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6ㆍ25전쟁 시기 기독교인 희생사건 기록 문제

        최태육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12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7 No.-

        This paper is designed to put a valuation on the problematic issues in some historical records about the Korean War. Those records are researched for the massacres which happened in Songak-myon TangJin-gun, Sungdong-myon NonSan-gun, YumSan-myon YoungKwang-gun around the Korean war. Incredibly, most of the victims are Christians in those areas. By the result of my study, I suggest a debate on the three problematic issues in those historical records. First, I found that those historical records have been placed their emphasis on the perspectives of the anti-communism and Christian belief system in the analysis of the massacres. Second, they have been recorded without the sufficient and reliable resources. Third, they have only been discussed about the mass slaughter committed by several specific forces which are included with the North Korean government, the police of the North Korean government, and the South Korean communists. Let me give some brief explanations of each problematic approach. First, many books and articles are quoted on the mass slaughters committed in Byunchon Evangelical Holiness Church (EHC) so as to propagandize that most of the victims were Christian. This is a true, but we have to recognize other mass slaughters happened in the same region from July 1950 to January 1951, massacring at Byungchon EHC. Especially, The Bodo League Masscre, the mass slaughter of civilians, the murders of people who acted in a way to pro-North Korea were happened in the same areas. Thus, I believe that we have to give a definition of other massacres to understand the massacre of Byungchon EHC. Second, mostly historical records do not demonstrate the reason many Christians were victimized in the massacres. For example, even though they put many pages to describe the massacre that happened in Yumsan-myon YoungKwang-gun, there are few reliable resources in them. Some scholars have tired to overcome the weak point, but they did not find reliable resources because of lacking well trained researchers. Third, as a result of the poor research achievements on the historical records, it is very hard for us to identify what kinds of “military command chains” the massacres had been carried out. Thus, it is still in ambiguity what kind of degree North Korean government involved in those tragedies. I think that the massacres happened around Korean War should be researched on the multidimensional views of being closely connected with political, economical, and social issues. These approaches help us bring objectivity into my research. I also think that if we can make any research with more possible reliability and objectivity, that research would allow us to find the person who were responsible for those mass slaughters, and the reason they happened in the time. In order to do these tasks, in my research, it would be the most important for me to keep a distance from the anti-communism. To bring more objectivity and reliability into my paper, I would present North Korean governmental decrees in terms of how they executed civilians. Even though they had never involved directly with the Christians massacres, it would help me make my research reliably. 6․25전쟁 전후(이하 전쟁 전후) 발생한 당진군 송악면ㆍ논산군 성동면ㆍ영광군 염산면 기독교인들의 희생사건 기록의 문제를 분석하고, 그 연구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기독교인 희생사건을 담은 기록들은 사건규명보다 반공이념과 신앙에 비중을 두고 기록되었다. 따라서 이 기록들은 사건의 한 단면만을 부각시킨다는 문제, 기록내용의 근거가 부족하다는 문제, 특히 적대세력이 기독교인을 특정하여 집단살해 했다는 주장의 불명확성의 문제를 안고 있다. 첫 번째, 논산 성동면 병촌교회 교인 희생사건을 사례로 들면서 이 기록이 기독교인 희생사건이라는 한 단면만을 말하고 있는 데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언급하였다. 당시 이 지역에서는 비슷한 시기(1950년 7월-1951년 1월)에 국민보도연맹원 희생사건ㆍ적대세력에 의한 민간인희생사건ㆍ부역혐의 희생사건이 상호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발생했으며, 병촌교회 교인들의 희생사건도 적대세력에 의한 민간인희생사건의 범주에서 발생했다. 따라서 전쟁 당시 각자 동일 지역에서 발생한 집단희생사건을 총체적으로 규명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두 번째, 영광군 염산면 기독교인의 희생사건을 예로 들면서 기독교인 희생사건의 기록이 근거를 명시하지 않거나 매우 불분명하게 언급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있었으나, 관련분야의 연구 경험과 인적 자원의 부족으로 인해 그 한계는 매우 명확하게 나타났다. 세 번째, 사건규명이 초보적 수준에 머무르면서 학살의 지휘명령계통, 그리고 그와 관련된 북한 당국의 책임소재 등을 밝히지 못하고 있다. 기독교인 희생 사건을 비롯한 전쟁 중 발생한 모든 민간인 학살은 사건의 한 단면만을 드러내는 것이 아닌 총체적으로 연구되어야 하며, 최대한 객관적이어야 하고, 이를 토대로 학살의 지휘명령계통을 밝혀 그 책임과 역사적 반성을 유도해야한다. 이럴 때 가장 조심해야 할 것은 이념과 감정을 개입시키는 것이다. 그래서 본 논문은 결론에서 북한당국의 민간인 처형과 관련된 지시 사항들을 제시하였다. 비록 제시된 문헌은 대부분의 기독교인 희생사건이 발생한 시기와 장소에서 벗어나 있다할지라도, 앞에서 언급한 연구방향에 부합하는 방안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보았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6ㆍ25전쟁 시기 기독교인 희생사건 기록 문제

