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양상 소사 было의 의미적, 통사적 연구

        추석훈(Choo Suk hoon)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04 슬라브학보 Vol.19 No.1

        The Russian modal particle bylo presents an exceptionally interesting problem from the standpoint of formal, theoretical models of Russian grammar. Generally, we expect there to be some direct linkage between syntax and semantics. For example, if some formal syntactic mechanism, such as the negative functional head ne, triggers Genitive case assignment to direct objects via the Genitive of negation, then this feeds into a distinct semantic interpretation based on scope of negation, definiteness and specificity of the object NP, and various other effects. With the modal particle bylo, however, the semantics seems somewhat further removed from the formal aspect of the particle since its modal characteristics doesn't seem to be clearly explained syntactically in full representations of sentences. It presents a challenge to the adequacy of formal approaches to be able to cope with a more “difficult” semantic problem. The modality conveyed by bylo must be regarded as contextual, rather than limited morphosyntactically to the past-tense verb with which bylo is formally associated. It creates an aura of incompleteness that extends over the larger situation encompassing not only the immediate action expressed narrowly by the verb, but over directly associated and concomitant actions. It is the general failure to recognize this extended modal scope that has given rise to such description of bylo in chapter 3, which are vague and unhelpful. The relation of bylo to various other particle-like elements with essentially modal effect on the sentences confirms that bylo is different from other similar particles; when by is used with an auxiliary and an infinitive, its semantic scope is clearly limited to the auxiliary in the past tense, while the semantic scope of bylo is larger, including infinitive. In this respect, the negative functional head ne is very similar to bylo syntactically since the infinitive clause in the lower clause falls within the scope of negation, when an auxiliary verb is negated. They are semantically alike with respect to additive double negation: the result of combining bylo together with ordinary negation with ne is tantamount to double negation. In sum, bylo is a modal negative, yielding logical negation of the verbal situation, when viewed from the standpoint of the speaker's expectation about what is expected when the action of the verb is performed.

      • KCI등재
      • KCI등재

        표준화 시험 FLEX 러시아어 문항의 변별도 분석

        추석훈(Choo Suk Hoon) 한국노어노문학회 2009 노어노문학 Vol.21 No.4

        본 논문은 표준화 시험 FLEX 러시아어 문항을 개별 분석하여 본 시험의 변별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연구하는 논문으로 문항분석의 기제로 고전문항분석과 문항반응이론을 도입하였으며, 각 이론에 근거한 문항분석에 따른 변별도 결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있다. 분석결과 듣기와 읽기, 각 영역에서 매력적인 오답, 특별한 문법 규칙과 익숙하지 않은 어휘들을 포함한 문항 등이 변별도에 상당히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가지 분석 결과에 따른 변별도 상관관계 평균은 높은 수치인 .47로 산출되었다. 예상했던 바대로 몇 몇 개별문항에 있어서는 변별도 결과의 차이가 있었다. 본 논문은 분석의 결과와 함께 문항 출제자가 유의하여야 하는 주요한 사항들을 재확인 하고, 평가도구에 대한 후속 연구, 즉 검사지 동등화와 같은 분석을 통한 후속 연구에 대해서 제안하고 있다. The present article focuses on the study of identifying the variables that may affect the level of discrimination on the items of a standardized test between the results from classical item analysis and those from analysis based on IRT(item response theory). The data for the analysis were brought from FLEX(Foreign Language EXamination) Russian. The results indicate that attractive distracters, grammar with exceptional rules and unfamiliar words were noticeable variables that may have influenced the level of discrimination in the Listening and Reading Sections. The average correlations of the results between the two analyses were estimated as .47, which indicates a high level of correlation. As expected, there were discrepancies in case of some test items. This article also suggests that the examiners should have in mind when they crete testing items. More studies on FLEX are also suggested.

