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C 교육대학교 "특별전형 특수교육대상자"의 입학 사정과 학업 현황 분석

        추연구 ( Youn Gu Chu ),김은영 ( Eun Young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6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7 No.2

        장애인 공직 임용 확대방안의 일환으로 2005학년도부터 교육대학교 입학전형에도 장애인 특례입학이 채택되고, 장애인에 대한 입학 제한 규정이 금지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2005년 부터 2015년까지 이 제도를 통해 C 교육대학교에 입학한 특수교육대상자의 입학 사정 관련 자료와 입학 후 학업 현황 관련 자료의 분석을 통해 보다 개별화된 교수-학습 지원 및 우수한 장애인 초등교원 모집 확대를 위한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먼저, 입학 사정 관련 서류를 토대로 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대학 입학전형 유형, 전형 유형에 따른 등록 현황, 합격한 장애학생들의 장애 유형, 입학 점수를 분석하였다. 둘째, 장애학생들의 학업 현황에 대한 실태는 장애 유형별 희망 심화과정, 학적 변동, 장애 유형별 학업 실태, 실기관련 심화과정 이수 학생의 학업, 장애학생들의 임용고사 합격률을 분석 하였다. As part of the enlargement of the handicapped personnel in government employment, the special entrance programme for the applicants with disabilities has been selected for the entrance examination of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ine 2005 and the terms of admission restrictions against the handicapped were prohibited. Accordingly, the special entrance programme for the applicants with disabilities has been implemented sine 2005 at C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better individualized teaching-learning support as well as broader recruit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ve disabilities but expertise as well by analyzing the data of the entrance examination and the academic performance of the students who were admitted into our university by this special entranced programme since 2005 to 2015. First of all, based on the archives of entrance examination, data of the applicants with disabilities were analyzed such as the changes of entrance examination types, comparison of enrollment between early admission test and standardized admission test, the types of the disorders of students admitted into the university, the passing grad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condly, data of the academic performance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archives such as intensive course chosen by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college dropout rates of ``leave of absence and expulsion``, academic situations of students from practical curriculum with those of students from non-practical curriculum. pass rates of tests for teacher employment.

      • KCI등재

        직접교수와 FIE 중재결합교수가 ADHD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능력 및 연산성취도 향상에 미치는 효과

        추연구(Youn-Gu Chu),김병룡(Byeong-Ryong Kim) 한국발달장애학회 2021 발달장애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직접교수와 FIE 프로그램 중재를 결합한 교수(FIE 중재결합교수)가 초등 3학년 ADHD 학생의 주의집중능력 능력 및 연산성취도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강원도에 위치한 초등학교의 3학년 ADHD 학생 3명을 선정하였다. FIE 중재결합교수의 효과를 직접교수와 비교하여 확인하기 위해 중재비교설계 중다중재설계(multitreatment design)를 적용하였다. 주요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FIE 중재결합교수는 직접교수만을 제공하였을 때보다 학생의 주의집중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좀 더 효과적이었다. 둘째, FIE 중재결합교수는 직접교수만을 제공하였을 때보다 학생의 연산성취도를 향상시키는 데 좀 더 효과적이었다. 이후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활용한 FIE 중재결합교수의 효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arithmetic instruction method which combine direct instruction with FIE program for Elementary 3rd grade student with ADHD. The effects were investigated on the arithmetic operation achievement and attention ability.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multi treatment desig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instruction method which combine direct instruction with FIE program has shown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students attention ability. Second, the instruction method has shown a positive effect on the arithmetic operations performance of the students.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 통합학급 평가계획의 과정중심평가 반영수준 분석

        추연구(Chu Youn-gu),김병룡(Kim Byeong-ryong)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0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2015 개정교육과정과 선행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과정중심평가 요소를 바탕으로 국내 통합학급의 국어, 영어, 수학을 제외한 9개 교과의 평가계획 분석을 통해 초등 통합학급 평가계획의 과정중심평가 반영수준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들과 교육부에서 제시한 과정중심평가 자료들에 기초해 성취기준의 반영, 핵심역량의 반영, 다양한 평가 방법의 활용, 지속적인 평가, 학습과정의 확인, 피드백에 대한 반영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분석지표를 개발하였다. 이를 활용해 연구자를 포함한 3인의 분석자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통합학급 평가계획의 과정중심평가 반영은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둘째, 학급의 특성에 기초해 평가계획의 과정중심평가 반영수준을 비교한 결과 학급 당 학생 수와 학년 수준에 따라 반영수준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통합학급에서 과정중심평가를 효과적인 실천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들에 대해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reflection level of the process-based assessment in subjects assessment plans(except of Korean, math, English) of elementary inclusive classes. To analyze this, the analysis indicator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several researches and guidebooks from Education Ministry. The analysis indicators were about the reflection of curriculum criterions, the reflection of key competences, the variety of assessment methods, the continuous assessment, the assessment of learning process and the reflection of feedback information. And 3 persons analyzed the assessment plans according to the indicators. The results were following First, the overall reflection level was low. Especially, the reflection of feedback information is the lowest. Second, compared by number of students and grad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lasses. The classes with more students reflected the process-based assessment more than the classes with less students. And 6th grade use more various assessment methods than the other grades.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 KCI등재