        최태육(Choi, Tae-Yook)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2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7 No.-

        6?25전쟁 전후(이하 전쟁 전후) 발생한 당진군 송악면ㆍ논산군 성동면ㆍ영광군 염산면 기독교인들의 희생사건 기록의 문제를 분석하고, 그 연구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기독교인 희생사건을 담은 기록들은 사건규명 보다 반공이념과 신앙에 비중을 두고 기록되었다. 따라서 이 기록들은 사건의 한 단면만을 부각시킨다는 문제, 기록내용의 근거가 부족하다는 문제, 특히 적대세력이 기독교인을 특정하여 집단살해 했다는 주장의 불명확성의 문제를 안고 있다. 첫 번째, 논산 성동면 병촌교회 교인 희생사건을 사례로 들면서 이 기록이 기독교인 희생사건이라는 한 단면만을 말하고 있는 데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언급하였다. 당시 이 지역에서는 비슷한 시기(1950년 7월-1951년 1월)에 국민보도연맹원 희생사건ㆍ적대세력에 의한 민간인희생사건ㆍ부역혐의 희생사건이 상호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발생했으며, 병촌교회 교인들의 희생사건도 적대세력에 의한 민간인희생사건의 범주에서 발생했다. 따라서 전쟁 당시 각자 동일 지역에서 발생한 집단희생사건을 총체적으로 규명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두 번째, 영광군 염산면 기독교인의 희생사건을 예로 들면서 기독교인 희생사건의 기록이 근거를 명시하지 않거나 매우 불분명하게 언급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있었으나, 관련분야의 연구 경험과 인적 자원의 부족으로 인해 그 한계는 매우 명확하게 나타났다. 세 번째, 사건규명이 초보적 수준에 머무르면서 학살의 지휘명령 계통, 그리고 그와 관련된 북한 당국의 책임소재 등을 밝히지 못하고 있다. 기독교인 희생 사건을 비롯한 전쟁 중 발생한 모든 민간인 학살은 사건의 한 단면만을 드러내는 것이 아닌 총체적으로 연구되어야 하며, 최대한 객관적이어야 하고, 이를 토대로 학살의 지휘명령계통을 밝혀 그 책임과 역사적 반성을 유도해야한다. 이럴 때 가장 조심해야 할 것은 이념과 감정을 개입시키는 것이다. 그래서 본 논문은 결론에서 북한당국의 민간인 처형과 관련된 지시 사항들을 제시하였다. 비록 제시된 문헌은 대부분의 기독교인 희생사건이 발생한 시기와 장소에서 벗어나 있다할지라도, 앞에서 언급한 연구방향에 부합하는 방안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보았다. This paper is designed to put a valuation on the problematic issues in some historical records about the Korean War. Those records are researched for the massacres which happened in Songak-myon TangJin-gun, Sungdong-myon NonSan-gun, YumSan-myon YoungKwang-gun around the Korean war. Incredibly, most of the victims are Christians in those areas. By the result of my study, I suggest a debate on the three problematic issues in those historical records. First, I found that those historical records have been placed their emphasis on the perspectives of the anti-communism and Christian belief system in the analysis of the massacres. Second, they have been recorded without the sufficient and reliable resources. Third, they have only been discussed about the mass slaughter committed by several specific forces which are included with the North Korean government, the police of the North Korean government, and the South Korean communists. Let me give some brief explanations of each problematic approach. First, many books and articles are quoted on the mass slaughters committed in Byunchon Evangelical Holiness Church (EHC) so as to propagandize that most of the victims were Christian. This is a true, but we have to recognize other mass slaughters happened in the same region from July 1950 to January 1951, massacring at Byungchon EHC. Especially, The Bodo League Masscre, the mass slaughter of civilians, the murders of people who acted in a way to pro-North Korea were happened in the same areas. Thus, I believe that we have to give a definition of other massacres to understand the massacre of Byungchon EHC. Second, mostly historical records do not demonstrate the reason many Christians were victimized in the massacres. For example, even though they put many pages to describe the massacre that happened in Yumsan-myon YoungKwang-gun, there are few reliable resources in them. Some scholars have tired to overcome the weak point, but they did not find reliable resources because of lacking well trained researchers. Third, as a result of the poor research achievements on the historical records, it is very hard for us to identify what kinds of “military command chains” the massacres had been carried out. Thus, it is still in ambiguity what kind of degree North Korean government involved in those tragedies. I think that the massacres happened around Korean War should be researched on the multidimensional views of being closely connected with political, economical, and social issues. These approaches help us bring objectivity into my research. I also think that if we can make any research with more possible reliability and objectivity, that research would allow us to find the person who were responsible for those mass slaughters, and the reason they happened in the time. In order to do these tasks, in my research, it would be the most important for me to keep a distance from the anti-communism. To bring more objectivity and reliability into my paper, I would present North Korean governmental decrees in terms of how they executed civilians. Even though they had never involved directly with the Christians massacres, it would help me make my research reliably.

