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해방 후 1세대 한국기독교철학자들의 생각(1)

        최태연(Choi Tae Yon) 한국기독교철학회 2021 기독교철학 Vol.31 No.-

        이 논문은 해방 후 1세대 한국 기독교철학자들의 생각을 소개하고 정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여기에 속하는 철학자로는 김하태, 안병욱, 김형석, 조요한, 최명관, 고범서, 이규호의 7인을 들 수 있지만1 이 논문에서는 우선 앞의 네 철학자를 다룬다. 이들은 1910년대에 출생한 김하태를 제외하고는 모두 3.1만세운동 후인 1920년대에 태어났으며 해방과 분단, 한국전쟁과 4.19과 5.16 이후 3공화국에서 제5공화국에 이르는 군부독재와 산업화를 온몸과 영혼으로 겪은 세대에 속한다. 이들 대부분은 대한민국이 제대로 된 민주주의를 이룩한 1980년대 후반까지 교수로서 활동했다. 따라서 이들에게 철학함이란 역사적 현실의 문제 - 남북분단과 이념대결, 한국 사회의 경제적 발전과 맞물린 개발독재와 민주화의 대립 – 를 기독교 신앙의 입장에서 철학적으로 생각하는 일이었다. 그렇기에 대체로 그들은 크리스천이면서도 정치적으로 보수적인 교회와 갈등을 겪었고 정치와 거리를 두면서도 사회와 정치현실에 대해 신랄한 비판의식을 견지했다. 그러나 그들은 그리스에서 시작된 서양철학을 사유의 도구로 사용하면서도 항상 기독교 신앙을 그들 사유의 출발점이자 대화의 파트너로 삼았다. 그들은 대한민국의 탄생과 굴곡진 발전 과정을 경험하고 바라보면서 기독교에서 답을 찾으려는 시도를 포기하지 않았다. 이제 그들의 생각의 출발점에서 시작하여 귀결에 이르는 과정을 탐구해 보기로 하자.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and organize the thoughts of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Christian philosophers after liberation. The seven philosophers belonging to this include Kim Ha-tae, Kim Hyung-seok, Ahn Byung-wook, Cho Yo-han, Choi Myung-gwan, Ko Boem-seo, and Lee Kyu-ho, but this paper deals first with the preceding four philosophers. They were born in the 1920s after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except for Kim Ha-tae, who was born in the 1910s, and were part of the generation that experienced military dictatorship and industrialization from the 3rd Republic to the 5th Republic of Korea. Most of them served as professors until the late 1980s when the Republic of Korea achieved proper democracy. Therefore, philosophy for them was to think philosophically of the issue of historical reality - the division of the two Koreas, ideological confrontation, developmental dictatorship coupled with economic development in Korean society. Therefore, in general, they had conflicts with the Christian and politically conservative churches, and remained at arm s length from politics, but remained scathingly critical of society and political reality. However, while using Western philosophy, which originated in Greece, as a tool for reason, they always used Christian faith as a partner in conversation. They did not give up their attempts to find answers in Christianity by experiencing and looking at the birth and curved develop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Kim Ha-tae (1916-2007), a graduate of Yeonhui College of Liberal Arts, earned a doctorate in philosophy from the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before liberation, and returned to study at Yonsei University s Theological School. Having re-immigrating to the United States in 1961, he served as the leader of the early Korean community in Southern California, and also presented immigration theology in the mid-1970s. He pursued the encounter of Christian faith and Oriental thought in Modern Man and Religion (1961), Ego and Nothing (1974), and Finding the Real Reality of the Ultimate (2005). Ahn Byungwook (1920-2013) was born in Ryonggang County, South Pyongan Province and graduated from Waseda University in 1943 with a degree in philosophy. In 1958, he became a professor at Soongsil University in 1969 after a week of Sasanggye . He wrote philosophical lectures for the public and many public philosophical books. The uniqueness of his ideas lies in the dissolution of Western existentialism and the Confucian scriptures into Christian faith. He was also involved in the Heungsadan in respect of Dosan Ahn Chang-ho. Kim Hyung-seok (1920–present) was born in Unsan, North Pyongan Province and grew up in Daedong-gun, the same hometown as Kim Il-sung. He graduated from Soongsil Middle School in Pyongyang with a degree in philosophy at Sophia University in Japan. He defected to North Korea in 1947 and worked as a teacher and vice principal at Jungang Middle and High School in Seoul. He served as a professor of philosophy at Yonsei University for 31 years from 1954. Like Ahn Byungwook, he served as a philosopher and essayist, contributing to promoting philosophy to the public. In particular, his essays The Disease of Solitude and The Dialogue of Eternal Love sought to present young people with social ethics based on Christian existentialism in the 1960s and 1970s. He retired in 1985 and has been writing and lecturing since he is over 100 years old. Jo Yo-han (1926-2002) was born in North Korea in the same year, studied philosophy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at the same University, and took the path of a typical academic scholar as a professor at Soongsil University.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기독교예술을 어떻게 정의하고 평가할 것인가

