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와 결합하는 접미사의 사전적 처리에 대하여

        최형용(Choi, Hyung?Yong) 한국사전학회 2017 한국사전학 Vol.- No.29

        This paper aims at finding out the problems of the suffixes associated with noun phrases in Basic Korean Dictionary and suggesting rational solutions on them. This is because those suffixes show inconsistency with the definition of derivational suffixes in that they cannot produce new words. Of course there are simple modifications about the errors such as wrong information and obscure explanation in distribution. However, it is most important that the solutions consistent with the definition of derivational suffixes must be pursued. Therefore, at least three classes are discriminated according to taking part in wordᐨformation. The first class contains the units that are associated only with noun phrases and therefore cannot be treated as derivational suffixes at all. The second class is consisted of the units that are associated with nouns as well as noun phrases but cannot take part in wordᐨformation. These units also cannot be treated as derivational suffixes. The third class includes the units that are associated with nouns as well as noun phrases and can take part in wordᐨforma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sider these units as derivational suffixes. There are two ways for representing them in 『Basic Korean Dictionary』. One is polysemous and another is homonymous. To represent them in 『Basic Korean Dictionary』without contradiction, it seems that the latter is a much more useful way.

      • KCI등재
      • KCI등재

        구성족 개념에 따른 사이시옷의 실현과 비실현

        최형용 ( Choi Hyung-yong ),김혜지 ( Kim Hye-ji ) 국어학회 2016 국어학 Vol.80 No.-

        본고에서는 사이시옷의 실현과 비실현이 주변의 환경에 이끌릴 수 있다는 가설을 세우고 그 가설의 타당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때 주변의 환경이란 같은 요소를 공유하는 구성족을 의미하는데 본고의 목적은 바로 이 구성족이 사이시옷의 출현에 관여하는 양상을 살피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를 위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현대 한국어에서의 사이시옷의 실현 양상에 대해 살펴 보았다. 이를 통해 구성족이 사이시옷의 실현과 비실현 양상에 일정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at the realization and nonrealization of Sai-siot are affected by surrounding environmen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means constituent family that shares same constituent. This paper observes the appearance of constituent family being concerned with realization and non-realization of Sai-siot. For this purpose we carried out a survey. Through the survey this paper figured out that constituent family including modifier family and head family affects realization and non-realization of Sai-siot.

      • KCI등재

        어휘부와 형태론

        최형용 ( Choi Hyung-yong ) 국어학회 2013 국어학 Vol.66 No.-

        최근 어휘부(lexicon)는 형태론의 단어 형성과 관련하여 논의의 중심에 서 있다. 그러나 단어 형성의 기제로서 규칙을 중심으로 하는 이론 어휘부와 단어 형성의 기제로서 유추를 중심으로 하는 심리 어휘부에서의 ‘어휘부’는 지향점과 외연에서 차이가 적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이론 어휘부는 문법의 설명적 타당성을 목적으로 하여 통사부 및 음운부와 대등하게 자율적 기제를 가지는 부문으로서의 자격을 가지는 반면 심리 어휘부는 심리적 실재를 중심으로 화자의 단어 형성 능력을 밝히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저장’ 방식과 등재소 사이의 연결 과정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측면을 중심으로 한다면 이론 어휘부의 사전과 심리 어휘부가 상통하는 측면이 강하다. 등재소의 범위에 있어서도 이론 어휘부와 심리 어휘부 각각이 크고 작은 차이를 가진다. 대체로 이론 어휘부를 주장하는 논의들은 형태소를 등재소로 설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진다. 심리 어휘부를 주장하는 논의 가운데서 등재소를 심리 언어학적으로 검증하려는 논의에서는 형태소를 등재소로 설정하는 경향이 강하지만 용례 기반 이론, 틀을 중시하는 구성 문법에서는 형태소를 등재소로 설정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목격된다. 한편 형태론과 관련하여 유형론적 논의에서도 어휘부를 언급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단어 형성이 유형론적으로 어떤 변폭을 가지는지에 대한 관심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Recently lexicon has especially been focused in the sense of word-formation in morphology. However, theoretical lexicon which assumes 'rule' as a mechanism of word-formation has differences with mental lexicon which supposes 'analogy' as a mechanism of word-formation. The former has a status as an autonomous component for the explanatory adequacy of grammar, whereas the latter has been interested in the method of storage and the process of connection of listemes with an object to reveal the word-formational abilities of speakers. Paying attention to this point, the 'dictionary' of theoretical lexicon is almost equal to the 'mental lexicon'. The scope of listemes is disagreed as to the points of view. Generally the opinions advocating theoretical lexicon consider morpheme as a member of listemes. On the other hand, some ideas supporting mental lexicon, contain a wide variety. While the discussions to reveal the listemes through psycholinguistic tests suppose morpheme as a kind of listeme, usage-based theory and construction grammar show a tendency of not admitting morpheme as a listeme. Besides, there are some researches in the typological studies referring lexicon. These reflect the concerns on the variation of word-formation typologically.