      • 러시아어 접미사 -ik 재 고찰

        추석훈(Choo. Suk-hoon),황지영(Hwang. Ji-young)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09 동유럽발칸학 Vol.11 No.1

        파생어를 연구 대상으로 하는 조어론에 있어서 접미사에 의한 단어 파생 방법은 가장 대표적인 조어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제까지의 기존 연구에서 다양한 접미사들이 자세히 다루어졌지만 현대 노어에서 명사 파생 접미사 중 매우 생산성이 높은 접미사 중 하나인 -ik는 기존 연구에서 자세히 다루어 지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이 접미사에 대해 보다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그것의 생산성을 나타내고자 한다. 또한 접미사 -ik의 앞으로의 생산성을 예측하기 위한 모델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한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접미사 -ik와 형태적으로 연관성이 있는 접미사 -nik, -?ik/-??ik에 대한 기존 연구에 대해 살펴보고, 3장에서는 접미사 -ik에 의한 파생어를 조어사슬에 의해, 그리고 의미에 의해 분류한다. 또한, 4장에서는 3장에서의 귀납적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shaumyan의 연산생성모델에 적용하여, 각 의미에 해당하는 생산성 높은 모델을 제시한 뒤, 이에 대해 보다 발전된 모델 생성에 대해 가능성을 제시한다. Word-formation by adding suffixes is common methodology in the study of word-formation that investigates derivative or theoretical approaches to it. Up until now, there have been considerable studies about various suffixes. But it is hard to find researches and studies about '-ik', which is one of the most productive suffixes in modern Russian language. This article focuses on proving the productivity of the suffix '-ik' through case study research. Also, this article tries to provide possible prediction models for future productivity of the suffix '-ik'. Study cases about -ik related suffixes like -nik, -?ik/-??ik will be examined in chapter 2, and derivatives of '-ik' are categorized by word-formation chain and their meanings in chapter 3. In chapter 4,productive models for each meaning are introduced by method of scientific induction from chapter 3 based on AGM. In addition to the productive models, possibility of creating more advanced productive models is presented.

      • The Bulgarian Jat’ Umlaut: A Simple Solution ‐ A Comparative Slavic Approaches

        추석훈(Choo, Sukhoon)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8 동유럽발칸학 Vol.10 No.1

        이 논문은 불가리아어에서 나타나는 형태음운론적인 현상의 하나인 jat' Umlaut를 다루고 있다. 불가리아어에서 역사적으로 저·장모음인 jat'는 강세와 후행하는 자음의 자질(경자음 vs. 연자음)에 따라e 혹은ja로 발전되었다. 방언, 역사적 유추, 그리고 다양한 형태론적인 과정을 거침에 따라 현대 불가리아어의 모음교체는 기존의 jat'의 대응형(reflex)과는 상이한 형태로 나타난다. Jat'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단순히 통시적(historical jat'를 현대 불가리아어의 공시적 음운론에 적용)이거나 엄격하게 기술적(모음교체를 유발하는 기저분절의 본질에 대한 언급 없이)으로 접근해 오는 경향이 뚜렷했다. 이 논문에서는 기저 음소인 /je/를 설정하고 이 관점에서 jat' Umlaut의 문제에 접근하고자 한다. 이 접근은 1) 추상적인 underlyingě를 설정하지 않는 다는 점, 그리고 2) 일정 모음교체현상(e와a)를 제외한 다른 추가적 규칙이 필요하지 않다는 면에서 간결하지만 통찰력 있는 분석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에서는 필자가 주장하는 분석방법의 다양한 결과, 형태론적으로 구현되는 어미에서의 jat'의 status, 그리고 각각의 슬라브어별 특수현상과 그 본질에 대해 논하고 있다. This article provides a new analysis of an old and intractable problem in Bulgarian morphophonemics: the jat’ Umlaut. Generally speaking, in literary Bulgarian the reflex of the historical long low front vowel jat’ (ě) is either e or ja, depending upon stress and the hard/soft nature of the following consonant. Due to dialectal mixing in the literary language, historical analogies, and its involvement in various morphological processes, the modern Bulgarian vowel alternation has lost its direct connection with the historical vowel jat’, and must now beanalyzed independently. Existing analyses are either strictly historical (encoding historical jat’ into the synchronic phonology of modern Bulgarian) or strictly descriptive (taking no position on the nature of the underlying segment which triggers this vowel alternation). The analysis proposed in this article posits and underlying sequence of /je/ as the host for the jat’ Umlaut. This analysis is aradigmatically simple (no abstract underlying ě) and syntagmatically clean (no additional rules required aside from the unavoidable alternation of e anda, i.e., the vowel alternation that comprises the phenomenon). The article then addresses several consequences of this proposal, including its effect on the paradigmatic phonemics of Bulgarian (elimination of underlying palatalized consonant phonemes), the status of the jat’ Umlaut in morphological desinences, and the nature and idiolectal variation in lexical processes like the jat’ Umlaut.

