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산시 기장군 연안의 해조상 및 군집 특성

        최창근,최인영,홍용기,Choi, Chang-Geun,Chowdhury, M.T.H.,Choi, In-Young,Hong, Yong-Ki 한국해양학회 2010 바다 Vol.15 No.3

        기장 연안 해조류의 해조상 및 군집 구조를 분석하기 위해서 2006년 8월과 2009년 8월에 연구를 수행하였다. 해조류는 녹조류 6종, 갈조류 10종, 홍조류 38종 등 총 54종의 서식이 확인되었다. 이 중 35종의 해조류가 각각의 조사 시기에 공통적으로 출현하였다. 평균 현존량은 2006년에 $616.0\;g\;m^{-2}$에서 $1,462.4\;g\;m^{-2}$였고, 2009년에는 $354.8\;g\;m^{-2}$에서 $965.6\;g\;m^{-2}$이었다. 현존량이 가장 높은 지역은 문동이었고, 가장 낮은 곳은 서암(2006년)과 동백(2009년)이었다. 출현 해조류를 6개의 기능형으로 구분하면, 성긴분지형이 58.7%와 58.1%, 다육질형이 10.9%와 11.6%, 사상형이 13.0%와 9.3%, 각상형이 6.5%와 9.3%, 엽상형이 6.5%와 7.0%, 유절산호말형이 4.3%와 4.7%로 나타났다. 생태지수인 R/P, C/P, (R+C)/P 값은 2006년에 4.00, 0.75, 4.75와 2009년에 5.17, 1.00, 6.17로 나타났다. 2006년과 2009년의 자료를 분석했을 때, 기장 연안의 해조류 출현 종 수와 현존량은 유사하였다. 이러한 자료로 볼 때, 기장 연안에서 시행된 소규모 공사 전, 후인 2006년과 2009년의 해조류 종 다양성에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were investigated at four sites in Kijang area on the southern east coast of Korea in August 2006 and August 2009, respectively. A total of 54 seaweeds including 6 green, 10 brown, 38 red were collected and identified. Of 54 seaweeds, 35 species were found throughout the survey period. Mean biomass in wet weight was from $616.0\;g\;m^{-2}$ to $1,462.4\;g\;m^{-2}$2 in 2006, and $354.8\;g\;m^{-2}$ to $965.6\;g\;m^{-2}$ in 2009. Maximum biomass was recorded at Mundong site, and minimum was recorded at Seoam (2006) and Dongbaek (2009) sites. The flora investigated (2006, 2009) could be classified into six functional groups such as coarsely branched form (58.7%, 58.1%), thick leathery form (10.9%, 11.6%), filamentous form (13.0%, 9.3%), crustose form (6.5%, 9.3%), sheet form (6.5%, 7.0%) and jointed calcareous form (4.3%, 4.7%) during survey period. The R/P, C/P and (R+C)/P values reflecting flora characteristics were 4.00, 0.75 and 4.75 at 2006, and 5.17, 1.00 and 6.17 at 2009, respectively. Therefore, the number of marine algae species and biomass in Kijang area were similar when they were comparing with the previous data. It suggest that any changes of seaweed diversity have not been observed in Kijang coastal area before and after the anthropogenic construction between 2006 and 2009.

      • 대만 ‘소수(少數)정부’(2000년~2008년) 운영 사례가 한국 신 정부에 주는 시사점

        최창근(Chang-geun Choi) 한국외국어대학교 대만연구센터 2017 대만연구 Vol.- No.10

        In 2017, president Moon’s new Korean government launched. The new government, which was launched through the impeachment of former president of Korea Geun-hye Park and the early presidential election. President Moon’s government is launched with the limitation of the minority government. The new government, which was launched in a small-scale situation, requires cooperation with the opposition parties. In this study, I tried to give some suggestions to the new Korean government by examining the cases and problems of the minority government of Democratic Progressive Party(DPP) of Taiwan in 2000~2008.