        지적장애아동의 작업기억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동향분석

        추연구 ( Youn Gu Chu ),김은영 ( Eun Young Ki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4 지적장애연구 Vol.16 No.1

        본 연구에서는 지적 장애아동의 작업기억 향상 방안에 대한 연구 동향을 국내외 문헌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문헌 분석 결과 알게 된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작업기억 향상 훈련에 참여하는 지적 장애아동은 경계선 지적장애, 경도 지적장애에 한정되어 있다는 제한점이 있다. 둘째, 작업기억 향상 프로그램은 컴퓨터 기반의 인지 훈련 프로그램, 작업기억 전략 촉진을 위한 프로그램, 작업기억 촉진을 위한 생리학적 접근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셋째, 작업기억 향상 프로그램은 한 회기당 10-40분이며 프로그램의 특성에 따라 총 회기 수는 다양하였다. 넷째, 작업기억 훈련을 통한 일반화 정도를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분석 결과는 교실에 적용 가능한 작업기억 향상 프로그램 개발이라는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previous studies focusing on working memory training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ased on the result, issues were featured as follows: first children with borderline and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mostly recruited for memory training program, second, types of memory training program were 1)computerized program, 2)memory strategy-related program, 3) other physiological programs that facilitate working memory. Third, one session of the program is 10-40 minutes but total number of sessions were variable depending on the program. Fourth, there are few articles that investigated generalization of the memory training effect. These issues were discussed in the point of consideration on developing new program for teachers who is in charge of classroom.

      • KCI등재

        합리적 배려(Reasonable Accommodation)의 제공 실행 방안

        추연구(Youn-Gu, Chu) 한국발달장애학회 2022 발달장애연구 Vol.26 No.1

        이 연구에서는 각국의 장애정책 가운데 「장애인차별금지법」과 관련된 입법적 특징을 근거로 장애인의 합리적 배려에 대한 규정을 알아보고, 일본 문헌연구를 통해 학교차원에서의 합리적 배려에 대한 실천사항 그리고 유니버설 디자인(UD)과 합리적 배려는 어떤 관계를 가지면서 발전해 가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UN, 미국, 일본, 우리나라의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입법을 통해 돌봄에서 고용, 복지에서 공민권 보장, 분리에서 통합으로 패러다임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합리적 배려를 통해 차별을 극소화하고 있다. 둘째, 일본 교육현장에서는 「장애인차별해소법」을 의무로 규정하여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수업내용이나 활동이 본인과 보호자와의 합의를 통해 과중한 부담이 되지 않도록 학교의 수업, 평가, 장애영역별로 합리적 배려를 실천하고 있다. 그러나 합의를 통한 합리적 배려가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문제점도 함께 나타나고 있다. 셋째, UD와 합리적 배려의 관계는 UD만으로 충분하지 못할 때, 개별로 합리적 배려 사항을 추가하고 양방향으로 지원하여 통합교육의 여건조성과 실천에 크게 이바지 이바지하고 있다. 다만 우리나라의 경우 합리적 배려와 관련된 교육사례나 참고 문헌 등의 활발한 연구는 과제로 남아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the regulations on the reasonable accommodation for the disabled on the basis of legislative characteristics pertinent to the Act on th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People with Disabilities out of the disability policies in each country, and to examine about action agenda on reasonable accommodation at the school level and about which relationship the UD (universal design) and the reasonable accommodation have and proceed with developing. As a result of the research, first, UN, America, Japan and our country are minimizing discrimination through reasonable accommodation amid a paradigm shift from care to employment, from welfare to civil rights guarantee, and from separation to unity through legislating the ‘Act on th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Disable Persons, Remedy against Infringement of their Rights, Etc..’ Second, the Japanese education site made it mandatory for the Act on the Resolu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People with Disabilities, thereby being practiced the reasonable accommodation of each in school class, evaluation and disability area so that various class contents or activities of being conducted at school cannot be a heavy burden, through an agreement between the person concerned and the guardian. However, many problems are also appearing despite being made the reasonable accommodation through consensus.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UD and reasonable accommodation is contributing greatly to the condition creation and the practice of integrated education by adding reasonable accommodation individually and supporting in both directions when failing to be sufficient just with UD. Still, in the case of our country, an active research remains as a task such as education cases and references related to reasonable accommodation.

