들의 인식과 정서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지역청년들의 삶의 특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10명의 청년들을 심층면접 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은 대부분 지역대학 출신으로 표준화된 스펙쌓기와 취업준비를 해왔으며, 이들은 ‘취업준비’라는 이름으로 장시간 ‘무이력’의 위치에 놓이거나, 경력이 될 수 없는 ‘일-경험’을 반복하면서 좌절을 경험한다. 그 과정에서 청년들은 좌절감, 불안감, 무력감, 체념적 달관 등 부정적 감정을 느끼기 도 하였지만, 사회적 관계망, 지인의 지지 등을 통해 자존감을 회복하고 위로를 얻기도 하였다. 그러나 결국 자신이 처한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은 매우 개인적이고 일시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었으며, 청년의 문제를 사회적 방식과 공적 지원으로 해결할 필요가 있다는 욕구는 있었지만, 이를 위해 적극적인 행동을 하거나 정치성을 드러내지 않는 소극적 태도를 보였다. 이는 청년들이 경험해 온 관계 자체가 매우 개인화되고 파편화된 형식으로 구성되어 왔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에 향후 지역사회는 청년들에게 새로운 사회적 경험과 관계를 지원할 수 있는 정책적 대안을 마련하고 사회적 신뢰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청소년 한부모의 가족구성권에 대한 비판적 탐구

        추주희 한국가족학회 2022 가족과 문화 Vol.34 No.1

        This study focuses on the right for ‘family equality’ of adolescent single parents’ families. Their status is recognized or supported in society within the national policies and systems. This study analyzed the dilemma of adolescent single parents between family policy on the premise of the normal family paradigm and adolescent immaturity by reflecting on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adolescent single parents in the discussion landscape surrounding reproduction and population. By examining the meaning and limitations the right for family equality, we intend to criticize the social perspective surrounding the sexual status and roles of adolescents. Therefore, first of all, we outlined the transition process of family policy that supports adolescent single parents. Accordingly, the status of youth within family policy, the required qualifications, and the normative nature of the policy were analyzed. Second, we reviewed the rights required and respected by youths involved in youth single-parent families. In terms of supporting adolescent pregnancy and childbirth, the need for various efforts and support is pointed out while calling ‘crisis youth’ as productive population. In this respect, the transition of adolescents' perceptions of sexuality and the process of demanding the rights of sexual subjects are closely combined. In particular, We analyzed the issues that emerged between the choices that adolescents should be respected in the process of pregnancy, childbirth, and parenting, the rights surrounding them, and the legitimacy that adolescent single parents as a specific group should be structurally protected. In conclusion, It is required that the process of forming a family in the future should develop in the direction of realizing the right for family equality among all the different families. 이 연구는 국가의 정책과 제도 속에서 청소년 당사자가 가족을 구성하고 사회적으로 그 지 위를 인정받는 ‘청소년 한부모가족’ 모델에 주목한다. 재생산과 인구를 둘러싼 논의 지형 속 에서 청소년 한부모의 역할과 책임을 성찰함으로써 정상가족 패러다임과 청소년의 미성숙성 에 대한 전제에서 청소년정책과 가족정책의 딜레마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청소년 한부모 에게 허용되는 가족구성권의 의미와 한계를 살펴봄으로써 청소년의 성적 지위와 역할을 둘러 싼 사회적 관점을 재검토하고자 한다. 이에 이 연구는 첫째, 청소년 한부모를 지원하는 가족정책의 변천 과정에 대해 개괄한다. 이를 통해 가족정책 내에서의 청소년의 지위와 요청되는 자격, 정책의 규범적 성격을 분석한 다. 둘째, 청소년 한부모 당사자가 존중받아야 하는 권리들을 검토한다. 청소년 임신과 출산 에 대한 지원과제에 있어 위기청소년을 ‘생산적인 인구’로 호명하면서 다양한 노력과 지원의 필요성이 지적되는 현실에는 청소년의 섹슈얼리티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성적 주체의 권리 를 요구하는 과정이 밀접하게 결합된다. 나아가 청소년의 임신, 출산, 자녀 양육을 둘러싸고 청소년 당사자가 존중받아야 할 선택과 권리에 대한 논의와 특정집단으로서 청소년 한부모 가 사회구조적으로 보호되어야 한다는 정당성 사이에서 간과되어 있는 쟁점을 분석한다. 마 지막으로, 향후 청소년이 가족을 구성하는 과정, 즉 가족구성권이 실현되어야 할 과제를 제 안한다.