      • KCI등재

        Algal Succession on Different Substrata Covering the Artificial Iron Reef atIkata in Shikoku, Japan

        최창근,손철현,Choi, Chang-Geun,Ohno, Masao,Sohn, Chul-Hyun The Korean Society of Phycology 2006 ALGAE Vol.21 No.3

        Succession of artificial seaweed communities in an artificial iron reef at Ikata, southern Japan was studied based on monthly or bimonthly observations from February 1999 to August 2000. Communities were associated with different substrata (40 cm x 60 cm: steel, concrete, wood and stone) as the cover on artificial iron reefs (4.5 m x 4.1 m x 2.5 m, 45.38 m3 and 3.2 ton), which were placed on a sandy substratum at 8 m depth. Within one month diatoms dominated on all substrata with cover of approximately 100%. Enteromorpha intestinalis and Colpomenia sinuosa dominated on the reef within three months after the placement in the spring. Seaweed communities on the reef decreased during the summer. In the winter, the seaweeds on the reef recovered. Sargassum spp., Ecklonia kurome and Padina arborescens dominated on each substratum after one year. Seaweed communities on the artificial reef were similar to those on the rocky substratum around the artificial reef and also similar on different substrata covering the iron artificial reef.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eaweed succession was impacted by season and the recruitment of spores and propagules from mature algae around the artificial reefs.

      • KCI등재

        동해안 울진 연안 조하대 저서 해조류의 군집구조

        최창근,곽석남,손철현,Choi, Chang-Geun,Kwak, Seok-Nam,Sohn, Chul-Hyun 한국조류학회(藻類) 2006 ALGAE Vol.21 No.4

        Studies have been made of the species composition and variation of benthic marine algae at subtidal zone of Uljin on the east coast of Korea. Destructive method was employed to measure biomass over four seasons (2000-2002). Of 87 marine algae species identified, 11 were Chlorophyta, 29 were Phaeophyta and 47 were Rhodophyta. Dominant species in biomass were Ulva pertusa, Undaria pinnatifida and Sargassum piluliferum in summer, Laminaria religiosa, Sargassum fulvellum and Gigartina tenella in autumn, Codium fragile, Undaria pinnatifida, Sargassum horneri, S. piluliferum and S. ringgoldianum in winter, and Undaria pinnatifida, Dictyopteris divaricata, Sargassum confusum and S. horneri in spring. In general, green algae (Ulva pertusa, Codium fragile) and brown algae (Undaria pinnatifida, Sargassum fulvellum, S. horneri, S. piluliferum) appeared predominantly in the 3, 6 m depths and red algae (Gelidium amansii, Plocamium telfairiae) in the 9, 12 m depths. The barren ground of the rocky shore might provide the decrease of benthic marine algae biomass and species.

      • KCI등재

        부산 영도의 해조상과 곰피(Ecklonia stolonifera Okamura) 군락

        최창근,Choi, Chang-Geun 한국조류학회(藻類) 2007 ALGAE Vol.22 No.4

        Studies have been made of the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rine algae at intertidal zone and subtidal zone of Youngdo at Busan. In this area, a total of 69 marine algal species including 10 Chlorophyta, 17 Phaeophyta and 42 Rhodophyta was identified. Dominant species in coverage were Enteromorpha linza, Ulva pertusa, Gelidium divaricatum, Hildenbrandtia rubra and Chondrus ocellatus throughout the year. Enteromorpha linza, Ulva pertusa, Porphyra yezoensis, Gelidium divaricatum, Corallina pilulifera, Grateloupia elliptica and Chondrus ocellatus vertically distributed in intertidal zone, while Ecklonia stolonifera, Gelidium amansii, Prionitis cornea, Gracilaria textorii, Acrosorium polyneurum and Phycodrys fimbriata in subtidal zone.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subtidal zone were characterized by Ecklonia stolonifera at 1 to 5 m depths. During a year, biomass and length of Ecklonia stolonifera gradually decreased from March to January, but increased from February. Zoosporangial sori were observed from September to December. In conclusion, number of species in this area was remarkably reduced as compared to the previous data at Busan and it’s vicinity.

      • KCI등재

        한국 연안 해조류 생물량의 연간 변동 양상: 경상남도 욕지도 지역

        최창근,김정하,정익교,Choi, Chang-Geun,Kim, Jeong-Ha,Chung, Ik-Kyo 한국조류학회(藻類) 2008 ALGAE Vol.23 No.4

        The seasonal variation of marine algal biomass and community were studied with nondestructive sampling and quadrat method during May 2006 to April 2008 in the intertidal and subtidal zone at Yokjido. As result, total 120 species, 13 Chlorophyta, 34 Phaeophyta, 71 Rhodophyta and 2 Spermatophyta were identified in this study. The major species which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total biomass were Ulva pertusa, Undaria pinnatifida, Ecklonia stolonifera, Sargassum horneri, S. serratifolium, Gelidium amansii and Prionitis cornea. The mean biomass was 235.5 g wet wt m$^{-2}$ in intertidal, 1,038.9 g wet wt m$^{-2}$ in 1 m, 1,013.1 g wet wt m$^{-2}$ in 5 m, and 19.7 g wet wt m$^{-2}$ in 10 m depths of mean sea level. Seasonal biomass change in intertidal zone, the peak season was in spring, while the lowest was in autumn.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marine vegetation was characterized by Ulva pertusa - Gelidium divaricatum - Gloiopeltis furcata - Sargassum thunbergii - Hizikia fusiformis at intertidal zone, and Caulerpa okamurae - Gelidium amansii - Chondrus ocellatus - Ecklonia stolonifera - Sargassum horneri - Gracilaria textorii at subtidal zone. These result indicates that the marine algal species and biomass of 1 m and 5 m depths in subtidal zone are greater than intertidal zone, and Ecklonia stolonifera and Sargassum spp. are the dominant species of Yokjido.