      • KCI등재

        신어 형성에서 유추의 역할은 무엇인가 : 마티엘로(2017), Analogy in Word-formation을 중심으로

        최형용(Choi, Hyung-yong) 형태론 2021 형태론 Vol.23 No.2

        마티엘로(2017)은 특히 영어의 신어를 유추의 관점에서 조명한 성과이다. 촘스키 이후 단어 형성을 규칙으로 간주하려는 입장이 지배적인 저간의 사정을 염두에 둔다면 단어 형성에서 유추에 초점을 두고 이것이 오히려 규칙을 포괄할 수 있다고까지 주장하고 있는 마티엘로(2017)의 의의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마티엘로(2017)는 전체 9장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이론적인 측면에서나 양적인 측면에서 유추와 관련된 다양한 개념을 검토하고 신어를 바탕으로 다양한 관점에서 유추를 유형화하고 있는 3장이 핵심이라 할 수 있다. 4장부터 7장까지는 장르 개념에 기반해 신어 가운데 전문 용어, 청소년 언어, 언론 용어, 문학 용어에서 나타나는 유추를 다루고 있다. 8장은 유추에 의해 형성된 신어들의 수용성 문제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이러한 마티엘로(2017)의 논의는 한국어에도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적지 않다. 무엇보다도 한국에서도 유추가 특히 단어 형성에서 규칙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된 이래 유추 자체의 유형화에 대한 논의를 찾기 어려웠는데 이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타진할 수 있었던 것은 가장 큰 성과라 할 수 있다. 또한 혼성어의 파편소가 결합형으로 발전해 가는 모습을 포착한 것도 한국어에 적용 가능하다. 한편 우리의 신어 보고서를 통해서는 사용 영역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부분이 그나마 전문 용어 정도라는 것은 아쉬운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Mattiello(2017) focused on new words by analogy. Keeping the mainstream on word-formation by rule in mind, Mattiello(2017) which asserted that analogy can cover word-formation by rule is especially worthy of notice. Although Mattiello(2017) consists of 9 chapters, chapter 3 is the most important both theoretically and quantitatively. From chapter 4 to chapter 7, Mattiello(2017) dealt with analogies that appear in specialised language, juvenile language, journalistic language, and literary works. In chapter 8, Mattiello(2017) introduced the test on acceptability of new words by analogy. These contents of Mattiello(2017) can be applied to Korean. Most of all, considering the situation in which there have not been much discussion about the types of analogy itself, various types of analogy in chapter 3 of Mattiello(2017) can be applied directly to Korean. Moreover, it is also applicable to Korean to capture the process of development from splinters in blending words to combining forms. Meanwhile, it is regrettable that the part which can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domain through the new words reports so far is just only in specialised language.

      • KCI등재

        한국어의 조사와 어미는 접어인가 -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한국어 조사와 어미의 범주-