      • KCI등재

        통합 수업의 인식 분석을 통한 초등교사의 수업 전문성 제고 방안 연구

        추연구 ( Youn Gu Chu ),김은영 ( Eun Young Ki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1 지적장애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장애 진단을 받은 아동 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통합교사)와 지도 경험이 없는 교사(일반교사)의 통합 수업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질적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통합교사 12명, 일반 교사 12명, 총 24명의 초등 교사를 대상으로 가상 통합수업 사례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자유기술 하게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통합교사는 일반교사 보다 특수교사, 또래 아동, 학부모를 교수-학습 지원자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하였다. 둘째, 통합학급 적응요인으로 통합교사는 학급 비장애아동의 이해와 협력을 들고 있지만, 일반교사는 장애아동이 학급 내에서 자신의 역할을 가지는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일반교사의 특수교사와 특수교육보조원의 역할 기대에 대한 혼란이 있음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통합 교육을 위한 교사 연수에 있어서 중재모형이나 교수-학습 이론 보다는 특수교육지원팀의 구성원들이 상호협력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장의 마련이 선행되어야 하며, 나아가 통합 수업의 교수-학습에 대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모두가 납득할 수 있고 수행가능한 표준 업무분장 마련에 대한 후속연구가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qualitatively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awareness on the inclusive class between inclusive teachers (teachers who were in teaching experience with diagnosed challenged children) and general teachers (teachers who had no teaching experience with challenged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12 inclusive teachers and 12 general teachers were participated and expressed their opinions on inclusive education practices.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was followed when it was needed for data collection. Data were analyzed by KJ method, suggested by Kawakita Jiro. As a result there are three differences between inclusive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First, inclusive teachers were more awar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normal children, parents as their supporter then general teachers. Second, inclusive teachers attributed understanding of and cooperation with students in the class as the key component of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whereas general teachers pointed that the challenged student`s role in the class is the most important. Third, general teachers mistook the rol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as para-professional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activity to facilitate cooperative interaction between members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team should be more considered than models and theories of education per se in making a plan of in-service training. It was also suggested that subsequential research to develop standard role-map for members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team should be studied.

      • KCI등재

        지적장애 학생의 자기결정 지원 방안

        추연구 ( Youn-gu Chu ) 한국발달장애학회 2008 발달장애연구 Vol.12 No.1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 학생의 자기결정의 중요성에 관한 논의가 우리나라에서도 활발히 논의 되고 있기에 지적장애 학생의 자기결정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시대적 배경을 밝히고, 지적장애 학생은 왜 자기결정에 어려움을 갖는지에 대한 저해 구조와 저해 요인을 밝혀, 본인의 자기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지원 방안을 모색함으로서 지적장애 학생의 삶의 질(QOL) 향상과 사회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자기결정적인 사람으로서의 토대를 형성해 나가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따라서 연구목적을 수행함으로서 지적장애인의 삶의 질(QOL) 향상과 사회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역량과 자기결정적인 사람으로서의 지원 토대가 될 수 있는 연구가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lve into what made the importance of the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creasingly highlighted in this age, as there were a lot of discussions about that in our country. And it’s also meant to examine what caused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have difficulties in self-determination and how to help boost their self-determination in an effort to encourage them to lead a better quality of life as self-determined and positive members of society.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expected to lay the foundation for bolstering the quality of life, empowerment and self-determination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
      • KCI등재

        부모의 양육스타일이 초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 분석: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다집단 분석을 중심으로

        추연구(Youn Gu Chu),최효식(Hyo-Sik Choi)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10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권위적, 권위주의적 양육스타일이 각 부모 개인 내에서 함께 나타날 수 있다는 선행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어머니와 아버지 각자의 양육스타일이 초등학교 4학년 자녀의 자아존중감, 공동체 의식을 매개로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구조적 관계에 차이점이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11차(2018년)의 1,172명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어머니의 권위적 양육스타일은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에 정적인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버지의 권위적 양육스타일과 권위주의적 양육스타일은 초등학생의 공동체 의식에 정적인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어머니의 권위적 양육스타일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그리고 자아존중감과 공동체 의식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초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아버지의 권위적 양육스타일은 공동체 의식을 매개로, 아버지의 권위주의적 양육스타일도 공동체 의식을 매개로 주관적 안녕감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어머니와 아버지의 양육스타일이 초등학교 4학년 자녀의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관계의 경로계수 크기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어머니와 아버지의 양육스타일이 자녀의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관계에 차별적인 특징이 있음을 시사한다. Previous research shows that authoritative and authoritarian parenting styles can appear together in a par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that affect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self-esteem and a sense of community of children using the data of 1,172 fourth-grade children from the 11th year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The study also explored whether any unique characteristics appear in group classifications based on their perceived socioeconomic statu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mother"s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 showed a direct effect on the children"s sense of community while the father showed a direct effect from both authoritative and authoritarian parenting styles. Second, the mother"s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her children mediated by self-esteem and a sense of community while the father"s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was mediated by only a sense of community. Thir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yles and subjective well-being based on the perceived socio-economic status of the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each parent"s parenting style has a distinct structural relationship with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ir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