      • KCI등재

        Bidirectional Subcategorization in Russian Morphosyntax

        Choo Sukhoon(추석훈)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10 슬라브학보 Vol.25 No.3

        본 논문은 러시아어의 격지배 현상을 현존하는 격이론을 그 기본으로 하되, 또 다른 시각을 제시하고 있다. ‘지배’(government)는 통사적 머리(syntactic head)가 그 보어 (complement)에 특정한 특성 혹은 특질(property)를 부여하는 능력(ability)을 의미하는데, 이 과정을 ‘하위범주화’ (subcategorization)이라고 부른다. 러시아어 머리는 일반적으로 그것이 지배하는 NP보어의 격을 결정한다. (예: pomogat’ + 여격보어, dostoin + 생격보어 등). 또한 통사적 머리는 특정 전치사를 지배할 수도 있으며, 그 특정전치사는 특정격의 보어를 지배한다. (예: nu?dat’sja + v + 전치격보어). 본 논문에서는 위에서 제시한 지배의 두 가지 형태가 전적으로 유사하며, 전치사(강세가 없는)가 명사의 기능적 투사 범주(the functionala projection of N)내의 '기능' 요소임을 제시하고자 한다. 러시아어가 '역과정'(reverse process), 즉 피지배자인 보어가 지배자(governor)와 유사한 지배현상을 부여한다는 사실은 주목할 만 하다. 예를 들어 po?ta와 같은 명사는 둘러 쌓인 공간, 혹은 건물이라는 의미적 시각에서는 전치사 v 를 쓰는 것이 논리적인데도 불구하고, 대신 전치사 na 를 취한다. 시간표현에서도 이와 같은 역과정을 자주 접할 수 있는데, 머리가 그 보어를 지배할 뿐만 아니라, 보어가 기능적 머리를 지배하는 두 가지 경우가 존재한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기능적 머리가 지니는 특성 혹은 특질이 본질적으로 동질적이라는 명제를 제시한다.

      • KCI등재

        The Syntactic Status of VP-Internal Dative NPs

        추석훈(Sukhoon Choo)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10 동유럽발칸연구 Vol.25 No.1