        최태연 ( Choi Tae Yon ) 한국기독교철학회 2019 기독교철학 Vol.27 No.-

        이 글에서 나는 기독교예술의 구체적 내용을 다루기보다는 기독교예술을 어떻게 정의해야 하며 어떤 예술작품이 좋은 기독교예술인지를 평가하는 기준에 대해 생각해 보고자 한다. 말하자면 다분히 기독교미학적인 내용이다. 다시 말해서 제가 이 글에서 다룰 문제는 두 가지이다. 첫째는 기독교예술의 정의의 문제이다. 두 번째로는 기독교예술의 평가에 관한 문제이다. 기독교예술이 무엇인지를 정의하는 일은 기독교미학의 첫 번째 중요한 과제라고 생각한다. 기독교예술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기독교예술의 내용과 범위가 달라지고 더 나아가서 기독교예술을 평가하는 기준도 달라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는 먼저 기독교예술을 정의하는 방법에 대해 생각해 보겠다. 첫 번째로는 신학자 폴 틸리히(Paul Tillich)가 제안한 ‘상관관계의 방법’(method of correlation)이다. 이 방법은 어떤 예술작품의 작가가 크리스천인지 또는 작품의 주제가 기독교와 직접 관계된 것인지를 따지지 않는다. 틸리히에게 기독교의 내용들은 인간의 역사적이고 실존적인 문제와의 상관관계 속에서만 의미를 얻기 때문이다. 그에게는 비록 비기독교인이 그린 회화라고 할지라도 인간이 경험하는 실재의 ‘심층적 차원’을 표현했다면 그것은 ‘기독교적’ 예술이다. 틸리히는 이런 방식으로 예술을 규정하는 원리를 ‘프로테스탄트적’(protestant)이라고 생각했다. 이에 따라 기독교예술을 정의하면 기독교예술은 그 외연이 매우 넓어진다. 모든 예술작품이 기독교적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게 된다. 당연히 이 정의가 내포하는 문제는 기독교와 비기독교의 경계가 없어진다는 점이다. 또 어떤 작품을 ‘심층적’이라고 해야 할지도 주관적일 가능성이 높다. 반면에 이 정의의 장점은 기독교미학이나 예술비평이 다룰 수 있는 예술의 범위가 매우 확장된다는 점이다. 두 번째로는 기독교 예술철학자 캘빈 시어벨트(Calvin Seerveld)가 제시한 정의이다. 그는 기독교예술이 다른 예술작품과 다른 이유가 그 작품에 담긴 기독교 신앙과 세계관의 차이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시어벨트는 기독교예술을 성령에 의해 인도되고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는 순종의 열매로서 산출된 예술이라고 규정한다. 따라서 시어벨트는 단순히 크리스천 화가에 의해 그려졌다고 해서 기독교예술이 아니라, 작품에 기독교적인 세계관이 담겨 있어야만 진정한 기독교예술이라고 말한다. 이러한 정의의 장점은 기독교예술을 명확하고도 진지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동시에 이 정의는 기독교예술의 외연을 매우 축소시킨다. 또한 크리스천 예술가가 기독교세계관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없게 작품을 만드는 경우 이 정의를 사용할 수 없는 상황도 발생할 수 있다. 그렇다면 두 가지 대립적인 기독교예술의 정의가운데서 어느 정의를 따를 것인가의 문제가 생겨난다. 여기서 나는 미국의 루터교 학자 진 에드워드 비스(Gene Edward Veith Jr.)가 제안한 방법인 어거스틴의 예술론을 통해 틸리히와 시어벨트를 중재하고자 시도한다. 비스에 따르면 어거스틴은 틸리히와 유사하게 하나님이 모든 미와 진리의 근원이므로 비기독교인 화가들의 작품에서도 기독교적 로고스를 찾을 수 있다고 보았다. 동시에 어거스틴은 기독교신앙과 세계관에 부합되지 않는 문학이나 연극 작품 안에 있는 비기독교적인 요소들을 신랄하게 비판했다. 따라서 어거스틴을 따라 기독교예술을 정의한다면 기독교예술 안에 두 가지 평가기준의 공존이 가능해 질 수 있다. 특히 비기독교예술가의 작품의 형식적 측면에서 기독교의 로고스를 찾아낼 수 있으며 기독교예술가의 작품에서는 그 내용과 기독교세계관적 함의를 아울러 평가할 수 있다. 이렇게 기독교예술을 폭넓게 정의한 다음에 나는 어떤 예술이 좋은 기독교예술이고 어떤 예술은 그렇지 않은지를 분간할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좋은 기독교예술 작품은 내용과 형식과 세계관에서 훌륭하며 기독교적이다. 반면에 나쁜, 즉 단지 존재만 하는 기독교예술 작품은 내용, 형식, 세계관에서 빈약하거나 왜곡되어 있다. 이런 나쁜 작품으로는 키치나 이데올로기에 물든 작품을 들 수 있다. 그러면 이 두 주제를 차례대로 검토해 보겠다. 