        최형용 ( Choi Hyung-yong ) 국어학회 2022 국어학 Vol.- No.101

        그동안 한국어의 조사나 어미에 대해서는 이를 접어로 간주할 수 있다는 견해가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다양한 견해들의 가장 큰 문제는 서로 양립할 수 없는 부분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한국어의 조사와 어미가 유형론적인 측면에서 접어로 간주될 수 있는지 접어의 특성, 접어의 유형, 접어의 판별 기준으로 나누어 살펴볼 필요가 있다. 먼저 그동안 유형론적 논의에서 제시된 접어의 특성들은 접어가 매우 넓은 스펙트럼을 가진다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들 특성 가운데는 한국어의 조사나 어미와 공유하는 것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만큼 적용될 수 없는 특성도 적지 않게 존재한다. 다음으로 접어의 유형을 ‘분포’에 초점을 두어 살펴본 Zwicky(1977)의 논의는 대당하는 자립 단어를 가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한국어의 조사와 어미를 ‘단순 접어’는 물론 ‘특별 접어’로 분류하기 어렵다는 사실을 보여 준다. 남는 경우의 수는 ‘의존 단어’뿐인데 이 역시 나중에 ‘특별 접어’로 편입된 사정을 염두에 둔다면 한국어의 조사와 어미에 적용될 여지를 찾는 것은 어려워 보인다. Klavans(1982, 1985)의 접어 유형은 ‘위치’에 중점을 둔 것이므로 결과적인 유형으로는 한국어의 조사와 어미를 포괄할 수 있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접어로 ‘판정’된 이후에나 가능한 일이다. 마지막으로 보다 적극적으로 접어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기준으로 제시된 것은, 접사와 접어를 구별하기 위한 Zwicky & Pullum(1983), 접어와 첨사를 구별하기 위한 Zwicky(1985)이다. Vance(1993)에서는 특히 한국어의 조사에 대당될 수 있는 일본어의 첨사에 이를 적용해 본 것인데 그 결과 일본어의 첨사는 접사로 분석될 수 없으며 접어로도 보기 어렵다고 결론지었다. 한국어의 조사와 어미에 Zwicky & Pullum(1983), Zwicky(1985)의 판정 기준을 적용해 본 결과도 이와 크게 다르다고 보기 어렵다. 이는 결국 한국어의 조사와 어미를 ‘범주’로서는 접어로 간주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하기에 충분하다. 이제 한국어의 조사와 어미를 범주로서 처리할 수 있는 마지막 가능성은 통사 요소라는 측면을 중시하여 단어의 하나로 간주하는 것이다. 이는 곧 한국어에는 선행 요소에 의존하면서 그 자체로 통사적인 측면에서 단어의 자격을 가지는 조사와 어미라는 품사가 존재한다는 것을 말해 준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면 오히려 한국어의 조사와 어미는 접사와 단어 사이에서 범주상의 문제를 제기하는 요소가 아니라 한국어의 유형론적 특수성을 보여 주는 요소임을 알 수 있다. There have been opinions that josa and endings of Korean are clitics in whole or in part. However, these opinions have a critical flaw in that they are incompatiable with each oth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lore whether josa and endings of Korean are clitics or not in a typological perspective. First of all, owing to the wide spectrum, the properties of clitics which have suggested so far, cannot help much with the definition of clitic itself. As a result, there are a lot of properties which don´t apply to josa and endings of Korean. In the second place, the things with respect to the types of clitics based on Zwicky(1977) which classified the clitics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showed that josa and endings of Korean cannot be not only simple clitics but also special clitics in that they don´t have corresponding free words. The last remaining possibility is to treat josa and endings of Korean as bound words in Zwicky(1977), but keeping the bound words being incorporated into special clitics later in mind, it is hard to say that this treat is valid. Meanwhile, in the clitic types of Klavans(1982, 1985) which are focused on the position in the sentence mainly, it is possible to treat josa and endings of Korean as a kind of clitics. However, it is needed to be aware of that this treat is possible only after judging josa and endings of Korean as clitics. Finally, to judge the status of josa and endings of Korean directly, it is needed to consider the criteria for clitics. The criteria for clitics in Zwicky & Pullum(1983) have a purpose for distinguishing affixes with clitics and the criteria for clitics in Zwicky(1985) have a purpose for distinguishing clitics with particles. In Vance(1993), through applying the criteria for clitics of Zwicky & Pullum(1983) and Zwicky(1985) to Japanese particles which correspond to Korean Josa by and large, it is concluded that they cannot be treated as clitics as well as affixes. The results of applying the criteria for clitics of Zwicky & Pullum(1983) and Zwicky(1985) to josa and endings of Korean are not different from Vance(1993). The above discussions can be summed up that although there are properties sharing with clitics, josa and endings of Korean cannot be considered as a clitics with respect to the category itself. The remaining final possibility to treat josa and endings of Korean is to regard them as a kind of ‘word’.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there exist classes of bound words as parts of speech having the status of syntactic elements. From this point of view, it can be also concluded that Josa and endings of Korean are elements showing the typological specificity of Korean.