      • KCI등재

        거리에서 개입하기 : 광주지역 성매매 청소녀 지원활동을 중심으로

        추주희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22 생명연구 Vol.6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asks of the support system for prostitution juveniles in the Gwangju area, and further analyze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the ‘1318 Soft Hideou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jit’) activity, which was started as an activity of an anti-prostitution women’s group. To this end, we looked at the changes and limitations of the support system centered on local awareness and governments, centered on the 2000s, when the problem of prostitution among teenage women became visible. Second, the case of Ajit in Gwangju, which was prepared as an intervention program to support teenage prostitutes, was reviewed. The local community has established a support system focused on the protection and control of teenage prostitutes. In particular, in that prostitution of young women is being conducted in the process of collective life of peer groups in jjokbang villages,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way to support young women's prostitution and to change the perception of it. Based on thi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essential services, on-site support programs and suggests that an integrated community support system plan should be prepared from a gender perspective to support teenage prostitutes. 이 연구의 목적은 광주지역의 성매매 청소녀를 지원하는 체계를 검토하고, 나아가 반성매매 여성단체의 활동으로 시작된 ‘1318뽀송뽀송 아지트’(이하, 아지트) 활동의 의미와 한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청소녀의 성매매 문제가 본격적으로 가시화된 200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지역에서의 청소녀 성매매인식과 행정지원체계의 변화를 살폈다. 두 번째, 성매매 청소녀를 지원하기 위해 여성단체에서 기획한 아지트의 주요 활동 사례를 검토하였다. 2010년부터 2015년까지 운영되었던 아지트는 당시 지역에서 쪽방촌으로 알려진 광주 동구 금동지역에 설립되었으며, 아지트를 중심으로 성매매 청소녀를 발굴하고 생계지원을 하였다. 지역에서 성매매 피해 청소녀에 대한 보호와 범죄예방에 집중된 지원체계 속에서, 쪽방촌에 거주한 십대들에 대한 생계지원과 아웃리치 등 거리에서 직접 개입하는 과정은 필수적인 사회적 지원(긴급구호, 의료지원 등)이외에 새로운 거주 지원서비스의 필요를 보여준다. 특히 쪽방촌내에서 또래 집단이 집단적으로 함께 생활하는 과정에서 청소녀 성매매가 이뤄지고 있다는 점에서, 청소녀의 성매매를 지원하는 방식과 이에 대한 인식전환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이에 이 연구는 성매매 형태의 다변화 속에서도 현장형 지원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성매매 청소녀를 지원하는 성인지적인 통합형 지역사회 지원체계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 KCI우수등재