      • KCI등재후보

        1930년대 목포의 근대성과 대중매체 -『호남평론』 수록 소설과 기사를 중심으로

        최창근 ( Chang Geun Choi ) 택민국학연구원 2013 국학연구론총 Vol.0 No.11

        한 시대의 풍경을 담아낸다는 측면에서 잡지와 같은 대중매체가 지니고 있는 의미는 적지 않다. 대중매체는 한 사회가 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의 경계를 가장 적극적으로 담아내고 있다. 1920년대의 잡지들이 민족주의와 계몽주의를 주로 역설했다면 1930년대의 잡지들은 변화된 현실 속에서 좀 더 다양한지향점을 가지고 있었다. 20년대 후반에 등장한 『별건곤』을 시작으로 30년대에 등장한 잡지들은 대부분 식민지 현실과는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있다. 일련의 흐름은 담론의 변화와 주체의 변화를 동시에 가져오기 마련이다. 과거 민족의 문제에 사로잡혀 있는 상황에서의 담론과 주체가 이제 그 틀을 벗어나 새로운 상황에 직면하게 된 것이다. 담론과 주체의 변화는 필연적으로 재현과 표상의 변화를 불러온다. 이 논문은 근대화로 인한 도시의 등장과 그로 인한 삶과 주체의 변화, 그리고 그 안에 들어있는 식민지배전략에 대해 논하고 있다. 국가와 민족의 문제에서 한 지역의 문제로 담론의 범위를 재설정하는 과정은 근대화와 도시화의 복잡한 과정을 통해 진행되었다. 도시라는 특수한 공간, 시민이라는 새로운 주체는 기존의 국가담론, 민족담론의 틀을 벗어나 변화된 담론을 생성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그리고 잡지는 이러한 변화를 가장적극적으로 반영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점을 고려해 1930년대 목포라는 실제의 공간과 『호남평론』에서의 재현이 어떤 관계 속에서 상호 작용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호남평론은 일차적으로 대중, 그리고 남성 소비자의 욕망을 충족하는 통속소설을 다수 싣고 있다. 이는 당시 목포의 경제적 환경이 일정 규모 이상이었으며 잡지의 주소비계층을 고려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또한 『호남평론』은 당시 목포의 사회적 환경에 대한 단서를 제공한다. 1930년대의 목포는 부의회라는 합리적 의사결정체계와 근대적 법제도가 공존하고 있었다. 이 안에서 피식민지인은 어느 정도 개인의 권리와 자유를 누리는 존재로 자신들을 인식했었다. 그러나 이는 고도의 식민지배전략의 일환이라고 할 수 있다. 합리적이고 비인격적인 사회체제는 식민지배자를 피식민지인의 시야에서 사라지게 하고 내면화된 통제 아래 피식민지인이 스스로 복종하도록 만들었다. 피식민지인은 근대적 환경과 제도로 재편된 도시 공간에서 전보다 자유로워졌다고 느끼지만 실상은 더욱 철저한 감시와 통제 아래 놓이게 되었다. 즉 그들 스스로가 식민지배전략에 내적으로 완전히 포섭되어 타자의 삶을 살아가게 되는 것이다. There are much great meaning of magazines and mass media in terms of social reflection. Mass media can include much positively the boundary of possibility that a society could be able to accept. Magazines in 1920`s emphasized nationalism & illuminism, but magazines in 1930`s a little more digged into the various points with the changed realities of life. Starting with byoulgeongon(별건곤) in the late 1920`s, most of magazines in 1930`s kept one`s distance with the colonial realities. A series of flow make sure to bring a change of discourse and change of subject. This change of discourse & subject inevitably calls to come the change of reappearance & representation. This thesis deals with the appearance of cites and these changes with modernization, the colonial domination strategy. The process of reconstructing discourse from question of nation and people to that of one region should go through complex process with the modernization and urbanization. The special space of city and new subject of citizen became the driving force of making a new discourse getting out of previous nation and nationalism. And this magazine took charge of a role reflected such a change actively. In this thesis Taking into account the these points, we will be able to look into the relations and interaction of both the space of Mokpo in 1930`s and reflection of Honampyoungron.