      • KCI등재

        구성 형태론은 가능한가

        최형용(Choi, Hyung-yong) 형태론 2013 형태론 Vol.15 No.1

        보이(2010)은 형식과 의미의 쌍으로 이루어진 ‘구성’ 개념을 바탕으로 어휘부에 등재되는 구성들을 대상으로 한 ‘구성 형태론’을 제안하고 있다. 특히 구성 가운데서 단어의 성격과 함께 문장의 성격도 가지는 것으로 간주되어 온 의사-명사 포합 구성, 분리적 복합 동사 구성, 진행 구성, 구적 명명, 수사 구성 등에 초점을 두어 이를 ‘틀’로 포착함으로써 일정한 특성을 가지는 구성들이 어휘부 내에서 다각적인 관계망을 가지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이를 통해 그동안 경계 요소로서 문제를 제기하였던 것들에 일관적인 측면에서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는 사실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우선 ‘구성’에서 형태소가 제외됨으로써 언어 단위로서의 지위도 부정될 수 있는 가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적지 않다. 또한 무엇보다도 ‘구성’은 어휘부의 등재요소이기는 하지만 전통적으로 단어 내부 요소를 관심 대상으로 삼던 ‘형태론’과 결합되어 ‘구성 형태론’이 성립되는 과정에서 모종의 모순을 가져오게 된 측면이 있다. ‘구성’은 경계를 탈피하려는 시도에서 나온 것인 데 비해 형태론은 일정한 경계를 속성으로 하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이(2010)이 강조한 형태론과 통사론의 경계 요소를 ‘구성’으로 간주하고 형태론의 영역을 확대하는 대신 형태론의 관심사를 ‘구성’의 관점에서 ‘틀’로 포착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밖에는 없다. 한편 ‘틀’을 통해 포착되는 ‘구성’ 가운데는 한국어에도 적용될 만한 것이 적지 않은데 이는 분석적 사고가 지배적이었던 그동안의 연구 경향에 대해 종합적 사고의 필요성을 제기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Booij (2010) aimed to establish a construction morphology dependent on construction, that is, pairings of form and meaning listed in the lexicon. For this, Booij (2010) focused on the incorporation of quasi-nouns, separable complex verbs, progressive constructions, phrasal names and numerals which are regarded as existing on the boundary of morphology and syntax.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to reconsider. In the first place, to deny the morpheme, which is excluded from the lists of construction, as a linguistic unit is open to debate. Above all, the concept of construction (in construction grammar), which was risen from the denial of demarcating the boundary of sub-components of grammar is incompatible with the concept of morphology, which deals with the internal structure of words. To resolve this contradiction, there is no room except that construction only denotes the morphological phenomena instead of concerning the abovementioned phenomena which exist on the boundaries. Meanwhile, Booij (2010) has deep significance in that the idea of construction using schema can be applied to the various phenomena of Korean, presenting the need for a comprehensive point of view contrary to the analytic tendency so far.