        소년 혐오인가 사회 위기인가?: 위기청소년 담론에 대한 비판적 시론

        추주희 비판사회학회 2019 경제와 사회 Vol.- No.124

        The study is to reveal the inherent values, the assumptions, and the privileges in society by paying attention to the limitations of discourse and the concept of ‘youth at risk’. Thus, This article has traced genealogically changes in the perspective of institutional and policy approaches to youth issues since the 1990s. The main body of this study deals with three issues. First, in what context has the concept of ‘Youth at Risk’ emerged in Korean society? Second, how did the institutional discourse surrounding ‘Youth at Risk’ interpret and approach these teenagers, understood as socially vulnerable groups? Third, what difficulty arises when the institutional discourse or policy view of ‘Youth at Risk’ is still bound by ageist restrictions. As a result, The social category of ‘Youth at Risk’ was invented to cope with problems visible through rapid social structural changes since the IMF. However, this concept and discourse has been used to reinterpret the problem of inequality in terms of social coordination of risk management, rather than focusing on classaspects. In addition, the social system and discipline of them force them to follow the growth narratives according to the life cycle model of the middle class nuclear family through industrial and social paradigms. These socially demanded normal growth narratives and their unstable life cycles are compared and disconnected, so these youths are likely to conclude their lives as failures. Thus, the ideal model for the finding and management of ‘Youth at Risk’ is nothing more than neoliberal violence against young people who are rooted and rooted in growth. 이 연구는 ‘위기청소년’의 개념과 그 담론의 한계를 주목함으로써 이 담론에 내재된 가치와 가정, 사회 내의 특권들을 드러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론은 세 가지 문제를 다룬다. 첫째, 한국 사회에서 ‘위기청소년’ 개념은 어떠한 맥락에서 출현했는 가? 이 물음을 가지고 1990년대 이후 청소년 문제에 대한 제도적이고 정책적인 접근의 관점 변화를 계보학적으로 추적했다. ‘위기청소년’이라는 사회적 범주는 IMF 이후 급 격한 사회구조변동을 통해 가시화된 문제들에 대응하기 위해 발명되었다. 이 명명은 특 정 청소년 집단을 개별적 일탈로 간주하던 과거의 이해방식과 달리, 이들 청소년들을 사회구조변동의 산물로 간주한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진전을 보여주지만 동시에 위기 청소년 개개인을 여전히 “사회적 안정을 위협할 수 있으며”, “장래 복지의존자”로 전락 할 가능성이 높은 수동적인 존재로서 ‘피해자’로 낙인찍는다. 둘째, ‘위기청소년’을 둘 러싼 제도적 담론은 사회적 취약계층으로 이해된 이들 청소년 집단을 어떠한 관점에서 해석하고 정책적으로 접근했는가? ‘위기청소년’은 사회복지적 관점에서 사회안전망의 확보를 위한 개입의 당위성을 가시화하기 위해 발명된 개념이지만, 그 제도적 개입의 지점과 정책적 고려는 청소년기의 일반적인 연령 내에서 과거의 중산층적인 시각에서 정형화된 관습과 규범들을 답습하기를 바라는 면이 크다. 이 때문에 위기청소년의 개념과 담론은 계급/계층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기보다 불평등의 문제를 위기관리라는 사회 적 조정의 측면에서 재해석하는 데 활용되어 왔다. 셋째, ‘위기청소년’에 대한 제도적 담론 내지 정책적 관점이 현재까지 여전히 연령주의적 제약 아래 묶여 있는 상황은 어 떠한 난점을 발생시키는가? 연령주의적 관점에 따르면, 위기청소년은 청소년기가 끝났 다고 생각되는 지점에서 자취를 감춘다. 위기청소년에 대한 국가 개입의 사회적 안전망 은 청년이 된 이후에는 민간 시장으로, 더 폭넓은 위기와 위험 내에서 개별화된 존재에 게 전가된다. 또한 이들에 대한 사회적 계도와 훈육은 이들에게 그동안 산업사회적 패 러다임을 통해 중산층 핵가족의 생애주기 모델에 따라 성장서사를 써나가도록 강요한 다. 이러한 사회적으로 요구받은 정상적 성장서사와 자신들의 불안(정)한 생애사가 비 교·단절됨으로써 이들 위기청소년/청년들은 자신들의 삶을 실패로 단정하기 쉽다. 그 렇기에 저 이상적 모델이 제시하는 성장서사는 성장의 단초와 그 뿌리가 뽑힌 청소년들 에게 가해진 신자유주의적 폭력에 다름 아니다.

      • KCI등재

        청년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추주희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4

        이 연구는 청년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 특성을 검토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다차원적 영역을 탐색하고자 한다. 2017년 장애인실태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만19세~39세의 청년층 장애인 511명을 대상으로 유효한 자료를 추출하여 빈도분석, T-Test, ANOVA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삶의 만족도는 학력, 배우자유무, 장애정도, 만성질환유무, 주관적 건강평가, 장애유형에 따라 유의한 집단별 차이가 나타났다. 총 29개의 독립변수를 투입한 결과, 가구원수와 주관적 건강평가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주관적 소속계층, 친구와 친척 등과의 만남, 가족과의 외식 및 쇼핑이 삶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청년층 장애인의 사회적 유대관계 확장을 위한 실질적인 사회지원 제도가 확충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life satisfaction in young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based on this, seeks to explore multi-dimensional areas that affect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used the survey data of the disabled in 2017, and valid data were extracted from 511 young people aged 19 to 39 and analyzed frequency, t-test,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The Satisfaction of lif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marital status, disability level, chronic disease status, subjective health evaluation, disability type, and disability level. As a result of inputting a total of 29 independent variables,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and the subjective health evalu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subjective affiliation, meeting with friends and relatives, eating out with family, and shopping depended on life satisfactio. In the future, a practical social support system will be needed to expand social ties between young people and disabled people.