      • KCI등재

        일제강점기 동정 담론의 변천과 함의 ― 이광수와 김동인을 중심으로 ―

        최창근 ( Choi Chang-geun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8 감성연구 Vol.0 No.17

        감정은 근대의 중요한 유산중 하나이다. 이성과 과학의 시대를 연 근대는 자연스럽게 주체의 감정도 해방시켰다. 그러나 한국 사회에서 감정 특히 동정은 특별한 위치를 차지한다. 재난이나 사고가 발생할 경우 우리 사회는 국가가 아니라 개인의 동정심에 호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국가의 책임보다는 개인의 사적인 희생을 요구하는 시대착오적 모습임에도 여전히 사라지지 않고 있다. 이처럼 감정에 대한 과도한 의존의 기원을 밝히는 것은 한국의 근대화를 규명하는데 중요한 토대가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일제 강점기 동정에 대한 담론을 살펴보는 것은 매우 효과적인 작업이 될 것이다. 당대의 대표적인 두 소설가 이광수와 김동인은 동정에 대해서도 상당한 견해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광수에게 중요한 것은 국가와 민족의 발전이었다. 그러나 식민지배하에서 정상적인 국가 건설은 불가능했다. 자연스럽게 민족주의에 집중할 수밖에 없었던 이광수는 동정의 감정으로 민족을 한데 묶고자 했다. 반면 김동인은 이광수와는 반대로 철저히 개인적인 차원에서 동정을 해석했다. 그에게 동정은 두 주체간의 내밀한 상호작용과 공감속에서 작동한다. 이광수는 민족을 형성하기 위해 ‘타인을 사랑하라’라고 외치고 있다. 김동인은 반대로 근대적 주체를 완성하는 과정에서 철저한 자기애를 주장한다. 두 사람이 보여주는 동정은 각각의 한계도 가지고 있다. 이광수의 경우 동정을 통한 민족주의의 형성과 강화는 계몽의 폭력적이고 위계적인 시각을 전제하고 있다. 또한 동정이 생산되고 유통되기 위한 야만적 현실이 계속되어야 하는 모순과 불합리를 내포하고 있다. 김동인의 경우에는 철저하게 자신만의 세계에 갇혀 있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김동인의 작품이나 창작론은 대부분 유아기적 시각으로 해석할 수 있다. 아이는 자신만의 상상의 세계에 살면서 이를 타인에게 인정받고 싶어 한다. 김동인 역시 이와 유사하게 자신의 개성이 누군가에게 인정받기를 원한다. 이는 또 다른 방식의 폭력이자 독단이라고 할 수 있다. 이광수와 김동인이 보여주는 양상은 한국적 근대화의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이성과 감정이 균형 있게 발전하지 못한 사회가 보여주는 한계인 것이다. 여기에는 외세에 의한 근대화와 일본의 식민지배를 겪은 한국의 특수한 상황도 반영되어 있다. Sympathy is a heritage of modern society. Along with the liberation of reason and science after modernism arose, emotion of each individual was also freed. However, emotions, especially ‘sympathy’, hold special position in Korean society. When a disaster or an accident occurs, there is a tendency to appeal to sympathy rather than to the government. Though which is an anachronistic aspect that requires sacrifice of an individual without serious consideration of the responsibility of the nation, it still remains. This attempt to investigate the origin of the dependency on emotion shall be the foundation to better understand modernization of Korean society. To achieve the purpose, it seems to be an effective work to look into the discourse on ‘sympathy’ that started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The two prominent writers of the day, Kim Dong-in and Lee Gwang-su, showed considerable differences about ‘sympathy’. Lee Gwang-su regarded national development as important, but building a nation in a proper way was not possible under Japanese rule. Hence, he tried to use sympathy to bind the whole nation together as he concentrated on nationalism. On the other hand, Kim Dong-in dealt with sympathy on an individual scale. His idea was that sympathy works in the midst of intimate interactions and empathy between two subjects. Whereas Lee Gwang-su exclaimed to love others for the construction of a nation, Kim Dong-in suggested complete self-love for the perfection of the modern subject. Both of their ideas of ‘sympathy’ also have limitations too. In case of Lee Gwang-su, his idea of development and reinforcement of nationalism, by means of sympathy, was based on the premise of the vision of violent and hierarchical enlightenment. Additionally, it involved contradiction and absurdity that harsh realities should go on to produce and distribute sympathy. Meanwhile, Kim Dong-in was completely confined in his own world. His works and his creation methodology are possibly understood as a perspective of one in its early childhood period. A child who lives in his imaginary world wants to be approved of the world. Similarly, Kim Dong-in desired to be approved of his individuality by others. It also signifies violence and dogmatism in a different way. The aspects that the two writers displayed represent the peculiarities of the modernization of Korea. In other words, those are the limitations of the society that developed with imbalance between reason and emotion. There are also the unique situations that Korean society had gone through, the colonization and modernization by the power of Japan.