        동사구에 내재하는 명사구 격할당에 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왔으나 격할당을 바라보는 시각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 중 하나는 수형도에서 대격 직접 목적어가 여격 간접 목적어보다 높이 위치한다는 것인데, 이는 대격 명사구가 여격명사구를 c-command하는 구조, 즉, 대격 명사구가 여격 명사구를 결속(bind)하고 통제(control)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기 때문이다. 또 다른 하나는 대격 직접 목적어가 수형도에서 여격 간접 목적어보다 낮게 위치해야 한다는 것인데, 이는 대격 직접 목적어가 동사와 함께 구성소(constituent)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위 두 논거는 서로 양립하며 융화 불가능해왔다. 본 논문은 위의 두 논거가 서로 양립하지만 융화될 수 있다는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먼저 본 논문은 ‘통사적’인 관점에서는 두 번째 논거, 즉, 대격 명사구가 수형도에서 여격 명사구보다 낮게 위치하며 동사와 함께 구성소를 형성한다는 논거가 옳다고 주장한다. 어, 간접 목적어)간의 차이, 즉, ‘문법적으로’ 두드러지는 명사구와 ‘의미론적/화용론적으로’ 두드러지는 명사구간의 차이는 두 가지 형태의 러시아어 주어(즉, 문법적인 주어와 논리적/개념적 주어)간의 차이와 유사하이는 형상적 구조(configurational structure, 어휘구조(lexical structure)가 아닌)를 그 분석의 기저로 두고 있으며, 이와 상반된 첫 번째 논거는 의미론과 화용론과 관계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본 논문은 동사구 내의 두 명사보어(직접 목적며. 이 차이는 주어에만 국한되지 않고, 문장내의 다른 명사구에 확장되어 적용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A long-standing conflict has evolved in the literature on the morphosyntactic processes involved in case assignment to VP-internal NPs. Some analysts insist that the Accusative direct object stands higher in the syntactic tree than the Dative indirect object because it has the potential to bind and control into the Dative NP, which is characteristic of a structure in which NPACC c-commands NPDAT. Other analysts argue that the Accusative direct object must occupy a lower position because it forms a constituent together with the verb. These positions have previously seemed to be quite irreconcilable. The present article presents an analysis of the structure of VP under which the competing properties which underly the two alternative proposed structures can be reconciled. It is argued that the second structural analysis, whereby NPACC stands lower and forms a constituent with V, is correct. The arguments in favor of this position are all configurational in nature, and therefore they follow directly from a structural account. The arguments against this structure, and in favor of the alternative, are all related to semantics and pragmatics. It is argued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grammatically prominent and semantically/pragmatically prominent NP complements to V is analogous to the well-established distinction between two types of subjects in Russian grammar: the grammatical subject and the logical or notional subject. It is argued that this distinction should not be restricted to subjects alone, but extended to other important NP arguments as well. This extension explains all the hitherto intractable facts while introducing no additional apparatus or ad hoc assumptions beyond what is independently required elsewhere in the grammar of Russian.

      • The Role of Aspect in Deverbal Nominalization in Russian

        추석훈(Sukhoon Choo)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10 동유럽발칸학 Vol.12 No.2

        러시아어 동사 어간은 다양한 접미사와 결합하여 다양한 어휘 유형을 가지는 파생명사를 생성한다. 상(aspect)의 관점에서 러시아어 동사는 일반적으로 불완료체와 완료체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동사의 상은 명사의 어휘범주로 표현되지 않기 때문에, 동사범주는 명사화과정에서 상쇄된다는 관점이 일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명사화과정에서 상과 접미사의 선택에 어떤 원칙이 존재하는지, 그리고 동사의 상이 파생명사의 의미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본다. 일반적으로 동작의 의미를 가지는 파생명사는 불완료체에서 파생(예: ?tenie‘읽기, 읽는 행위’ < ?itat’ ‘읽다[불완료체]’)되는 반면, 결과의 의미를 중시하는 파생명사는 완료체에서 파생(예: pro?tenie ‘통독’< pro?est’ ‘읽다[완료체]’)된다. 동사 불완료체가 행위, 동작의 과정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완료체가 행위, 동작의 완료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는 관점에서 위 결과는 당연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예외라고 할 수 없을 정도의 많은 예들이 위의 일반화에 다른 논증을 제시한다. 예를 들면, re?at’[불완]/re?it’[완] ‘해결하다, 결정하다’는 단 하나의 파생명사 re?enie를 가지는데, 이 명사는 해결/결정의 행위뿐만이 아니라 동시에 완료적 의미의 해결/결정을 뜻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현상이 일어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두 가지 잠재적인 파생명사화(행위명사와 완료명사)가 동시에 가능할 경우, 두 가지 형태의 파생명사가 기저구조에서 생성되며, 그 중 하나가 보다 부각되어 어휘화되고, 두 가지 의미를 모두 가지게 된다. 또한, 명사가 문자그대로의 의미를 반영할 때는, 그 명사는 일반적으로 불완료체에서 파생(예: otkryvatel’ ‘(병)따개’)되는 반면, 명사가 비유적이고 은유적인 의미를 반영할 때는, 일반적으로 완료체에서 파생(otkrytie ‘발견’)됨을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위에서 제시한 상의 선택이 조어론적인 관점에서 어떻게 설명 될 수 있는 가를 결론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Russian verb stems combine with a number of different noun-forming suffixes in the derivation morphology, creating nominalizations of various semantic types (agent, instrument, action, result, etc.) Russian verbal lexemes are normally analyzed as consisting of a linked pair of verbs, differing in terms of the verbal category of aspect. But aspect is not expressed as a semantic category of nouns. Therefore, the verbal category is neutralized in the process of nominalization. This paper examines the principles by which the system of Russian derivational morphology chooses which aspect from the underlying lexical pair to add a particular suffix to, and the impact of the underlying aspect on the meaning of the resulting noun. A range of aspect-related generalizations pertaining to word formation are proposed. For example, when a noun reflects the literal or physical meaning of the verb, it is common that it is built upon the imperfective aspect (e.g., otkryvatel’ ‘opener[for cans or bottles]’), whereas figurative or metaphorical meanings are more often built upon the perfective aspect (otkrytie ‘discovery’). The paper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f how the need to maintain a potential aspect feature can be met in a more theoretical model of word formation.