한 가지 고려할 점은 여기서 기독교예술이라고 표현한 예술은 실제로는 ‘기독교미술’을 다루고 있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esent criteria for how to define Christian art and what works of art are good Christian art. There are two issues of Christian aesthetics. First, there is the definition of Christian art. Depending on how Christian art is defined, the content and scope of Christian art vary. First I compared the "method of correlation" proposed by the theologian Paul Tillich with the definition offered by the Christian art philosopher Calvin Seerveld. Tillich does not question which artist is Christian or whether the subject of the work is directly related to Christianity. For Tillich, even if it is a non-Christian painting, it is a "Christian" art if it expresses the "deep dimension" of the reality that humans experience. The advantage of this definition is that the scope of art that can be handled by Christian aesthetics or art criticism is greatly expanded. On the other hand, Seerveld says that not only is it painted by a Christian artist, but it is only true Christian art if the Christian worldview is contained in the work. The advantage of this definition is that it defines Christian art clearly and seriously. But this definition greatly reduces the appearance of Christian art. I present one alternative definition between these two opposing definitions of Christian art. That is how to mediate Tillich and Seerveld through Augustine's art theory, as suggested by American Lutheran scholar Gene Edward Veith. Augustine saw that, similar to Tillich, God is the source of all beauty and truth, so he could find Christian logos in the works of non-Christian artists. At the same time, Augustine harshly criticized non-Christian elements in literature or theater works, assessing whether the works conform to Christian beliefs and worldviews. Thus, if Christian art is defined along Augustine, there can be two definitions of coexistence within Christian art. Secondly, I presented the criteria for distinguishing which art is good Christian art and which art is not. The evaluation standard of good Christian art is to look at art from as some aspects as possible, looking at form, content and worldview. That is, when the form, content and worldview are well harmonized with each other and integrated, the work can be said to be the best work. On the other hand, it is a bad Christian art when it is poor in form and content, like Kitsch, or influenced by a world view distorted by racial prejudice or ideology.