      • KCI등재

        일반논문 : 박화성 소설의 여성 인식 연구 -「신혼여행」과 「비탈」을 중심으로-

        최창근 ( Chang Geun Choi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5 호남학 Vol.0 No.58

        박화성이 일제강점기에 발표한 작품은 민중의 비참한 현실을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독립의식과 계급혁명을 고취하고 있다. 또한 진취적이며 도전적인 그녀의 삶은여성 지식인을 대표하는 것이라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그녀의 사상을 페미니즘으로 이해하기에는 다소 무리한 측면이 있기도 하다. 특히 해방 후에 발표한 소설들에는 유교주의에 입각한 현모양처형의 여성이나 인내하는 어머니상이 자주 등장한다. 만약 이러한 면이 해방과 전쟁이라는 특수한 사건을 계기로 해서 극적으로 변화된 것이 아니라면 해방 전 소설에도 보수적인 여성관이 내포되어 있을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이 논문은 일제강점기하 박화성의 소설에 담겨있는 전근대적 여성관을 파헤치고 나아가 이러한 여성관이 함의하고 있는 여러 가지 부차적인 의식과 성향을 함께 분석하고 있다. 박화성의 소설에서 여성은 민족이 마주하고 있는 처참한 현실을 재현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등장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여성을 비극적 현실에서 구제하려는 의도가 잘 보이지 않는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다. 또한 개인의 불행과 민족의 불행을 이분법적으로 나누는 듯한 태도 역시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반면 남성에게는 민족의 현실을 극복하고 노동자 농민의 계급해방을 이룰 막중한 임무를 맡기고 있다. 따라서 남성은 매우 진취적이며 실천적인 지도자형 인물로 그려지는 경향이있다. 이 과정에서 여성은 남성의 지도와 교육을 받아 계몽되어야할 미성숙한 존재로 자리매김한다. 한편으로 박화성은 교육 받은 여성이 민족해방이나 사회주의 혁명에 이바지하는 경우에만 보람 있는 삶이라 생각하고 있다. 따라서 개인주의나 이기주의적 행동을 보이고 사치와 허영에 빠진 여자에 대해서는 상당히 거친 비판을 가하기도 한다. 이처럼 박화성의 여성관은 근대적이며 사회주의적인 의식과 함께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적인 의식과 전통적 유교사상에 입각한 윤리의식을 포함하는 양면성을 보이고 있다. Park Hwa-seong’s novels published during the period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describe people’s miserable lives realistically and inspire the spirit of independence and class revolution. In addition, her progressive and challenging life is believed to represent women intellectuals. However, it is somewhat unreasonable to understand her thought as feminism. In particular, the novels published after the Liberation often show women described as a good wife and wise mother or in the image of a patient mother based on Confucianism. If this is not a result of a radical change triggered by an unusual event such as the Liberation or the Korean War, we may suppose that her conservative view of women might also be reflected in her novels before the Liberation. This study examined pre-modern views of women observed in Park Hwa-seong’s novels written during the period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and to analyze various subsidiary consciousnesses and tendencies implied by these views of women. In Park Hwa-seong’s novels, women tend to appear only for representing the miserable situation of the Korean people. This is supported by the fact that such novels show little intention to relieve women from the miserable reality. Additional evidence is the attitude of dichotomizing between individual and national misfortunes. In contrast, men are given the weighty responsibilities to overcome the national adversities and to emancipate the worker and peasant classes. Accordingly, men are described to be very progressive and practical leaders. In this course, women are placed in the role of immature beings to be guided, educated and enlightened by men. Park Hwa-seong believes that it is only a fruitful life for an educated woman to contribute to the emancipation of the people or the socialistic revolution. Accordingly, she often criticizes ruthlessly women who behave individualistically or egoistically or indulge in vanity and extravagance. In this way, Park Hwa.seong’s view of women is ambivalent, showing both modern and socialistic consciousness and traditional ethical consciousness based on patriarchal ideology and Confucianism.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