      • KCI등재

        지방대 학문후속세대의 여성학하기: 전남대 여성연구소에서의 경험을 중심으로

        추주희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2 아시아여성연구 Vol.61 No.2

        이 연구는 2008~2021년까지 지역 대학에서 여성학을 공부하고 연구한 학문후속세대의 경험을 중심으로 지역에서 여성학하기의 노력과 전략들 및 한계들을 성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역 여성연구소에 활동하였거나 실무 간사로 활동했던 젠더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으며, 필자와의 경험을 함께 나누고 기억하는방식의 자아문화기술지를 활용하였다. 지방대 여성연구소는 학문적 제도적 공간의 안정성을 제공하지만, 동시에 고립과 배제가 정당화되는 공간으로 작동하였다. 지지적인페미니스트 학자의 부재, 페미니스트 학술 커뮤니티의 불연속성 속에서 여성연구소안에서의 여성학하기와 실천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옹호하는 많은 페미니즘적 원칙들이 먹혀들지 않는 상황 속에서 느끼는 회의적인 감정은 안정적이고 일상적인 연대와 연합이 없는, 조직된 집단적 노력이 불가능한 대학의 구조적 상황에서 비롯되었다. 페미니즘에 대한 대중담론의 확산에도 불구하고, 학문공동체의 위기와 지역 대학의 여성학 및 젠더 연구의 정체를 극복하기 위해서 현재의 게토화된 학문 구조와 대학체계에 대한 비판과 성찰이 필요하다.

      • KCI등재

        지역 청년퀴어의 복합적 차별과 공간 퀴어링

        추주희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23 젠더와 문화 Vol.16 No.2

        This article aims to highlight the difficulties of sexual orientation and gender identity formation for young queer people living in the local area and to reflect on the process and implications of making a local queer community.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young queer people in their 20s and 30s, who spent their school years in Gwangju city and the Chonnam provincial area, and whose lives are currently based in Gwangju. The study reveals that the self-generated communities made by the local queer youth were difficult to maintain due to the threat of outing, conflicts between groups or individuals with different gender identities, and the lack of physical infrastructure to maintain the community. Nevertheless, queer people living in the local area were able to make their existence visible, creating their networks and connections with the region through participation in queer cultural festivals, queer exhibition projects, and the formation of clubs. However, in order for the queering of local spaces to continue, this article suggests that relevant practical support policies and systems for minority youth need to be put in place to create a space for understanding and for the collective experience of minority sexuality, not only for the local queer youth but also for local residents.

      • KCI우수등재

        집성촌 두 여성 노인의 노동 경험과 돌봄 활동으로 본 젠더 규범의 변화

        추주희 한국여성학회 2023 한국여성학 Vol.39 No.3

        This study traces the transformation of women’s work and care cultures in a cognate village as the patriarchal impact on the space diminishes. For elderly women, the village serves as their residence and community, where they established enduring social connections and a collective history, fostering ongoing communal support and care. This study analyzes the spacial transformation of a cognate village, as well as the changing position of women within the village and its familial structures. It also explores the alterations in the labor and caregiving tasks carried out throughout this process. This study investigates into the life histories of two elderly women living in Nubsil Village, a village known for its noble family heritage in Gwangju region of South Korea. It aims to depict the changes in the culture of caregiving and elucidate their significance. Elderly women have encountered persistent oppression and exploitation throughout their dedicated years of engaging in devotion to familial and communal care. However, it is necessary to recognise that they have also had a role in creating cracks and shifts in gender norms through their transformative actions inside the community care spaces of the cognate vill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