      • KCI등재

        6 · 25전쟁 개전 초기(1950.6-9) 민간인 집단희생과 한국 기독교의 관계

        최태육(Choi Tae-yook)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6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44

        이 연구는 한국전쟁 초기 발생한 국민보도연맹원 집단학살과 대구 · 경북지역 민간인 집단학살을 연구하였다. 이 연구는 먼저 두 가지 학살사건을 지휘한 자들이 누구인지 조사했다. 이어 이들이 어떤 정책에 따라 이러한 임무를 수행했는지 파악했다. 이들은 자신에게 부과된 임무를 수동적으로 수행한 것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수행했다. 당시 치안국장 장석윤은 전쟁이 발생한 직후 국민보도연맹원을 처형할 것을 지시했다. 1950년 6월 28일, 수원에서 육군 정보국장 장도영은 국민보도연맹원과 공산주의에 협력한 자를 제거할 것을 지시했다. 1950년 7월, 대구에서 내무부장관 조병옥은 국민보도연맹원과 공산주의자와 관련되었다고 추정되는 시민들을 제거할 것을 지시했다. 경찰들은 가창골 등 5-6곳에서 시민들을 집단학살했다. 장석윤 등은 민간인 집단학살을 지시한 군인과 경찰의 핵심 지휘관이었다. 또한 이들은 독실한 기독교인들이었다. 이 논문은 기독교인들이 이러한 학살사건에 능동적으로 관계한 이유가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했다. 그 결과 공산주의 적대라는 한국정부의 정책지침과 일부 기독교의 사상적 동조가 있었다는 것을 확인했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ogress of two massacres which were happened in the early stage of Korean War. The first massacres was the slaughter of the Members of the National Guidance Alliance. The second one was the massacre of civilians that took place in the Daegu and Gyeongbuk of South Korea. This research identifies not only individuals who had committed these crimes but also the way that slaughterers had been done to complete the their duty which had been charged; especially I focus on what the policy was which forced them to involve the massacres. As a result of that, I find out that the slaughterers actively participated in killing civilians as they played important roles. This article describes consecutive massacres which were happened right after Korean War outbreak. Jang Seok-yoon, the head of Korea National Police Bureau, ordered to kill members of the National Guidance Alliance; June 28 1950, Jang dho-young, the intelligence director of Korean Army ordered to kill collaborators of both Korean Communist Party and the National Guidance Alliance; a day of July in 1950, in Daegu, Cho Byung-Och, the minister of Home affair of South Korea ordered to kill the presumed who engaged to communist. The police killed them in 5~6 places including Ka Chang Gol. Jang Seok-yoon, Jang dho-young, and Cho Byung-Och who were in responsibility of massacres were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It was also true that all three commanders were Christians. Learning from the fact that three commanders were Christians, the thesis seeks to describe the reasons that those Christians played roles in carrying out massacres. A result of the research is that the anticommunism dominating thought of both those Korean officials and some parts of Christians allowed to provide a motivation to commit massac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