      • KCI등재

        단어 형성의 관점에서 본 전문 용어 줄임말의 유형과 특성

        최형용(Hyung-Yong Choi) 형태론 2023 형태론 Vol.25 No.1

        본고는 단어 형성의 관점에서 『우리말샘』의 전문 용어 줄임말을 대상으로 그 유형과 특성에 대해 주목하기 위한 것이다. 그동안 줄임말은 2음절 2어절로 구성된 AC, AD, BC, BD의 기본형에 국한하여 논의된 감이 없지 않다. 그러나 『우리말샘』의 전문 용어 줄임말을 대상으로 했을 때도 그 유형이 이렇게 단순하지 않다. 이러한 측면에서 『우리말샘』의 전문 용어 줄임말 794개를 유형화하기 위해 기본형 외에 확장형과 응용형을 상정하였다. 또한 기본형과 확장형이 결합한 복합형도 하나의 별도 유형으로 간주하고 어느 유형에도 속하지 않는 것은 기타 유형으로 묶었다. 그 결과, 기타 유형을 제외하더라도, 기본형 4개 외에 확장형 11개, 응용형 14개, 복합형 1개로 세분하였는데 이는 줄임말 유형이 단어 형성의 측면에서 매우 복잡다단하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 준다. 통계적인 측면에서도 전체 기본형의 비율이 53.4%로 절반을 넘고 있기는 하지만 확장형과 응용형 및 복합형의 비율의 합이 44.08%로 매우 높다는 사실로 그 복잡성이 뒷받침된다. AD 유형의 경우 기본형의 비율(6.30%)보다 확장형의 비율(15.74%)이 두 배 이상 높다는 점과 줄임말 형성에 음절 수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는 사실은 단어 형성의 관점에서 모종의 예측력을 발휘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줄임말의 구조적 특성에 대해서는 가장 높은 유형 빈도와 항목 빈도를 보이는 AC, AD 유형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단어 형성의 관점에서 AC 유형은 두음절어와, AD 유형은 혼성어와의 관련성에 대해서도 주목하였다. 또한 전문 용어 줄임말 가운데는 선행 요소나 후행 요소로 반복적이면서 지속적으로 출현하는 것들이 적지 않았는데 이들 가운데는 접사와 구별되는 것도 적지 않다는 측면에서 이들을 별도로 ‘줄임소’라 명명하였다. 이러한 줄임소는 단어 형성의 관점에서 전문 용어 줄임말의 유형을 예측하게 한다는 점에서 특히 주목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ims at revealing the types and properties of term abbreviations in Urimalsaem. Until now, abbreviations have been discussed only in the basic types such as AC, AD, BC, and BD. However, even when targeting term abbreviations for Urimalsaem, the types are not so simple. In this respect, in order to categorize 794 term abbreviations of Urimalsaem, in addition to the ‘basic type’, ‘extended type’ and ‘applied type’ were assumed. In addition, the ‘complex type’ which is combined with the basic type and the extended type was considered as a separate type, and those that did not belong to any type were grouped into ‘other type’. Through this classification, except for ‘other type’, they were subdivided into 11 extended types, 14 applied types, and 1 complex types in addition to 4 basic types. This results clearly show that the term abbreviation types are very complicated themselves. These abbreviation types have a very high sum of the proportions of the extended, applied, and complex types, although the proportion of the overall basic types is over half at 53.4%. In the case of the AD type, the ratio of the extended type (15.74%) is more than twice as high as that of the basic type (16.30%). On the other hand, compared to the ratio of AC and AD types, BC and BD types are not very productive in abbreviation methods because the sum is only 5.66% of them. When it comes to the abbreviation type, it can also be seen that the number of syllables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abbreviations. On the other hand, a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abbreviation, AC and AD types with the highest type frequency and item frequency were mention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ronyms for AC type and blended words for AD type was also noted. In addition, among the term abbreviations, some elements appear repeatedly and continuously as former or latter position. Some of them are affixes, but others are not. Therefore, they can be separately called ‘abbreviators’. It is worth noting that these abbreviators make us predict the type of term abbreviations not just in current but also in future.

