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梁啓超(1873-1928)敎育思想的 第一期和 第二期 敎育目的觀之比較硏究

        崔香順 中央大學校 韓國敎育問題硏究所 1993 韓國敎育問題硏究所論文集 Vol.- No.8

        양계초(임공:1873-1928)의 교육사상은 그가 처했던 시대적 상황, 지리적 환경, 그리고 인문적 환경에 따라 서로 다른 내용으로 변화되어 가고 있기 때문에 적어도 4개의 시기로 나누어 고찰해야만 그 전모를 정확히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양계초 교육사상의 변화시기를 구분해보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즉 그 제1기는 광서22년부터 광서24년(1896-1898)에 이르는 시기로 유신운동기라고 부를 수 있으며, 제2기는 광서 24년부터 광서29년(1898-1903)까지의 시기로 일본 망명 전기라 부를 수 있으며, 제3기는 광서29년부터 미국7년(1903-1918)까지의 시기로 광서 29년부터 민국1년까지를 일본 망명 후기, 민국1년부터 민국7년까지를 민국 초기 정치참여기라 부를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4기는 민국7년부터 민국17년(1918-1928)까지로 문화운동기라고 부를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지면상의 제약으로 단지 양계초 교육사상의 제1기 및 제2기 교육목적관의 실체와 그들간의 관계에 대하여만 중점적으로 제시하였으며, 이들 교육목적관의 형성에 영향을 미친 요소나 기타 시기에 관련된 부분은 삭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890년대 중국은 이미 국가멸망의 위기에 봉착하게 되지만 대다수 전통유학자들은 여전히 「충순한 관리 양성」을 그 교육목적으로 내세울 것을 고집하고 있다. 당시 고위관리로서 선진적 지식분자라고 불리워지고 있는 증국번, 이홍장, 장지동 등의 양무파 인사들 역시 그 교육목적관에 있어 전통적 교육목적관을 과감하게 탈피하지 못하고, 단지 유교적 신분질서관을 지닌 충순한 신민을 양성하는 한편으로 서방어문, 서방군사, 서방실업, 서방기술 방면의 전문적 인재를 양성한다라는 이원적 교육목적관을 주장한다. 그러나 양계초는 전통유학자들의 견해는 물론이고 양무파 인사들의 교육목적관이 당시의 중국이 당면한 위기를 극복하는데 부족하다는 결론에 이른다. 그리하여 양계초는 그 교육사상의 제1기에 「백성의 지적 능력의 계발, 인재의 육성」이라는 교육목적관을 제시한다. 여기서 양계초가 제시한 「백성의 지적 능력의 계발」의 교육목적관은 양무파인사가 구상하였던 피교육대상의 범위를 현저하게 확대한 것이였으며, 지적 능력 계발의 내용에 있어서도 민권사상을 새로이, 과감하게 포함시킨 것이었다. 「인재의 육성」방면에 있어서도 양계초는 양무파 인사들이 강조한 서방어문, 군사, 실업, 기술 등 방면의 전문적 인사 양성에 그치지 않고 새로이 정치와 외교 방면의 인재양성을 포함시켰으며, 당시의 중국에 있어서 보다 시급한 것은 바로 이 정치 및 외교 방면의 인재양성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양계초는 그 교육사상의 제2기인 일본망명전기에 들어서면서 위와 같은 교육목적관을 스스로 비판하고, 단호히 「신민의 양성」이라는 새로운 교육목적관을 제시한다. 양계초는 중국역대의 풍토에 감안해 볼 때 자신이 제1기에 주장했던 「백성의 지적 능력의 계발, 인재의 육성」이라는 교육목적은 「노예의 지적 능력의 계발, 학식을 지닌 노예의 육성」을 위한 것으로 악용되기 쉽다고 보았다. 그리하여 양계초는 그 제2기에 이르러 중국의 전 백성은 반드시 내부적, 외부적 노예상태를 벗어나 꼭두각시, 괴뢰, 야만인, 부화뇌동의 무리, 타국국민, 고대인민, 과거 집착의 인민이 아닌 「신민」이 되어야 한다는 교육목적관을 주장한다. 비록 이러한 교육목적관은 그 교육사상 변화의 제3기에 들어 또다시 바뀌고 있지만 당시의 교육목적관은 양무파 인사들이 견해를 능가하는 선진적 주장이었을 뿐만아니라 그의 스승인 강유위의 교육목적관과도 민권사상의 강조 측면에 있어 그 추종을 불허하는 것으로 당시 청년지식분자의 사고성숙과 중국근대 교육사상의 발전에 있어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였다.

      • KCI등재
      • 淸代 學校制度 硏究

        崔香順 中央大學校 韓國敎育問題硏究所 1987 韓國敎育問題硏究所論文集 Vol.- No.4

        This study was attempted to research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system in Ch'ing dynasty. The study adopted an approach of cultural history centered on literature. And the study mainly contemplated Ta-Ch'ing Hui-Tien(大淸會典), Ta-Ch'ing Hui-Tien Shih-Le(大淸會典事例) and Ch'ing Kuo Hsin-Cheng-Fa(淸國行政法). Main subjec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was a historical background in the establishment of the school system in Ch'ing Dynasty ? Second, what kinds of schools set up for ManChou race(滿洲族)? How to manage those schools especially in the fields of teachers' compilations, students' organizations, students' privileges, curricula and evaluations? What kinds of function had in such a regulation about the school system. Third, what kinds of school instituted for Han race(漢族)? How to operate those schools especially in the fields of teachers' compilations, students' organizations, students' privileges, curricula and evaluations? What kinds of function had in such a regulation about the school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uring the early period of the Ch'ing Man Chou-race had being lost the loyalty on their emperor and weakened the raci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respect of military arts and the attitude of simplicitical living. In the meanwhile Han race those who had being traditionally possessed dominative cultural inheritances and national pride brought about anti-Ch'ing movements. Those situations were a serious problem to the Ch'ing dynasty as a conqueror. Thus Ch'ing dynasty set up the sdhool system following the Ming dynasty's. Second, Ch'ing dynasty instituted Tsung-Hsueh(宗學), Chiao-Lo-Hsueh(覺羅學) and Ch'i-Hsueh for the sake of Man-Chou race. The scales of their teachers and students were superior in numbers and receptions to those of the Han race-centered schools. Their curriculums set up Man-Chou Language, translation. Confucian scriptures, horse riding and archery. Those school systems were just a means to train the loyalty on their emperor, to recover the cultural inferiority and to maintain the consciousness of militarism. Third. Ch'ing dynasty established Kuo-Tzu-Chien(國子監). Ju-Hsueh(儒學) and Shu (書院) for the sake of Hanrace by copying Ming dynasty's. But those schools were inferior in the fields of teachers' compilations students' organizations, students' privileges to those of the Man-Chou race-centered schools. Their curriculums were immitated from Ming Dynasty's. Those Subjects had been applied to intensify the ruler-autocracy on the Han race. school regulations were more severe than Ming dynasty's. In Shu-Yuan which was a private school during Ming dynasty. Ch'ing dynasty powerfully deployed the policy of government-owned school in order to shrink anti-Ch'ing Movement of Han race. In conclusion, the school system of Ch'ing dynasty was a means to preserve Man-Chou race's nationality and to upbring Man-Chou race's administrative ability the school system of Ch'ing dynasty was a tool to ensure the Han race's coperation on the Ch'ing dynasty. But Ch'ing dynasty gave too much importance in the Man-Chou race's educations. among the school system of the Ch'ing.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