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태암(笞巖) 이주(李輈)의 실천적 학문정신 고찰

        추나진(Chu, Na-jin) 영남퇴계학연구원 2020 퇴계학논집 Vol.- No.27

        본고는 태암(笞巖) 이주(李輈, 1556-1604)의 학문정신과 그 양상을 실천적 관점에 입각하여 고찰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주는 퇴계학(退溪學)과 남명학(南冥學) 양자 모두를 계승하고 있는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한강학(寒岡學)을 자신의 사상 속에 녹아내고 있다. 필자는 유학에서의 실천이라는 측면에 입각하여 이주의 학문정신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으로 이주의 심성수양 방법과 사회적 실천 양상으로 구분하여 그의 실천철학적 경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는 특히 성리서를 토대로 한 심성수양론을 중시하였는데, 이는 정구가 경(敬) 사상을 중심으로 하는 마음 수양론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그리고 이주는 경전 공부를 통한 이론 공부에만 매몰되어 있지 않고 자신의 삶 속에서 실현하고자 하였다. 그러한 일환으로 임진왜란이 발생했을 당시 적극적으로 의병활동에 참여하였으며, 평생을 독서와 강학, 후학 양성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였다. 이러한 노력들로 인해 그는 퇴계학과 남명학뿐만 아니라 한강학까지 계승하여 평생을 유학 본연의 가치를 실천하고자 노력한 인물로 평가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aeam(笞巖) Yi Ju(李輈)’s academic spirit and aspects in the perspective of practice. Yi Ju develops his thoughts in succession of Hangang Studies(寒岡學), which was also inherited from the Toegye Studies(退溪學) and Nammyeong Studies(南冥學). I would like to examine in the theory of Yi Ju’s academic spirit. So I would like to examine his tendency to practice philosophy by dividing it into mind and nature methods and social practice methods. In particular, he emphasized the theory of mind and nature based on the neo-confusian’ books, the basis for this was influenced by Jeong Gu(鄭逑)’ theory of Kyeong(敬). And he wanted to realize in his life, not just studying theory through scripture. As part of such efforts, he actively participated in righteous army activitie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continued to strive for reading, teaching, and training for his students throughout his life. Due to these efforts, he can be regarded as a person who has succeeded not only Toegye Studies and Nammyeong Studies but also Hangang Studies to practice the original values of original confucian.

      • KCI등재

        동계(桐溪) 정온(鄭蘊)의 실천적 학문정신 고찰

        추나진 ( Chu Na-ji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9 한국학연구 Vol.0 No.54

        본고는 동계(桐溪) 정온(鄭蘊, 1569~1641)의 학문정신과 양상을 실천적 관점에서 고찰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온은 퇴계(退溪) 이황(李滉)과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학통을 계승하고 있는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학문성과를 충실하게 계승하여 자신의 사상을 전개하고 있다. 그는 정구처럼 퇴계학(退溪學)과 남명학(南冥學) 모두를 종합하려고 시도하고 있으므로 학문의 다양성 또는 포용성을 가지고 자신의 학문을 구축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필자는 구체적으로 경의론(敬義論)을 통해 그의 학문정신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우선 그의 학문정신은 경(敬)을 통한 내면의 마음공부와 의(義)를 통한 외면적 사회실천의 양상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그는 심성수양론적 저술을 많이 남기지 않았다. 하지만 정구의 영향으로 인해 경 사상을 중심으로 하는 마음 수양론에 크게 관심이 있었고, 이를 핵심적인 사상으로 자신의 사상을 전개하고 있다. 그리고 그의 정치적 행적을 통해서 그가 의를 바탕으로 자신의 삶 속에서 강력한 사회 실천적 면모를 견지하고 있었는지도 확인할 수 있다. 그의 실천정신은 그의 삶과 밀접한 연관성 속에서 드러난다. 그렇기 때문에 그가 가지고 있던 실천적 학문정신을 살펴보기 위해서 그가 친밀하게 교류하였던 인물들과 주고받은 서신을 통해서 그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그가 유학 본연의 실천성을 회복하고자 대응하고 노력하는 자세를 자신의 삶에 투영하고 있으며, 그의 학문정신이 실천적 가치와 합일될 수 있는 가능성을 담보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Donggye(桐溪) Jeong On(鄭蘊)’s academic spirit and aspects in the perspective of practice. Jeong On develops his thoughts in succession of Hangang(寒岡) Jeong Gu(鄭逑)’s scholastic achievements, which was also inherited from the scholastic mantle of Lee Hwang(李滉) and Jo Sik(曺植). He constructed his academic ideas with divisity and magnanimity as he also attemps to conflate both Toegye Studies(退溪學) and Nammyeong Studies(南冥學) like Jeong Gu. I would like to examine in the theory of Kyeong(敬) and Ui(義) in detail. First of all, it is divided into the internal mind practice through Kyeong and the external social practice through Ui. However, he didn’t write about the theory of cultivation of mind and nature. Notwithstanding with the influence of Jeong Gu, he developed his main ideas because of his great interests in the mind practice focusing on the ideas of Kyeong. Moreover, we can explore that he put his ideas into social action in his life through his political activity based on Ui. Also his practice is revealed in his own life. To review his practical academic thoughts, this study demonstrates them from the correspondence with the figures tho maintained a close relationship with him. To the end, this study proves that he displayed his attitudes towards recovery of practicality derived from the original confucian ideas into his own life directly and in result his academic spirit belongs to practice.