      • KCI등재후보

        월터스토프의 정의 개념 - 생득권(inherent rights)을 중심으로 -

        최태연 ( Choi Tae Yon ) 한국기독교철학회 2019 기독교철학 Vol.28 No.-

        윤리학과 정치철학의 중요한 주제인 ‘정의’(justice)의 문제를 기독교철학적으로 다룬다는 것은 어떻게 하는 것일까? 이 물음에 대해 진지하게 숙고한 현대의 기독교철학자를 꼽으라고 하면 단연 니콜라스 월터스토프(Nicholas Wolterstorff, 1932~)를 언급하고 싶다. 1980년대이후 이 주제를 다룬 그의 연구서는 다섯 권에 달한다.<sup>1)</sup> 월터스토프는 현대 영미 분석철학자 중에서 기독교철학자로 널리 알려진 인물이지만, 원래 그의 전문 연구 분야는 윤리학이나 정치철학이 아니었다. 원래 그의 연구 분야는 주로 형이상학과 인식론, 그리고 미학이었다.<sup>2)</sup> 그러나 특정한 사람들과의 만남이 그를 이 주제에 깊이 몰입하도록 만들었다. 그의 자전적 고백에 의하면 정의에 대한 이론적 관심은 1975년 그가 남아공을 방문했을 때, 그곳 흑인들과 유색인들의 외침을 듣고 나서 시작되었다.<sup>3)</sup> 그 결과 1980년 이후 그의 저작 활동 중에서 정의문제와 사회참여 문제는 그의 철학의 중요한 한 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그의 실천적 문제의식은 철학을 넘어서 교육학과 신학의 영역으로 확장되었다<sup>4)</sup> 이 글에서 필자는 월터스토프의 정의 개념의 윤곽을 간략하게 서술하고 그 의미를 평가해보고자 한다. 이 글에서는 다만 정의 개념에 관한 그의 저서 세권 -『정의: 옳음과 그름』(Justice: Rights and Wrongs), 『사랑과 정의』(Justice in Love), 『하나님의 정의』(Journey toward Justice: Personal Encounters in the Global South) - 을 참고하여 그의 정의론의 윤곽을 그리면서 생득권(inherent rights)을 중심으로 그의 정의 개념의 의미와 현대철학에서의 위상을 언급하는데 만족할 것이다. How do we deal with the issue of justice, an important subject of ethics and political philosophy, in a Christian philosophy? Nicholas Wolterstorff(1932~) is the most serious contemporary Christian philosopher who considered this question. Since the 1980s, he has written five books on the subject. According to his autobiographical confession, his interest in justice began in 1975 when he visited South Africa. Justice has been an important subject for him since 1980. This paper briefly describes the outline of Wolterstorff's theory of justice and evaluates its meaning. In this paper, I wanted to introduce the meaning of Wolterstorff's theory of justice and his status in modern philosophy, focusing on his books Justice: Rights and Dragons, Justice in Love and Journey Toward Justice: Personal Encounters in the Global South. I found that this study had some unique features in Walterstorff's ‘Justice Theory’. First, Wolterstorff's theory of justice is based on all human inherent rights. Therefore, he strongly supports the human right concept. His theory of justice is based on universal ethics in this regard. Second, despite the universal foundation of Wolterstorff's theory of justice, the emphasis lies in the rights of the socially disadvantaged, the ‘suppressed’. So his theory of justice distances itself from the tradition of pursuing “basic justice for the ideal world.” In this regard, Wolterstorff is closer to Emmanuel Levinas' other-centered ethical position. Third, Wolterstorff's theory of justice takes a position of Christian realism on the question of punishment and forgiveness. He believes punishment for those who commit injustice to the weak is necessary and insists punishment and forgiveness go together. In conclusion, Wolterstorff's theory of justice appears in the corrupt real world as a combination of the reformed justice and ethics for the weak. We hope to find room to complement his discussions, which are also unique in Christian “justice theory,” by reviewing them more critically.

      • 서양철학에서 본 공공성

        최태연 ( Tae Yon Choi ) 백석대학교 기독교인문학연구소(구 기독교철학연구소) 2008 기독교철학연구 Vol.9 No.-

        이 논문은 서양철학에서 각 시대와 사상가에 따라 다르게 사고되고 규정되어 온 `공공성`(publicness)의 개념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근대 이후 서양의 공공성 개념은 시민의 권리와 역할에 중심을 두면서 비종교화 되었다. 그러나 최근에 다시 시민사회에서 도덕적이고 종교적인 믿음이 공공성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다시 인정하게 되었다. 필자는 서양철학에서의 공공성 개념을 국가를 형성하는 시민의 정체성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할 것이다. 이 글은 세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첫 단계에서는 공공성을 어원적으로 고찰해 봄으로써 공공성이라는 용어의 의미를 파악할 것이다. 폴리스(polis), 퍼블릭(public), 시빅(civic) 이라는 세 단어의 어원을 살펴봄으로써 서양의 공공성 개념이 담고 있는 일반적 의미에 접근해 보고자 한다. 둘째 단계에서는 서양철학사를 통해 나타났던 공공성에 대한 여러 가지 생각과 주장을 역사적으로 몇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면서 공공성에 대한 서양철학 전반의 흐름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러한 유형론적 분석은 다양성의 희석이라는 단점도 있지만, 체계적 파악으로 나아가는 길을 열어 주기도 한다. 셋째 단계에서는 20세기 후반의 현대 정치철학에서 논의되었던 공공성에 대한 담론을 자유주의, 공동체주의, 사회비판주의의 순서로 정리할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elucidate the concept of the publicness in the western philosophy. Since modern times it has been understood as the rights and role of the citizen. I define it the identity of the citizen which constitutes a state. In this article l will deal with three questions. First, what could be took through the etymological study of words on the concept of the publicness? Three words-polis, public, civic-would open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original meaning of these. Second, How many types of this concept make an appearance in the history of the western philosophy? Such a typology could help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the publicness. Third, how could be discussed three major theories-Liberalism, Communitarianism, Critical Theory" My conclusion is that the publicness become a more important concept in the modern society.