      • KCI등재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의 형태론

        최형용(Choi, Hyung-yong) 형태론 2014 형태론 Vol.16 No.1

        그동안 공통된 의미를 가지는 단어들의 묶음인 어휘장은 의미론의 관심사로 여겨져 왔다. 그런데 같은 어휘장에 속하는 단어들 가운데는 공통된 요소를 가지는 것들이 존재한다. 이들에 관심을 기울이면 그동안 단어 형성이 공통 요소인 접사를 중심으로 파생어에 한정되었던 경향에서 벗어나 합성어도 계열 관계의 측면에서 언급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어휘장 형태론은 형태론적 관점을 바탕으로 어휘들이 가지는 의미 관계를 바라볼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나름대로 의의가 있다. 같은 어휘장에 속하면서 동일한 요소를 공유하는 단어들은 형태론적으로도 평행한 구조를 보이는 경우가 일반적이지만 [사칙]의 어휘장에 속하는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은 단어 형성의 측면에서 매우 흥미로운 모습을 보인다. '덧셈'은 부사 '더'가 사이시옷을 개재하고 접두사화한 '덧-'이 단어 형성에 참여한 파생어라 할 수 있고 '뺄셈'은 용언의 어간이 관형사형을 가지고 단어 형성에 참여한 합성어이다. '곱셈'은 명사 '곱'이 합성 명사 형성에 참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단어 형성의 범위에 들어오지만 '나눗셈'은 어간 '나누-'가 사이시옷과 결합하여 단어 형성에 참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가장 독특한 단어 형성을 보여 준다. 이들은 겨우 네 단어뿐이지만 어휘장 형태론의 입장이 아니면 단어 형성에 대한 규칙의 입장은 물론 계열 관계를 중시하는 유추의 입장에서도 한데 묶어 다루기 어렵다는 것을 보여 준다. So far, lexical field, a group of words sharing a common meaning, has been regarded as a matter of semantics. However, there are some words that have elements in common in a same lexical field. By focusing on these words, we can get a chance to investigate compounds in aspects of paradigmatic relation as derivatives. Also, such lexical field morphology offer an opportunity to observe vocabulary in the respect of morphological viewpoint. It is natural that a group of words belonging to a same lexical field show an internal structure equally. In this respect 'tesseym', 'ppaylseym', 'kopseym', and 'nanwusseym', as a member of [four arithmetic], show very interesting aspects in the respect of word-formation. Firstly 'tesseym' is a derivative in which 'tes-' is considered as a result of prefixation of adverb 'te' and 'saisios' construction. In 'ppaylseym', we can observe an adnominal form of verbal stem 'ppay-', while 'kopseym' shows a general aspect of noun compound, because 'kop' is a noun. Lastly 'nanwusseym' gives us a dynamic aspect of word-formation in that verbal stem 'nanwu-' has 'saisios'. Both rule and analogy cannot explain the process of word-formation of just these four words.

      • KCI등재

        한국어의 형태론적 현저성에 대하여

        최형용(Choi, Hyung-yong)(崔炯龍) 도서출판 박이정 2011 형태론 Vol.13 No.1

        한국어는 그동안 형태론적 특성에 따라 교착어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 다른 언어들과의 보다 객관적인 비교를 위해 교착성의 정도가 어느 정도 되는지에 대해서는 검증된 바 없다. 그린버그(1954)는 언어의 유형론적 분류에 대한 대안으로 ‘분석적 언어’, ‘통합적 언어’, ‘다통합적 언어’를 제시한 사피어(1921)의 생각을 발전시켜 단어당 형태소 수라는 통합성 지수를 통해 언어의 발생론적 분류와 상관없는 언어 비교 방법을 계량화하였다. 본고는 그린버그(1954)의 방법론에 따라 음운론적 단위인 어절을 단어로 간주하여 한국어의 통합성 지수를 포함한 형태론적 현저성을 산출해 보려 하였다. 그린버그(1954)의 방법론을 적용하면 한국어는 교착어 가운데서도 형태론적 현저성이 매우 높은 ‘통합적 언어’로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이 현저성은 고유어 및 외래어 대 한자어라는 어종(語種)이 문체적 변수가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통합성 지수 외에 합성 지수, 파생 지수, 교착 지수도 확인하였는바 특히 한자가 어근으로 분석되면서 이를 반영한 합성 지수에서 그린버그(1954)가 교착어의 예로 제시한 언어들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중세 한국어의 형태론적 현저성도 살펴보았지만 남아 있는 자료의 성격상 현대 한국어와 특별히 차이가 나는 부분을 발견하기는 쉽지 않았다. Korean is regarded as an agglutinating language; however, the degree of agglutination in Korean remains uninvestigated. This paper examinate the morphological prominence of Korean including the ‘index of synthesis’ based on Greenberg (1954) who developed the idea of Sapir (1921) that was suggested as an alternative of the typological classification of languages in historical linguistics. To accomplish this, It was necessary to equalize all the conditions of Greenberg (1954) with Korean such as ‘word’ of Greenberg (1954) being applicable to the ‘phonological word’ of Korean. As a result, I found that Korean was analyzed at a high level of synthetic language. Especially, the ‘compounding index’ is higher than any other languages presented in Greenberg (1954) due to the majority of Sino-Korean counted as roots. The ‘derivational index’ and ‘index of agglutination’ were similar to the languages presented in Greenberg (1954). I also calculated the morphological prominence of Middle Korean; however, there was limited difference due to the limit of remaining tex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