      • KCI등재
      • KCI등재

        <특집논문 2> 깨달음에 대한 현대적 해석과 선불교 : 철학치료의 관점에서 본 『주역선해(周易禪解)』

        방인 ( In Bang ),추나진 ( Na Jin Chu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4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0

        『주역선해』는 명말청초 선승(禪僧) 우익(藕益) 지욱(智旭1599-1655)이 『주역』을 선불교적인 관점에서 저술한 역서(易書)이다. 지욱은 『주역선해』를 저술하여 유교경전으로 자리매김해 온 『주역』을 선불교적 관점으로 재해석하여 유불회통의 관점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된다. 지욱은 유교와 불교 사이의 사상적 대립을 극복하기 위해 해체적 관점에서 접근한다. 해체적 관점이란 오랜 경전 해석사를 통해 유교경전으로 자리매김해온 『주역』을 유교적 맥락에서 떼어놓으려는 탈맥락화(脫脈絡化)의 관점을 의미한다. 만약 유교와 불교의 두 전통에서 지향하는 바의 윤리적 이념이 서로 일치한다면, 『주역』이라는 문헌의 역사적 맥락에서도 자유로워질 수 있다는 관점을 지욱은 취하고 있다. 탈맥락화가 이루어진 다음에 지욱은 『주역』을 불교적 맥락 속에 배치시켜 다시 이해함으로써 재맥락화(再脈絡化)를 시도한다. 탈맥락화와 재맥락화는 『주역』이라는 문헌을 유불회통의 도구로 쓰기 위한 지욱의 전략을 드러낸다. 그리고 『주역』에 내포된 변화의 논리를 적용하여 한계상황에 직면해 있는 내담자에게 궁극의 초월적 자아를 발견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주역선해』의 가르침은 철학치료와 서로 만나고 있다. 철학 치료적 관점을 『주역선해』에 적용해 보자면, 현실의 고뇌와 좌절이라는 한계상황에 처해있는 내담자에게 『주역선해』에 담겨있는 가르침을 통해서 삶의 의미를 발견하고 궁극적으로 내면적 자아실현을 위한 깨달음의 길로 인도하려는 것이다. 『주역선해』에서 드러난 지욱의 관점은 철학치료의 성립과 직접적인 관계를 맺고 있지는 않지만 문제 상황에 따른 변화 가능성을 제시하여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 주고 있다. 따라서 『주역선해』의 관점을 철학치료에 적용시켜 보는 것은 유의미한 연구가 될 것이다. This paper aims at exploring the meaning of the Zhouyichanjie from the perspective of philosophical therapy. Philosophical therapy is the field of practical philosophy which helps the clients faced with the existential problems to search for meaningful solution. This book is very characteristic in that it interprets the Zhouyi, the one of the Confucian Classics in the light of Chan Buddhism. The author, Zhixu who is the Buddhist Chan Master of the late Ming and Ching period wants to use the Zhouyi as the means of converting the Confucian scholars to Buddhist faith. In order to persuade the Confucian scholar who regards the Zhouyi as the Confucian Classic, it is necessary to take the deconstructive strategy. In other words, the context in which the Zhouyi has been understood throughout the exegetic tradition of Confucianism must be intentionally removed and dismantled. After he separates the Zhouyi from the Confucian context, he proceeds to recontextualize the Zhouyi into the framework of Chan Buddhism. In the context of Chan Buddhism, the final goal of meditation practice is to attain the Enlightenment. The purpose of philosophical therapy is none other than the Buddhist ideal of Enlightenment. In order to draw the meaning of philosophical therapy from the Zhouyi, it is necessary to hypothesize that the reader should be the client of philosophical counseling. The final goal of philosophical counseling is to guide the clients confronted with the pain and frustration to find the path of healing by way of discovering the meaning of life in his inner mi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