      • 기독교인문학이란 무엇인가 기독교인문학과 철학

        최태연 ( Tae Yon Choi ) 백석대학교 기독교인문학연구소 2008 기독교철학연구 Vol.10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oncept of Christian humanities and also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of Christian humanities and philosophy. In this article, 3 issues will be discussed for that: (1)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recent crisis of humanities and the alternatives to this crisis, (2) the possibility and perspective of an integrated Christian humanities, (3) the relationship of Christian humanities and philosophy. The concept of Christian humanities rooted `Philosophia Christi` in the Renaissance historically, but did not establish in the modern sense. First of all Christian humanities could learn lots of things from the recent crisis of humanities and make an alternative idea to this crisis. It needs the efforts from two aspects. On the one hand it must develop each branch of learning like Christian philosophy, Christian literature, Christian history and Christian cultural studies. because these branches provide the concrete contents to the Christian humanities. On the other hand it must offer perspectives of an integrative Christian humanities. Methodologically good founded discipline could provide a responsible answer to the problems of the time. Christian humanities could integrate bits of Christian information so that establish a consistent Christian discipline in which world-view, moral value, concept of culture are integrated. Such Christian humanities could provide the new perspective to the contemporary problems and help to solve it. For this discipline there are some methodological perspectives and models: Christian world-view model, personal knowledge model and postmodern model etc.

      • KCI등재후보

        시민사회 형성기(1980-2005)의 한국 기독교철학

        최태연 ( Tae Yon Choi ) 기독교학문연구회 2007 신앙과 학문 Vol.12 No.2

        이 논문은 1980년부터 2005년까지를" 시민사회 형성기(1980-2005)로 규정하고 한국의 기독교철학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다룬다. 한국의 기독교철학은 한국에서 연구되고 논의된 형이상학과 인식론과 윤리학 등을 포함하는 모든 철학적 추론을 기독교 진리관의 관점에서 반성적으로 숙고하는 철학이라고 정의한다. 이 논문은 한국철학사에서 개신교인들에 의해 주도된 기독교철학을 역사적으로 서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1980년부터 2005년까지의 한국철학사에서 세 가지 측면에 주목한다. 첫째 측면은 이 시기에 마르크시즘이 어떻게 한국철학에 수용되었고 다시 기독교철학자들에 의해 재해석되었나의 문제이다. 둘째는 시기적으로 동구권 사회주의 몰락과 맞물려 한국철학계에 수용된 포스트모더니즘이 어떻게 논의되었고 다시 기독교철학자에 의해 재해석되었는가이다. 셋째로는 한국의 기독교철학자들이``한국기독교철학회``를 설립하고 각 영역에서 서양철학을 어떻게 기독교적 관점에서 연구했는가이다. 1998년에 창립된 ``한국기독교철학회``의 활동에 의해 분명하게 기독교철학``이라고 부를 수 있는 조직적인 철학활동이 한국 철학계에 등장하게 되었다. 이들의 철학은 다양한 전통과 방법을 사용하지만 기독교 신앙의 전제 위에서 한국 기독교인에 의해 연구되는 철학이라는 데 공통점이 있었다. This article intends to identify Christian Philosophy in Korea from 1980 to 2005, the most recent era of Korean history. This era could be defined as the formating period of civil society. It is my definition of Korean Christian Philosophy that reflects every philosophical inferences studied and discussed in Korea including metaphysics, epistemology and ethics etc. from the Christian perspective. This article will especially describe Christian Philosophy performed by the Protestant Philosophers in Korea. This article keeps an eye on three aspects of Korean Philosophy in this period. First, how the Marxism would be appropriated to Korean Philosophy in this era and reinterpreted by Christian philosophers. Second, how the Postmodernism was enthusiastically accepted by Korean philosophers in echoing the collapse of the socialism in the eastern european countries and reinterpreted by Christian philosophers too. Thirds, how Christian philosophers established ``the Korean Society for Christian Philosophy`` and worked on the many fields of philosophy. Indebted to this society Christian philosophy could be established in the Korean Society of Philosophy. Christian Philosophers also take use various philosophical traditions and methods, but they have the commonness on the presupposition of Christian fai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