      • The Unity of Derived and Non-Derived Instrumental NPs in Russian

        추석훈(Choo, Suk-Hoon)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11 동유럽발칸학 Vol.13 No.2

        이 논문은 러시아어 조격명사구를 수동태와 같은 통사작용을 통한 파생 조격명사구와 통사작용과 무관하게 기저기반에서 조격이 할당되는 비파생 조격명사구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춈스키언 통사이론과 상관문법(relational grammar)이론을 토대로 분석하고자 한다. 비파생 조격명사의 예는 1) '순수한(pure)' 조격명사: On pišet levoj rukoj '그는 왼손으로 쓴다. 그는 왼손잡이다,' 2) 동사구를 수식하는 부사적 명사구: On uexal poezdom '그는 기차를 타고 떠났다'; On skakal volkom '그는 늑대처럼 뛰었다' 등이 있고, 파생 조격명사의 예는 1) 수동태 동작의 주체: Eta kniga byla napisana molodym moskovskim pisatelem '이 책은 젊은 모스크바 작가가 집필했다,' 2) 동사파생명사 동작의 주체: uničoženie goroda nemcem '독일인들의 도시파괴,' 3) 제 2술어: On prišel pervym '그가 맨 먼저 왔다' 등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파생 조격명사와 비파생 조격명사 모두, 표면구조(surface structure)에서 동일한 통사적 형상적 위치(syntactic configurational positions)를 공유한다고 주장하고, 이 조격명사를 통합적으로 기술한다. 또한 본 논문은 Perlmutter (1983)가 제시한 the Relational Grammar notions of Advancement and Ascension에서 더 나아가 PredP를 소개한 Bailyn(2001)의 이론을 조격명사에 적용해 그 해법을 찾아보고자 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range of NPs in Russian which are marked with the Instrumental Case, and classifies them as derived (through syntactic operation such as passivization) or non-derived (assigned Instrumental case in their base-generated location, without any syntactic operation). It combines the framework of standard Chomskyan syntactic theory with insights derived from the theory of Relational Grammar. Chomskyan theory acknowledges the existence of "inherent case" (often referred to as "semantic case"), which can be seen in a variety of adverbial Instrumentals, such as pure instruments (On pišt levoj rukoj 'He writes with his left hand') or other adverbial NP modifiers of VP (On uexal poezdom 'He left by train'; On skakal volkom 'He leapt like a wolf"). Others have been frequently described in the literature as syntactically derived (passive agents: Eta kniga byla napisana molodym moskovskim pisatelem 'This book was written by a young Moscow writer'; agents with deverbal nominalizations: uničožnie goroda nemcem 'the destruction of the city by the Germans'; secondary predicates: On prišel pervym 'He came first', etc.). Others lack a clear analytical consensus, such as agent-like NPs (On rabotaet bibliotekarem 'He works as a librarian'), complements of copular and semi-copular verbs (On stal vračom 'He became a physician'). The paper proposes a unified description of these and other Instrumental NPs under which both derived and non-derived NPs occupy parallel syntactic configurational positions in surface structure. The analysis extends the Relational Grammar notions of Advancement and Ascension (Perlmutter 1983 et seq.) to co-exist with Bailyn's (2001) proposal of a PredP headed by a Pred element, often null, which Instrumental case to its compl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